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611B1 -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611B1
KR100373611B1 KR10-2001-0007691A KR20010007691A KR100373611B1 KR 100373611 B1 KR100373611 B1 KR 100373611B1 KR 20010007691 A KR20010007691 A KR 20010007691A KR 100373611 B1 KR100373611 B1 KR 10037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conveying conveyor
conveyor
horizon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463A (ko
Inventor
백윤강
Original Assignee
백윤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윤강 filed Critical 백윤강
Priority to KR10-2001-000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611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31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4/0332Bucke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만에 정박한 곡물수송선으로 부터 다량의 곡물을 최단시간내에 하역하고 적절히 보관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이 이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곡물을 자동이송시스템에 의하여 밀폐창고 혹은 야적장에 적재하는 것이다. 밀폐창고는 별도의 시설이 없이 단순 적재에 지나지아니하여 곡물을 출고하기 위해서는 포크레인, 불도져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야외에 적재한 것은 외부를 천막으로 덮어주었다가 중장비로 실어서 이송용 차량에 실어주는 정도에 불과하여 다량의 먼지발생, 부패, 습기흡수에 의한 곡물의 변질, 중장비가동에 의한 곡물의 손실, 고가의 인건비상승등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있다.
본 발명은 외부와 분리토록 하는 좌우측벽, 지붕, 바닥 그리고 출입구로 구성되는 곡물적재창고의 내부에 상하주행레일부를 설치하고 이 주행레일부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이송컨베이어를 설치하도록 하고, 이송컨베이어부의 상측으로 분배부를 설치하여 입고되는 곡물이 창고내에 균일분배토록하며, 분배적재된 곡물은 주행레일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수직이송컨베이어와 분배부의 작동에 의한 적절한 적재를 유도하며, 배출시에는 하주행레일하부에 설치된 배출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이송한 다음 수평컨베이어로 외부에 배출된 다음 출고부를 통하여 출고토록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In and out operating system for grain stocks}
본 발명은 항만에 입고되는 다량의 곡물을 최단시간내에 입고와 출고가 가능하게 한 자동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만을 통하여 밀가루, 옥수수, 콩, 쌀등과 같은 곡물류가 거대한 곡물수송선에 의하여 입항하면 진공흡입과 자동컨베이어장치등을 이용하여 곡물분배용 임시저장고에 입고된다. 이 임시저장조의 하부에는 수송차량의 화물적재부가 입출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저장조하부에 수송차량이 배치되면 저장조하부를 개방하여 일정량의 곡물을 적재부에 적재하고, 이 수송차량을 보다 넓은 장소에 있는 저장창고로 이송하여 주는 것이다. 현재 인천과 같은 다량의 곡물 수입항에서 사용하는 곡물저장창고는 평지에 콘크리트에 의한 사각형태의 지하구조를 구성한 다음 이곳에 수송차량이 접근하여 쏟아붓는 지극히 단순한 형태를 이용하고 있다. 이같은 쏟아붓기식의 적재시 곡물간 마찰에 의한 다량의 먼지와 발열현상으로 주변 환경은 말할 수없이 오염이 되며, 민원의 주요 원인이 되고있다. 특히 이곳에 작업하는 작업원의 위생에도 좋지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수송차량이 일반 화물차량이므로 수송중에 유실되는 양도 무시못할 정도이다.
