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218B1 -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 - Google Patents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218B1
KR100366218B1 KR10-2000-0006659A KR20000006659A KR100366218B1 KR 100366218 B1 KR100366218 B1 KR 100366218B1 KR 20000006659 A KR20000006659 A KR 20000006659A KR 100366218 B1 KR100366218 B1 KR 100366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injection
plate member
molding machin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419A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to KR10-2000-000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2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2045/14459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injecting se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가지의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각종 식품용기를 밀폐하는 뚜껑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을 구성하는 판 부재를 먼저 1차 성형기에서 1차 사출한 다음 이를 2차 성형기에 넣고 테두리부재의 2차 사출물을 2차로 이중 사출하더라도 1차 사출물인 판부재가 2차 성형기에서 낙하됨 없이 신속하고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뚜껑의 생산성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뚜껑 제품의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질 및 경질의 두 가지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각종 식품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 제품(50)을 이중 사출하기 위한 사출 성형방법에 있어서: 돌기 형성용 홈(11a)이 구비된 1차 성형기(10)의 성형 공간부(12)내로 경질의 성형 재료를 강제 주입시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21)를 갖는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를 1차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고정돌기(21)를 2차 성형기(30)의 성형 공간부(32)내로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홈(31a)에 끼워 고정한 다음 상기 판 부재(20)가 삽설된 나머지 성형 공간부(32)로 연질의 성형재료를 강제 주입시켜 결합자리(41a)를 갖는 2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40)를 2차로 일체 융착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그리고 일 측면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21)를 가지며, 경질 성형 재료로 1차 사출되는 판 부재(20)와, 이 판 부재(20)의 가장자리로 연질 성형 재료로 2차 사출되는 테두리부재(40)가 일체로 사출 융착 되어진 뚜껑제품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Mou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o as to easily a mold by double moulding in a horizontal type injection moulder and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가지의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각종 식품용기를 밀폐하는 뚜껑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을 구성하는 판 부재를 먼저 1차 성형기에서 1차 사출 한 다음 이를 2차 성형기에 넣고 테두리부재의 2차 사출물을 2차로 이중 사출하더라도 1차 사출물인 판 부재가 2차 성형기에서 낙하됨 없이 신속하고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뚜껑의 생산성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뚜껑제품의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 가지의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이중 사출되는 뚜껑은, 통상적으로 경질인 판 부재와, 연질의 테두리부재로 구성되며, 이들 각 부재들은 황형 사출기의 제 1 및 제2 성형기에서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압착 성형되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형 사출기의 사출 성형에 있어서는, 사출 성형기를 구성하는 고정 측 형틀에 대하여 가동 측 형틀이 수평으로 열고 닫히면서 뚜껑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횡형 사출기의 사출 성형은 한가지의 재료를 이용하여 한번에 하나의 뚜껑제품을 직접 사출하는 경우도 있고, 또한 경질 및 연질의 성형 재료를 이용하여 판 부재나 테두리부재를 1 및 2차에 걸쳐 이중 사출로 성형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횡형 사출 방식의 성형장치라 하더라도 전자와 같이 하나의 성형재료를 이용하여 뚜껑제품을 한번에 사출 성형하거나 또는 별도의 캡과 같은 결합수단을 갖는 사출물을 1차 사출하는 경우에는 1차 사출물의 교체 작업이 비교적 쉬워 제품의 생산에 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이중 사출되는 뚜껑의 사출물 중 판 형태의 사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종래 횡형 사출기로는 판 형태의 사출물을 먼저 사출하는 경우 이를 걸고 이차 사출물을 사출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성형기에 전혀 구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판 형태의 사출물을 먼저 사출하는 경우 가동 측 형틀이 고정 측 형틀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 조작되는 횡형 사출기의 구조상 판 형태의 사출물을 안정적으로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테두리부재와 같은 2차 사출물의 사출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따라서 종래에는 반드시 고정수단이 자체적으로 형성되는 뚜껑의 테두리부재를 먼저 1차 사출하고, 이 1차 사출물을 2차 성형기에 끼워 고정한 다음 판 부재의 성형자리가 형성된 2차 성형기에 성형 재료를 주입하여 일체로 사출 할 수밖에 없었다. 