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567B1 -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567B1
KR100375567B1 KR10-2000-0046964A KR20000046964A KR100375567B1 KR 100375567 B1 KR100375567 B1 KR 100375567B1 KR 20000046964 A KR20000046964 A KR 20000046964A KR 100375567 B1 KR100375567 B1 KR 10037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exible
cycle
central management
manage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658A (ko
Inventor
손성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00-004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5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95Identification code, e.g. ISWC for musical works; Identification dataset
    • G10H2240/115Instrument identification, i.e. recognizing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on a network, by means of a code, e.g. IMEI, serial number, or a profile describing its capabil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반주기와 중앙 관리장치간에 별도의 장치나 회선의 공사없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중앙 관리장치와 가요반주기간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자의 데이터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로 시간데이터 및 알림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앙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요반주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장치와 가요반주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관리장치와 가요반주기를 연결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에 시리얼(serial)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KARAOKES SEPARATELY}
본 발명은 가요반주기와 중앙 관리장치와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와 상기 중앙 관리장치에서 가요반주기를 개별적으로 처리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래연습장에는 각 실(室)마다 가요반주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실에 배치된 가요반주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위해서는 시간 데이터 및 구동 신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각 노래연습장 관리자는 시간 데이터 및 구동데이터가 필요한 각 실로 이동하면서 일일이 상기 시간 데이터 및 구동데이터를 입력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각 실의 고객은 관리자에게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 관리자에게로 직접 찾아 가거나, 별도로 구비된 호출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래연습장의 카운터에 중앙 관리장치를 설치하였으며, 설치된 중앙 관리장치에 복수의 가요반주기를 연결하여 신곡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 또는 시간 데이터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중앙 관리장치에서 각각의 가요반주기를 제어할 수 있었으나, 개별 제어 및 관리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상술한 종래의 가요반주기와 중앙 관리장치로 구성된 노래연습장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 이를 참조하여 종래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11, 12, 13)와, 상기 가요반주기(11, 12, 13)와 유선으로 연결된 중앙관리장치(20) 및 상기 가요반주기(11, 12, 13)에 배경영상 및 자막을 전송하는 배경영상 및 자막 송출수단(2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요반주기(11, 12, 13)는 노래연습장의 각 실(室)에 각각 설치되며, 고객에게 화면을 제공하는 화면표시부(미도시)와, 고객이 선곡한 곡을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미도시) 및 고객이 곡을 선택하기 위해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치된 키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키입력부는 노래연습장의 관리자가 상기 가요반주기의 작동 시간을 입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장치(20)는 일반적으로 노래연습장의 카운터에 설치되며, 키 입력부를 포함하므로, 상기 관리자의 키 입력에 따라 각 가요반주기(11, 12, 13)에 시간 데이터가 전송되고, 입력된 시간 데이터만큼 상기 가요반주기(11, 12, 13)가 작동된다.
특히, 관리자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가요반주기의 작동시간을 지정하거나, 시간을 추가로 연장시키고자 할 때 상기 중앙 관리장치(20)의 키 입력부를 통해 시간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장치(20)에서 가요반주기(11,12,13)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시간 데이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중앙 관리장치(20)는 각 가요반주기와 회선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어, 가요반주기를 더 설치하게 되면 그 때마다 회선을 증가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 관리자가 특정 메시지를 각 실에 있는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배경영상 및 자막송출수단(25)을 통해 상기 가요반주기의 배경화면에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상기 중앙 관리장치(20)와 연결된 모든 가요반주기(11, 12, 13)로 전송된다.
따라서, 특정 가요반주기에만 특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요반주기와 중앙 관리장치간에 별도의 장치나 회선의 공사없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중앙 관리장치와 가요반주기간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관리자의 데이터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로 시간데이터 및 알림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앙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요반주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장치와 가요반주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관리장치와 가요반주기를 연결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에 시리얼(serial)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중앙 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ID가 상기 가요반주기의 ID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동일할 경우에,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중앙 관리장치로 데이터 송신 시, 상기 ID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상기 가요반주기의 화면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13, 31, 32, 33 : 가요반주기
20, 40 : 중앙 관리장치
25, 45 : 배경음악 및 자막송출수단
30a, 30c : 가요반주기 화면표시부
30b, 30d : 메시지 창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노래연습장에 설치되는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을 실시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안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31, 32, 33)와 중앙 관리장치(40) 및 상기 가요반주기(31, 32, 33)에 배경영상 및 자막을 전송하는 배경영상 및 자막송출수단(45)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31, 32, 33)는 상기 중앙 관리장치(40)와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의 일 예로는 공용회선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가요반주기는 상기 공용회선에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반주기를 추가로 설치할 경우에 회선수를 증가시킬 필요없이 상기 공용회선에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에 연결되는 가요반주기(31, 32, 3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각 가요반주기의 고유 아이디(ID)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 상기 가요반주기(31, 32, 33)에서 중앙 관리장치(4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나, 상기중앙 관리장치(40)에서 가요반주기(31, 32, 33)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고유 아이디를 각각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아이디 "1234"를 갖는 가요반주기를 통해 고객이 관리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면, 상기 고객은 상기 가요반주기의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가요반주기에서 중앙 관리장치로 상기 메시지가 전달될 때, 상기 가요반주기의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메시지와 함께 아이디 데이터를 함께 실어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 관리장치(40)에는 상기 중앙 관리장치(40)에 전달되는 메시지가 어느 가요반주기로부터 전송되었는지가 표시되므로 상기 관리자는 메시지를 전송한 가요반주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상응하여 상기 중앙 관리장치(40)에서 특정 가요반주기로 메시지를 전달할 때에도 상기 중앙 관리장치(40)에서 지정하는 가요반주기의 아이디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함께 전송되므로, 각 가요반주기의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중앙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아이디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가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아이디가 동일한 경우에만 중앙 관리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상기 중앙 관리장치(40)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가 해당 가요반주기의 화면표시부에 출력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 도 3이다.
