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376B1 -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376B1
KR100370376B1 KR10-2001-0034223A KR20010034223A KR100370376B1 KR 100370376 B1 KR100370376 B1 KR 100370376B1 KR 20010034223 A KR20010034223 A KR 20010034223A KR 100370376 B1 KR100370376 B1 KR 10037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image sensor
receiving unit
imag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783A (ko
Inventor
남기준
권혁제
심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KR10-2001-003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376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7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the shape or measuring the curvature of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안의 위치가 변동하여도 곡률 측정값이 일정하고, 측정값의 재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측정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지 센서와 조리개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각막 곡률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막 곡률 측정장치는 측정용 광을 출사하여, 안구의 각막 표면에 상을 형성하는 광원; 상기 각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집속하는 측정용 렌즈; 상기 측정용 렌즈에서 집속된 상을 입력받기 위한 수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광부를 통하여 입사된 광학적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를 폐쇄한 경우 상기 수광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corneal curvature having iris integrated with image sensor}
본 발명은 검안용 각막 곡률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안의 위치가 변동하여도 곡률 측정값이 일정하고, 측정값의 재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측정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지 센서와 조리개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각막 곡률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막 곡률 측정장치는 피검안의 각막에 맺힌 상의 크기를 분석하여 각막 곡률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이와 같은 각막 곡률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및 측정 원리가 도 1, 도 2a 및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각막 곡률 측정장치는 측정용 상(Pattern)을 발생시켜 피검안(10)의 각막(12)으로 투사하는 마이어 링(14, Mire Ring), 각막(12)에서 반사된 마이어 링(14)의 상을 집속하여 결상하는 측정용 렌즈(16), 측정용 렌즈(16)에 의해서 결상된 광학적 상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이미지 센서(22), 측정용 렌즈(16)와 이미지 센서(22) 사이에 개입되어 광학 신호를 제한하는 기능을 하는 조리개(18), 및 상기 조리개(18)를 구동하는 모터(20)로 구성된다. 도 1에서, 연산장치(24)는 이미지 센서(2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피검안(10)의 각막(12)에 투사된 상 및 각막 곡률값을 모니터(26)에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각막 곡률 측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마이어 링(14)으로부터 소정 형상의 측정용 상, 바람직하게는 원환형 상이 피검안(10)의 각막(12)에 투사되고, 각막(12)에 반사된 마이어 링(14)의 상은 측정용 렌즈(16)에 의해서 집속되어 이미지 센서(22)의 결상면(focal plane)에 결상되고, 이미지 센서(22)에 결상된 상은 전기적 신호로 바뀐 후, 연산장치(24)를 통해서 모니터(26)에 나타난다. 이때 측정자는 모니터(26)에 나타나는 피검안(10)과 마이어 링(14)의 영상을 보면서, 피검자의 각막(12)에 맺힌 마이어 링(14)의 상이 가장 선명하다고 판단되는 순간, 즉, 측정용 렌즈(16)가 피검자의 각막(12)에 투사된 마이어 링(14)의 상을 가장 잘 포커싱(focusing)한 순간, 측정 단추를 눌러 각막 곡률 측정을 시행한다. 각막 곡률 측정이 시행되면, 연산장치(24)는 모터(20)를 작동시켜 측정용 렌즈(16)와 이미지 센서(22) 사이에 조리개(18)를 개입시켜(도 1의 A방향), 주광선 이외의 빛을 차단한 후, 이미지 센서(22)에 형성된 마이어 링(14)의 상의 크기를 이용하여 피검안(10)의 각막 곡률값을 연산한 다음, 이를 모니터(26)에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방식의 각막 곡률 측정에 있어서, 각막 곡률 측정장치와 안구(10)의 거리가 설계된 측정용 렌즈(16) 초점거리와 정확하게 일치하면, 조리개(18)를 사용하지 않아도 각막(12)에서 반사된 상을 이미지 센서(22)에 정확히 결상하고, 정확한 곡률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측정에 있어서는 피검안(10)의 위치가 항상 조금씩은 움직여서, 피검안(10)과 각막 곡률 측정장치의 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측정 시 포커싱 에러(focusing error)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각막(12)에서 반사된 빛 중에서 주광선 이외의 주변광을 차단하는 조리개(18)를 상기 측정용 렌즈(16)와 이미지센서(22) 사이에 위치시키면, 이와 같은 포커싱 에러(focusing error)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a 및 2b는 피검안(10)이 초점거리 보다 먼 곳에 위치한 경우(out-focus) 및 피검안(10)이 초점거리 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우(in-focus)의 조리개(18)의 기능을 각각 나타낸 광학 회로도로서, 피검안(10)이 측정용 렌즈(16)의 정확한 초점거리에 있으면 이미지 센서(22)에 형성된 상은 FP로 표시된 부분에 형성된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안(10)이 초점거리 보다 먼 곳에 위치하면(30) 이미지 센서(22)에 형성된 마이어 링 상은 TA로 표시된 부분에 넓게 형성되어 측정결과에 많은 오차가 발생한다. 