이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제2000-43563호에서 "방수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자재를 이용하여 지면을 평탄화한 베이스부와
봉상구조로서 상부에는 상측체결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측보조기둥이 설치되면서 하측보조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탄성지지구가 베이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토록 설치된 주기둥부와,
상기한 주기둥부가 연속하여 병렬배치되면서 상측체결부의 상면에 횡배열되면서 하부에 연속적으로 흡입공이 천공되고, 그 측단에는 연통부가 연통설치된 중공구조의 흡입부와,
상기한 흡입부와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한 연속배치된 주기둥부와 횡지지멤버에 의하여 일체화되면서 내부에는 무한궤도식으로 진행하는 레일이 설치된 레일보디가 지면과 곡물적재높이보다 높게 평행배치토록 하였으며, 그 내측에는 푸시풀로드가 설치된 스위치로드가 설치된 주행레일부와,
상기한 주행레일부의 레일보디내에 설치된 레일부에 의하여 주행레일부를 따라 연속하여 무한반복이동하되 상부는 상시개방된 상개구부가 있고 하측에는 2개의 전면도어와 후면도어가 설치된 하측도어부이 설치되어 주행레일부에 설치된 스위치로드(34)의 푸시풀로드에 의하여 하측도어부가 개방폐쇄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송카트부와,
전체적으로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방수재질의 막재질로서 중앙과 양측에 중앙견인끈이 막전체에 횡배열되면서 일측단은 고정용접힘부가 형성되면서 하측접힘부와 반대측단부에 체결공이 연속형성되고, 정면측단부에는 횡바아가 막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외장부와,
상기한 주기둥부의 수직지지를 위한 것으로서 견인와이어이 상기한 흡입부의 상측면을 걸치도록 한다음 양단 혹은 일단에 텐숀조절구가 설치되어 고정구에 고정토록 한 텐숀조절식와이어와 동일한 와이어로 구성하되 양단에 장력스프링을 매개로 고정구에 고정토록 구성한 텐숀와이어로 구성된 견인지지부와,
상기한 장치들로 조립구성된 적재장소에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동력 혹은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작동하는 동력부를 내장한 구동장치부에 상부가개방된 박스형구조의 컨테이너을 설치하되 일측에는 조종사가 탑승가능하도록 탑승부를 구성하여 조정핸들를 파지하도록 하고, 타측에는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되 높이가 상기한 주행레일부에 견인이송하는 이송카트부의 상개구부보다는 높게 구성한 버킷엘리베이터이 설치되어진 캐리어부로 구성된 곡물자동야적시스템"을 제공한 바 있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곡물야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은 고정구조의 창고를 설치하기 어려운 야지에 몇개의 기둥과 평지의 조성으로 목적한 다량 적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입고와 출고가 자동화되어 그 효과 또한 좋은 것이다. 그러나 고정적인 구조물인 적재창고가 설치된 곳에는 적용하기 어려우며, 입고의 양도 고정구조물인 창고에 비하여 제한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천막구조와 같이 설치와 운용이 자유로운 구조물이 요구되는 항만이 있는 가 하면, 고정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어 이곳에도 자동입고와 출고가 가능한 창고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형창고건물이 이미 설치되어져 이곳에 곡물을 적재하고자 할 경우 내부에 다량의 곡물을 무효한 공간이 없이 채워질 수 있으며, 출고도 필요한 위치와 속도로 가능하게 하는 창고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곡물의 입고와 출고를 인력의 동원이나 중장비의 동원이 없이 자동화하도록 구성한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특히 곡물의 입고시에 원하는 위치에 균분적재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출고도 원하는 위치의 곡물을 순차적으로 출고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정단면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부분절개된 측단면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분배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분배부와 이송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정단면구성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저면 2:천정부 3:하주행레일부 3a:하구동부 4a:상구동부4a 4:상주행레일부 5:버킷엘리베이터 10:수직이송컨베이어 15:수평이송컨베이어 W:분배부조정선 20: 방향조정부 21:좌우측연도부 25:수직연도부 28:비산방지부 31:입고차량하우스 32:수평컨베이어벨트 41:하주행레일부의 저면 42:배출공 44:배출이송스크류 46: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 44:배출차량하우스 47:임시저장부
본 발명은 외부와 분리토록 하는 좌우측벽, 지붕, 바닥 그리고 출입구로 구성되는 곡물적재창고의 내부에 상하주행레일부를 설치하고 이 주행레일부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이송컨베이어를 설치하도록 하고, 이송컨베이어부의 상측으로 분배부를 설치하여 입고되는 곡물이 창고내에 균일분배토록하며, 분배적재된 곡물은 주행레일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출고부를 통하여 출고토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주행레일부는 이송컨베이어의 하측단과 상측단에 설치된 롤러와 같은 주행수단이 레일에 체결되며, 주행수단은 모터 혹은 다른 동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체인, 와이어,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송컨베이어는 수직으로 곡물을 이송하는 수직이송컨베이어와 좌우측에 있는 곡물을 중앙으로 집중토록 하는 수평컨베이어가 일체로 되어 함께 이송하도록 한다. 각각의 이송컨베이어에는 버킷엘리베이터가 무한궤도식으로 설치되어 버킷의 회동시 곡물을 버킷에 담아 상측 혹은 중앙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이송컨베이어중 수직으로 이송된 곡물은 중공구조의 분배부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에 곡물들이 배치토록 한다. 