도 3a)는 상기 메시지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상태이며, 도 3b)는 상기 메시지가 화면의 전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중앙 관리장치(40)에서전송되는 메시지에는 알림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가요반주기의 화면에는 중앙 관리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창(30b, 30d)이 바로 표시될 수도 있고, 알림데이터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알림데이터는 아이콘, 텍스트, 이미지 또는 경고음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알림데이터가 가요반주기의 화면 일부에 표시되면, 고객이 소정 키를 입력함으로써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알림데이터가 표시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자동으로 메시지창(30b, 30d)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창(30b, 30d)을 통해 고객은 관리자로부터 관리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고, 그 대답 또한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미도시)는 고객이 관리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메시지를 입력하는 부분으로, 상기 가요반주기(31, 32, 33)의 키버튼 또는 별도로 상기 가요반주기와 연결되는 키패드일 수 있다.
상기 가요반주기(31, 32, 33)의 키버튼으로 메시지를 작성 시에는 기설치되어 있는 키버튼을 이용하도록 지정하거나, 상기 키버튼에 문자를 조합할 수 있는 새로운 키버튼을 추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가요반주기와 중앙 관리장치간에 메시지 전달을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 관리장치에서 특정 가요반주기로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고객 또한 관리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전달할 때, 가요반주기에 설치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므로 고객이 관리자에게로의 의사전달이 용이해질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관리자의 데이터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로 시간데이터 및 알림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앙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요반주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장치와 가요반주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 관리장치와 가요반주기를 연결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에 시리얼(serial)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반주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반주기는 해당 가요반주기의 아이디(ID)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 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ID가 상기 가요반주기의 ID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동일할 경우에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중앙 관리장치로 데이터 송신시, 상기 ID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반주기에는 고객이 상기 중앙 관리장치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ID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중앙 관리장치는 상기 ID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송신한 해당 가요반주기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반주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상기 가요반주기에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중앙 관리장치는 상기 알림데이터가 상기 가요반주기의 화면에 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장치는,
    상기 가요반주기의 화면에 제시된 알림데이터가 고객의 소정 키 입력에 의해 클릭되면, 상기 중앙 관리장치에서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상기 가요반주기의 화면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데이터는,
    아이콘, 텍스트, 이미지 또는 경고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KR10-2000-0046964A 2000-08-14 2000-08-14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KR100375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964A KR100375567B1 (ko) 2000-08-14 2000-08-14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964A KR100375567B1 (ko) 2000-08-14 2000-08-14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658A KR20020013658A (ko) 2002-02-21
KR100375567B1 true KR100375567B1 (ko) 2003-03-15

Family

ID=1968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964A KR100375567B1 (ko) 2000-08-14 2000-08-14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5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634A (ko) * 1991-10-04 1993-05-21 원본미기재 로컬 통신 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장치
KR20000050126A (ko) * 2000-05-17 2000-08-05 최봉진 네트워킹을 통한 pc방 클라이언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634A (ko) * 1991-10-04 1993-05-21 원본미기재 로컬 통신 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장치
KR20000050126A (ko) * 2000-05-17 2000-08-05 최봉진 네트워킹을 통한 pc방 클라이언트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658A (ko)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450B1 (ko)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US20020147524A1 (en) Event notification within a local system
US20010012761A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call signal arrival indicating function and a response function without any trouble to circumstance
EP0117121A2 (en) Remote control system
KR100375567B1 (ko) 개별 처리 가능한 가요반주기 관리시스템
EP0867846A2 (en) Radio paging receiver
EP4057605A1 (en) Multiple dwelling house interphone system
JP2000113354A (ja) 集合住宅監視システム及び警報通知装置
US6208838B1 (en) Pager with reception error notification
CA2361498C (en) Information system
JPH07162916A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20090537A (ko) 외국어 교육 시스템
JP3211465B2 (ja) 遠隔制御装置
JPS61181296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8101865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200183535Y1 (ko) 정보송수신장치
JP2001208403A (ja) 空気調和装置の監視システム
JPH0714778U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S6322751B2 (ko)
JP2592431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
JPH02250546A (ja) 電話機
KR100512946B1 (ko) 시스템 아이디 표시 가능한 감시용 모니터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2077424A (ja) 通話システム
JPS6219966A (ja) Pos端末装置
JPH08223670A (ja) リモコン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