예컨대 종래 횡형 사출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에 있어서는, 판 부재의 사출물을 먼저 성형함에 따른 작업상의 상당한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의 고정 수단이 전혀 강구되어 있지 못한 까닭에 부득이 자체적으로 결합구조를 갖는 테두리부재를 먼저 사출하고 그 다음 판 부재를 2차로 이중 사출하였던 것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종래 횡형 사출기를 이용하여 두 가지 재료로 이중 사출되는 뚜껑제품의 성형에 따른 문제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횡형 사출기를 이용하여 뚜껑을 구성하는 1차 사출물의 테두리부재(2)를 성형하기 위한 1차 성형기(1)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2는 1차 성형기(1)로부터 사출된 테두리부재(2)의 단면도이고, 도3은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가 삽설된 상태에서 2차 사출물인 판 부재를 2차 성형하기 위한 2차 성형기(3)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성형 방법에 따르면 1차 성형기(1)는 연질 재료를이용하여 뚜껑제품을 구성하는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를 사출하게 되는 바, 이 때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를 형성하기 위한 1차 성형기(1)의 성형 공간부(1b)로는 1차 사출되는 테두리부재(2)의 사출물 자체에 고정수단을 부여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요철부(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1과 같이 닫힌 상태에 있는 1차 성형기(1)의 성형 공간부(1b)내로 연질의 재료를 주입 사출하면, 도2와 같이 테두리부재(2)가 1차로 사출되고, 이 1차 사출물의 테두리부재(2)로는 2차 성형기(3)에 고정을 위한 소정 형태의 결합자리(2a)가 직접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이렇게 테두리부재(2)의 1차 사출이 완료되면 1차 성형기(1)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를 분리시켜 도3과 같이 2차 성형기(3)에 넣어고정하는 바, 이 때 2차 성형기(3)로는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의 결합자리(2a)와 대응되는 요철부(3a)가 성형 공간부(3b)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는 해당 요철부(3a)에 대하여 결합자리(2a)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2차 성형기(3)의 성형 공간부(3b)로 경질의 재료를 주입하면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3b)로 채워지게 되면서 2차 사출물인 판 부재(4)가 일체로 압착 고정되어 각종 식품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 제품이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횡형 사출기의 사출성형 방법에 있어서는 사출 성형기의 특성상 2차 성형기(3)로는 2차 사출물인 판 부재(4)만을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아무런 고정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부득이 1차 성형기(1)로는 항상 고정수단의 결합자리(2a)가 구비되는 테두리부재(2)를 1차 사출할 수밖에 없는 사출 구조상의 결점 및 제한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래의 사출 방법에 있어서는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를 2차 성형기(3)에 고정하여 이중 사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작업자가 1차 성형기(1)의 요철부(1a)로부터 테두리부재(2)를 분리해낸 다음 2차 성형기(3)의 해당 요철부(3a)에 다시 테두리부재(2)의 결합자리(2a)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끼워 맞춤하여야 하는 교체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힘들 뿐 아니라 교체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뚜껑의 이중 사출에 따른 판 부재(4)의 2차 사출 작업이 자연적으로 늦어지게 되어 그 만큼 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히 저하시킴은 물론 1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2)를 2차 성형기(3)의 해당 부위에 확실하게 눌러 끼우지 않아 불량 제품이 많이 발생되는 구조상의 현저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횡형 사출기로 뚜껑제품을 이중 사출함에 있어서 1차 성형기로는 고정돌기를 갖는 판 형태의 사출물을 먼저 1차 사출 성형하고, 이를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2차 성형기에 넣어 고정한 후 판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2차 사출물을 일체로 이중 사출함으로서 1차 사출물의 고정 작업이 매우 신속 용이하여 이중 사출에 따른 작업시간의 현저한 단축은 물론 판 형태의 1차 사출물의 선 사출에 따른 각 성형기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전체적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뚜껑제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종래 횡형 사출기를 이용하여 식품용기의 뚜껑을 구성하는 테두리 부재의 1차 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1차 성형기의 개략 단면도;
도2는 종래 횡형 사출기의 1차 성형기에서 성형된 뚜껑제품의 테두리부재 단면도;
도3은 종래 횡형 사출기를 이용하여 뚜껑제품을 구성하는 테두리부재의 1차 사출물이 삽설된 상태에서 판 부재의 2차 사출물을 사출하기 위한 2차 성형기의 개략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판 부재의 1차 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1차 성형기의 닫힘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사출물인 판 부재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판 부재의 1차 사출물이 삽설된 2차 성형기의 닫힘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성형 방법에 의해 이중 사출이 완료된 뚜껑제품의 단면도;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제품이 공지의 식품용기에 결합 밀폐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1차 성형기 21, 31: 가동측 형틀
21a: 돌기 성형용 홈 20: 1차 사출인 판 부재
21: 고정돌기 30: 2차 성형기
31a: 고정홈 40: 2차 사출물인 테두리 부재
