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743B1 -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743B1
KR100374743B1 KR10-2000-0050696A KR20000050696A KR100374743B1 KR 100374743 B1 KR100374743 B1 KR 100374743B1 KR 20000050696 A KR20000050696 A KR 20000050696A KR 100374743 B1 KR100374743 B1 KR 10037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filler
weight
plat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344A (ko
Inventor
강혜영
Original Assignee
강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영 filed Critical 강혜영
Priority to KR10-2000-005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7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47B2200/001Manufacture of table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9/00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케이스판재(10)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채워진 충전재(14)와, 상기 충전재의 가루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흘러 내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통기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판재의 내부저면에 깔아진 직포(12)와, 상기 충전재의 상측을 덮는 상판재(16)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재(14)는 숯으로 되어 있는 가구용 적층판과; 상기 상판재는 맥반석 50 ~ 80 중량%와, 황토 5 ~ 15중량 %, 옥 5 ~ 20중량%, 숯 5 ~ 15중량 %를 가루로 만들어 혼합하여 소정량의 물에 반죽한 다음, 소정의 두께 및 크기로 성형하여 건조한 후, 사포로 다듬질하고 필요에 따라 그 표면에 유약을 바른 다음 노내에서 구워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가구용 적층판이 구비된 가구는, 사용자의 집중력을 강화하고 기억력을 증진하며, 원적외선 방사로 인해 각종 성인병에 탁월한 치료 예방 및 시멘트 건물에서 나오는 독성을 해독하여 전자파 및 수맥파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음이온 방사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정화되며, 방진, 방음, 흡음효과가 뛰어나며, 제습, 흡착, 탈취, 향균효과가 있어, 사용자의 질병을 자연적으로 치유하고 건강을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a multi-layer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sub-plate of a multi-layer plat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용, 가정용 독서실용 책상이나 식탁등 각종 가구의 상판으로 사용되는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책상등 각종 가구의 상판은 원목이나, 인조목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었다.
사용자는 이러한 상판 위에 책을 펴고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하거나, 식사를 하게 된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위생적이고 자연적으로 인체의 질병을 치유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상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장시간 책상 위에서 공부나 업무를 하는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사무용, 가정용 독서실용 책상이나 식탁등 각종 가구의 상판은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의 상판으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질병을 자연적으로 치유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가구용 적층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건강하게 하는 가구용 적층판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가구용 적층판에서 충전재를 제거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판재 12 : 직포
14 : 충전재 16 : 상판재
18 : 관통구멍 210 : 하측 베이스 판재
212 : 테부재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은,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케이스판재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채워진 충전재와,상기 충전재의 가루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흘러 내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통기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판재의 내부저면에 깔아진 직포와, 상기 충전재의 상측을 덮는 상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재는 숯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재에는 상기 숯외에 쑥잎가루 및 솔잎가루가 추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재는, 맥반석 및 옥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황토와 숯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소량의 쑥잎과 은행잎과 소금이 첨가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충전재는 숯 60~80중량%와, 쑥잎가루 및 솔잎가루의 혼합물 25 ~35 중량%로 이루어 지되, 이 혼합물 중 쑥잎가루 와 솔잎가루의 비는 쑥잎가루 50 ~ 60 중량% : 솔잎가루 30 ~ 50 중량 %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의 상판재는, 맥반석 50 ~ 80 중량%와, 옥 5 ~ 20중량%, 황토 5 ~ 15중량 %, 숯 5 ~ 15중량 %를 가루로 만들어 혼합하여 소정량의 물에 반죽한 다음, 소정의 두께 및 크기로 성형하여 건조한 후, 사포로 다듬질한 다음, 필요에 따라 그 표면에 유약을 바른 후, 노내에서 구워 제조한다.
상기 상판재의 제조방법에서, 맥반석, 황토, 옥 및 숯의 혼합물을 물에 반죽하기 전에, 쑥잎가루 4 ~ 8중량 %와 은행잎 가루 1 ~ 3중량% 와 소금(염화 나트륨) 1 ~ 3 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반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판재(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어 상측은 트여 있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저면에는 직포(12)가 깔려 있고, 상기 직포(12)의 상측에는 숯으로 된 충전재(14)가 수용공간(S)의 하부에 소정두께로 깔려 있으며, 상기 충전재(14)의 상측에는 상판(16)이 상기 수용공간(S)의 상부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판재(10)는 일반 목재나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향나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판재(10)의 내부 저면에는 수용공간(S)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판재(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판(16)의 저면이 걸리도록 걸림턱(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0)은 내측면을 따라 단속되게 다수개가 형성되거나 연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판재(10)는 저면판과 측면판으로 분리되어 조립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직포(12)는 각종 부직포등 다양한 종류의 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재의 가루가 흐르지 않고 공기가 통하는 것이면 어떤 것도 사용가능하다. 이때, 상기 직포(12)은 향균처리한 직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포의 향균처리는, 맥반석 20 ~ 40 중량%, 황토 30~ 50중량 %, 은행잎 10~20중량%, 흑운모 10 ~ 14 중량%, 소금(염화나트륨) 1~ 5중량 %을 가루로 만들어 체에 거른 다음, 고운 가루를 물과 묽게 혼합한 혼합물을 직포에 도포하여 행한다. 이때, 은행잎은 그늘에서 잘 건조시킨 것을 사용한다.
