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512B1 -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512B1
KR100366512B1 KR10-2001-0001585A KR20010001585A KR100366512B1 KR 100366512 B1 KR100366512 B1 KR 100366512B1 KR 20010001585 A KR20010001585 A KR 20010001585A KR 100366512 B1 KR100366512 B1 KR 10036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ontrol box
plate
capacito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470A (ko
Inventor
정주현
오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0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51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착보드(40)가 사용되는 콘트롤박스는 금속재질의 전면플레이트(30)와 몰드물인 장착보드(40)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보드(40)의 장착판(42)은 콘트롤박스의 일측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기판안착부(43)와 제1 및 제2 콘덴서장착구(44,45)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판(42)과 직교하게 형성되는 배면판(50)은 콘트롤박스의 배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판(42)과 배면판(50)의 상단에는 오버랩판(60)이 형성되어 콘트롤박스의 상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콘트롤박스의 구성이 단순하게 되고 전체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으며 서비스성이 좋아지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A mounting board of control box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부품이 수납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박스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닥의 베이스팬(1)과 측면과 상면을 구성하는 캐비넷(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구비된다.
즉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을 향한 공기조화기의 전면에는 열교환기(3)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3)는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3)의 상단에 해당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부(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공간 전면에는 콘트롤박스안착부(5)가 마련된다.
상기 콘트롤박스안착부(5)에는 콘트롤박스조립체(6)가 안착되는데, 상기 콘트롤박스조립체(6)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콘트롤박스조립체(6)의 구성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금속판을 판금작업에 의해 형성하는 콘트롤박스(7)는 내부에 안착공간(7')이 형성되는 육면체이다. 상기 콘트롤박스(7)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플레이트(8)에는 상기 안착공간(7')과 연통되는 전면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통공(8)에는 콘트롤패널(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안착공간(7') 내에는 몰드물인 장착보드(9)가 장착된다. 상기 장착보드(9)는 기판안착판(9')과 컨덴서안착판(9")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안착판(9')에는 메인기판(10)이 안착되는데, 상기 메인기판(10)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부품과 회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덴서안착판(9")에는 컨덴서고정구(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덴서고정구(11)에는 컨덴서(12)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박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콘트롤박스(7)는 금속판을 판금작업으로 절곡하여 안착공간(7')을 형성한 것으로 그 전면플레이트(8)의 전면통공(8')만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7)의 내부에는 기판안착판(9')과 컨덴서안착판(9")이 서로 직교되게 구비되는 장착보드(9)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박스조립체(6)에서 상기 장착보드(9)는 상기콘트롤박스(7)와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보드(9)가 콘트롤박스(7)에 겹쳐지게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장착보드(9)가 설치되는 부분의 콘트롤박스(7)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 중복설치된다.
이와 같이 장착보드(9)와 콘트롤박스(7)가 중복되게 설치됨으로 인해 콘트롤박스 조립체(6)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그 제작에 많은 재료비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조립체(6)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상기 콘트롤박스(7)를 개방하여 상기 장착보드(9)를 분리하여 내어야만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장착보드(9)의 서로 직교하는 기판안착판(9')과 콘덴서안착판(9")에 각각 메인기판(10)과 콘덴서(12)를 장착함에 의해 상기 콘덴서(12)와 인접하는 부분이 있는 메인기판(10)의 부품은 상기 콘덴서(12)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되고, 유지보수작업시에 상기 콘덴서(12)의 존재에 의해 상기 메인기판(10)을 반드시 분리하여야만 부품을 교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트롤박스의 구성에 필요한 재료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콘트롤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박스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장착보드의 장착판에 메인기판과 콘덴서가 장착되는 것을 보인 장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전면플레이트 32: 통공
34: 체결단 35: 체결편
36: 체결공 40: 장착보드
42: 장착판 43: 메인기판안착부
44: 제1콘덴서장착구 45: 제2콘덴서장착구
46: 체결편 47: 체결공
50: 배면판 52: 리드선인출공
60: 오버랩판 70: 메인기판
72: 제1콘덴서 73: 제2콘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전면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콘트롤박스의 측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메인기판과 제1 및 제2 콘덴서가 각각의 영역에 장착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의 일측에 직교되게 형성되어 콘트롤박스의 배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장착판에 형성된 제1콘덴서장착구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판과, 상기 장착판과 배면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콘트롤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오버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판에는 그 일측에 상기 메인기판이 안착되는 메인기판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기판안착부와 겹쳐지지 않도록 제1콘덴서가 설치되게 하는 제1콘덴서장착구를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장착판에는 상기 메인기판안착부와 겹쳐지지 않도록 제2콘덴서가 설치되게 하는 제2콘덴서장착구가 타측에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에 의하면 콘트롤박스의 구성에 있어서,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그 제조를 위한 재료의 양이 최소화되고,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으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장착판에 메인기판과 콘덴서가 장착된 것을 보인 장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콘트롤박스는 크게 전면플레이트(30)와 장착보드(40)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30)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보드(40)의 일측에 체결되어 콘트롤박스 조립체의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면플레이트(30)에는 통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32)을 차폐하도록 콘트롤패널(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30)에는 상기 장착보드(4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단(34)이 일측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전면플레이트(30)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단(34)에는 그 상하에 체결편(35)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35)은 상기 체결단(34)에 절제하여 절곡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편(35)에는 체결공(36)이 천공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보드(4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장착보드(40)는 몰드물로서 콘트롤박스의 일측면, 배면 및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먼저 장착판(42)이 콘트롤박스의 일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장착판(42)에는 메인기판(70)의 장착을 위한 메인기판안착부(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판(42)의 일측에는 제1콘덴서장착구(44)와 제2콘덴서장착구(45)가 형성된다. 