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559B1 -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 - Google Patents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559B1
KR100369559B1 KR10-2000-0077591A KR20000077591A KR100369559B1 KR 100369559 B1 KR100369559 B1 KR 100369559B1 KR 20000077591 A KR20000077591 A KR 20000077591A KR 100369559 B1 KR100369559 B1 KR 10036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ase
air cleaner
ai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476A (ko
Inventor
정진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7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5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2Air cleaners acting by gravity, by centrifugal, or by other inertial forces, e.g. with moistened walls
    • F02M35/0223Air cleaners acting by gravity, by centrifugal, or by other inertial forces, e.g. with moistened walls by centrifugal forces, e.g. cycl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공기흡입 통로(12)와 출구(11)를 구비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저장되는 오일(30)과 공기흡입 통로(12)외부에설치되는 필터(40)를 구비한 습식형 에어크리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하부로 모터(20)에 의하여 회전되는 팬(21)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팬(21)의 회전에 의하여 오일(30)을 회전시키면 오일(30)이 원심력에 의해 포물선 형상을 이룸으로써 오일(30)의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공기흡입 통로(12)로 유입되는 공기를 보다 많이 먼지나 이물질과 분리 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의 효율을 증대시키며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또, 오일내부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착포에 의해 오일의 수명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오일의 교체에 의한 금전적 손해 및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Description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습식에어 크리너의 케이스 하부에 모터에 의해 가동되는 팬을 설치하므로써 원심력에 의해 필터의 효율을 증대시키며 흡착포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가변흡기 연동습식형 에어클리너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기흡입 통로(12)와 출구(11)를 구비하는 케이스(10)가 하부로는 오일(30)을 저장하며, 상기 오일(30) 상부로 필터(40)를 구비하게 된다.
또, 반원추형 밸브편(14)들이 고정봉(15)에 의하여 공기흡입 통로(12)에 고정되게 되며, 상기 고정봉(15)에 설치된 스프링(16)에 의하여 각각의 반원추형 밸브편(14)들이 절첩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원추형 밸브편(14)의 꼭지점 부근은 개방되어 일정한 구멍을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공기흡입 통로(12) 쪽으로 흡입 공기량이 적은 엔진 아이들 상태나 저속시에, 고정봉(15)의 스프링(16)은 설정토오크에 의해 각각의 반원추형 밸브편(14)들이 구멍만 개방된채 닫혀 있게 된다.
그리고, 공기량이 증가하여 부압이 이 스프링(16)의 설정 토오크를 넘게 되면 고정봉(15)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변흡기 연동밸브(13)는 서서히 열리면서 흡입단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케이스(10)의 공기 흡입통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공기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흡입된 공기가 항상 오일(30)과 맞단후에 필터(40)를 거쳐 출구(11)쪽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종래 가변흡기 연동습식형 에어크리너는 항시 흡입된 공기가 오일과 맞단후에 청정한 공기를 만들게 된다.
하지만 가변 흡기 연동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저항이 증대되어 필터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어왔다.
또, 오일의 표면적이 일정하므로 공기내의 과도한 이물질의 분리에는 부족하게 된다.
또한, 오일내부로 침전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여 상기 오일의 교환을 자주하게 되어 사용자에게는 부담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습식 에어 크리너의 하부에 모터에 의해서 작동되는 팬을 설치함으로써 오일을 회전시켜 유체의 표면적을 크게하여 필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원심 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일내의 부유물질을 흡착포에 의해서 제거하므로 오일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오일 내에서 공기를 다시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원심 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심 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연동습식형 에어크리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출구
12 - 공기흡입 통로 13 - 가변흡기 연동밸브
14 - 반원추형 밸브편 15 - 고정봉
16 - 스프링 20 - 모터
21 - 팬 22 - 모터 커버
23 - 전원 코넥터 30 - 오일
40 - 필터 50 - 흡착포
51 - 걸림쇠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흡입 통로(12)와 출구(11)를 구비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저장되는 오일(30)과 공기흡입 통로(12)외부에설치되는 필터(40)를 구비한 습식형 에어크리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하부로 모터(20)에 의하여 회전되는 팬(21)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팬(21)의 회전에 의하여 오일(30)을 회전시키면 오일(30)이 원심력에 의해 포물선 형상을 이룸으로써 오일(30)의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공기흡입 통로(12)로 유입되는 공기를 보다 많이 먼지나 이물질과 분리 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과 같이 공기흡입 통로(12)와 출구(11)를 구비하는 케이스(10)가 하부로는 오일(30)을 저장하며, 상기 오일(30) 상부로 필터(4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 저부로는 모터(20)와 팬(21)을 설치하여 모터(20)에 의해 팬(21)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0) 저부로는 모터 커버(22)를 장착하여 모터(20)에 외부의 이물질 및 충격이 가하여 지지 않도록 한다.