분배부는 좌우상하로 신축가능하도록 상측의 조정바아에 의하여 좌우측 과 상하측으로 절첩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최하단에는 곡물의 하강시 발생하는 다량의 먼지발생을 억제하도록비산방지부가 설치된다. 비산방지부는 곡물의 하강시 지면과 그 하단이 접하도록 하여 낙하에 따른 먼지가 비상방지부내부에서만 잔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곡물입고는 창고의 일측에 설치된 입고차량진입부에 곡물이송차량이 진입후 곡물을 쏟아붓게 되면 그 낙하부에 이송컨베이어를 주행레일의 중앙까지 연장토록 하여 중앙부로 집중토록 한다. 집중된 곡물은 수직이송컨베이어의 버킷엘리베이터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송되며, 분배부를 통하여 목적한 위치로 옮겨지는 것이다. 출고는 이와 반대로 주행레일부의 중앙측 저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출고용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면 출고차량이 있는 곳까지 연장된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후 별도의 수직이송장치에 의하여 대기한 차량에 적재토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도록 부분적으로 절개된 상태의 정단면구성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부분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분배부가 위치를 변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분배부와 주행레일부에 설치된 이송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주행레일부의 하측과 좌우측에 설치된 이송부를 도시하도록 하는 정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고자 하는 것은 천정, 전후좌우의 수직벽체 그리고 입고와 출고를 위한 입출입도어가 설치된 박스형태의 곡물적재창고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곡물적재창고는 이같은 단순 육면체형태이외에도 원형돔형태, 타원형태등이 모두 가능하며, 이들 형태에 따른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저면(1)과 천정부(2)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컨베이어시스템이 전후진가능하도록 안내하면서 컨베이어시스템의 상하측단을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하여 안내하는 상하대칭되는 구조의 상.하주행레일부와,
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에 하구동부(3a)가 접하고 상구동부(4a)는 상주행레일부(4)에 접하도록 수직배치되고, 무한궤도형태의 벨트상에 설치된 버킷엘리베이터(5)가 연속회동하여 이동방향에 적재된 곡물을 상측으로 이송토록 하는 수직이송컨베이어(10), 그리고 수직이송컨베이어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수직이송컨베이어와 연동하면서 좌우측에 적재된 곡물에 무한궤도형태의 버킷엘리베이터가 접하도록하여 곡물이 수평이동토록 하는 수평이송컨베이어(15)로 구성된 이송컨베이어부와,
상기한 이송컨베이어부의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최상측부근에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분배부조정선(W)을 감거나 해제하는 조정장치가 내장된 방향조정부(20), 수직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수거하여 좌우측이동과 지면으로 안내이송하는 좌우측연도부(21)와 수직연도부(25) 그리고 곡물의 지면낙하시 박스형태로 구성하여 내부에서만 곡물이 낙하토록하여 먼지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부(28)로 구성된 분배부와,
적재시스템의 외측벽에 설치된 입고차량하우스(31)에서 부터 시작하여 주행레일부까지 수평컨베이어벨트(32)가 무한궤도식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져 입고차량(C)으로 부터 낙하되는 곡물을 연속하여 하측 주행레일부의 저면측으로 이송토록 하는 입고부와,
상기한 입고부와 동일한 형태의 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어지도록 하되 주행레일부의 중앙측저면(41)의 배출공(42)으로 부터 낙하 이송된 곡물을 배출이송스크류(45)에 의하여 이송받아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의하여 배출차량하우스(44)로 이송토록 하여 곡물을 배출토록 하는 출고부,
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의 양측벽에 길이발향으로 배치되어져 입고부의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안측단의 임시저장부(33)에 일단이 배치되도록 하여 입고된 곡물을 이송하도록 하는 수평이송스크류(50), 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의 저면측의 하측으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져 하주행레일부의 저면(41)에 형성된 배출공(42)을 통하여 공급된 곡물을 출고부의 임시저장부(47)로 공급하여 출고용 곡물을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이송하는 배출이송스크류(45)로 구성된 입출이송부로 구성된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하주행레일부는 수평이송컨베이어와 분배부 그리고 조정장치를 일체로 하여 이동하는 수직이송컨베이어의 전후진을 위한 안내레일이다. 상주행레일부와 하주행레일부는 일반적인 레일을 부설하여 상구동부(4a)와 하구동부(3a)의 롤러가 이맞물림되도록 구성된다. 별도의 방법으로 레일을 삭제하고 휘일로 구성된 상하구동부가 상하주행레일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전후진하는 것도 가능하다.또다른 방법으로 이송컨베이어에 가해지는 부하가 크고 정확한 전후진거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하주행레일부에 나사산을 구성하고 상하구동부(3a)(4a)에는 나사산과 치합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보다 정밀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하주행레일부는 전후진의 거리에 따라 그 양측단에 리미트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일정한 거리를 주행하면 더이상의 전진을 위한 동력전달을 차단하게 하며, 전후진 거리는 곡물창고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입출할 곡물의 양에 따라 설정하여 준다.
