KR100376520B1 -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520B1
KR100376520B1 KR10-1999-0060971A KR19990060971A KR100376520B1 KR 100376520 B1 KR100376520 B1 KR 100376520B1 KR 19990060971 A KR19990060971 A KR 19990060971A KR 100376520 B1 KR100376520 B1 KR 100376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wind
message
broadcas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612A (ko
Inventor
변경태
이용백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6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5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8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of indicators, of alarm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로의 바람량에 따라 적절한 전체 용광로설비의 작업자가 들을 수 있도록 안내방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안전메시지 자동송출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송,휴풍시 조업 및 안전조치 메시지를 자동으로 방송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다른 용광로 제어시스템은 송,휴풍시 운전자에 의해 이를 설정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와, 운전자가 송,휴풍시의 조정될 풍량을 설정하는 풍량설정부와, 송,휴풍시의 바람량별 조업 및 안전조치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음성데이타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송,휴풍신호 인가시 설정된 풍량에 따른 조업 및 안전조치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를 읽어들여 편집한 후 출력하는 공정제어부와, 상기 공정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음성메시지를 방송하는 방송장치와, 용광로 설비의 각 현장별로 설치되어 방송장치로부터 송출된 메시지를 음파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와, 용광로의 각 설비를 제어하고, 해당 설비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공정제어부에 제공하는 설비제어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BLAST FURNAC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ALLY ANNOUNCING A SAFETY MESSAGE}
본 발명은 용광로 설비에 있어서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로의 바람량에 따라 적절한 전체 용광로설비의 작업자가 들을 수 있도록 안내방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 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크스, 분소결과, 괴소결광과 같은 원료 및 연료를 지시된 량만큼 평량하여 운반하는 원료설비(160)와, 상기 원료설비(160)에서 운반된 장입물을 고로에 장입하여 녹이는 용광로 본체설비(161)와, 상기 본체설비(161)에서 발생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청정설비(162)와, 상기 본체설비(161)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로설비(163)와, PCI설비(16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광로의 정기 수리작업이나 설비이상으로 정상조업상태에서 조업을 중지시키거나, 중지된 설비를 정상가동시키는 경우, 열풍로설비(163)에서 용광로 내부로 불어넣던 정상적인 량(예를 들어, 일상적인 조업시 5900~6300N㎥/min)의 바람을 천천히 감소시켜 열풍을 제로로 하는 휴풍작업과, 제로상태에서 소정 량(상기 일상조업시의 바람량)의 열풍을 가하도록 점차적으로 바람을 증가시키는 송풍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송,휴풍작업은 평균적으로 월 1회 실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송,휴풍작업시마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저실의 운전자(10)가 무전기(11)를 통해 각 설비(160~164)의 작업자에게 육성으로 열풍량에 따른 설비조치 및 안전조치 메세지를 전달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에는 첫째로, 용광로의 송,휴풍 작업에 있어서 많은 인력이 현장에 투입되는데, 바람량에 대한 전달 체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적인 육성전달체계이기 때문에, 정확한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조치사항의 누락으로 인해 현장설비 조치 및 통제에 혼선을 초래하여 시간이 지연되고 사고발생 위험이높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두번째로, 용광로의 전체 설비에 대한 통제가 운전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오판에 