또, 모터(20)는 전원 콘넥터(23)를 가지고 있으며, 자동차의 시동스위치가가동되면 모터(20)가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스(10)에 저부에 설치된 모터(20)는 시동스위치에 따라 전기가 공급되어 모터 회전축에 연결된 팬(21)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0) 하부 외측벽으로는 흡착포(50) 및 상기 흡착포(50)를 고정시켜 주는 걸림쇠(5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흡착포(50)는 오일(30)내에 함유된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착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시동스위치가 ON상태가 되면 모터(20)가 가동되어 팬(21)을 회전 시키게 되며, 상기 팬(21)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10) 하부에 저장된 오일(30)이 원심력의 힘으로 포물선의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포물선의 형상을 갖고 있는 오일(30)은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공기흡입 통로(12)를 지난 공기가 오일(30)의 넓은 면적과 맞닿게 된다.
따라서, 공기중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오일(30)과 맞닿으면서 공기와 분리되게 된다.
또, 오일(30) 속으로 분리된 먼지 및 이물질등은 팬(21)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케이스(10) 내부벽면에 설치된 흡착포(50)에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오일(30)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공기가 오일(30)과 맞닿으면서 생기는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원심력을 이용한 습식 에어크리너를 사용하게 되어 공기 중의 먼지 및 이물질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의 효율을 증대시키며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또, 오일내부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착포에 의해 오일의 수명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오일의 교체에 의한 금전적 손해 및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공기 흡입통로(12)와 출구(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저장되는 오일(30)과,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공기흡입통로(12)의 외측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40)가 구비된 습식형 에어크리너에 있엉서,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 모터(20)에 의해 일측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팬(21)이 설치되고, 상기 팬이 설치된 케이스(10)의 내측벽 하부에는 오일(30)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포(50)가 설치되며, 상기 흡착포(50)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쇠(51)가 케이스(1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
  2. 삭제
  3. 삭제
KR10-2000-0077591A 2000-12-18 2000-12-18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 KR10036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591A KR100369559B1 (ko) 2000-12-18 2000-12-18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591A KR100369559B1 (ko) 2000-12-18 2000-12-18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476A KR20020048476A (ko) 2002-06-24
KR100369559B1 true KR100369559B1 (ko) 2003-02-05

Family

ID=2768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591A KR100369559B1 (ko) 2000-12-18 2000-12-18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415B1 (ko) 2004-08-24 2010-12-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오리피스형 습식 에어클리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9571B (zh) * 2017-04-25 2020-02-28 浙江扬帆通用机械制造有限公司 通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4042A (en) * 1977-10-25 1980-09-23 Whitehead Motofides Spa Oil bath air cleaner
JPS6064615A (ja) * 1983-09-20 1985-04-13 Wako Sangyo Kk オイルバス式エアクリ−ナ
JPH0681733A (ja) * 1992-08-28 1994-03-22 Kubota Corp エンジンの油槽式エアクリーナ
KR19990031876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오일 운반팬이 구비된 습식 에어크리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4042A (en) * 1977-10-25 1980-09-23 Whitehead Motofides Spa Oil bath air cleaner
JPS6064615A (ja) * 1983-09-20 1985-04-13 Wako Sangyo Kk オイルバス式エアクリ−ナ
JPH0681733A (ja) * 1992-08-28 1994-03-22 Kubota Corp エンジンの油槽式エアクリーナ
KR19990031876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오일 운반팬이 구비된 습식 에어크리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415B1 (ko) 2004-08-24 2010-12-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오리피스형 습식 에어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476A (ko)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1269B2 (en) Self cleaning filter and vacuum incorporating same
CN100458176C (zh) 适合于与旋转马达轴相连的真空清洁器
US11297990B2 (en) Dust collector and self-cleaning method for filter thereof
CA2052118C (en) Engine air precleaner
EP1621125A2 (en) Intake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369559B1 (ko) 원심분리형 습식 에어 크리너
EP0636339B1 (en) Vacuum cleaner
CN108678877A (zh) 用于发动机的空气预滤器及空气滤清系统
KR100619789B1 (ko) 송풍용 원심팬
KR100511328B1 (ko) 사이클론 청소기의 먼지통 구조
EP3549505B1 (en) Dust collector and self-cleaning method for filter thereof
KR100593382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청소구조
US5433762A (en) Filtered air moving apparatus
JP4844451B2 (ja) 電気掃除機
JP2008022932A (ja) 電気掃除機
KR200149240Y1 (ko) 이물질 포집 장치가 구비된 사이클론 에어 클리너
KR200195040Y1 (ko) 사이클론 집진기를 갖춘 진공청소기의 소형화 구조
KR200226877Y1 (ko) 진공 청소기
KR900002748B1 (ko) 집진기
KR100398154B1 (ko) 흡입공기 중 금속성분이 포함된 먼지 수집장치
CN217501837U (zh) 进气管道及车辆
KR100364098B1 (ko) 에어크리너에의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흡기장치
JP2009072401A (ja) 電気掃除機
JPH09224883A (ja) 電気掃除機
KR100350871B1 (ko) 차량용 가변흡기 연동습식형 에어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