본 발명에서 이송컨베이어부는 수직이송컨베이어부(10), 수평이송컨베이어부(15)가 일체로 구성되며,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최상단에는 방향조정부(20)에 의하여 방향조정이 되는 분배부도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수직이송컨베이어부(10)는 상하레일부(4)(3)에 상하구동부(4a)(3a)가 전후진가능토록 배치되며, 무한궤도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버킷(5a)들이 버킷엘리베이터(5)에 의하여 하부의 곡물을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최상단의 반전부(10b)에는 호퍼를 설치하여 자중으로 낙하하는 곡물이 양측의 분배부로 가이드되도록 한다. 버킷엘리베이터의 회동속도는 전진속도, 버킷의 이송가능부피, 수평이송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의 양등에 의하여 증감조절한다.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상하구동부(4a)(3a)는 자체적으로 내장된 구동모터가 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롤러를 회전하여 전진후진토록 하거나 곡물적재창고의 전후면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동력장치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어지도록 하는 와이어, 체인 또는 벨트와 같은 견인수단에 의하여 전후진하도록 한다.
수평이송컨베이어부(15)는 수직이송컨베이어부와 동일한 형태의 연속회동하는 버킷엘리베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만 피봇부(16)를 중심으로 수평각조절수단(17)의 조절로 지면에 적재된 곡물의 상면과 버킷(15a)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수평면과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이동과 함께 연동하여 이동한다. 수평각조절수단(17)은 수직이송컨베이어부에서 와이어, 체인 혹은 벨트와 같은견인수단의 길이를 일정하게 풀어주거나 감아주므로서 조절이 되며, 조절의 정도는 적재된 곡물의 높이에 맞추어 버킷(15a)이 곡물과 접촉이 이루어지면 풀어주지않고 접촉이 이루어지지않으면 풀어주도록 하여 비킷이 항상 곡물과 접하도록 조절한다. 수평이송컨베이어는 좌우양측에 서로 대칭토록 설치하여 좌우에 펼쳐져 적재된 곡물을 중앙의 하주행레일부에 집중토록 한다.