의해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세번째로, 바람량에 따른 현장의 각 설비에서 조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확성 및 신속성이 결여되고, 인력운영의 비효율성을 초래하여, 송,휴풍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송,휴풍작업에 대한 안전조치가 원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지연 및 효율의 저하로 인해 막대한 생산량의 감소 및 전,후공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풍로의 바람량에 따라 적절한 전체 용광로설비의 작업자가 들을 수 있도록 안내방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용광로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략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메시지 자동방송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방송장치 14 : 프로그래머블로직콘트롤러(PLC)
17 : 조작부 18 : 풍량설정부
19 : 음성데이타저장부 20 : 제어부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송,휴풍시 운전자에 의해 이를 설정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와,
운전자가 송,휴풍시의 조정될 풍량을 설정하는 풍량설정부와,
송,휴풍시의 바람량별 조업 및 안전조치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음성데이타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송,휴풍신호 인가시 설정된 풍량에따른 조업 및 안전조치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를 읽어들여 편집한 후 출력하는 공정제어부와,
상기 공정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음성메시지를 방송하는 방송장치와,
용광로 설비의 각 현장별로 설치되어 방송장치로부터 송출된 메시지를 음파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와,
용광로의 각 설비를 제어하고, 해당 설비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공정제어부에 제공하는 설비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을 보인 블럭도로서, 원료 및 연료를 지시된 량만큼 평량하여 운반하는 원료설비(160)와, 상기 원료설비(160)에서 운반된 장입물을 고로에 장입하여 녹이는 용광로 본체설비(161)와, 상기 본체설비(161)에서 발생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청정설비(162)와, 상기 본체설비(161)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로설비(163)와, PCI설비(164) 및 상기 각 설비를 제어하는 PLC(14)로 이루어진 용광로 설비에 있어서, 운전자가 송,휴풍작업을 지시하는 조작부(17)과, 운전자가 바람량을 설정하는 풍량설정부(18)와, 여러가지 가능한 상황에 대해 각 상황별 방송메세지의 음성데이타가 저장되는 음성데이타저장부(19)와, 상기 조작부(17)으로부터 송,휴풍신호가 인가되면 운전자가 설정한 바람량을 상기 풍량설정부(18)로부터 읽어들여 현재 바람량에 대응하여 각 설비에 방송될 메시지를 상기음성데이타저장부(19)로부터 읽어들여 방송메세지를 출력하며,상기 PLC(14)의 설비조작신호를 체크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공정제어부(20)와, 상기 공정제어부(20)로부터 제공된 방송메시지를 현장에 있는 작업자가 들 을 수 있도록 방송하는 방송장치(13) 및 각 설비현장에 설치된 다수의 스피커(150~15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에서 송,휴풍에 따라 자동으로 안내방송을 하는 동작을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바람량 설정에 따른 방송내용 편집과정으로서, 운전실의 운전자가 조작부(17)의 송,휴풍스위치를 온시키고(S301), 풍량설정부(18)를 통해 풍량을 설정할 때(S302), 공정제어부(20)에서는 상기 운전자의 풍량설정을 감시하여 풍량설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풍량설정이 완료되면, 내부의 음성데이타저장부(19)로부터 음성데이타를 읽어들여, 설정된 바람량에 해당하는 설비조치와 안전조치내용의 방송용 단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메시지로 편집한다(S303, S304). 이때, 방송용 음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데이타저장부(19)에 신속, 정확한 현장전달을 위해서 한음절, 한 문장단위로 저장되어, 바람량에 따라 이를 조합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 다음 방송송출과정으로서, 상기 공정제어부(20)에서 앞서 편집된 설비조치 및 안전조치 방송메시지를 방송장치(13)로 전송하고(S305), 이에 방송장치(14)는 현장(160~64)에 설치된 각 스피커(150~154)로 상기 편집된 방송내용을 송출한다. 또한 상기 공정제어부(20)는 방송송출이 완료되었는지를 연속적으로 감시하고(S306), PLC(14)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스위치의 인자들을 조합체크하여,방송송출후 해당 조어처리 및 안전조치가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7).
