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344B1 - 텔레비전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344B1
KR100368344B1 KR10-2000-7010716A KR20007010716A KR100368344B1 KR 100368344 B1 KR100368344 B1 KR 100368344B1 KR 20007010716 A KR20007010716 A KR 20007010716A KR 100368344 B1 KR100368344 B1 KR 100368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time
broadcast
recep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5919A (ko
Inventor
오카베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는 해석 수단(6)이 이용자에 의한 조작 수단(5)으로부터의 출력과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으로부터의 출력을 조합하여, 이용자가 시청한 프로그램의 빈 시간을 검출하고,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이 빈 시간에 근거하여 동작 스케줄을 작성하고, 제어 수단(13)이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이 작성한 동작 스케줄에 근거하여, 예약 수신하는 프로그램 본체의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고, 다음 회의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직전에 빈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을 행하도록 수신, 녹화 및 재생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예약 수신할 때에, 이용자에게 예약한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를 예고함과 동시에, 전회의 내용을 파악하도록 하여 프로그램에의 감정 이입이 자연스럽게 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 수신 장치{TELEVISION RECEIVER}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있어서 연속극은 인기가 높은 분야이고, 다수의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연속극은 스토리의 연속성을 중요한 요소로서 가지기 때문에, 「못보고 빠트리지 않는다」라는 것이 프로그램의 큰 가치로 되고 있다. 연속극을 계속 시청하려는 경우, 시청자는 프로그램의 요일과 시각과 채널을 기억하여 두고, 소정 시각에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조작하여 시청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가사 등에 신경을 쓰다보면 드라마를 못보고 빠트려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종래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는 방송국에서 프로그램과 평행하게 송신되는 전자 프로그램 표를 이용하여 수신 예약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5-22673호).
도 7은 종래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표를 수신하는 수신부(21)와,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표를 표시하는 표시부(22)와, 예약된 프로그램의 제목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예약 메모리(23)와, 예약한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을 검지하고, 수신부(21)와 표시부(22)를 제어하여 수신을 개시하는 타이머 제어부(24)를 구비한다.
다음에, 이 텔레비전 수신 장치(200)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수신부(21)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표를 수신하고, 표시부(22)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표를 표시한다. 이용자는 프로그램 표를 보고 수신 예약할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프로그램 예약 메모리(23)는 예약된 프로그램의 제목을 기억한다. 타이머 제어부(24)는 프로그램 표 중에서 예약된 제목의 프로그램 개시 시각을 찾고, 내장된 시계가 지정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이 되면 수신부(21)와 표시부(22)를 제어하여 수신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200)의 특징은 예약을 시각에 의한 것이 아닌 프로그램으로 지정하므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변경된 경우에도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프로그램 표가 수정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신 개시 시각이 수정되는 점에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소정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에 소정 채널의 수신이 자동적으로 개시되므로, 텔레비전의 전원을 켜는 것을 잊거나 채널을 변환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프로그램을 못보고 빠트려 버리는 상황에서는, 이용자는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것을 잊어버리므로, 자동 수신 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용자가 수신을 예약한 프로그램 방영이 시작되어도, 이용자가 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많은 연속극은 1주일 간격으로 방영되므로,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것을 기억하여도 프로그램의 내용을 잊어버리는 일이 있다. 특히, 연속극은 전회의 마지막 신을 이어 받는 형태로 프로그램이 시작되므로, 전회의 마지막 부분을 기억하고 있지 않으면 스토리를 따라 갈 수 없어 보는 재미가 크게 감소된다. 그 때문에, 프로그램을 VTR로 녹화하여 두면, 전회의 마지막 부분을 재생하여 스토리의 흐름을 기억나게 할 수 있지만, 테이프의 교환, 되감기, 재생의 조작은 매우 번거롭고, 드라마의 개시 직전에 전회의 드라마를 재생하고 있으면 가장 중요한 드라마의 방송 시간을 지나쳐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이용자가 매회 연속하여 시청하는 프로그램을 예약 수신할 때에, 프로그램의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여, 다음 회의 방송 직전에,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의 실제의 프로그램과는 관계없는 빈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에 의해, 예약 수신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의 예고로 됨과 동시에, 전회의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한 후에 시청할 수 있어 프로그램에의 감정 이입이 용이하게 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회의 연속적인 프로그램을 예약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해석 수단(6)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예약 관리 수단(8)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시간 분할 작성 수단(1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어 수단(13)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종래 텔레비전 수신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복수 회의 연속적인 프로그램을 예약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에서 송신되어 오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소정조작에 의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수신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 