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999B1 -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및 그를포함한 영상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및 그를포함한 영상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999B1
KR100372999B1 KR10-2001-0025747A KR20010025747A KR100372999B1 KR 100372999 B1 KR100372999 B1 KR 100372999B1 KR 20010025747 A KR20010025747 A KR 20010025747A KR 100372999 B1 KR100372999 B1 KR 10037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correction
pixel
correction value
digital televisio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058A (ko
Inventor
김재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전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전광
Priority to KR10-2001-002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9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8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픽셀의 최대휘도의 편차가 소정 범위 이내로 되도록 표시장치을 구성하는 모듈 내 각 픽셀에 대한 최대휘도보정값을 저장한 단일의 휘도보정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휘도보정장치를 디지털 텔레비젼의 제어부에 제공함으로써 구성의 단순화와 제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 휘도의 편차가 소정 범위 이내로 되게 하는 최대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1 저장수단; 및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별로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에 대한 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2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에 대한 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2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및 그를 포함한 영상제어장치{Brightness adjustment apparatus of pixel and Visual controller including it in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내 모듈을 구성하는 픽셀의 휘도 보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내 모듈을 구성하는 각 픽셀간에 존재하는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텔레비젼 구성도로서, 복합영상신호인 아날로그신호가 VTR이나 TV튜너로부터 출력되면 A/D 변환부(100)에서는 상기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감마보정부(200)는 상기 디지털신호에서 윤곽을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며, 이 신호를 다시 영상메모리(300)에서는 일시 저장한 후 영상표시부인 표시장치(400)에 영상으로 표출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400)은 수백 내지 수천개의 모듈(410)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410)은 다시 수백개의 픽셀(411)로 구성된다(대개의 경우 1모듈은 가로 16줄, 세로 16줄로 되어 256개의 픽셀로 구성된다). 또한, 각 픽셀(411)에는 각각 1개 혹은 다수개로 된 삼원색(Red, Green, Blue)의 LED가 위치된다.
이 때, 각 픽셀간 동일 색상의 LED 사이에는 휘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최근 소니(SONY), 휴렛 패커드(HP) 등은 이와 같은 각 픽셀간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정전류 구동기를 제품화하고 있다. 즉, 소니사는 CXA3281N 제품을 최근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제품은 16개의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어 모듈의 후면에 1모듈당 16개의 구동기가 부착된다. 따라서, 수백 내지 수천개의 모듈로 된 표시장치에서 픽셀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동기를 사용하자면 수천 내지 수만개가 필요하여 디지털 텔레비젼의 설치 및 운용에 따른 비용이 지극히 높아지고, 표시장치을 구성하는 모듈의 후면에 다수의 구동기를 부착하여야 하는 등으로 인하여 제조시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등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든 픽셀의 최대휘도의 편차가 소정 범위 이내로 되도록 표시장치을 구성하는 모듈 내 각 픽셀에 대한 최대휘도보정값을 저장한 단일의 휘도보정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휘도보정장치를 디지털 텔레비젼의 제어부에 제공함으로써 구성의 단순화와 제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텔레비젼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광도계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의 휘도보정부가 결합된 디지털 텔레비젼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휘도보정값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의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휘도보정값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의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의 휘도보정부가 결합된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른 실시예,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휘도보정값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의 다른 실시예,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휘도보정값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종래의 감마보정용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광도계 600 : 휘도보정장치
510 : 센서 610 : 롬
520 : 마이콤 620 : 플래쉬 메모리
530 : 플래쉬 메모리 PADD : 픽셀 어드레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 픽셀의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1 저장수단; 및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별로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에 대한 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2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에 대한 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2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 픽셀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1 저장수단; 및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승산하여 휘도보정값을 출력하는 승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값 - 상기 최대휘도보정값은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모듈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됨 - 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 픽셀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2 저장수단;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별로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에 대하여 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2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에 대한 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3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값 - 상기 최대휘도보정값은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모듈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됨 - 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2 저장수단; 및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승산하여 휘도보정값을 출력하는 승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텔레비젼의 영상제어장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수단;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는 감마보정수단; 상기 디지털신호의 데이터 및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최대휘도 편차를 소정 범위 내로 만드는 휘도보정수단; 및 상기 표시장치에 표출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영상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고한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광도계 블럭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휘도보정장치에 입력될 최대휘도보정값을 생성하기 위하여 각 픽셀의 휘도를 측정하고, 각 픽셀에 대한 휘도보정률 및 휘도보정단계를 제공한다.