이때, 조리개(18)를 측정용 렌즈(16)와 이미지센서(22) 사이에 위치시켜 주광선 만을 통과시키면, 주광선 이외의 빛(예를 들어, 도 2a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빛)은 차단되어 TB로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이미지 센서(22)에 입사되지 않으므로, 측정 시 오차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안(10)이 초점거리 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도(40) 이미지 센서(22)에 형성된 마이어 링 상은 TA로 표시된 부분에 넓게 형성되어 측정결과에 많은 오차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이때 조리개(18)를 측정용 렌즈(16) 와 이미지센서(22) 사이에 위치시켜 주광선 만을 통과시키면, 주광선 이외의 빛(예를 들어, 도 2a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빛)은 차단되어, TB로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이미지 센서(22)에 입사되지 않으므로, 측정 시 오차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막 곡률 측정 시 발생하는 포커싱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리개의 구조를 도 3a 및 3b에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센서(22)는 측정용 렌즈(16)에서 집속된 상을 입력받기 위한 수광부(30)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패널(32)을 포함하며, 광학계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조립된다. 상기 전면 패널(32)의 전방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홀(34)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주변광 차단 패널(36) 및 상기 주변광 차단 패널(36)의 일단부와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주변광 차단 패널(36)이 상기 수광부(30)의 전면에 평행하게 위치하거나, 상기 수광부(30)의 전면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회전시키는 지지판(38)이로 이루어진 조리개(18), 및 상기 조리개(18)의 지지판(38)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20)가 제공된다. 측정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18)의 주변광 차단 패널(36)이 상기 수광부(30)의 전면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수광부(30)에 입사된 피검안(10)과 마이어 링(14)의 영상을 모니터(26)를 통하여 관측하면서, 피검자의 각막(12)에 맺힌 상이 가장 선명하다고 판단되면, 모터(20)를 작동시켜, 상기 조리개(18)의 지지판(38)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광 차단 패널(36)이 상기 수광부(30)의 전면에 평행하게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주변광 차단 패널(36) 상기 수광부(30)의 전면에 평행하게 위치하면, 측정용 렌즈(16)로부터 출사되는 주광선 만이 주변광 차단 패널(36)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34)을 통하여 수광부(30)로 입사하고, 주변광은 패널(36)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서 안구(10)가 초점거리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경우에도 일정한 크기의 상이 이미지 센서(22)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미지 센서(22) 및 조리개(18) 구조는 이미지 센서(22) 및 조리개(18)를 별도로 조립하기 때문에 조리개(18)의 관통홀(34)이 측정용 렌즈(16)의 중심축 및 수광부(30)의 중심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조립하는 것이 곤란하며, 작업자의 숙련도 및 컨디션에 따라 조리개(18)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조리개(18) 및 이미지 센서(22)의 조립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개(18)를 구동하는 모터(20)가 필연적으로 어느 정도의 구동 오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조리개(18)의 관통홀(34)이 측정용 렌즈(16)의 중심축 및 수광부(30)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아, 이미지 센서(22)에 결상되는 상이 심하게 왜곡되거나, 곡률 측정치의 오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안의 위치가 변동하여도 일정한 곡률 측정값을 얻을 수 있고, 측정값의 재현성이 높은 각막 곡률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각막 곡률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개가 보다 정확하게 동작하며, 조리개의 관통홀이 측정용 렌즈의 중심축 및 이미지 센서의 수광부의 중심과 신뢰성 있게 일치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각막 곡률 측정장치의 광학 회로도.
도 2a 및 2b는 통상적인 각막 곡률 측정장치에 있어서, 피검안이 측정용 렌즈의 초점거리 보다 먼 곳에 위치한 경우 및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우의 조리개의 기능을 각각 나타낸 광학 회로도.