수단과, 수신한 프로그램을 녹화 재생하는 녹화 재생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 및 상기 프로그램 표에 근거하여, 이용자가 수신한 상기 소정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와 그 소정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을 검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 상기 녹화 재생 수단 또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검출된 소정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와 수신 시간 및 상기 프로그램 표에 근거하여, 그 소정 프로그램의 수신, 녹화 및 재생의 동작 스케줄을 작성하는 스케줄 작성 수단과, 상기 동작 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수단, 녹화 재생 수단 및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 예약이 설정된 소정 프로그램의 방송이 있으면, 그 방송의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고, 다음 회의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방송이 있으면, 그 방송 개시 직전에, 상기 녹화한 방송 부분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의하면,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신 시간에 근거하여 스케줄 작성 수단이 동작 스케줄을 작성하고, 제어 수단이 수신, 녹화, 재생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예약 수신을 하는 프로그램의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여, 다음 회의 방송 개시 직전에 녹화한 방송을 재생할 수 있고, 이것이 프로그램의 예약 수신 개시의 예고로 되어 상기 소정 프로그램을 예약 수신하고 있던 것을 이용자에게 생각해나게 하여, 방송 개시 시각까지 상기 소정 프로그램을 시청할 준비를 할 수 있게한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2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프로그램 표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과, 현재 시각을 통지하는 시각 통지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의 출력, 상기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표 및 상기 시각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현재 시각에 근거하여 수신 이력의 해석을 하는 해석 수단과, 상기 수신 이력, 상기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표 및 상기 조작 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수신 예약이 설정된 소정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 작성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2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의하면,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이 프로그램 표와 수신 이력으로부터 얻은 방송 개시 시각과 수신 종료 시각에 근거하여 수신 시간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이 수신 시간을 소정 프로그램이 실질 상 방송되고 있는 시간으로서 스케줄을 작성할 때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로서는 광고 등 프로그램과는 관계가 없는 시간을 제외하여 프로그램이 실제로 방송되고 있는 시간만을 수신 예약할 수 있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3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특허 청구 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석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표의 해석에 의해 각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구함과 동시에, 상기 현재 시각 및 상기 조작 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각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을 구하고, 상기 방송 시간에 대한 수신 시간의 비율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자가 시청한 프로그램의 수신 프로그램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그램 특정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그램 표로부터 수신 예약이 설정된 소정 프로그램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수신 이력으로서 수신하며, 상기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빈 시간, 방송 개시 시각으로부터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실제 방송 시간, 제목 및 채널을 출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3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의하면, 상기 해석 수단은 수신 시간의 방송 시간에 대한 비율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이용자가 소정 프로그램을 시청하는가의 판정을 행하고, 이용자가 시청했다고 판정한 프로그램의 수신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므로, 이용자가 소정 프로그램을 수신 예약할 때에, 이용자가 스스로 재생 개시 시각이나 녹화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는 수고를 감소시켜, 상기 수신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수신 예약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4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특허 청구 범위 제 3 항에 기재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작성 수단은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빈 시간, 방송 개시 시각으로부터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실질 방송 시간 및방송 개시 시각에 근거하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녹화를 개시하는 녹화 개시 시각을 설정함과 동시에, 이 녹화의 종료 시각을 실제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4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케줄 작성 수단은 프로그램과는 관계가 없는 광고 등의 빈 시간을 제외하여 녹화 개시 시각이나 녹화 종료 시각을 설정하므로, 실제 프로그램 방송의 마지막 부분만을 녹화할 수 있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5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특허 청구 범위 제 3 항에 기재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작성 수단은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빈 시간 및 방송 개시 시각에 근거하여, 녹화한 프로그램의 재생을 개시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특허 청구 범위 제 5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의하면, 스케줄 작성 수단은 수신 예약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시각 직전의 빈 시간을 이용하여 녹화한 프로그램의 재생을 행하도록 스케줄을 작성하기 때문에, 다른 프로그램의 시청이 방해되지 않도록, 전회의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프로그램의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고, 이것을 다음 회의 프로그램 방송 개시 직전에 광고 