각 픽셀의 휘도보정률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립된 모듈(410)에 대하여 상기 광도계(500)를 이용하여 모듈(410)내 각 픽셀(411)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모듈(41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광도계를 접근시켜 광도계의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모듈내 동일 색상의 LED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온오프를 반복하면, 광도계(500)내 센서(510)를 통해 각 픽셀(411)내 동일 색상의 LED에 대한 휘도가 측정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타 색상의 LED에 대해서도 휘도 측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각 픽셀에 대한 휘도의 측정이 설치될 표시장치의 전 모듈에 대하여 수행되고 나면, 전체 픽셀 중 휘도가 가장 낮은 픽셀이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최저 휘도 픽셀의 휘도를 기준 광도 Cs로 정하고, 나머지 픽셀들의 측정 광도를 So라 하면, 최대휘도보정률 Cr(Cg, Cb)는 다음 식과 같다.
위의 수학식1을 이용하여 상기 광도계(500)내 마이콤(520)에서는 각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률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최대휘도보정률을 다음 식에 따라 0부터 1023단계까지 전체 1024단계로 구분한다.
최대휘도보정단계 = 최대휘도보정률 * 1024 - 1
즉, 최대휘도보정률이 1.000이면, 기준광도의 최고단계인 1023단계, 0.800이면, 818단계 등으로 계산되며(선형비례의 경우), 이들은 각 모듈별로 구분되어 플래쉬 메모리(530)에 저장된다. 이 때, 최대휘도보정률에 따라 최대휘도보정단계는 소수점이하의 값이 산출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반올림, 올림 혹은 내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플래쉬 메모리(530)에 픽셀별 최대휘도보정률 및 최대휘도보정단계가 저장되면, 이에 따라 최대휘도보정률 테이블 및 최대휘도보정단계 테이블을 작성하게 된다. 이하, 상기 최대휘도보정률 및 최대휘도보정단계를 통칭하여 최대휘도보정값이라 한다.
픽셀의 어드레스에 따라 저장된 상기 최대휘도보정값은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장치에 직접 저장될 수도 있고, 혹은 각 모듈의 후면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부착된 PROM과 같은 저장수단에 모듈별로 저장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의 휘도보정부가 결합된 디지털 텔레비젼의 일실시예로서, 이는 광도계내 저장되어 있는 픽셀별 휘도보정값을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600)에 직접 저장시킨 경우이다.
여기서, 도 3의 디지털 텔레비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상기 휘도보정부(6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의 구성과 일치하므로 그들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더 이상 언급하지 않기로 하며, 상기 저장된 최대휘도보정값의 이용은 다시 다양한 실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휘도보정값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600)의 일실시예이다.
플래쉬 메모리(620)에는 표시장치을 구성하는 전체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이 픽셀의 어드레스별로 구분되어 테이블화 되어 저장되어 있고, 롬1(610-1)에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휘도보정단계 대비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별 휘도보정값이 저장되어 있다.
보정단계(보정률)\입력신호 0 1 1022 1023
1023(1.000) 0 1 1022 1023
1022(0.999) 0 1 1021 1022
1 (0.001) 0 0 1 1
0 (0.000) 0 0 0 0
이 때, 롬1(610-1),2(610-2),3(610-3)에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 Rs, Gs, Bs가 각각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픽셀의 어드레스(PADD)가 플래쉬 메모리(620)에 입력되면 상기 플래쉬 메모리(620)에서는 상기 플래쉬 메모리(620)에 저장된 최대휘도보정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이 독출되며, 상기 롬1(610-1),2(610-2),3(610-3)에 직접 입력된 디지털입력신호 Rs, Gs, Bs와 독출된 상기 최대휘도보정값에 의해 상기 롬1(610-1),2(610-2),3(6103)에 저장된 상기 표 1로부터 하나의 휘도보정값이 선택되어 디지털출력신호 Ro, Go, Bo로 출력된다.