50: 이중 사출이 완료된 뚜껑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형 사출기를 이용한 각종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 방법상 특징은, 연질 및 경질의 두 가지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각종 식품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 제품을 이중 사출하기 위한 사출 성형방법에 있어서: 돌기 형성용 홈이 구비된 1차 성형기의 성형 공간부내로 경질의 성형 재료를 강제 주입시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갖는 1차 사출물인 판 부재를 1차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사출물인 판 부재의 고정돌기를 2차 성형기의 성형 공간부내로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 고정한 다음 상기 판 부재가 삽설된 나머지 성형 공간부로 연질의 성형재료를 강제 주입시켜 결합자리를 갖는 2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를 2차로 일체 융착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성형 방법에 의해 이중 사출로 제조되는 뚜껑제품의 특징은, 일 측면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가지며, 경질 성형 재료로 1차 사출되는 판 부재와, 이 판 부재의 가장자리로 연질 성형 재료로 2차 사출되는 테두리부재가 일체로 사출 융착 되어진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대략 핀 포인트 기능을 갖는 판 부재의 1차 사출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판 형태가 아닌 테두리부재의 2차 사출물을 성형하는 단계로 구분되는 바,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성형 방법에 따른 1차 성형기(10)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로서, 1차 성형기(10)의 가동측 형틀(11)로는 적정 개소에 소정 깊이의 돌기 형성용 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기 형성용 홈(11a)은 이후 설명될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포인트 역할을 하는 고정돌기(21)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돌기 형성용 홈(11a)은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크기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형성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리고 1차 성형기(10)로는 판 부재(20)의 1차 사출물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성형 공간부(12)내로 선택되어진 경질의 성형재료를 고정측 형틀(13)로 형성된 공지의 게이트와 런너를 통해 도면상 도시하지 않은 사출기로 주입하면 도5와 같이 고정돌기(21)가 형성된 판 부재(20)가 1차 사출 성형되어 진다.
도5와 같이 1차 성형이 완료된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는 전체적으로 그 단면 형태가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일 측면으로는 포인트 기능을 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1)가 돌설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는 본 발명의 식품용기 뚜껑(50)의 성형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형태를 가지며, 먼저 1차 성형기(10)에서 성형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매우 중요한 특징이다.
도6은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2차 성형기(30)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성형기(30)는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를 고정한 상태에서 2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40)를 2차 사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2차 성형기(30)의 가동측 형틀(31)로는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고정돌기(21)가 끼워지는 고정홈(31a)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바, 이 고정홈(31a)은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고정돌기(21)와 대응되는 위치로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 즉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고정돌기(21)의 수와 형태 및 형성 위치를 감안하여 형성되어 지는 바, 이는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를 2차 성형기(30)에 넣고 2차 사출시 해당 형틀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포인트 기능인 점을 감안한 것이다.
그리고 2차 성형기(30)의 가동측 형틀(31)로는 추후 설명될 2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40)를 2차 사출하기 위한 성형 공간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성형 공간부(32)로는 2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40)의 형태에 맞는 돌조 예컨대 테두리부재(40)의 기능에 맞추어 소정 형태의 결합자리를 형성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요철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차 성형기(30)를 이용하여 테두리부재(40)인 2차 사출물을 성형함에 있어서 먼저 가동측 형틀(31)을 개방 한 다음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를 성형 공간부(32)의 해당 위치로 삽설 고정한다. 이 때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는 고정돌기(21)가 성형 공간부(32)의 고정홈(31a)에 각각 끼워 고정됨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가동측 형틀(31)에 대하여 수직면상으로 위치되어 있더라도 이 가동측 형틀(31)로부터 낙하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2차 성형기(30)내에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도6과 같이 가동측 형틀(31)을 고정측 형틀(33)에 대하여 닫는다. 그러면 성형 공간부(32)로는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가 위치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이 여유 공간부로 남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측 형틀(33)의 게이트와 런너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사출기로부터 선택되어진 연질의 성형 재료를 강제 주입하여 사출하면 나머지 여유 공간부로 성형 재료가 채워지면서 2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40)가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가장자리로 일체 융착 성형되어 진다.