도 3a 및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각막 곡률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조리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곡률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의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곡률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의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정용 광을 출사하여, 안구의 각막 표면에 상을 형성하는 광원; 상기 각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집속하는 측정용 렌즈; 상기 측정용 렌즈에서 집속된 상을 입력받기 위한 수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광부를 통하여 입사된 광학적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를 폐쇄한 경우 상기 수광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로 이루어진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패널은 상기 수광부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1 패널과 제2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광부의 좌측 및 우측 외부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광부를 개방하고, 각각 수광부의 수직 중심선까지 이동하여 수광부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이 상기 수광부의 수직 중심선까지 이동하여 수광부를 폐쇄한 경우에 수광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수광부 방향 모서리 중앙에 반원형 형상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곡률 측정장치는, 통상적인 각막 곡률 측정장치와 동일하게, 측정용 광을 출사하여 안구의 각막 표면에 상을 형성하는 광원, 바람직하게는 원환형 상을 발생시켜 피검안의 각막으로 투사하는 마이어 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곡률 측정장치는 각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집속하는 측정용 렌즈와 측정용 렌즈에서 집속된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일체로 형성된 조리개를 포함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곡률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의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곡률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50)는 측정용 렌즈에서 집속된 상을 입력받기 위한 수광부(5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54)를 포함하며, 상기 수광부(52)를 통하여 입사된 광학적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조리개(60)는 바람직하게는 패널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이미지 센서(50)의 수광부(52)를 개폐하도록 몸체부(5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광부(52)를 폐쇄한 경우 상기 수광부(52)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관통홀(6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리개(60)가 이미지 센서(50)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서, 조리개(60)가 수광부(52)를 신뢰성 있게 개방/폐쇄할 수 있으며, 조리개(60)의 관통홀(62)과 수광부(52)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리개(60)를 이미지 센서(50)의 몸체부(5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은 기구적으로 특정 개방부를 개폐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개(60)를 사각형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리개(60)의 상, 하부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슬라이딩 가이드(56, 56‘)를 상기 이미지 센서(50)의 몸체부(54)에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6, 56’)의 일 측단에는 상기 조리개(6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8, stopper)를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조리개(60)를 좌우이동하는 수단 역시 다양한 구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패널 형상의 조리개(60) 내부에 조리개(60)의 좌, 우 이동 거리보다 길이가 긴 사각형 홈(64)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형 홈(64)의 긴 변 중 하나에 톱니 형상의 레일(66)을 형성한 다음, 상기 톱니 형상의 레일(66)에 상응하는 치(이빨)를 가지는 구동축(70)을 상기 레일(66)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한 후, 상기 구동축(70)에 연결된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축(70)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축(70)의 회전 운동은 톱니 형상의 레일(66)에 의하여 조리개(6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조리개(60)를 좌, 우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축(70)은 상기 이미지 센서(50)의 몸체부(54)에 모터를 내장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미지 센서(5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조리개(60)를 몸체부(54)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좌, 우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검안의 각막 곡률 측정 시, 각막에 맺힌 상의 초점을 맞출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50)의 수광부(52)가 개방되도록 구동축(7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리개(60)를 도 4a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미지 센서(50)의 수광부(52)를 통하여 입사되는 상이 가장 선명하도록 상의 초점을 맞춘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7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리개(60)를 도 4b의 좌측으로 이동시켜, 피검안의 각막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서 주광선 만이 조리개(60)의 관통홀(62)을 통하여 수광부(52)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서, 피검안의 위치가 변동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각막 곡률값을 얻을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곡률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이미지 센서(50)는 도 4a 및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광부(52) 및 몸체부(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조리개는 상기 수광부(52)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1 패널(80)와 제2 패널(9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패널(80, 90)은 좌, 우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54)에 결합되어 있으며, 수광부(52)의 좌측 및 우측 외부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수광부(52)를 개방하고, 각각 수광부(52)의 수직 중심선까지 이동하여 수광부(52)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널(80, 90)의 수광부(52) 방향 모서리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패널(80, 90)이 수광부(52)의 수직 중심선까지 이동하여 수광부(52)를 폐쇄한 경우에 수광부(52)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바람직하게는 반원형 형상의 홈(82, 9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리개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패널(80, 90)을 상기 이미지 센서(50)의 몸체부(5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를 사용하는 등의 특정 개방부를 개폐하는 다양한 기구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패널(80, 90)을 좌우 이동하는 수단 역시다양한 구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 및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80)의 상, 하부를 상기 수광부(52)를 가리지 않도록 연장하고, 연장부(84) 중 하나에 톱니 형상의 레일(86)을 형성한 다음, 상기 톱니 형상의 레일(86)에 상응하는 치(이빨)을 가지는 구동축(70)을 상기 레일(86)에 결합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패널(90)의 내부 일측에 사각형 홈(94)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형 홈(94)의 긴 변 중 하나에 톱니 형상의 레일(96)을 형성한 다음, 상기 톱니 형상의 레일(96)에 상기 구동축(70)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한 후, 상기 구동축(70)에 연결된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축(70)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축(70)의 회전 운동은 톱니 형상의 레일(86, 96)에 의하여 제1 및 제2 패널(80, 9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제1 및 제2 패널(80, 90)을 좌, 우 이동시켜 수광부(52)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구동축(70)은 상기 이미지 센서(50)의 몸체부(54)에 모터를 내장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미지 센서(5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패널(80, 90)을 몸체부(54)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 우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검안의 각막 곡률 측정 시 각막에 맺힌 상의 초점을 맞출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50)의 수광부(52)가 개방되도록 구동축(7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및 제2 패널(80, 90)이 수광부(52)의 좌, 우측 외부로 이동시키고, 이미지 센서(50)의 수광부(52)를 통하여 입사되는 각막에 맺힌 상이 선명하도록 상의 초점을 맞춘 다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7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및 제2 패널(80, 90)이 수광부(52)를 폐쇄하도록 이동시켜, 제1 및 제2 패널(80, 90)에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홈(82, 92)이 만나서 이루는 관통홀을 통하여 피검안의 각막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서 주광선 만이 수광부(52)의 중심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서, 피검안의 위치가 변동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각막 곡률값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개(60, 80 및 90)의 관통홀과 수광부(52) 사이의 거리는 이미지 센서(50)의 몸체부(54)와 조리개(60, 80 및 90)의 결합 거리를 조정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도 있으며, 몸체부(54)로부터 수광부(52)가 형성되는 깊이를 조정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막 곡률 측정장치는 피검안의 위치가 변동하여도 일정한 곡률 측정값을 얻을 수 있고, 측정값의 재현성이 높을 뿐 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막 곡률 측정장치는 조리개가 보다 정확하게 동작하며, 조리개의 관통홀이 측정용 렌즈의 중심축 및 이미지 센서의 수광부의 중심과 신뢰성 있게 일치한다.