본 발명에서 분배부는 상기한 수직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공급되는 곡물을 좌우의 일정한 위치에 적재토록 안내하는 것으로, 직경을 달리하는 중공의 도관이 수평 및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이송컨베이어의 반전부(10b)로 부터 버킷의 반전에 의한 낙하되는 곡물을 받아 분배부로 이동하도록하는 안내호퍼(22)의 말단과 좌우측연도부(21)를 연통하도록 설치하며 연속하여 좌우측연도부는 수직연도부(25)를 거쳐 비산방지부(28)까지 연결된다. 좌우측연도부와 수직연도부는 각각 직경을 달리하므로 조정와이어(29)의 견인정도에 따라 큰 직경의 연도부에 작은 직경의 연도부가 삽입 혹은 이탈토록 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길이를 조정한다. 수평 및 수직방향의 길이조정으로 곡물의 적재위치도 조정된다. 좌우측연도부와 수직연도부의 연도의 길이와 숫자는 곡물적재창고의 높이와 넓이에 따라서 조정하여 준다. 수직연도부(25)의 단부에 설치되는 비산방지부(28)는 하부면만이 개방되고 좌반부(28b)우반부(28c)가 각각 반분하여 서로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일측에 텐숀스프링(28a)을 설치하여 좌우반부가 항시 닫혀진 구조이다. 좌우반부의 닫혀진 구조는 곡물이 낙하하여 내부를 채우게 되면 곡물의 낙하적재부피에 의하여 스스로 벌어지도록한다. 일정한 상태로 벌어지면 수직연도부(25)의 수축에 의하여 위로 상승하면서 계속적인 곡물적재가 가능하게 하고 곡물낙하중에 발생하는 먼지는 비산방지부내에서만 존재하므로 더이상의 먼지 비산을 방지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입고부는 외부에서 입고용수송차량(C)에 의하여 입고되는 곡물을 창고내부로 입고하기위한 장치로서, 먼지발생시 흡수제거하도록 하고 빗물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밀폐된 구조의 입고차량하우스(31)에서 부터 시작하여 주행레일부까지 수평컨베이어벨트(32)가 무한궤도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입고차량(C)과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시작부(32a)는 약간의 높낮이 차이를 두어 낙하곡물의 보다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입고부의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최말단과 하주행레일부가 접하는 곳에는 수평이송스크류(50)의 시단부(50a)가 배치되어 공급된 곡물을 주행레일부에서 진행하는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출고부는 상기한 입고부와 동일한 형태의 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어지도록 하되 주행레일부의 중앙측저면(41)의 배출공(42)으로 부터 낙하이송된 곡물을 배출이송스크류(45)에 의하여 이송받아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의하여 배출차량하우스(44)로 이송토록 하여 곡물을 배출토록 한다. 배출차량하우스(44)도 입고차량하우스와 같이 빗물에 의한 오염과 먼지비산을 막기위한 수단들이 설치되며,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의하여 공급된 곡물은 수직이송장치(49)에 의하여 수직상승하여 출고차량에 적재토록 한다.
본 발명에서 입출이송부는 상기한 입고부와 출고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곡물을 수직이송컨베이어에 공급하여 목적한 위치에 적재토록 하거나, 일정한 위치에 있는 곡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출하토록 하는 내부적인 곡물이송장치이다. 입고부와 연결된 수평이송스크류(50)는 하주행레일의 양측벽에 한쌍으로 배치되며, 출고부와 연결된 배출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의 양측벽에 길이발향으로 배치되어져 입고부의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안측단의 임시저장부(33)에 일단이 배치되도록 하여 입고된 곡물을 이송하도록 하는 수평이송스크류(50), 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져 하주행레일부의 저면(41)에 형성된 배출공(42)을 통하여 공급된 곡물을 출고부의 임시저장부(47)로 공급하는 배출이송스크류(45)에 의하여 출고곡물을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공급토록 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수평이송스크류(50)는 하주행레일부의 양측면(3b)에 형성된 개폐공(3c)에 의하여 개방시에만 이송되는 곡물이 개폐공을 통하여 하주행레일부로 공급되게 한다. 