그리고, 정보수집과정으로서, 현장의 각 설비마다 설치된 스위치(도시생략)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바람량에 의한 조치과정을 연속적으로 PLC(14)를 통해 인식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준다(S308). 이에 운전자는 운전자용 조작단말기(PCS)(도 2의 12)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단계의 바람량을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도 3의 조작부(17)의 송,휴풍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송,휴풍을 종료한다(S30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광로 제어시스템에서 송,휴풍시 설정된 바람량에 따라 필요한 조업조치 및 안전조치를 자동으로 방송함으로서, 용광로설비의 각 현장에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는 작업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보 또는 지시를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방송송출후의 조업처리를 체크함에 의해서 정보 또는 지시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음으로서, 송,휴풍시 수동적인 정보전달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 및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그 결과, 전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송,휴풍시 운전자에 의해 이를 설정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와,
    운전자가 송,휴풍시의 조정될 풍량을 설정하는 풍량설정부와,
    송,휴풍시의 바람량별 조업 및 안전조치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음성데이타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송,휴풍신호 인가시 설정된 풍량에 따른 조업 및 안전조치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를 읽어들여 편집한 후 출력하는 공정제어부와,
    상기 공정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음성메시지를 방송하는 방송장치와,
    용광로 설비의 각 현장별로 설치되어 방송장치로부터 송출된 메시지를 음파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와,
    용광로의 각 설비를 제어하고, 해당 설비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공정제어부에 제공하는 설비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제어부는 송,휴풍시 자동으로 조업 및 안전조치를 방송하기 위하여,
    송,휴풍이 설정되면 운전자가 설정한 바람량을 체크하여 음성데이타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타를 이용하여 상기 바람량에 적합한 조업 및 안전조치 메시지를편집하는 방송내용 편집과정과,
    상기 편집된 조업 및 안전조치 메시지를 각 현장별로 방송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는 방송송출과정과,
    방송후 상기 설비제어기를 통해 해당 조치유무를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정보수집과정으로 제어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KR10-1999-0060971A 1999-12-23 1999-12-23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KR10037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971A KR100376520B1 (ko) 1999-12-23 1999-12-23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971A KR100376520B1 (ko) 1999-12-23 1999-12-23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612A KR20010057612A (ko) 2001-07-05
KR100376520B1 true KR100376520B1 (ko) 2003-03-17

Family

ID=1962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971A KR100376520B1 (ko) 1999-12-23 1999-12-23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5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794A (ko) * 1981-03-16 1983-12-14 고오이찌로오 기다무라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언어음성 출력장치를 부설한 조작반
KR19980047660A (ko) * 1996-12-16 1998-09-15 김종진 컨베이어벨트의 자동 안전방송 제어방법
KR19980054607A (ko) * 1996-12-27 1998-09-25 김종진 더스트 배출 제어방법 및 장치
KR19990017053U (ko) * 1997-10-31 1999-05-25 이구택 용광로 기어박스 주위의 노가스 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794A (ko) * 1981-03-16 1983-12-14 고오이찌로오 기다무라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언어음성 출력장치를 부설한 조작반
KR19980047660A (ko) * 1996-12-16 1998-09-15 김종진 컨베이어벨트의 자동 안전방송 제어방법
KR19980054607A (ko) * 1996-12-27 1998-09-25 김종진 더스트 배출 제어방법 및 장치
KR19990017053U (ko) * 1997-10-31 1999-05-25 이구택 용광로 기어박스 주위의 노가스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612A (ko)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18287U (zh) 一种机器人焊钳电极帽修磨预警系统
CN104773465B (zh) 一种皮带输送机大型传动主从控制设备及其运行方法
CN104158614B (zh) 一种铁路客车广播控制方法
KR100376520B1 (ko) 안전메시지 자동방송기능을 구비한 용광로 제어시스템
CN208055392U (zh) 钢包底吹氩的控制系统
CN115857402A (zh) 一种煤矿输煤智能化控制系统
CN113600770A (zh) 一种用于连铸更换下水口时减少钢坯废品量的系统及方法
CN103895003A (zh) 机器人控制系统
CN210977602U (zh) 一种长隧道分布式巡检机构
CN102945012B (zh) 混凝土泵车及监控系统、监控方法
CN207781773U (zh) 一种软包电芯焊接生产线
CN209651223U (zh) 一种环冷卸灰小车自动卸灰控制系统
CN113659640A (zh) 一次调频动态性能远程测试的处理方法及装置
CN212989527U (zh) 用于地铁列车乘客紧急通讯装置的测试设备
CN205117781U (zh) 窑炉风机故障自动报警装置
CN217200503U (zh) 一种刹车片上件输送设备
CN218706530U (zh) 一种皮带撕裂紧急停机保护装置
CN201461349U (zh) 高炉上料皮带油泵自动控制系统
CN107734431A (zh) 一种共享录音控制系统及实现方法
CN217148190U (zh) 一种基于can通讯的自动扶梯用语音播报装置
CN220643168U (zh) 一种高炉双控信号装置
CN217224658U (zh) 一种cnc吹气式自动送料装置
CN219394850U (zh) 一种基于隧道冶金工矿企业应急新型广播设备
CN209726589U (zh) 一种带人机对话处理功能的工业冷却机
CN217866553U (zh) 实现单站维修线体不停机的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