상기 제1콘덴서장착구(44)는 장착되는 콘덴서(7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원형의 띠모양으로 상기 장착판(42)과 배면판(5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콘덴서장착구(44)는 상기 메인기판안착부(43)와 별개의 영역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에 설치되는 제1콘덴서(72)와 상기 메인기판(7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콘덴서장착구(45)는 별도의 제2콘덴서(73)를 장착하기 위한 부분으로 내부에 장방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장착판(42)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콘덴서장착구(45) 역시 장착되는 제2콘덴서(73)가 상기 메인기판(70)과 간섭되지 않도록 메인기판안착부(43)와 별개의 영역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장착판(42)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30)의 장착을 위한 체결편(46)이 상기 전면플레이트(30)의 체결편(3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편(46)에는 각각 체결공(47)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착판(42)과 직교되게 배면판(50)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50)은 콘트롤박스조립체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압축기와 모터와의 연결을 위한 리드선이 통과하는 리드선인출공(5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보드(40)에는 오버랩판(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버랩판(60)은 콘트롤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트롤박스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상기 장착보드(40)의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오버랩판(60)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에어가이드의 일측과 겹쳐지게 형성된다. 상기 오버랩판(60)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오버랩판(60) 상에 전달되거나 이에서 발생된 수분을 원활하게 배출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박스는 상기 장착보드(40)에 전면플레이트(30)를 체결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보드(40)의 메인기판안착부(43)에는 메인기판(70)을 장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콘덴서장착구(44,45)에는 각각 콘덴서(72,73)를 장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콘트롤박스는 상기 전면플레이트(30)가 그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보드(50)의 장착판(42)이 일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오버랩판(60)이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면판(50)이 배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트롤박스는 그 일측면, 보다 정확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내면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고, 베이스팬(1)에 해당되는 부분 역시 개방되어 있다.
이는 상기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는 캐비넷과 베이스팬(1)이 모두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별도로 차폐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캐비넷을 제거하면 상기 장착판(42)이 바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보드(40)의 구성에 있어서 종래와는 달리 일면에 메인기판(70)과 콘덴서(72,73)를 모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메인기판(70)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장착판(42)의 일부 면적만을 차지하도록 하고, 그 하단에 2개의 콘덴서(72,73)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 장착판(42)에 장착된 콘덴서(72,73)은 공간적으로 상기 메인기판(70)과 간섭되지 않게 되어 상기 메인기판(70)이나 콘덴서(72,73)의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에는 메인기판과 제1 및 제2콘덴서가 장착되는데, 이들이 각각 별개의 영역에 장착되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되었다. 그리고 그 일측에 전면플레이트가 장착됨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되었으므로 콘트롤박스의 구성을 간단하게 만들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을 높여준다.
그리고 콘트롤박스의 내부공간이 캐비넷의 제거에 의해 바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장착판에 메인기판과 콘덴서가 서로 간섭없이 모두 안착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조립작업 및 유지보수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일측에 전면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콘트롤박스의 측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메인기판과 제1 및 제2 콘덴서가 각각의 영역에 장착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의 일측에 직교되게 형성되어 콘트롤박스의 배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장착판에 형성된 제1콘덴서장착구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판과,
    상기 장착판과 배면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콘트롤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오버랩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에는 그 일측에 상기 메인기판이 안착되는 메인기판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기판안착부와 겹쳐지지 않도록 제1콘덴서가 설치되게 하는 제1콘덴서장착구를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에는 상기 메인기판안착부와 겹쳐지지 않도록 제2콘덴서가 설치되게 하는 제2콘덴서장착구가 타측에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KR10-2001-0001585A 2001-01-11 2001-01-11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KR10036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585A KR100366512B1 (ko) 2001-01-11 2001-01-11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585A KR100366512B1 (ko) 2001-01-11 2001-01-11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470A KR20020060470A (ko) 2002-07-18
KR100366512B1 true KR100366512B1 (ko) 2003-01-09

Family

ID=2769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585A KR100366512B1 (ko) 2001-01-11 2001-01-11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921B1 (ko) 2006-07-03 201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921B1 (ko) 2006-07-03 201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470A (ko)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162B1 (ko) 룸 공조기용 제어 박스
JPWO2006068147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US6381134B2 (en) Forced ventilation system for electric instruments
KR100366512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용 장착보드
KR100366513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조립체
JP3862847B2 (ja) 空気調和機の電気部品箱
JP200200547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471783B2 (ja) 空気調和機室外機
JP2008516175A (ja) 空気調和装置を装備するための内部フレームワーク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への改良
KR100755301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JP3894174B2 (ja) 空気調和機の電装品箱および空気調和機
JP3515206B2 (ja) 冷凍機の電装箱
KR100757482B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100509042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
KR101075231B1 (ko) 공기조화기
JPH0213907Y2 (ko)
JP7314332B1 (ja) 電装箱の保持構造及び室外機並びにメンテナンス方法
KR20010100467A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JP3203874B2 (ja) リモコン取付け構造
JP675540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0633292Y2 (ja) 熱交換ユニット
JPH0714744Y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650574A (ja) 熱交換ユニット
JPS6023619Y2 (ja) 空気調和機の温度開閉器取付装置
JP200109099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