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005B1 - 치석제거기 - Google Patents

치석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005B1
KR100372005B1 KR10-2002-0004474A KR20020004474A KR100372005B1 KR 100372005 B1 KR100372005 B1 KR 100372005B1 KR 20020004474 A KR20020004474 A KR 20020004474A KR 100372005 B1 KR100372005 B1 KR 10037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ody portion
inclination angle
tarta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546A (ko
Inventor
백 웨인
Original Assignee
백 웨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 웨인 filed Critical 백 웨인
Priority to KR10-2002-000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0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에 치간 크리닝을 위해 형성된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인체공학적인 임의의 경사각으로 형성한 치석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몸통부의 임의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치간 크리닝을 위해 경사지게 구부러진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치석제거기에 있어서,상기 블레이드의 구부러진 경사각을 몸통부로부터 20°이내의 경사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앞부분 절단면인 정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좁아지는 역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며,상기 몸통부와 블레이드 사이는 블레이드 끝단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곡선의 충격흡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구강 안쪽의 치아에 끼인 이물질 및 치석을 정확하게 제거하여 잇몸 맛사지와 청결요법 진행시 적절한 힘을 분배하여 효과적인 구강관리를 할 수 있을뿐아니라, 구강내의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품에 사용시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곡선의 충격흡수부를 형성하며, 이로인해 환경호로몬이 발생하지 않고 재활용 재질로 제조되어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번 반복적으로 사용가능하여 제품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석제거기 { Gum Doctor }
본 발명은 치석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간 크리닝을 위해 치석제거기에 형성된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20°경사각으로 형성하여 구강 전체의 치아에 끼인 이물질 및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치석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쑤시개 및 치석제거기는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다. 크게 나누면, 일회용, 다기능형, 향물질도포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재질이나 재료도 목재, 합성수재, 수용성 전분과 같은 녹말을 압축성형으로 고형화시킨 식용성 녹말재료, 위생처리된 금속재 등으로 광범위하다.
상기 이쑤시개 및 치석제거기는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양끝단이 뾰족하게 돌출형성되고, 몸통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쑤시개 및 치석제거기를 사용할 경우 뾰족한 부분에 의해 치아의 잇몸이 손상되고, 또한 자주 여러번 많이 사용할 경우 치은(잇몸이 허는 병)이 발생되어 치아사이를 더 벌려 놓게 되고, 이 벌어진 틈새로 각종 세균이 침투하여 잇몸이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강의 안쪽에 위치한 어금니에 끼인 이물질이나 치아의 치석등을 제거하기 위해 일자형으로 형성된 이쑤시개 및 치석제거기를 입안으로 넣을 경우 입을 더 크게 벌려야 하고, 치아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쉽고 정확하게 제거할 수 없어 자칫 잇몸을 다칠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4627 호에 선출원된바 있다.상기 선행 기술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된 손잡이(1)의 한끝단에 형성된 요철부(3)에 일정한 각도를 두고 제 1 경사부(4)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이쑤시개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4)의 끝단에 절곡이 자유롭게 첨단이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 2 경사부(4)를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탄성재질의 상기 요철부(3)와 일체로 형성된 제 1 경사부(4)를 이용하여 이빨의 위치에 따라 사용하되, 필요에 따라 제 1 경사부(4)의 각도를 극격히 변형시켜고, 이 상태에서 제 1 경사부(4)의 끝단에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 2 경사부(5)로 어금니 상부안쪽이나 안쪽이빨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여러번 요철부를 움직일 경우 탄성에 따른 변형이 증가로 인해 제 1 경사부(4)의 변형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면,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 2 경사부(5)를 사용할 경우 음식물이 끼인 정확한 위치의 어금니를 찾지 못해 잇몸에 상처를 입힐 수 있으며, 또한, 제 2 경사부(5)가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러번 사용에 따른 제 2 경사부(5)가 제 1 경사부(4)에서 분리이탈되어 이빨사이에 끼일 경우 치아와 치아사이를 더욱 벌어지게 하여 이 틈으로 각종세균이 침투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에 따른 제 1 경사부(4)의 충격을 제 2 경사부(5)에서 흡수 할 수 없으므로, 상기 요철부(3)에 그대로 절단되어 요철부(3)와 제 2 경사부(5)가 분리되거나 파손 및 변형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간 크리닝을 위해 형성된 치석제거기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인체공학적으로 20°경사각으로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앞부분(정면)이 인체공학적인 역삼각형 구조로 디자인 되도록하여 이를 통해 구강 외부와 안쪽의 치아에 끼인 이물질 및 치석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치석제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석제거기 블레이드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곡선의 충격흡수부를 형성하고, 부러지지 않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어 정기적으로 사용시 지속적 잇몸마사지와 치석제거의 효과로 인해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시킬 뿐 아니라, 하나의 제품를 반복적으로 사용가능하고, 이로인해 일회성 사용에 따른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치석제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치석제거기는,몸통부의 임의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치간 크리닝을 위해 경사지게 구부러진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치석제거기에 있어서,상기 블레이드의 구부러진 경사각을 몸통부로부터 20°이내의 경사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앞부분 절단면인 정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좁아지는 역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며,상기 몸통부와 블레이드 사이는 블레이드 끝단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곡선의 충격흡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쑤시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제거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제거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치석제거기 본체 20 : 몸통부
30 : 손잡이부 31 : 오목홈
32 : 미끄럼 방지돌기 40 : 블레이드