개폐공의 개폐는 수직이송컨베이어가 전진하여 배치된 경우에만 개방하여 이송된 곡물을 수직이송컨베이어에의하여 수직으로 수거이송가능하게 하며, 수직이송컨베이어의 배치가 없으면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배출이송스크류(45)는 저면(41)에 형성된 배출공(42)을 통하여 곡물이 공급되면 스크류의 이송작동에 의하여 출고부의 임시저장부(47)에 공급토록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는 수직이송컨베이어(10)에 보조스크래퍼(10d)를 다수개 설치하여 주는 것이다. 보조스크래퍼(10d)는 연속적으로 회동하는 스크래퍼날(10e)이 중심축(10f)를 중심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곡물이 다량적재되면 자체적인 중량에 의하여 곡물을 버킷(5a)의 힘만으로는 곡물을 수거하기 어려우며, 심한경우 심한 마찰의 발생으로 장치에 무리가 가는 현상이 있다. 따라서 보조스크래퍼의 회동에 의하여 전진방향에 적재되어 단단하게 경화된 곡물이라 하여도 버킷의 접촉전에 충분히 분해하여 주므로서 발생될 수 있는 기계적무리를 사전에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는 수평이송컨베이어(15)의 후면부에 분리커버(15c)를 설치하여 상측의 반정도를 밀봉토록 하며, 나머지 하측(곡물과 접하는 부분)의 양측단에 연질의 스크래퍼(15d)를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측에서 부터 쏟아져 낙하하는 곡물의 하중에 의한 문제와 지면상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수평이송컨베이어가 작동하면서 잔존하는 곡물을 훑어내는 작용을 도와주어 보다 완벽한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수평이송컨베이어의 하측단의 지면을 향한 곳에는 보조롤러(15e)를 설치하여 수평컨베이어의 이동시 자중에 의한 심한 중량적인 부담을 없애준다.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곡물입고에서 출고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곡물입고차량하우스(31)에 곡물을 적재한 차량이 입실한 다음 도1에 도시하듯이 곡물을 하역하게 된다. 곡물은 입고부의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시작부(32a)에 낙하하게되며 연속적인 컨베이어벨트의 작동에 의하여 곡물은 화살표와 같이 이동한다. 수직이송컨베이어가 도1에 도시하듯이 입고부의 수평컨베이어벨트의 선단부에 일치하도록 배치된 상태라면 하주행레일부(3)의 경사부를 통하여 그대로 하주행레일부로 공급된다. 공급된 곡물은 수직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버킷(5a)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최상단의 반전부(10b)에 도달하면 버킷이 반전되므로 담겨져 있던 곡물이 낙하하여 안내호퍼(22), 좌우측연도부(21), 수직연도부(25)를 거쳐 비산방지부(28)까지 낙하한다. 좌우측연도부와 수직연도부는 각각 직경을 달리하므로 조정와이어(29)의 견인에 의하여 지면에 적재된 곡물의 높이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한다. 좌우측연도부와 수직연도부의 방향도 도 3에 도시하듯이 조정하므로서 적재위치도 전후좌우 어느방향으로든 적재가 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입고부의 수평이송컨베이어벨트와 수직이송컨베이어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하주행레일의 양측벽에 한쌍으로 배치된 수평이송스크류(50)이 작동하여 수직이송컨베이어(10)가 있는 곳까지 이송토록 하여 상기한 것과 동일한 입고처리가 진행된다.
곡물의 출고는 하주행레일부(3)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져 있는 배출이송스크류(45)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이송이 된다. 즉, 하주행레일부의 저면(41)에 형성된 배출공(42)을 통하여 공급된 곡물을 출고부의 임시저장부(47)로 공급하면 배출이송스크류(45)는 출고곡물을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공급되어져, 출고부에 설치된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의하여 외부로 이송되어 출하용 차량에 적재토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은 곡물의 입고에서 부터 출고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곡물적재창고의 내부에 인력이 전혀 투입될 필요없이 적재적소에 곡물을 배치할 수 있으며, 배치시에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도 근본적으로 차단가능하다.
또한 수직이송스크류의 높이와 속도를 조절하면 내부에 적재될 곡물의 양, 그리고 배출양을 얼마든지 임의로 조절가능하여 곡물의 대소에 맞춘 적절한 조정도 가능하다. 가장 문제로 지적되는 분진의 발생이 대부분 곡물의 이송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곡물의 입고와 출고시 대부분을 지하에 배치된 수평이송스크류, 배출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진행하므로 발생된 분진의 근본적인 배출원인이 제거된다.