상기 충전재(14)는 목탄, 죽탄, 등의 숯으로 되어 있다.
상기 충전재(14)는 숯과 쑥잎가루와 솔잎가루가 혼합된 혼합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혼합비는 숯 60~80중량%와, 쑥잎가루 및 솔잎가루의 혼합물 25 ~35 중량%로 이루어 져 있다. 이 혼합물 중 쑥잎가루 와 솔잎가루의 비는 쑥잎가루 50 ~ 60 중량% : 솔잎가루 30 ~ 50 중량 %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쑥잎가루와 솔잎가루의 혼합물은 적당한 크기의 압력을 가하여 부순 입자 상태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숯의 입자가 쑥잎가루 및 솔잎가루의 입자보다 크게 하여, 숯의 입자 사이로 쑥잎가루 및 솔잎가루의 혼합물의 입자가 채워지게 하여 충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재(16)는 맥반석 60 ~ 90 중량 %와, 옥 10 ~ 40 중량 %를 가루로 만들어 혼합하여 소정량의 물에 반죽한 다음, 소정의 두께 및 크기로 성형하여 건조한 후, 사포로 다듬질한 다음, 그 표면에 유약을 바른 다음, 500。C ~ 1300。C 의 노내 온도에서 구워 제조한다. 이때 유약을 바르지 않고 구울 수도 있다.
상기 상판재(16)는, 맥반석 및/또는 옥의 원석을 다듬질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 상판재(16)는, 맥반석 50 ~ 80 중량%와, 옥 5 ~ 20중량%, 황토 5 ~ 15중량 %, 숯 5 ~ 15중량 %를 가루로 만들어 혼합하여 소정량의 물에 반죽한 다음, 소정의 두께 및 크기로 성형하여 건조한 후, 사포로 다듬질한 다음, 필요에 따라 그 표면에 유약을 바른 다음, 500。C ~ 1300。C 의 노내 온도에서 구워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재(16)는 맥반석 50 ~ 80 중량%와, 옥 5 ~ 20중량%, 황토 5~ 15중량 %, 숯 5 ~ 15중량 %, 쑥잎 4 ~ 8중량 %와 은행잎 1 ~ 3중량% 와 소금(염화 나트륨) 1 ~ 3 중량%를 가루로 만들어 혼합하여 소정량의 물에 반죽한 다음, 소정의 두께 및 크기로 성형하여 건조한 후, 사포로 다듬질한 다음, 필요에 따라 그 표면에 유약을 바른 다음, 500。C ~ 1300。C 의 노내 온도에서 구워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쑥잎과 은행잎과 그늘에서 건조하여 가루로 만든다.
상기 상판재(16)는 상기 수용공간(S)의 넓이에 맞게 절단하여 부착하는데, 이때, 접착제로 상기 케이스 판재의 내측면에 접착되게 한다.
한편, 상기 상판재는 일반 목재나 플라스틱재 등의 일반 상판재를 사용하고, 케이스 판재(10)의 수용공간에 충전재(14)만 채워도 본 발명의 효과는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판재(116)의 가장자리에 턱(118)이 형성되고, 이 턱(118)이 상기 케이스 판재(110)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케이스 판재의 내부에 별도의 걸림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판재가 두개로 분리되어, 상기 충전재(14)를 수용하는 하측 베이스 판재(210)와, 상판재(16)를 수용하는 테 부재(212)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하측 베이스 판재(210)과 테 부재(212)는 고정부재(214)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측 베이스 판재(21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부재(214)가 끼워져 고정이 용이하게 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플랜지(2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 부재(212)은, 상하방향으로 트여 있고, 상기 상판재(16)가 걸리도록 상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걸림턱(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베이스 판재(210)과 테 부재(212)는 서로 끼워 맞추어지거나 걸리는 구조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에 의하면, 충전재(14)가 내장된 하측 베이스 판재(210)을 착탈할 수 있으므로 충전재의 수명이 다했을 경우에 교체하기가 용이하며, 기존에 있는 상판의 저면에 하측 베이스 판재(210)를 고정하기만 되므로, 별도의 상판을 구입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의 실시예에서 상판재(316)의 가장자리에 턱(318)이 형성되고, 이 턱(318)이 테 부재(312)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테 부재의 내부에 별도의 걸림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집중력을 강화하고 기억력을 증진하며, 원적외선 방사로 인해 각종 성인병에 탁월한 치료 예방 및 시멘트 건물에서 나오는 독성을 해독하여 전자파 및 수맥파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음이온 방사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정화되며, 방진, 방음, 흡음효과가 뛰어나며, 제습, 흡착, 탈취, 향균효과가 있어, 사용자의 질병을 자연적으로 치유하고 건강을 유지하게 된다.

