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418B1 - 낱말학습기구 - Google Patents

낱말학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418B1
KR100376418B1 KR10-2000-0061058A KR20000061058A KR100376418B1 KR 100376418 B1 KR100376418 B1 KR 100376418B1 KR 20000061058 A KR20000061058 A KR 20000061058A KR 100376418 B1 KR100376418 B1 KR 10037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core
word
learning apparatus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434A (ko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10-2000-006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4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어린이에서부터 어른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즐기면서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낱말을 형성함에 따른 점수를 계산하여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에 서로 다른 낱자 또는 기호를 새긴 복수의 낱자블럭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 및 세로로 낱자블럭이 놓여지는 다수의 구역이 가로 및 세로로 일정한 크기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놀이판과, 놀이판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낱자블럭을 소정의 갯수씩 보관할 수 있는 복수의 대기함과, 상기한 낱자블럭 및/또는 대기함 등을 보관하는 보관수단을 포함하는 낱말학습기구를 제공한다.
놀이판은 용이하게 접어지고 펼쳐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구역중에 소정 위치에 있는 구역을 선택하여 시작위치 또는 가산위치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낱말학습기구 {Utensil for Study of Vocabulary}
본 발명은 낱말학습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놀이를 통하여 어휘력을 향상시키고 여가시간을 즐겁게 보낼 수 있는 낱말학습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국어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낱말은 대략 200여개가 있으며, 이러한 기본적인 낱말을 얼마나 알고 이해하는 가에 따라 언어생활의 기초가 다져진다.
또 낱말을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일수록 언어생활이 풍부하고 자신의 의사표현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낱말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책이나 이야기 등을 통하여 접하게 된 낱말을 확실하게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어휘력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놀이가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끝말잇기, 십자말풀이 등이 있다.
본 발명 목적은 어린이에서부터 어른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즐기면서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낱말을 형성함에 따른 점수를 계산하여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낱말학습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낱말을 형성하면서 자신이 알고 있는 낱말을 보다 확실하게 기억하고 이를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서로 형성한 낱말을 풀이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다양한 낱말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낱자블럭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주머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점수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낱말학습기구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에 서로 다른 낱자 또는 기호를 새긴 복수의 낱자블럭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및 세로로 상기한 낱자블럭이 놓여지는 다수의 구역이 가로 및 세로로 일정한 크기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놀이판과, 상기한 놀이판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한 낱자블럭을 소정의 갯수씩 보관할 수 있는 복수의 대기함과, 상기한 낱자블럭 및/또는 대기함 등을 보관하는 보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놀이판은 용이하게 접어지고 펼쳐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구역중에 소정 위치에 있는 구역을 선택하여 시작위치 또는 가산위치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일실시예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에 서로 다른 낱자 또는 기호를 새긴 복수의 낱자블럭(10)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 및 세로로 상기한 낱자블럭(10)이 놓여지는 다수의 구역(4)이 가로 및 세로로 일정한 크기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놀이판(2)과, 상기한 놀이판(2)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한 낱자블럭(10)을 소정의 갯수씩 보관할 수 있는 복수의 대기함(20)과, 상기한 낱자블럭(10) 및/또는 대기함(20) 등을 보관하는 보관수단인 보관주머니(30)를 포함한다.
상기한 놀이판(2)은 용이하게 접어지고 펼쳐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놀이판(2)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고, 이를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하며, 맞닿는 모서리에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 등을 형성하여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놀이판(2)의 구역(4)은 소정의 간격으로 가로선과 세로선을 인쇄하거나 소정의 깊이로 새기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바탕에는 소정의 바탕색을 칠하거나 무늬나 그림을 형성한다.
상기한 놀이판(2)의 구역(4) 중에서 중앙부분의 구역(4)에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작위치(5)를 표시하는 문자나 기호를 그리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시작위치(5)를 표시하는 구역(4)에는 예를 들면 "훈", "민", "정", "음" 등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하거나, 상표나 상호 또는 기호 등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1∼4개 정도 형성한다.
또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놀이판(2)의 구역(4) 중에서 소정 위치에 있는 구역(4)을 하나이상 선택하여 가산점을 부여하는 표시를 하는 가산위치(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가산위치(6)에는 예를 들면 "낱자 2배", "낱말 2배', "낱자 3배" 등을 인쇄하거나 새겨 형성한다.