등의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 1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 1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는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1)과, 소정 조작에 의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수신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 수단(5)과, 수신한 프로그램을 녹화 재생하는 녹화 재생 수단(3)과, 상기 조작 신호 및 상기 프로그램 표에 근거하여, 이용자가 수신한 상기 소정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와 그 소정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을 검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14)과, 수신 수단(1), 녹화 재생 수단(3) 또는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14)으로부터의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10)과, 수신 예약을 접수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과, 상기 검출된 소정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와 수신 시간 및 상기 프로그램 표에 근거하여, 그 소정 프로그램의 수신, 녹화 및 재생의 동작 스케줄을 작성하는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스케줄 작성 수단)과,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스케줄 작성 수단)이 작성한 동작 스케줄을 기억하는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과, 상기 동작 스케줄에 근거하여, 수신 수단(1), 녹화 재생 수단(3) 및 표시 수단(10)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3)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14)은 수신 수단(1)에 의해 수신 한 프로그램 표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과, 현재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통지 수단(4)과, 조작 수단(5)의 출력 및 시각 통지 수단(4)으로부터의 현재 시각에 근거하여 수신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한 수신 시간과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에 기억된 프로그램 표를 이용하여 수신 이력의 해석을 행하여, 이용자가시청한 프로그램의 수신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는 해석 수단(6)과, 해석 수단(6)이 출력한 수신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하는 수신 이력 기억 수단(7)과, 수신 이력 기억 수단(7),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 및 조작 수단(5)의 출력에 근거하여, 수신 예약이 설정된 소정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는 예약 관리 수단(8)(프로그램 특정 정보 작성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도 2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프로그램표의 1주간의 시간 간격을 둔 동일 시간대의 동일 채널의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프로그램 표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A는 시각 C에 시작하고, 다음의 프로그램 B가 시작하는 시각 E까지 계속되도록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프로그램 A와 프로그램 B의 사이에는 광고나 예고에 사용되는 비교적 짧은 시간의 빈 공간 P가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B의 뒤에도 빈 시간 Q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프로그램 표에 기재한 방송 시간에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외에, 광고나 예고 시간인 빈 시간이 방송 시간의 마지막 부분에 포함되어 있고,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프로그램 표에 기재된 방송 시간에 따라, 그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면, 프로그램과는 관계가 없는 광고 등의 빈 시간을 녹화하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에서는, 프로그램 표에 나타내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마지막 부분에 포함되는 빈 시간을 검출하여, 검출한 빈 시간으로부터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구하며, 구해진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마지막 부분만을 녹화하여, 다음 주의 방송 개시 직전에 녹화한 부분을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빈 시간의 개시 시각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정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채널의 변환이나 텔레비전의 전원을 끄는 등의 조작을 행하는 것은, 프로그램이 방송 중일 때보다도, 오히려 프로그램의 방송이 실질적으로 종료하여 광고나 예고가 시작한 시점에서 행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 1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이용하여 빈 시간의 개시 시각을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1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에 의한 동작에 대하여, 먼저 해석 수단(6)이 빈 시간을 검출하는 동작으로부터 도 3의 흐름도에 따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해석 수단(6)이 빈 시간을 검출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S201에서, 해석 수단(6)이 빈 시간의 검출을 시작한다.
S202에서, 이용자가 텔레비전의 전원을 온으로 하면, 수신 수단(1)은 프로그램을 표시 수단(10)에 출력함과 동시에, 프로그램 표를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에 출력한다. 한편, 조작 수단(5)으로부터는 조작 신호가 해석 수단(6)에 출력된다. 또한 S202에서 이용자가 텔레비전의 전원을 온으로 하지 않은 경우는, 이용자가 텔레비전의 전원을 온으로 할 때까지 S202를 반복한다.
S203에 있어서, 해석 수단(6)은 조작 수단(5)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시각 통지 수단(4)이 출력하는 시각 t, 즉 수신 개시 시각 T1=t와 채널 CH를 취득한다.
S204에서는, 해석 수단(6)은 S203에서 취득한 수신 개시 시각 T1과 채널 CH를 인덱스로 하여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을 검색하고, 수신 중인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 개시 시각 T3 및 방송 종료 시각 T4를 취득하여 S205로 진행한다.
S205에 있어서, 시각 t가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 T4로 되었을 때는 S208로 진행하고, 시각 t가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 T4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S206으로 진행한다.
S206에 있어서, 이용자가 채널을 변환했을 때, 해석 수단(6)은 조작 수단(5)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S208로 진행한다. 또한, 이용자가 채널을 변환하지 않을 때는 S207로 진행한다.
S207에 있어서, 이용자가 텔레비전을 오프로 했을 때, 해석 수단(6)은 조작 수단(5)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S208로 진행한다. 또한, 이용자가 텔레비전을 오프로 하지 않은 때는 S205로 복귀한다.