이후에는 다시 제2 픽셀에 대한 디지털입력신호 Rs, Gs, Bs가 롬1(610-1),2(610-2),3(610-3)에 각각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픽셀의 어드레스(PADD)가 플래쉬 메모리(620)에 입력되면서 상기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휘도보정값를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의 일실시예로서, 도 4의 롬 대신 승산기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우선, 플래쉬 메모리(620)에는 표시장치을 구성하는 전체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이 픽셀의 어드레스별로 구분되어 테이블화 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 때, 승산기1(640-1),2(640-2),3(640-3)에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 Rs, Gs, Bs가 각각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픽셀의 어드레스(PADD)가 플래쉬 메모리(620)에 입력되면상기 플래쉬 메모리(620)에서는 상기 플래쉬 메모리(620)에 저장된 최대휘도보정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이 독출되며, 상기 승산기1(640-1),2(640-2),3(640-3)에 직접 입력된 디지털입력신호 Rs, Gs, Bs와 승산되어 디지털출력신호 Ro, Go, Bo로 출력된다.
이후에는 다시 제2 픽셀에 대한 디지털입력신호 Rs, Gs, Bs가 승산기1(640-1),2(640-2),3(640-3)에 각각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픽셀의 어드레스(PADD)가 플래쉬 메모리(620)에 입력되면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의 휘도보정부(600)가 결합된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광도계내 저장되어 있던 픽셀별 휘도보정값을 각 모듈내 저장수단에 저장시킨 경우이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된 최대휘도보정값의 이용은 다시 다양한 실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휘도보정값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600)의 다른 실시예이다.
대부분의 구성과 작용이 도 4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고, 차이점은 도 6과 같은 디지털 텔레비젼의 구성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전에 모듈별 최대휘도보정값을 표시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모듈(410, ...)의 후면에 부착된 하나의 저장수단에 저장한다는 점이다. 즉, 도 6과 같이 디지털 텔레비젼의 구성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표시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모듈내에 저장된 픽셀별 최대휘도보정값을 PC(700)로 읽어들여, 플래쉬 메모리(62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PC(630)와 연결된 모뎀, 인터넷전용선 등의 유선통신선로 및 무선통신선로를 통해 원격접속되어 원거리에서 디지털 텔레비젼을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을 구성하는 각 모듈들의 품명, 모델명, 제조번호, 수리 및 교체시기, 이상유무, 램프의 단선유무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한편, 롬1(610-1), 2(610-2), 3(610-3)을 프로그래머블 롬(PROM)을 사용하여 상기 표 1의 데이터값을 원격으로 수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휘도보정값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휘도보정부(6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의 구성과의 차이는 롬 대신 승산기를 사용한다는 것이며, 이는 도 5의 구성 및 작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은 디지털 텔레비젼의 구성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전에 모듈별 최대휘도보정값을 표시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모듈(410, ...)의 후면에 부착된 하나의 저장수단에 저장한다는 점이다. 즉, 도 6과 같이 디지털 텔레비젼의 구성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표시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모듈내에 저장된 픽셀별 최대휘도보정값을 PC(700)로 읽어들여, 플래쉬 메모리(620)에 저장한다. 이후의 동작은 도 5의 구성에 따른 동작과 일치한다.
여기서, 도 4 및 도 7의 롬(610-1, 610-2, 610-3)에 저장되는 표 1의 데이터는 휘도보정단계와 디지털입력신호 사이에 선형비례 혹은 비선형비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즉, 선형비례이면 상기 휘도보정단계와 상기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를 단순히 승산하여 휘도보정값을 산출하는 것이며, 비선형비례이면 각 휘도보정단계와 상기 디지털입력신호의 증가에 따라 휘도보정값의 크기를 비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것으로서, 특별히 상기 비선형비례 방법을 사용하면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되는 감마보정부의 역할을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종래의 감마보정용 설명도로서,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에 그대로 표출하는 경우 아래 곡선과 같이 나타나므로, 위 곡선과 같은 감마보정을 수행하여야 중앙의 직선응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마보정을 하더라도 신호의 왜곡은 존재하는 바, 더욱 나은 영상을 표출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학식과 같은 비선형 비례 방법을 사용한다.
이 때, R은 휘도보정값, R'은 디지털입력신호, x는 2.0-2.5 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표시장치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최대휘도 편차를 소정 범위내로 할 수 있고, 다수의 구동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 저가로 구현이 가능하며, 감마보정부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고, 휘도보정값을 원격으로 수정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 픽셀의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1 저장수단; 및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별로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에 대한 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2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에 대한 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2 저장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블의 휘도보정값은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와 선형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블의 휘도보정값은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와 비선형비례 - 상기 비선형비례는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함.