Claims (7)

  1.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케이스판재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채워진 충전재와, 상기 충전재의 가루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흘러 내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통기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판재의 내부저면에 깔아진 직포와, 상기 충전재의 상측을 덮는 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재는 숯으로 되어 있되,
    상기 케이스 판재가 두 개로 분리되어, 상기 충전재를 수용하는 하측 베이스 판재와, 상기 상판재를 수용하는 테 부재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적층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에는 쑥잎가루 및 솔잎가루가 추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적층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재는 맥반석 및/또는 옥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적층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재에는 황토와 숯이 추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적층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재에는 소량의 쑥잎과 은행잎과 소금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적층판.
  6. 삭제
  7. 삭제
KR10-2000-0050696A 2000-08-30 2000-08-30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KR10037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696A KR100374743B1 (ko) 2000-08-30 2000-08-30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696A KR100374743B1 (ko) 2000-08-30 2000-08-30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344A KR20000072344A (ko) 2000-12-05
KR100374743B1 true KR100374743B1 (ko) 2003-03-04

Family

ID=1968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696A KR100374743B1 (ko) 2000-08-30 2000-08-30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7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997B1 (ko) * 2005-10-06 2006-02-21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숯 시트층이 구비된 가구
KR100979221B1 (ko) 2008-04-28 2010-08-31 박종익 학생용 책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0005U (ko) * 2014-06-24 2016-01-04 공용문 저면에 프레임 고정돌부가 부착된 법랑코팅 책상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443B1 (ko) * 2001-12-06 2004-10-06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자재
KR20020070205A (ko) * 2002-07-25 2002-09-05 이영태 기능성 건강 보조용 책상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500A (ko) * 1999-05-27 1999-09-06 김광을 건물용내장재및그제조방법
KR200176031Y1 (ko) * 1999-10-26 2000-03-15 최육근 숯이 내장된 숯장롱
KR200184006Y1 (ko) * 1999-12-23 2000-06-01 홍석재 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500A (ko) * 1999-05-27 1999-09-06 김광을 건물용내장재및그제조방법
KR200176031Y1 (ko) * 1999-10-26 2000-03-15 최육근 숯이 내장된 숯장롱
KR200184006Y1 (ko) * 1999-12-23 2000-06-01 홍석재 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997B1 (ko) * 2005-10-06 2006-02-21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숯 시트층이 구비된 가구
KR100979221B1 (ko) 2008-04-28 2010-08-31 박종익 학생용 책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0005U (ko) * 2014-06-24 2016-01-04 공용문 저면에 프레임 고정돌부가 부착된 법랑코팅 책상판
KR200481395Y1 (ko) * 2014-06-24 2016-09-26 공용문 저면에 프레임 고정돌부가 부착된 법랑코팅 책상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344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743B1 (ko)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KR100779997B1 (ko) 원적외선 방사 침대
KR101358462B1 (ko) 옻칠을 이용한 온돌침대용 숯판 및 그 숯판 제조방법
CN102631097A (zh) 三维立体改性聚酯纤维床垫
CN209924325U (zh) 一种绣花复合墙板
KR100363864B1 (ko) 칸막이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외판재의 제조방법
CN205502445U (zh) 一种多功能复合板
KR100731010B1 (ko) 매트용 한방 황토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0232A (ko) 천연물 면적 확장형 비코팅 천연 벽지
KR200405695Y1 (ko) 매트용 한방 황토 부재
KR101504412B1 (ko) 열린구조를 갖는 천연 벽지
KR101515570B1 (ko) 친환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66442Y1 (ko) 황토 부재
KR100322480B1 (ko) 건물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82907Y1 (ko)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마감재
KR200440050Y1 (ko) 침대용 건강 매트리스
KR200327369Y1 (ko) 침상프레임에 기능성물질을 설치한 기능성 침대
KR200250927Y1 (ko) 방염처리가 된 모자이크식 나무벽지
KR20120098166A (ko) 옻칠을 이용한 온돌침대용 황토판 및 그 황토판 제조방법
KR200347441Y1 (ko) 황토와 대나무숯이 내장된 가구
KR100717868B1 (ko) 건강 목재 패널
KR200367718Y1 (ko) 기능성 숯판재
CN209987089U (zh) 一种lvt饰面的中密度纤维板
KR200330930Y1 (ko) 건축내장재용 황토판넬.
WO2005110742A1 (en) Air drain of wood-charcoal-different material composite for humanbody-favored build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