S208에서는, 해석 수단(6)은 S206 또는 S207에서 조작 수단(5)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시각 통지 수단(4)이 출력하는 시각 t, 즉 실효 프로그램 수신 종료 시각을 취득하고, 수신 개시 시각 T1로부터 실효 프로그램 수신 종료 시각 t까지의 시간, 즉, 실효 프로그램 시청 시간 Tv를 Tv=t-T1로 산출한다.
S209에서는, 해석 수단(6)은, S204에 있어서,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으로부터 취득한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시각 T3과 방송 종료 시각 T4를 이용하여 명목상 프로그램 방송 시간 Tf을, Tf=T4-T3으로 산출한다.
S210에서는, 해석 수단(6)은 실효 프로그램 수신 시간 Tv의 명목상 프로그램 방송 시간 Tf에 대한 비율(Tv÷Tf)을 구하여, 이 값이 4분의 3을 초과한 경우는, 이용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했다고 판정하여 S211로 진행한다.
또한, Tv÷Tf의 값이 4분의 3 이하로 이용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했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는 S213으로 진행한다.
S211에서는, S210에서 이용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했다고 판정된 경우, 해석 수단(6)은 방송 종료 시각 T4와 실효 프로그램 종료 시각 t와의 차로부터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부터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프로그램 직후 빈 시간 Tb=T4-t를 산출한다.
S212에서는, 해석 수단(6)은 S210에서 이용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했다고 판정된 프로그램의 제목, 채널 CH 및 그 프로그램 직후의 빈 시간 Tb를 수신 이력 기억 수단(7)에 출력하고, 수신 이력 기억 수단(7)은 해석 수단(6)으로부터의 제목, 채널 CH 및 빈 공간 Tb를 한 조의 수신 프로그램 정보로서 기록하고, S213으로 진행한다.
S213에서는, 텔레비전이 온일 때는 S202로 복귀하고, 텔레비전이 오프일 때는 S214로 진행하여 빈 시간의 검출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해석 수단(6)은 프로그램 표로부터 취득한 방송 개시 시각 T3과, 이용자가 소정 프로그램 시청을 종료한 직후에 조작 수단(5)으로부터 송신하는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 Tv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소정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 Tv의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시간 Tf에 대한 비율이 일정한 값을 초과했을 때에, 시청자는 상기 소정 프로그램을 시청했다고 판정한다. 또한, 해석 수단(6)이 판정한 상기 이용자가 시청한 상기 소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해석 수단(6)은 상기 이용자가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시청을 종료한 직후에, 조작 수단(5)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송신하는 시각 t를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직후의 빈 시간 개시 시각이라고 판정하고, 이 빈 시간 개시 시각 t와 프로그램 표에 의해 취득한 프로그램 방송 종료 시각 T4를 이용하여, 상기 빈 시간의 개시 시각 t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종료 시각 T4까지의 시간을 빈 시간 Tb로서 검출한다.
다음에, 이용자로부터의 예약을 접수했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예약 관리 수단(8)이 프로그램의 예약을 접수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S301에서, 예약 관리 수단(8)이 프로그램 예약의 접수를 시작한다.
S302에 있어서, 이용자가 조작 수단(5)에서 수신을 예약하는 프로그램의 제목을 지정하면, 조작 수단(5)으로부터 조작 신호에 의해 프로그램의 제목이 예약 관리 수단(8)에 출력된다.
S303에서는, 예약 관리 수단(8)은 제목을 인덱스로서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을 검색하고, 지정된 프로그램의 채널 CH과, 방송 개시 시각 T3과, 방송 종료 시각 T4를 취득한다.
또한, S304에서는 예약 관리 수단(8)은 방송 개시 시각 T3과 방송 종료 시각T4를 인덱스로서 방송 시간이 중복하는 예약이 있는지의 여부가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에서 검색된다.
S305에서는, S304에 있어서, 방송 시간의 중복하는 예약이 검출된 경우는, 예약 관리 수단(8)은 표시 수단(10)에 예약의 중복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시를 출력하고, S306으로 진행한다. S306에서는, 표시 수단(10)은 예약 관리 수단(8)으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예약의 중복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S302로 복귀한다.
또한, S304에 있어서, 방송 시간이 중복하는 예약이 없는 경우는 S307로 진행한다.
