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991B1 - 셋탑박스에서단순구성의영상처리장치와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셋탑박스에서단순구성의영상처리장치와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991B1
KR100369991B1 KR1019950048792A KR19950048792A KR100369991B1 KR 100369991 B1 KR100369991 B1 KR 100369991B1 KR 1019950048792 A KR1019950048792 A KR 1019950048792A KR 19950048792 A KR19950048792 A KR 19950048792A KR 100369991 B1 KR100369991 B1 KR 10036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enu
mpeg decoder
full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7871A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4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991B1/ko
Publication of KR97005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EG(엠피이지:Moving Picture Expert Group) 압축되어 수신되는 영상을 디코딩하여 영상 표시기기로 공급하는 VOD(브이오디: Video On demand) 서비스 수신용 단말기인 셋-탑 박스(Set-Top Box)에서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영상 처리장치는 MPEG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영상을 저장하기위한 메모리와 그래픽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영상을 저장하기위한 메모리를 필요로 하며, 또한, MPEG 디코더에서 디코딩되어 출력된 영상과 그래픽 콘트롤러에서 출력된 그래픽 영상을 혼합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져 생산성이 하락하고,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요소가 감소된 영상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양질의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셋탑박스에서 단순구성의 영상 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이다.

Description

셋탑박스에서 단순구성의 영상 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MPEG(앰피이지:Moving Picture Expert Group) 압축되어 수신되는 영상을 디코딩하여 영상 표시기기로 공급하는 VOD(브이오디: Video On demand) 서비스 수신용 단말기인 셋-탑 박스(Set-Top Box)에서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요소가 감소된 영상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양질의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셋탑박스에서 단순구성의 영상 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OD 서비스용 셋-탑 박스의 구조는 셋-탑 박스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MPEG 압축되어 수신되는 영상을 디코딩하여 영상 표시기기에 제공하는 영상처리수단과,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수단과, VOD 서비스하는 메인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수단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영상 처리수단은 MPEG디코더, 그래픽 처리부, 혼합부, 메모리로 구성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된 셋-탑 박스에서의 메뉴화면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메뉴화면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번째 예는 VOD 서비스되는 영화등의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풀-스크린(Full-Screen) 메뉴이고, 두번째 예는 영화등의 VOD 서비스 중간에 화면상의 일부분에 나타나는 폽-업(Pop-Up) 메뉴이다.
일반적으로 풀-스크린 메뉴는 전체화면을 모두 차지하며 압축된 형태로 전송되고, 폽-업 메뉴는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되며 셋-탑 박스 내에 저장되거나 압축된 형태로 전송된다. 따라서, 전체화면을 차지하는 풀-스크린 메뉴가 표시될때에는 MPEG 디코더가 작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풀-스크린 메뉴를 MPEG 디코더를 이용해서 처리하고, 폽-업 메뉴를 MPEG디코더에 내장된 OSD 처리기를 이용해서 처리한다면 셋-탑 박스의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면 제 1 도는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된 셋-탑 박스에서 종래의 영상 처리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VOD 서비스되어 데이타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MPEG 압축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시키는 MPEG 디코더(1)와, 상기 MPEG 디코더(1)에서 디코딩된 영상을 저장하는 제 1 메모리(2)와, 데이타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에 메뉴화면, 커서 등 기타 그래픽 영상을 제공하기위한 그래픽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픽 처리부(3)와, 상기 그래픽 처리부(3)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4)와, 상기 MPEG 디코더(1)에서 출력된 영상과 그래픽 처리부(3)에서 출력된 영상을 혼합하는 혼합부(5)와, 상기 혼합부(5)에서 혼합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영상 표시기기에 화면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변환하는 영상 엔코더(Encoder)(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MPEG 디코더(1)에는 OSD(오에스디:On Screen Display) 처리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셋-탑 박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요구에 따라 VOD 서비스된 MPEG 압축 영상신호가 데이타 버스를 통해 MPEG 디코더(1)로 입력되면, 상기 MPEG 디코더(1)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MPEG 압축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여 혼합부(5)로 출력하고, 그래픽 처리부(3)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커서 및 메뉴화면 구성을 위한 영상신호를 혼합부(5)로 출력한다.
상기 설명에서 그래픽 처리부(3)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압축된 형태로 전송되어온 메뉴데이타를 메인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디코딩하여 상기 그래픽 처리부(3)에 Raw 데이타 형태로 출력하는 것이거나, 아니면 압축된 메뉴 데이타가 상기 그래픽 처리부(3)로 직접 입력되어 그래픽 처리부(3)에서 디코딩된다.