Claims (10)

  1. 저면(1)과 천정부(2)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컨베이어시스템이 전후진가능하도록 안내하면서 컨베이어시스템의 상하측단을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하여 안내하는 상하대칭되는 구조의 상.하주행레일부와,
    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에 하구동부(3a)가 접하고 상구동부(4a)는 상주행레일부(4)에 접하도록 수직배치되고, 무한궤도형태의 벨트상에 설치된 버킷엘리베이터(5)가 연속회동하여 이동방향에 적재된 곡물을 상측으로 이송토록 하는 수직이송컨베이어(10), 그리고 수직이송컨베이어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수직이송컨베이어와 연동하면서 좌우측에 적재된 곡물에 무한궤도형태의 버킷엘리베이터가 접하도록하여 곡물이 수평이동토록 하는 수평이송컨베이어(15)로 구성된 이송컨베이어부와,
    상기한 이송컨베이어부의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최상측부근에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분배부조정선(W)을 감거나 해제하는 조정장치가 내장된 방향조정부(20), 수직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수거하여 좌우측이동과 지면으로 안내이송하는 좌우측연도부(21)와 수직연도부(25) 그리고 곡물의 지면낙하시 박스형태로 구성하여 내부에서만 곡물이 낙하토록하여 분진을 내부에 포괄토록 하는 비산방지부(28)로 구성된 분배부와,
    적재시스템의 외측벽에 설치된 입고차량하우스(31)에서 부터 시작하여 주행레일부까지 수평컨베이어벨트(32)가 무한궤도식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져 입고차량으로 부터 낙하되는 곡물을 연속하여 하측 주행레일부의 저면측으로 이송토록 하는 입고부와,
    상기한 입고부와 동일한 형태의 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어지도록 하되 주행레일부의 중앙측저면(41)의 배출공(42)으로 부터 낙하이송된 곡물을 배출이송스크류(45)에 의하여 이송받아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의하여 배출차량하우스(44)로 이송토록 하여 곡물을 배출토록 하는 출고부,
    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의 양측벽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져 입고부의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안측단의 임시저장부(33)에 일단이 배치되도록 하여 입고된 곡물을 이송하도록 하는 수평이송스크류(50), 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의 저면측의 하측으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져 하주행레일부의 저면(41)에 형성된 배출공(42)을 통하여 공급된 곡물을 출고부의 임시저장부(47)로 공급하여 출고용 곡물을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이송하는 배출이송스크류(45)로 구성된 입출이송부로 구성된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주행레일부는 수평이송컨베이어와 분배부 그리고 조정장치를 일체로하여 이동하는 수직이송컨베이어의 전후진을 위한 안내레일로서, 상주행레일부와 하주행레일부에 수직이송컨베이어(10)의 상구동부(4a)와 하구동부(3a)의 롤러가 이맞물림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하주행레일부에 나사산을 구성하고 상하구동부(3a)(4a)에는 나사산과 치합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부는 수직이송컨베이어부(10), 수평이송컨베이어부(15)가 일체로 구성되며,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최상단에는 방향조정부(20)에의하여 방향조정이 되는 분배부가 함께 이동하도록 하며,
    상하레일부(4)(3)에 상하구동부(4a)(3a)가 전후진가능토록 배치되며, 무한궤도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버킷(5a)들이 버킷엘리베이터(5)에 의하여 하부의 곡물을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최상단의 반전부(10b)에는 호퍼(22)가 설치되어 양측의 분배부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이송컨베이어부(15)는 수직이송컨베이어부와 동일한 형태의 연속회동하는 버킷엘리베이터로 구성되어 있고, 피봇부(16)를 중심으로 수평각조절수단(17)의 조절로 지면에 적재된 곡물의 상면과 버킷(15a)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수평면과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이동과 함께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분배부는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이송컨베이어의 반전부(10b)로 부터 버킷의 반전에 의한 낙하되는 곡물을 받아 분배부로 이동하도록하는 안내호퍼(22)의 말단과 좌우측연도부(21)를 연통하도록 설치하며 연속하여 좌우측연도부는 수직연도부(25)를 거쳐 비산방지부(28)까지 연결하고,
    수직연도부(25)의 단부에 설치되는 비산방지부(28)는 하부면만이 개방되고 좌반부(28b)우반부(28c)가 각각 반분하여 서로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일측에 텐숀스프링(28a)을 설치하여 좌우반부가 항시 닫혀진 구조로, 곡물의 낙하적재부피에 비례하여 개폐토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입고부는 밀폐된 구조의 입고차량하우스(31)에서 부터 시작하여 주행레일부까지 수평컨베이어벨트(32)가 무한궤도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입고차량(C)과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시작부(32a)는 약간의 높낮이 차이를 갖으며, 입고부의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최말단과 하주행레일부가 접하는 곳에는 수평이송스크류(50)의 시단부(50a)가 배치되어 공급된 곡물을 주행레일부에서 진행하는 수직이송컨베이어부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출고부는 하주행레일부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출이송스크류(45)가 배치되며,