이와 같이 테두리부재(40)의 2차 사출이 완료되면 도7과 같이 판 부재(20)에 대하여 테두리부재(40)가 일체로 융착 성형되어진 뚜껑제품(50)이 최종 성형되어지는 바, 1 및 2차 사출을 통해 성형되어진 뚜껑제품(50)의 판 부재(20)로는 고정돌기(21)가 그대로 남아있게 되고, 테두리부재(40)로는 용기의 개구부와 같은 곳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자리(41a)가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최종 뚜껑제품(50)에 남아 있는 고정돌기(21)는 추후 별도의 작업에 의해 제거된 상태로 사용됨은 물론이다.
한편 최종적으로 완성된 뚜껑제품(50)은 도8과 같이 각종 형태의 식품용기 (60)의 개구부를 덮어 밀폐 사용되는 것으로서,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를 중심으로 2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40)는 그 형태가 해당 제품의 기능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화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사출 방법과는 달리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를 먼저 사출 성형하되 이에 형성된 고정돌기(21)를 이용하여 2차 사출시 해당 형틀의 고정홈(31a)에 상호 끼워 고정함으로서 종래 판 부재에 고정수단이 없어 형틀에 수직적으로 설치가 곤란함에 따라 2차 사출하던 것에 비하여 1차 사출이 가능하고, 또한 고정돌기(21)가 2차 성형기(30)의 고정홈(31a)에 끼움 고정되기 때문에 테두리부재(40)의 2차 사출 작업을 위해 2차 성형기(30)를 열고 닫더라도 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2중 사출에 따른 판 부재(20)의 고정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경우에는 2차 성형기에 대하여 1차 사출물의 고정 설치를 감안하여 1차 사출물을 결합홈과 같은 결합수단이 전체적으로 직접 형성되는 테두리부재를 먼저 1차 사출 성형하고, 이를 2차 성형기의 해당 공간부에 결합홈을 직접 밀어 끼워 고정하였기 때문에 이의 설치 작업 시간이 자연적으로 많이 소요되었던 것이나,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여 핀 포인트 기능을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에 부여함으로서 2중 사출에 따른 2차 성형기(30)에 대한 판 부재(20)의 고정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질이나 경질의 성형재료를 이용하여 1, 2차에 걸친 이중 사출로 뚜껑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서 횡형 사출기의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더라도 뚜껑제품을 구성하는 1차 사출물인 판부재를 먼저 사출하고 이에 포인트 기능을 갖는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2차 사출에 따른 2차 성형기의 수직 설치가 매우 간편 용이하고, 2차 성형기의 열고 닫음시 전혀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단순하게 1차 사출물인 판 부재로 형성된 고정돌기를 끼워만 주면 되는 것이어서 1차 사출물의 2차 성형기의 설치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뚜껑 제품의 생산성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는 특단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을 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연질 및 경질의 두 가지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각종 식품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 제품(50)을 이중 사출하기 위한 사출 성형방법에 있어서:
    돌기 형성용 홈(11a)이 구비된 1차 성형기(10)의 성형 공간부(12)내로 경질의 성형 재료를 강제 주입시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21)를 갖는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를 1차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사출물인 판 부재(20)의 고정돌기(21)를 2차 성형기(30)의 성형 공간부(32)내로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홈(31a)에 끼워 고정한 다음 상기 판 부재(20)가 삽설된 나머지 성형 공간부(32)로 연질의 성형재료를 강제 주입시켜 결합자리(41a)를 갖는 2차 사출물인 테두리부재(40)를 2차로 일체 융착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2. (삭제)
  3. 일 측면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21)를 가지며, 경질 성형 재료로 1차 사출되는 판 부재(20)와, 이 판 부재(20)의 가장자리로 연질 성형 재료로 2차 사출되는 테두리부재(40)가 일체로 사출 융착 되어진 뚜껑(50)임을 특징으로하는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KR10-2000-0006659A 2000-02-12 2000-02-12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 KR100366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659A KR100366218B1 (ko) 2000-02-12 2000-02-12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659A KR100366218B1 (ko) 2000-02-12 2000-02-12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419A KR20010083419A (ko) 2001-09-01
KR100366218B1 true KR100366218B1 (ko) 2003-01-09

Family