S307에서는 예약 관리 수단(8)은 제목 및 채널 CH, 방송 개시 시각 T3 및 방송 종료 시각 T4를 인덱스로서 수신 이력 기억 수단(7)을 검색하여, 제목 또는 채널과 방송 시간대가 일치하는 수신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수신 이력 기억 수단(7)으로부터 얻은 해당하는 수신 프로그램 정보 중 프로그램 직후 빈 시간을 평균하여 프로그램 직후 빈 시간 Tb를 구한다. 또한, 예약 관리 수단(8)은 채널 CH과 방송 개시 시각 T3을 인덱스로서 수신 이력 기억 수단(7)을 검색하고, 수신 프로그램 정보 중 동일 채널 직전 프로그램의 빈 시간을 취득하고, 수신 이력 기억 수단(7)으로부터 얻은 해당하는 수신 프로그램 정보에서 직전 프로그램의 빈 시간을 평균하여, 프로그램 직전 빈 시간 Tc를 구한다.
여기서, 해당하는 수신 프로그램 정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기록된 빈 시간의 중앙값을 빈 시간으로 한 것은 이용자의 행동의 어긋남이나 변덕에 의한 데이터의 잃어버림을 낮게 억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 채널에서 동일 시간대의 프로그램이라면, 프로그램이 새 프로그램으로 바뀌어도 광고나 예고의 시간 길이는 변하지 않는 것이 통례이므로, 프로그램이 새 프로그램인 경우에도 동일 채널에서 동일 시간대의 프로그램 수신 정보를 이용하여 빈 시간 정보를 얻는다.
S308에서는, 예약 관리 수단(8)은 예약 수신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직후 빈 시간 Tb와 프로그램 직전 빈 시간 Tc를 얻은 후, 명목상 프로그램 방송 시간 Tf로부터 프로그램 직후 빈 시간 Tb를 뺀 실질 방송 시간을, 예약 수신하는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 Td로서, Td=T4-T3-Tb의 계산에 의해 구한다.
S309에서는, 예약 관리 수단(8)은 수신 시간으로서 Td를, 수신 직전의 재생 시간으로서 Tc를, 표시 수단(10)에 출력하고, 표시 수단(10)은 예약 관리 수단(8)으로부터의 수신 시간 Td와 재생 시간 Tc를 표시하여, S310으로 진행하여 수신 시간=Td, 재생 시간=Tc로서 좋은지 이용자에게 승인을 구한다.
S310에 있어서, 이용자가 수신 시간 Td 및 재생 시간 Tc으로 정정을 가한 경우는 S311로 진행하고, 이용자가 재생 시간 Tc 및 수신 시간 Td를 정정하여, S309로 복귀한다. 이 때, 이용자가 예약 관리 수단(8)에, 조작 수단(5)을 거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용자가 재생 시간 Tc 및 수신 시간 Td을 정정한 후, 또한, 그대로 이용자가 재생 시간 및 수신 시간을 승인하면, S312로 진행하고, S312에서는, 예약 관리 수단(8)은 제목, 채널 CH, 재생 시간 Tc 및 수신 시간 Td를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에 출력하고,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은 제목, 채널 CH, 재생 시간 Tc 및수신 시간 Td를 한 조의 예약 프로그램 정보로서 기억하고, S313으로 진행한다. S313에서는, 예약 관리 수단(8)은 이용자로부터 프로그램의 예약을 접수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예약 관리 수단(8)은 수신을 예약하는 프로그램의 채널 CH, 방송 개시 시각 T3 및 방송 종료 시각 T4를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에서 취득하고, 방송 시간이 중복한 예약이 있는 경우는, 표시 수단(10)에 출력하여 예약이 중복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방송 시간이 중복한 예약이 없는 경우는, 프로그램 직전 빈 시간 Tc와 프로그램 직후 빈 시간 Tb을 구하고,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시간으로부터 방송 종료 직후의 빈 시간을 뺀 시간을 수신 시간(Td=T4-T3-Tb)으로서 구한다. 다음에, 예약 관리 수단(8)은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직전의 빈 시간을, 녹화한 방송 재생을 행하는 재생 시간 Tc로서, 또한, 실질 방송 시간을, 예약 수신하는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 Td로서 이용해도 좋은가를 이용자에게 확인하고, 이용자의 확인을 얻은 후에, 예약 프로그램 정보(제목, 채널 CH, 재생 시간 Tc 및 수신 시간 Td)를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에 출력하여, 수신하는 프로그램의 예약을 접수한다.
다음에,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이 동작 스케줄을 작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5의 흐름도에 따라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이 동작 스케줄을 작성할 때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S401에서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이 동작 스케줄의 작성을 시작한다.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이 동작 스케줄의 작성을 하는 것은, 이용자가 예약을 변경한 경우, 또한 방송국 측이 프로그램 표를 변경한 경우, 결국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 또는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에 기록이 있었던 경우이고,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은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 및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으로부터의 출력을 항상 감시한다.