한편, 상기 혼합부(5)는 MPEG 디코더(1)와 그래픽 처리부(3)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들을 혼합하여 영상 엔코더(6)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엔코더(6)는 혼합부(5)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영상 표시기기에 화면 출력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영상 엔코더(6)는 영상 표시기기로 NTSC(앤티에스씨) 방송방식의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사용하면, 혼합부(5)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 방식에 알맞게 변화시키고, 영상 표시기기로 PAL(팔) 방송방식의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사용하면, 혼합부(5)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PAL 방식에 알맞게 변화시켜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그, 상기 동작설명에서 제외된 제 1 메모리(2)는 MPEG 디코더(1)에서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고, 제 2 메모리(4)는 그래픽 처리부(3)에서 출력된 그래픽 영상을 일시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설명과 같은 종래의 영상 처리장치는 MPEG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영상을 저장하기위한 메모리와 그래픽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영상을 저장하기위한 메모리를 필요로하며, 또한, MPEG 디코더에서 디코딩되어 출력된 영상과 그래픽 콘트롤러에서 출력된 그래픽 영상을 혼합하기위한 별도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져 생산성이 하락하고,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요소가 감소된 영상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양질의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셋탑박스에서 단순구성의 영상 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면 제 2 도는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제어키이 입력에 따라 데이타 버스를 통해 VOD 서비스되는 영화 또는 셋-탑 박스의 기능선택을위한 풀-스크린 메뉴화면에 대한 압축 영상신호를 디코딩 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MPEG 디코더(10)와, 상기 MPEG 디코더(10)에서 복원된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1)와, 상기 MPEG 디코더(10)에서 복원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영상 표시기기에 표시될 수 있도록 엔코딩하여 출력하는 영상 엔코더(12)와, 사용자의 키이 입력에 따라 풀-스크린 메뉴 및 폽업 메뉴 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륵 MPEG 디코더(10)를 제어하는 메인 시스템(13)으로 구성된다.
상기 MPEG 디코더(10)는 메뉴키이가 입력되면 메인 시스템(13)의 제어에 따라 폽업 메뉴화면의 처리를 위한 OSD 처리수단을 내장한다.
그리고, 상기 MPEG 디코더(10)는 풀-스크린 메뉴키이가 입력되면 메인 시스템(13)의 제어에 따라 압축 영상신호의 인트라(Intra) 프레임 만을 디코딩하여 풀-스크린 메뉴 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 제 3 도는 상기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메뉴키이가 입력되면, 풀-스크린 메뉴인지 아니면 폽업 메뉴인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제 1 과정에서의 판단결과 풀-스크린 메뉴이면 MPEG 디코더(10)를 제어하여 압축 영상신호의 인트라 프레임 만을 디코딩하게 하여 풀-스크린 메뉴 화면이 화면전제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 2 과정과, 제 1 가정에서의 판단결과 폽업 메뉴이면 MPEG 디코더(10)에 내장된 OSD 처리수단을 이용하여 폽업 메뉴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 3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 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PEG는 동영상을 압축, 전송, 재생하는 표준으로서, MPEG로 압축된 영상신호는 인트라(Intra) 프레임, B(Bi-directional) 프레임, P(Predited)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트라 프레임은 JPEG(Joint Picture Expert Group: 정지영상 압축 표준)표준을 따르므로 한 화면분의 인트라 프레임을 풀-스크린 메뉴화면을 표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인트라 프레임에서 한 화면분이 인트라 프레임을 풀-스크린 메뉴화면을 표시하는데 이용한다는 전제하에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셋-탑 박스를 이용해 VOD 서비스되는 영상을 시청하던중 다른 영화를 선택하기위해 풀-스크린 메뉴키이를 누르면, 메인 시스템(13)은 풀-스크린 메뉴키이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고 풀-스크린 메뉴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MPEG 디코더(10)를 제어한다.
상기 MPEG 디코더(10)는 메인 시스템(13)의 제어에 따라 데이타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압축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 중 풀-스크린 메뉴화면에 대한 데이타를 갖고있는 인트라 프레임 만을 디코딩하여 영상 엔코더(12)로 출력함으로서, 상기 영상 엔코더(12)에서 엔코딩된 후 영상 표시기기의 화면상에 풀-스크린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폽업 메뉴키이를 입력하면, 메인 시스템(13)은 폽업 메뉴키이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고, 폽업 메뉴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MPEG 디코더(10)에 내장되어있는 OSD 처리수단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OSD 처리수단은 폽업 메뉴화면에 대한 OSD 데이타를 영상 엔코대(12)로 출력함으로서, 화면상에 폽업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영상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요소가 감소된 영상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양질의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셋탑박스에서 단순구성의 영상 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이다.
제 1 도는 종래의 영상 처리장치를 보인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영상 처리장치를 보인 블럭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MPEG 디코더 11 : 메모리
12: 영상 엔코더 13: 메인 시스템