ID=1964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659A KR100366218B1 (ko) 2000-02-12 2000-02-12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2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646A (ko) * 2002-02-26 2003-09-02 남구현 다수의 색을 갖는 수지용기의 사출성형방법
KR100861241B1 (ko) * 2005-08-26 2008-10-02 문제구 편차극복 및 기밀유지수단을 갖는 용기뚜껑
WO2011132857A2 (ko) * 2010-04-21 2011-10-27 씨제이제일제당(주) 밀폐용 식품 용기 제조 방법
KR101339816B1 (ko) * 2005-06-20 2013-12-11 소니 주식회사 흡반과 차량 탑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103B1 (ko) * 2013-11-14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기의 전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306A (ja) * 1992-05-22 1994-04-05 Toyo Mach & Metal Co Ltd 摺動部品製造方法、摺動部品用成形物及び摺動部品製 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摺動部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306A (ja) * 1992-05-22 1994-04-05 Toyo Mach & Metal Co Ltd 摺動部品製造方法、摺動部品用成形物及び摺動部品製 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摺動部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646A (ko) * 2002-02-26 2003-09-02 남구현 다수의 색을 갖는 수지용기의 사출성형방법
KR101339816B1 (ko) * 2005-06-20 2013-12-11 소니 주식회사 흡반과 차량 탑재기기
KR100861241B1 (ko) * 2005-08-26 2008-10-02 문제구 편차극복 및 기밀유지수단을 갖는 용기뚜껑
WO2011132857A2 (ko) * 2010-04-21 2011-10-27 씨제이제일제당(주) 밀폐용 식품 용기 제조 방법
WO2011132857A3 (ko) * 2010-04-21 2012-01-19 씨제이제일제당(주) 밀폐용 식품 용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419A (ko)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5065A (en) Method for forming bottle closure
WO2008019980A2 (en) Method for molding multicolor ethyl vinyl acetate articl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5447674A (en) Method for producing a gas-tight plastic closure for containers
KR101519949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RU200310481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астмассовой тар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го укупор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бинации тары и укупо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комбинация тары и укупо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366218B1 (ko) 횡형 사출기에 있어서, 각종 식품 용기의 뚜껑제품 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뚜껑제품
KR101339032B1 (ko)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를 갖는 이중사출금형
US7434702B2 (en) Bottle container made of res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67366A1 (en) Plastic closure which can be produced in a closed manner, injection mould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U2499667C2 (ru) Форм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отделений в контейнере на основе картона
US4569457A (en) Bottle closure
KR200411134Y1 (ko) 콘택트렌즈의 주형몰드 사출성형장치
KR102197381B1 (ko) 런너 자동 분리형 용기입구측 사출금형
KR200188896Y1 (ko) 이중 사출에 따른 1차 사출물의 고정이 용이한 횡형사출기의 사출 성형장치
KR101423558B1 (ko) 이종 화장품 충진용 화장품 용기
CN107088991A (zh) 一种顶盖与本体颜色相异的瓶盖的注塑模具
JP3570531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の射出成形金型
KR102131208B1 (ko)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JP4591921B2 (ja) 多色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KR200438143Y1 (ko) 사출 성형장치
JP2007001195A (ja) 合成樹脂射出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金型装置
KR100885307B1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에 나선돌기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와그 성형방법 및 그 성형방법으로 제조된 디스펜싱 밸브클로우져
CN214188194U (zh) 塑料密封盒盖二次注射包胶一体成型模具
KR200172928Y1 (ko) 사출금형
CN218342718U (zh) 一种具有防泄漏功能的注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