50 : 충격흡수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석제거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제거기를 나타낸 측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제거기를 나타낸 평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석제거기 본체(10)는 몸통부(20)와, 손잡이부(30)와, 블레이드(40)와, 곡선의 충격흡수부(50)와, 오목홈(31)과, 미끄럼 방지돌기(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몸통부(20)의 임의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40)는 안전하고 적절한 치간 크리닝을 위해 끝의 앞부분(정면)이 역삼각형의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끝단이 경사지게 구부러져 상기 몸통부(2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40)는 앞부분의 절단면을 정면으로 보면 인체공학적인 역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각도는 치간사이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인해 사용이 용이함과 동시에 블레이드(40)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블레이드(40)와 몸통부(20)는 충격흡수부(50)를 기준으로 그 경사각은 20°경사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50)는 사용중 블레이드(40) 끝단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로인한 블레이드(4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통부(20)와 블레이드(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50)는 충격흡수가 용이하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오목홈(31)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30)의 양쪽 측벽면에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32)는 손으로 손잡이부(30)를 잡고 있을 때 오목홈(31)에서 미끄러져 놓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오목홈(31)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치석제거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치석제거기를 사용할 경우 손잡이부(30)를 잡고 20°경사각(θ)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진 블레이드(40)를 입안쪽의 치아와 치아사이에 삽입하고, 블레이드(40)의 앞부분이 역삼각형 형상의 평평한 윗면이 잇몸에 닿게된 상태에서 치아 사이의 치석과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 앞뒤로 움직이는 동작을 몇 차례 반복함으로써, 치석이 제거됨과 동시에 잇몸을 효과적으로 자극한다.
이때, 상기 치석제거기 본체(10)의 몸통부(20)와 블레이드(40) 사이에 사용에 따라 블레이드(40) 끝단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4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곡선의 충격흡수부(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충격흡수부(50)로 블레이드(40)의 흔들리는 충격을 흡수하여 블레이드(4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여 치석제거기 본체(10)를 여러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0)의 임의의 경사각은 20°경사각(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0°경사각(θ)은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제작 되어 치아사이의 플러그 즉 치면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특히, 치아 간격이 넣은 구강 안쪽내에서 사용이 용이하며, 잇몸 맛사지와 청결요법 진행시 적절한 힘을 분배하여 효과적인 구강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0)에 곡면의 오목홈(31)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31)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32)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에서 놓치지 않고 잡을 수 있고, 이로인해 입안내의 치아에 붙어있는 이물질이나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0°경사각(θ)은 인체공학적으로 가장 사용하기 편한 각도이고, 곡선의 충격흡수부(50)에 의해 기존 구강보조용품과 차별화를 주었고, 특히 구강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아간격이 넓은 구강내부에 사용할 경우 꺾이는 부분에 의한 치석제거와 맛사지 효과를 배가시킨다.또한, 상기 블레이드(40)의 앞부분 절단면 정면이 치간사이각도와 동일한 인체공학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의 각도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 구강보조용품과 같은 원통형 구조가 끼치는 잇몸손상을 예방하고 사용에 적합하다.또한,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하여 정기적으로 사용하면 잇몸건강에 더욱 효과가 있을뿐아니라,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치석제거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석제거기에 의하면,
치간 크리닝을 위한 치석제거기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인체공학적인 20°경사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강 안쪽의 치아에 끼인 이물질 및 치석을 정확하게 제거하여 잇몸 맛사지와 청결요법 진행시 적절한 힘을 분배하여 효과적인 구강관리를 할 수 있을뿐아니라, 블레이드의 앞부분 절단면 정면이 인체공학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강내의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뿐아니라, 사용에 안정하고 적합하며, 또한, 제품에 사용에 따른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곡선의 충격흡수부를 형성하고, 부러지지 않도록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할 수 있꼬, 환경호르몬이 발생되지 않는 재활용 재질로 제조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번 반복적으로 사용가능하여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몸통부의 임의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치간 크리닝을 위해 경사지게 구부러진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치석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구부러진 경사각을 몸통부로부터 20°이내의 경사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앞부분 절단면인 정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좁아지는 역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몸통부와 블레이드 사이는 블레이드 끝단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곡선의 충격흡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제거기.
  2. 삭제
KR10-2002-0004474A 2002-01-25 2002-01-25 치석제거기 KR100372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474A KR100372005B1 (ko) 2002-01-25 2002-01-25 치석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474A KR100372005B1 (ko) 2002-01-25 2002-01-25 치석제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633U Division KR200278333Y1 (ko) 2002-01-28 2002-01-28 치석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46A KR20020061546A (ko) 2002-07-24
KR100372005B1 true KR100372005B1 (ko) 2003-02-14

Family

ID=3748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474A KR100372005B1 (ko) 2002-01-25 2002-01-25 치석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0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46A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563045A (en) Oral hygiene implement
KR200479129Y1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KR200458375Y1 (ko) 치실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KR200478791Y1 (ko) 기역자형 칫솔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KR100372005B1 (ko) 치석제거기
KR200278333Y1 (ko) 치석제거기
US5682912A (en) Oral hygiene and lingual stimulation device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KR102616822B1 (ko) 펜 그립형 칫솔
KR200310383Y1 (ko) 파지가 용이한 칫솔
EP4027938B1 (en) Veterinary medical device
CA2615826C (en) Wallet size oral hygiene product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KR200233785Y1 (ko) 브러시가 구비된 이쑤시개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KR200424441Y1 (ko) 45도각도 치솔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213054Y1 (ko) 칫솔 머리
KR200289220Y1 (ko) 혀크리너
KR200433153Y1 (ko)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CN201253271Y (zh) 一种多功能牙签
KR200279182Y1 (ko) 음식물 찌꺼기를 쉽게 제거 할 수 있는 프라스틱이쑤시게
KR200268162Y1 (ko) 손잡이가 없는 기능성 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