Claims (7)

  1. 측정용 광을 출사하여, 안구의 각막 표면에 상을 형성하는 광원;
    상기 각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집속하는 측정용 렌즈;
    상기 측정용 렌즈에서 집속된 상을 입력받기 위한 수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광부를 통하여 입사된 광학적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를 폐쇄한 경우 상기 수광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로 이루어진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사각형의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몸체부에는 상기 조리개의 상, 하부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내부에는 톱니 형상의 레일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 형상의 레일에 상응하는 치를 가지며 상기 레일에 결합된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수광부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1 패널과 제2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광부의 좌측 및 우측 외부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광부를 개방하고, 각각 수광부의 수직 중심선까지 이동하여 수광부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이 상기 수광부의 수직 중심선까지 이동하여 수광부를 폐쇄한 경우에 수광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수광부 방향 모서리 중앙에 반원형 형상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의 상, 하부에는 상기 수광부를 가리지 않도록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 중 하나에 톱니 형상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 형상의 레일에 상응하는 치를 가지며 상기 레일에 결합된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의 내부 일측에는 톱니 형상의 레일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 형상의 레일에는 상기 구동축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KR10-2001-0034223A 2001-06-18 2001-06-18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KR10037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223A KR100370376B1 (ko) 2001-06-18 2001-06-18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223A KR100370376B1 (ko) 2001-06-18 2001-06-18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83A KR20020077783A (ko) 2002-10-14
KR100370376B1 true KR100370376B1 (ko) 2003-01-30

Family

ID=2770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223A KR100370376B1 (ko) 2001-06-18 2001-06-18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20B1 (ko) 2009-04-09 2011-02-15 민병주 검안기의 오토 포커싱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20B1 (ko) 2009-04-09 2011-02-15 민병주 검안기의 오토 포커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83A (ko) 200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79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fractive errors of an eye
US7001020B2 (en) Complete autorefractor system in an ultra-compact package
JP2021520979A (ja) 三次元口腔スキャナ
US7481535B2 (en) Complete autorefractor system in an ultra-compact package
US4991584A (en) Ophthalmic examin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examining glaucoma
US11638520B2 (en) Ophthalmic imaging system
JPS6223572B2 (ko)
US4950068A (en) Ophthalmic disease detection apparatus
KR100370376B1 (ko) 이미지 센서 일체형 조리개를 포함하는 각막 곡률 측정장치
WO2000032086A1 (fr) Instrument et procede de mesure de l'aberration d'un oeil humain
JP2000116602A (ja) 眼底カメラ
US5988814A (en) Patient-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ye refraction
US6699198B2 (en) Ocular-blood-flow meter
HUT71646A (en) Spatial refractometer
WO2018112913A1 (zh) 头戴式显示设备及其屈光度显示方法
US11284796B1 (en) Alignment detection of ophthalmic camera system
KR102174559B1 (ko) 듀얼 조리개를 구비한 슬릿-램프 현미경
JPH08317905A (ja) 眼底カメラ
EP2116179B1 (en) Optical apparatus for the examination of the eye, and method for eye examination with the optical apparatus
JP3466423B2 (ja) 眼科装置
JPH09294721A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2000070224A (ja) 検眼装置
US20240049962A1 (en) Ophthalmic apparatus and ophthalm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4216147A (ja) 眼科用レフラクトメータ
EP0437504A4 (en) Range detector for eye instrument having interrogating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