S402에 있어서,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에 기록이 있었던 경우는 S404로 진행하고,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에 기록이 없는 경우는 S403으로 진행한다.
또한 S403에 있어서,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에 기록이 있는 경우는 S404로 진행하고,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에 기록이 없는 경우는 S408로 진행하여 동작 스케줄의 작성을 종료한다.
S404에서는,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은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을 검색하고, 예약된 프로그램의 제목, 채널 CH, 재생 시간 Tc 및 수신 시간 Td을 판독하고, S405로 진행한다.
S405에서는,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은 S404에서 취득한 제목과 채널 CH을 인덱스로서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을 검색하여, 예약된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시각 T3을 취득하고, S406으로 진행한다.
S406에서는,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은 재생 개시 시각 TP=T3-Tc, 수신 종료 시각 Tq=T3+Td, 녹화 개시 시각 Tr=Tq-Tc를 산출하고, S407로 진행한다.
S407에서는,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은 채널 CH, 재생 개시 시각 Tp, 방송 개시 시각 T3, 녹화 개시 시각 Tr 및 수신 종료 시각 Tq를 한 조의 동작 예약 정보로서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에 출력하고,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은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으로부터의 한 조의 동작 예약 정보를 기억하고, S408로 진행한다.
S408에서는,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은 동작 스케줄의 작성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은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으로부터의 출력과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으로부터의 출력을 항상 감시하고, 이용자가 예약을 변경한 경우 또는 방송국 측이 프로그램 표를 변경한 경우에,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에서 취득한 제목, 채널 CH, 재생 시간 Tc 및 수신 시간 Td과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에서 취득한 방송 개시 시각 T3을 이용하여, 재생 개시 시각 Tp(Tp=T3-Tc), 수신 종료 시간 Tq(Tq=T3+Td) 및 녹화 개시 시각 Tr(Tr=Tq-Tc)를 계산하여, 수신을 예약하는 프로그램의 동작 스케줄을 작성한다.
다음에, 제어 수단(13)이 수신,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6의 흐름도에 따라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어 수단(13)이 수신, 녹화,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S501에 있어서, 제어 수단(13)은 수신, 녹화,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제어 수단(13)은 S502에서 시각 통지 수단(4)이 출력하는 시각 t를 취득함과 동시에, S503에서,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이 출력하는 동작 스케줄의 시각을 취득하고, S504로 진행한다.
S504 이후에서는, 제어 수단(13)은 S502에서 취득한 시각 통지 수단(4)이 출력하는 시각 t와, S503에서 취득한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이 출력하는 동작 스케줄의 시각을 비교한다. 이 때, 시각 통지 수단(4)이 출력하는 시각 t와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이 출력하는 동작 스케줄의 시각이 일치했을 때, 제어 수단(13)은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에 기억되어 있는 동작 스케줄의 시각에 대응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수신, 녹화, 재생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S504에서 시각 t와 재생 시간 Tp가 일치했을 때, S505로 진행하고, 시각 t와 재생 시간 Tp가 일치하지 않을 때는 S506으로 진행한다. S505에서는, 제어 수단(13)은 녹화 재생 수단(3)에 전회의 녹화 내용을 재생시키고, 표시 수단(10)의 입력을 녹화 재생 수단(3)으로 전환하여 표시 수단(10)의 표시를 온으로 하고, S506으로 진행한다.
또한, S506에서, 시각 t와 방송 개시 시각 T3이 일치했을 때, S507로 진행하고, 시각 t와 방송 개시 시각 T3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S508로 진행한다. S507에서는, 제어 수단(13)은 녹화 재생 수단(3)의 재생을 종료시키고, 수신 수단(1)의 채널을 지정 채널로 변환하여, 표시 수단(10)의 입력을 수신 수단(1)으로 변환하고, 표시 수단(10)의 표시를 온으로 하고, S508로 진행한다.
또한 S508에서, 시각 t가 녹화 개시 시각 Tr과 일치했을 때, S509로 진행하고, 시각 t가 녹화 개시 시각 Tr과 일치하지 않을 때는 S510으로 진행한다. S509에서는, 제어 수단(13)은 수신 수단(1)의 채널을 지정 채널로 변환하여 녹화 재생 수단(3)에 수신 수단(1) 출력의 녹화를 개시시키고, S510으로 진행한다.