Claims (3)

  1. 사용자의 제어키이 입력에 따라 데이타 버스를 통해 VOD 서비스되는 영화 또는 셋-탑 박스의 기능선택을위한 풀-스크린 메뉴화면에 대한 압축 영상신호를 디코딩 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MPEG 디코더(10)와, 상기 MPEG 디코더(10)에서 복원된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1)와, 상기 MPEG 디코더(10)에서 복원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영상 표시기기에 표시될 수 있도록 엔토딩하여 출력하는 영상 엔코더(12)와, 사용자의 키이 입력에 따라 풀-스크린 메뉴 및 폽업 메뉴 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MPEG 디코더(10)를 제어하는 메인 시스템(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에서 단순구성의 영상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PEG 디코더(10)는 풀-스크린 메뉴키이가 입력되면 메인 시스템(13)의 제어에 따라 압축 영상신호의 인트라(Intra) 프레임 만을 디코딩하여 풀-스크린 메뉴 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셋탑박스에서 단순구성의 영상 처리장치.
  3. 메뉴키이가 입력되면, 풀-스크린 메뉴인지 아니면 폽업 메뉴인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제 1 과정에서의 판단결과 풀-스크린 메뉴이면 MPEG 디코더(10)를 제어하여 압축영상신호의 인프라 프레임 만을 디코딩하게 하여 풀-스크린 메뉴 화면이 화면전체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 2 과정과, 제 1 가정에서의 판단결과 폽업 메뉴이면 MPEG 디코더(10)에 내장된 OSD 처리수단을 이용하여 폽업 메뉴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 3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에서 단순구성의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KR1019950048792A 1995-12-12 1995-12-12 셋탑박스에서단순구성의영상처리장치와그제어방법 KR10036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792A KR100369991B1 (ko) 1995-12-12 1995-12-12 셋탑박스에서단순구성의영상처리장치와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792A KR100369991B1 (ko) 1995-12-12 1995-12-12 셋탑박스에서단순구성의영상처리장치와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871A KR970057871A (ko) 1997-07-31
KR100369991B1 true KR100369991B1 (ko) 2003-03-28

Family

ID=3741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792A KR100369991B1 (ko) 1995-12-12 1995-12-12 셋탑박스에서단순구성의영상처리장치와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9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871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1457C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plural images contained in broadcasting signals of mutually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JP329576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ビデオ信号発生方法
US8416852B2 (en) Video signal coding system and method of coding video signal for network transmission, video output apparatus, and signal conversion apparatus
JP2001501400A (ja) 受信機とデコーダが統合され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9116814A (ja) ダブルスクリーンを用いる情報及び外部信号表示装置
GB2337889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20030030175A (ko)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JPH08331481A (ja) 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US5459514A (en) Video-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resolution and low-resolution television signals
KR100590183B1 (ko) 복수의 디코더를 이용하여 pip를 구현하는 디지털방송수신기
GB2334644A (en) Decoding high definition TV signals for display as standard definition TV
KR100672295B1 (ko) 디지털 티브이의 화면 캡쳐 장치
US7580457B2 (en) Unified system for progressive and interlaced video transmission
KR100369991B1 (ko) 셋탑박스에서단순구성의영상처리장치와그제어방법
US20090285547A2 (en) S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8289265A (ja) 受信装置
JPH1116867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9990003971A (ko) Pdp-tv의 pip 구동장치
JP3325445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8163558A (ja) 画像復号装置
KR100571987B1 (ko) 복수의 모니터를 구현하는 셋탑박스
KR100246456B1 (ko) 비디오신호 오버레이장치
KR10036473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아날로그/디지털 오에스디 제어장치
KR100269369B1 (ko) 멀티윈도우를갖는디지탈수신장치및방법
KR19980047446A (ko) 고화질텔레비전(hdtv) 방식으로부터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방식으로의 영상신호 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