상기한 가산위치(6)에는 소정의 기호를 표시하여 설정된 점수를 가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낱자블럭(10)은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육면체형상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6면에 서로 다른 낱자를 인쇄하거나 새겨 넣는다.
또 상기한 낱자블럭(10) 중에서 하나이상을 선정하여 1면 또는 6면에 소정의 기호(예를 들면 크로바잎 무늬나 원 등)를 표시하거나 아무런 표시도 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공란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낱자블럭(10)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각판 또는 육각판, 팔각판 등의 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낱자블럭(10)을 육각판 또는 팔각판 등의 판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놀이판(2)의 구역(4)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며, 이 경우에는 낱말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만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대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낱자블럭(10)의 각면에 인쇄하거나 새기는 낱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에서 배우는 낱말 및 각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문용어 등을 분석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낱자블럭(10)에 사용하는 낱자는 사용빈도에 따라 점수를 다르게 부여하여 보다 다양한 낱말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사용빈도에 따라 몇개로 구분하여 5점, 4점, 3점, 2점, 1점 등 점수를 차등부과하도록 구성한다.
각 낱자블럭(10)에는 낱자와 함께 점수를 표시하거나 각 점수마다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각 면의 바탕색 또는 낱자색을 낱자의 빈도수 구분에 맞추어 형성한다.
상기한 낱자블럭(10)의 수는 초등학생용,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일반용, 전문가용 등의 용도에 따라 그 분야에서 사용되는 어휘수에 맞추어 총 갯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러 낱말에 중복하여 사용되는 낱자는 빈도수에 맞추어 여러 낱자블럭(10)에 중복하여 표시한다.
또 상기한 놀이판(2)에 형성하는 구역(4)도 용도에 따라 열과 행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놀이판(2)의 구역(4)을 25×25, 50×50, 100×100 등으로 열과 행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놀이판(2)의 구역(4)을 나누는 구분선에는 놓여진 낱자블럭(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나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대기함(2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갯수의 낱자블럭(10)을 가지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낱자블럭(10)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길게 삽입홈(22)을 형성한다.
상기한 삽입홈(22)의 길이는 보관하기 위한 낱자블럭(10)의 갯수(예를 들면 7개, 8개, 10개 등)에 대응하여 설정한다.
상기한 보관주머니(30)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롭게 변형이 이루어지는 천이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주머니형상으로 형성하여 수시로 내부에 보관하는 낱자블럭(10)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보관주머니(30)에는 입구를 묶을 수 있도록 끈(32)을 달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보관수단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윗면에는 출입구와 덮개를 형성하여 수시로 내부에 보관하는 낱자블럭(10)을 꺼내거나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보관수단을 상자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하게 형성하는 것이 사용자가 자신이 꺼내는 낱자블럭(10)에 표시된 낱자를 보지 않는 상태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놀이에 참가한 각 사람의 점수를 기록하여 합계를 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점수판(40)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점수판(4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가자의 이름을 기재하는 란, 자신의 순번에서 낱말을 형성하였는가의 여부를 표시하는 란, 낱말을 형성하여 얻은 점수를 기재하는 란, 합계를 기재하는 란 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바닥에 놀이판(2)을 펴고, 참가자 각자 하나씩 대기함(20)을 자신의 앞에 놓는다.
그리고 각자 상기한 보관주머니(30)로부터 소정의 갯수(예를 들면 7개)씩 낱자블럭(10)를 꺼내 자신의 앞에 있는 대기함(20)에 채운다.
순서를 정하여 첫번째 참가자부터 상기한 놀이판(2)의 시작위치(5)로부터 시작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소정의 낱말을 형성하도록 상기한 대기함(20)으로부터 낱자블럭(10)을 꺼내어 배열하고, 사용한 낱자블럭(10)의 갯수만큼 상기한 보관주머니(30)로부터 낱자블럭(10)을 꺼내어 항상 대기함(20)에 소정의 갯수가 유지되도록한다(도 8 참조).
이 때 배열되는 낱자블럭(10)의 낱자에 표시된 점수를 합산하여 자신의 점수를 점수판(40)에 기재하고 낱말형성 여부를 표시한다.
순서대로 다음 참가자가 상기한 놀이판(2)에 놓여진 낱자블럭(10)의 상하좌우에 낱자블럭(10)을 놓아서 낱말을 형성하면서 자신의 점수를 계산하여 점수판(40)에 기재한다(도 9 참조).
이 때 상기한 대기함(20)에 있는 낱자블럭(10)만으로 낱말을 형성하지 못하는 참가자는 상기한 점수판(40)에 낱말을 형성하지 못하였음을 표시하고, 벌점이 있는 경우 벌점을 표시한 다음, 상기한 대기함(20)에 있는 낱자블럭(10) 중에 소정의 갯수(예를 들면 2∼3개)만큼 상기한 보관주머니(30)에 있는 낱자블럭(10)과 교환한다.
상기와 같이 진행하는 도중에 낱자블럭(10)이 상기한 놀이판(2)의 가산위치(6)에 놓여지는 경우에는 규칙대로 점수를 가산하여 점수판(40)에 기재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하여 순서대로 낱말을 형성한 다음 점수의 합계로서 등위를 결정하거나, 합계점수가 소정의 점수이상이 되면 이기는 것으로 하여 상벌을 시행하는 것으로 흥미를 배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에 의하면, 놀이를 하면서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낱말을 형성시킴에 따라 소정의 점수를 계산하여 승부를 결정하는 등 흥미를 크게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에 의하면, 집이나 학교 또는 야외 등 어느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즐길 수가 있으며, 장거리 여행 중에도 지루함을 달랠 수 있다.
또 모르는 낱말도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알게 되므로 학습효과가 크게 증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낱말학습기구는 보관주머니 등의 보관수단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므로 이용이 편리하다.