또한 S510에서, 시각 t가 녹화 종료 시각 Tq와 일치했을 때, S511로 진행하고, 시각 t가 녹화 종료 시각 Tq과 일치했을 때는 S512로 진행한다. S511에서는,제어 수단(13)은 녹화 재생 수단(3)에 의한 수신 수단(1) 출력의 녹화를 종료시켜, S512로 진행한다.
S512에서는, 제어 수단(13)은 수신, 녹화,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어 수단(13)은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이 작성한 동작 스케줄과 시각 통지 수단(4)이 출력하는 현재 시각을 비교하고, 동작 스케줄로 설정된 수신, 녹화, 재생의 동작을 행하는 시각과, 시각 통지 수단(4)이 출력하는 현재 시각이 일치하면, 동작 스케줄로 설정된 동작을 행하도록 수신, 녹화,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의하면,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수단(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 예약이 설정된 소정 프로그램이 실제로 종료하는 시각을 검출하고, 실제로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시각과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개시 시각 및 방송 종료 시각을 이용하여, 수신, 녹화 및 재생의 시간 비율 동작 스케줄을 작성하고, 작성한 상기 동작 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프로그램 방송의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고, 다음 회의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직전에, 상기 녹화한 방송 부분을 재생하도록 했으므로, 소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예약 수신을 설정하면 그 프로그램의 방송 도중에 마지막 부분이 녹화되고, 다음 회의 프로그램 방송 개시 직전에 녹화된 부분이 재생된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수신 예약을 설정한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그 방송 개시가 예고되는 것으로 되어, 이용자가 방송 개시 시각까지 시청할 준비를 조정할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예약 수신이 설정된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직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의 전회 내용을 파악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이용자의 프로그램에의 감정 이입을 자연스럽게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자동적으로 수신, 녹화 및 재생의 시간 비율 동작 스케줄을 작성하므로, 이용자가 스스로 재생 개시 시각이나 녹화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는 수고가 감소하고, 이용자에 의한 예약 설정의 순서를 간단히 하면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과, 수신 이력 기억 수단(7)과,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과,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은 한 개의 메모리를 다른 영역으로 나누어 이용하여도, 혹은, 개개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할당하여도 된다. 또한, 해석 수단(6)과, 예약 관리 수단(8)과, 시간 비율 작성 수단(11)과, 제어 수단(13)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에서 실현할 수 있는 것이고, 각각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2)이나 수신 이력 기억 수단(7), 프로그램 예약 기억 수단(9), 동작 예약 기억 수단(12)과 동일 메모리 상에 위치시켜도, 혹은 독립한 메모리 상에 위치시켜도 된다. 또한, 녹화 재생 수단(3)은 프로그램을 아날로그 기록하는 것이어도, 혹은 디지털 기록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녹화 재생 수단(3)은 다른 수단과 동일 통체에 수납시킬 필요는 없고, VTR과 같이 독립한 장치와 조합시켜 구성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표시 수단(10)도 다른 수단과 동일한 통체에 수납할 필요는 없고, 텔레비전에 의해 독립한 장치와 조합시켜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복수 회의 연속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예약 수신하면, 예약 수신한 프로그램의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여, 다음의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직전에, 녹화한 프로그램의 마지막 부분을 재생하므로, 이용자에게 예약한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를 예고함과 동시에 전회의 내용을 파악시켜, 프로그램에의 감정 이입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고, 복수 회의 연속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예약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5)

  1. 복수 회의 연속적인 프로그램을 예약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에서 송신되어 온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소정 조작에 의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수신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 수단과,
    수신한 프로그램을 녹화 재생하는 녹화 재생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 및 상기 프로그램 표에 근거하여, 이용자가 수신한 상기 소정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와 그 소정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을 검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 상기 녹화 재생 수단 또한 상기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검출된 소정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와 수신 시간 및 상기 프로그램 표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수신, 녹화 및 재생의 동작 스케줄을 작성하는 스케줄 작성 수단과,
    상기 동작 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수단, 상기 녹화 재생 수단 및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예약이 설정된 소정 프로그램의 방송이 있으면, 그 방송의 마지막 부분을 녹화하고, 다음 회에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방송이 있으면, 그 방송 개시직전에, 상기 녹화한 방송 부분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수신 시간 검출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프로그램 표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과,
    현재 시각을 통지하는 시각 통지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의 출력, 상기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표 및 상기 시각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현재 시각에 근거하여 수신 이력의 해석을 행하는 해석 수단과,
    상기 수신 이력, 상기 프로그램 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표 및 상기 조작 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수신 예약이 설정된 소정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 작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표의 해석에 의해 각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구함과 동시에, 상기 현재 시각 및 상기 조작 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각 프로그램의 수신 시간을 구하고, 상기 방송 시간에 대한 수신 시간의 비율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자가 시청한 프로그램의 수신 프로그램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그램 특정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그램 표로부터 수신 예약이 설정된 소정 프로그램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소정 프로그램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수신 이력으로서 수신하여, 상기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빈 시간, 방송 개시 시각으로부터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실질 방송 시간, 제목 및 채널을 출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작성 수단은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빈 시간, 방송 개시 시각으로부터 실제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실질 방송 시간 및 방송 개시 시각에 근거하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녹화를 개시하는 녹화 개시 시각을 설정함과 동시에, 이 녹화의 종료 시각을 실제의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작성 수단은