    이 때, R은 휘도보정값, R'은 디지털입력신호, x는 2.0-2.5 임. -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4.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 픽셀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1 저장수단; 및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승산하여 휘도보정값을 출력하는 승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5.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값 - 상기 최대휘도보정값은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모듈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됨 - 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 픽셀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2 저장수단;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별로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에 대하여 휘도보정값을 포함하는 제2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에 대한 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3 저장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블의 휘도보정값은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와 선형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블의 휘도보정값은
    각각의 휘도보정단계와 비선형비례 - 상기 비선형비례는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함.
    이 때, R은 휘도보정값, R'은 디지털입력신호, x는 2.0-2.5 임. -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8.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휘도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최대휘도보정값 - 상기 최대휘도보정값은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모듈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됨 - 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을 저장하여, 현재 입력되는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2 저장수단; 및
    현재 입력되는 상기 제1 픽셀의 디지털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기 제1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픽셀의 최대휘도보정값을 승산하여 휘도보정값을 출력하는 승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을 저장하는 수단은 플래쉬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10. 제1,2,3,5,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블을 저장하는 수단은 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11.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수단;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는 감마보정수단;
    상기 디지털신호의 데이터 및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최대휘도 편차를 소정 범위 내로 만드는 휘도보정수단; 및
    상기 표시장치에 표출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영상메모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영상제어장치
KR10-2001-0025747A 2001-05-11 2001-05-11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및 그를포함한 영상제어장치 KR10037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747A KR100372999B1 (ko) 2001-05-11 2001-05-11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및 그를포함한 영상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747A KR100372999B1 (ko) 2001-05-11 2001-05-11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및 그를포함한 영상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058A KR20020086058A (ko) 2002-11-18
KR100372999B1 true KR100372999B1 (ko) 2003-02-25

Family

ID=2770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747A KR100372999B1 (ko) 2001-05-11 2001-05-11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및 그를포함한 영상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559A (en) * 1994-07-18 1998-02-2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9990065046A (ko) * 1998-01-06 1999-08-05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편차 보정 장치
KR19990065045A (ko) * 1998-01-06 1999-08-05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편차 보정 장치
KR20000043317A (ko)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영상회의 시스템의 휘도 자동 조절 방법
KR20010085747A (ko) * 1998-09-01 2001-09-07 추후보충 휘도 신호 진폭 제어용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559A (en) * 1994-07-18 1998-02-2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9990065046A (ko) * 1998-01-06 1999-08-05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편차 보정 장치
KR19990065045A (ko) * 1998-01-06 1999-08-05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편차 보정 장치
KR20010085747A (ko) * 1998-09-01 2001-09-07 추후보충 휘도 신호 진폭 제어용 회로
KR20000043317A (ko)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영상회의 시스템의 휘도 자동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058A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934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lor uniformity
CN111968570B (zh) 显示补偿信息的获取方法、显示补偿方法及装置
CN103514831B (zh) 显示器、图像处理单元和显示方法
KR101374648B1 (ko) 온 시스템 led 개별 보정과 보정계수 이미지화로 검증과 보정이 용이한 전광판 시스템
TWI459820B (zh) 色彩及幾何失真校正系統及方法
CN104299565A (zh) Led显示装置的低灰阶校正方法及系统
CN111326099B (zh) 显示校正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以及显示系统
CN111862880B (zh) 多颜色伽玛校正表获取方法和显示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0660352B (zh) 一种led显示屏逐点校正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01443834B (zh) 色温度补正装置及显示装置
KR100975025B1 (ko) 전광판의 고화질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처리시스템
KR101893949B1 (ko) Led 전광판의 운영컴퓨터 기반의 led 개별보정 방법
CN110113591A (zh) 白平衡调整系统
CN110544457B (zh) 反Gamma动态映射算法
CN113191988A (zh) 亮度矫正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US696766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7477294B2 (en) Method for evaluating and correcting the image data of a camera system
US7006104B2 (en) Image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CN103117037B (zh) 一种全彩视频显示矫正处理方法
CN112071257B (zh) 一种led屏校正方法、装置、存储介质及led屏
CN114613315A (zh) 一种伽马曲线学习方法及led显示控制器
KR100372999B1 (ko)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의 픽셀의 휘도보정장치 및 그를포함한 영상제어장치
US20090021523A1 (en) Display Apparatus
CN113870768B (zh) 显示补偿方法和装置
CN114566118B (zh) 显示偏色校正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