Claims (4)

  1.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에 서로 다른 낱자 또는 기호를 새긴 복수의 낱자블럭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 및 세로로 상기한 낱자블럭이 놓여지는 다수의 구역이 가로 및 세로로 일정한 크기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놀이판과,
    상기한 놀이판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한 낱자블럭을 소정의 갯수씩 보관할 수 있는 복수의 대기함과,
    상기한 낱자블럭 및 대기함을 보관하며 상자형상 또는 주머니형상으로 형성하는 보관수단을 포함하는 낱말학습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놀이판의 구역 중에서 중앙부분의 구역에는 시작위치를 표시하고,
    상기한 놀이판의 구역 중에서 소정 위치에 있는 구역을 하나이상 선택하여 가산점을 부여하는 표시를 하는 가산위치를 형성하는 낱말학습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낱자블럭에는 낱자와 함께 점수를 표시하거나 각 점수마다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각 면의 바탕색 또는 낱자색을 낱자의 빈도수 구분에 맞추어 형성하는 낱말학습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놀이에 참가한 각 사람의 점수를 기록하여 합계를 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점수판을 더 포함하는 낱말학습기구.
KR10-2000-0061058A 2000-10-17 2000-10-17 낱말학습기구 KR10037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058A KR100376418B1 (ko) 2000-10-17 2000-10-17 낱말학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058A KR100376418B1 (ko) 2000-10-17 2000-10-17 낱말학습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434A KR20020030434A (ko) 2002-04-25
KR100376418B1 true KR100376418B1 (ko) 2003-03-19

Family

ID=1969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058A KR100376418B1 (ko) 2000-10-17 2000-10-17 낱말학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321A (ko) * 2002-07-30 2004-02-05 김선조 이미지 이어 놓기 게임 블럭 및 게임 방법
KR100809082B1 (ko) * 2004-10-14 2008-03-03 안 데이비드 한자 조합 놀이구
KR100847114B1 (ko) * 2007-10-19 2008-07-18 송수연 아토믹 큐브
KR101292056B1 (ko) * 2010-07-01 2013-08-01 김지훈 단어 조합 게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5971A (en) * 1984-08-28 1986-12-02 Ferguson Jack A Crossword puzzle educational game
JPH0251375A (ja) * 1988-08-11 1990-02-21 Nec Corp 超音波モータ
KR900003357Y1 (ko) * 1987-11-05 1990-04-20 송한섭 낱말 맡들기 게임용 교습구
US5520394A (en) * 1995-04-24 1996-05-28 Brueckner; James L. Word forming board g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5971A (en) * 1984-08-28 1986-12-02 Ferguson Jack A Crossword puzzle educational game
KR900003357Y1 (ko) * 1987-11-05 1990-04-20 송한섭 낱말 맡들기 게임용 교습구
JPH0251375A (ja) * 1988-08-11 1990-02-21 Nec Corp 超音波モータ
US5520394A (en) * 1995-04-24 1996-05-28 Brueckner; James L. Word forming board g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434A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6264B2 (en) Closable-type game board for basic symbol recognition
US5445390A (en) Mathematical board game apparatus
US6695618B2 (en) Multiplication game
US3197891A (en) Educational word game means
US1512147A (en) Game
CN101557863A (zh) 棋盘游戏
US3964749A (en) Pentomino puzzles
US4019743A (en) Edifice for playing word game
US4895374A (en) Board game for teaching music
US4209173A (en) Crossword puzzle game equipment
US611660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laying a math capturing and recapturing game
US4911452A (en) Method of playing a category game
KR100376418B1 (ko) 낱말학습기구
US200701087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number puzzles
US20060082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me playing between players of different skill levels
US20170128823A1 (en) Multilevel educational alphabet corresponding numbers word game
JP3145867U (ja) パズルゲーム用盤及びパズルゲーム具
US4018445A (en) Educational puzzle game
JP6489395B2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US3480278A (en) Accessory for use in playing word forming game
JP3124609U (ja) 知育玩具
US20150076767A1 (en) Simplified closable type game board device for basic symbol and alphanumeric recognition
JP2580444Y2 (ja) パズルブロック玩具
US7100918B1 (en) Board game kit and method of using
US20180068586A1 (en) Learn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