    실제의 방송 종료 시각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표가 나타내는 방송 종료 시각까지의 빈 공간 및 방송 개시 시각에 근거하여, 녹화한 프로그램의 재생을 개시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0-7010716A 1999-01-28 2000-01-21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368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9799 1999-01-28
JP99-20297 1999-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919A KR20010015919A (ko) 2001-02-26
KR100368344B1 true KR100368344B1 (ko) 2003-01-24

Family

ID=1202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716A KR100368344B1 (ko) 1999-01-28 2000-01-21 텔레비전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89999B1 (ko)
KR (1) KR100368344B1 (ko)
CN (1) CN1196323C (ko)
ID (1) ID26977A (ko)
TW (1) TW550945B (ko)
WO (1) WO2000045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7583B2 (en) * 2002-12-11 2007-06-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TV method for switching channel automatically
JP2004349909A (ja) * 2003-05-21 2004-12-09 Canon Inc 情報記録装置、撮像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プライバシ保護方法
JP4042155B2 (ja) * 2003-09-01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333516B2 (ja) * 2004-08-05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80582B2 (ja) * 2005-04-22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これら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4232768B2 (ja) * 2005-09-08 2009-03-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62566B1 (ko) * 2005-12-26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시리즈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방법
US20090106790A1 (en) * 2007-10-23 2009-04-23 Wei-Hsin Tseng Method of recovering missed parts of mobile tv broadcasts
CN103455871B (zh) * 2013-07-31 2016-12-28 中国传媒大学 资源调度系统及方法
FR3060928B1 (fr) * 2016-12-19 2019-05-17 Sagemcom Broadband Sas Procede d'enregistrement d'un programme telediffuse a venir
US10779032B2 (en) 2018-06-28 2020-09-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timing management for digital video recording
JP2020077182A (ja) * 2018-11-07 2020-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4222A (en) * 1988-12-23 1999-10-26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ompressed codes for scheduling broadcast information recording
JPH0522673A (ja) * 1991-03-13 1993-01-29 Koa Corp テレビ番組予約方法及びテレビ番組予約機能付きテレビ受信機
TW393860B (en) * 1997-06-09 2000-06-11 Sony Corp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JPH1127622A (ja) * 1997-06-27 1999-01-29 Sony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映像音声信号記録装置及び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H11259927A (ja) * 1998-03-06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記録予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6977A (id) 2001-02-22
WO2000045594A1 (en) 2000-08-03
KR20010015919A (ko) 2001-02-26
CN1196323C (zh) 2005-04-06
CN1293866A (zh) 2001-05-02
TW550945B (en) 2003-09-01
US6489999B1 (en)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593B1 (ko) 텔레비젼 수상기 및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동작 및 제어를 통합하는 시스템
US73562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recording
KR100368344B1 (ko) 텔레비전 수신 장치
US8078031B2 (en) Video tape indexing system and method
US7369744B2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recording method
US20020080277A1 (en) Broadcast program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broadcast programs
JP2001275048A (ja) 番組推薦装置
JP4766920B2 (ja) 放送番組受信機
JP3564220B2 (ja) 番組受信方法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3032592A (ja) 番組信号記録装置
JPH056228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自動学習録画装置
JP2000287147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6067248A (ja) コンテンツ視聴装置、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03968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470701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KR20020037377A (ko)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한 기록 장치
KR100677546B1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재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0322786A (ja) 映像音声信号記録装置
KR10070098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8544B1 (ko) 녹화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잔량시간 산출방법
KR101324778B1 (ko) 방송 녹화기기에서의 사용자 습관을 이용한 방송 녹화방법
KR20060113201A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연속 녹화 및 재생 방법
KR100215982B1 (ko) 텔레비젼 비디오에서 자동 화면 선택의 구현 방법
KR960001148B1 (ko) PiP를 이용한 TV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29800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예약 녹화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