    하주행레일부의 중앙측저면(41)에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한 배출공(42)에 낙하이송된 곡물이 상기한 배출이송스크류(45)의 연속적인 이송동작에 의하여 배출이송컨베이어벨트(46)에 전달되면 배출차량하우스(44)로 이송토록 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적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입출이송부는 입고부와 연결된 수평이송스크류(50)는 하주행레일의 양측벽에 한쌍으로 배치되며,출고부와 연결된 배출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의 양측벽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져 입고부의 수평컨베이어벨트(32)의 안측단의 임시저장부(33)에 일단이 배치되도록 하여 입고된 곡물을 이송하도록 하는 수평이송스크류(50),
    상기한 하주행레일부(3)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져 하주행레일부의 저면(41)에 형성된 배출공(42)을 통하여 공급된 곡물을 출고부의 임시저장부(47)로 공급하는 배출이송스크류(45)로 구성되며,
    수평이송스크류(50)는 하주행레일부의 양측면(3b)에 형성된 개폐공(3c)에 의하여 개방시에만 이송되는 곡물이 개폐공을 통하여 하주행레일부로 공급되게 하고, 개폐공의 개폐는 수직이송컨베이어가 전진하여 배치된 경우에만 개방하여 이송된 곡물을 수직이송컨베이어에의하여 수직으로 수거이송가능하게 하며, 수직이송컨베이어의 배치가 없으면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배출이송스크류(45)는 저면(41)에 형성된 배출공(42)을 통하여 곡물이 공급되면 스크류의 이송작동에 의하여 출고부의 임시저장부(47)에 공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수직이송컨베이어(10)에 연속적으로 회동하는 스크래퍼날(10e)이 중심축(10f)을 중심으로 배치된 구조의 보조스크래퍼(10d)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이송컨베이어의 상측반을 보호커버(15c)로 밀봉하고 나머지 지면을 향한 부분의 양측단에는 수직으로 돌설한 연질의 스크래퍼(15d)를 설치하며, 하측단의 지면을 향한 곳에는 보조롤러(15e)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KR10-2001-0007691A 2001-02-16 2001-02-16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KR10037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91A KR100373611B1 (ko) 2001-02-16 2001-02-16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91A KR100373611B1 (ko) 2001-02-16 2001-02-16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463A KR20010035463A (ko) 2001-05-07
KR100373611B1 true KR100373611B1 (ko) 2003-02-26

Family

ID=1970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691A KR100373611B1 (ko) 2001-02-16 2001-02-16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853A (zh) * 2013-04-28 2013-07-24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封闭式贮料场输送系统
WO2017043735A1 (ko) * 2015-09-09 2017-03-16 신명일 컨테이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52B1 (ko) * 2004-12-24 2012-05-15 주식회사 포스코 스태커의 원료 분진 비산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853A (zh) * 2013-04-28 2013-07-24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封闭式贮料场输送系统
CN103213853B (zh) * 2013-04-28 2015-09-02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封闭式贮料场输送系统
WO2017043735A1 (ko) * 2015-09-09 2017-03-16 신명일 컨테이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463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8556A (en) Granular material transport apparatus
RU2135381C1 (ru) Грузов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сыпучих грузов
US20140374220A1 (en) Steep conveying installation for open-cast mining
US5669562A (en) Telescoping infeed conveyor
US9017001B1 (en) Integrated elevator bin system
US8083047B1 (en) Telescoping conveyor
US5102285A (en) Trailer with continuous conveyer bed
US7726468B2 (en) Conveyor belt and conveyor comprising said belt
US9055734B1 (en) Device for loading livestock via conveyor belt
KR100373611B1 (ko) 사료곡물입출고시스템
US3770101A (en) Unloading boom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
US2816797A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0282414Y1 (ko) 곡물입출고시스템
US20220396442A1 (en) Dispositif de dechargement d&#39;un vehicule transportant un materiau en vrac, ensemble et procede associes
CA2573086C (en) A grain and fertiliser conveyer
US1977147A (en) Endless belt conveyer
US3533520A (en) Bin for handling particulate materials
US3446331A (en) Unloading system
US736902A (en) Conveying apparatus.
WO2007143213A2 (en) Transport discharge material flow regulation device and method
RU1819836C (ru) Крутонаклон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US4270653A (en) Conveyor feed apparatus
US3095100A (en) Can handling process
SU1756235A1 (ru) Скребковый конвейер с вертикальным участком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US733355A (en) Stor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