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157B1 -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157B1
KR100366157B1 KR1020000034274A KR20000034274A KR100366157B1 KR 100366157 B1 KR100366157 B1 KR 100366157B1 KR 1020000034274 A KR1020000034274 A KR 1020000034274A KR 20000034274 A KR20000034274 A KR 20000034274A KR 100366157 B1 KR100366157 B1 KR 10036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network
management
network element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739A (ko
Inventor
김성우
김영탁
Original Assignee
김성우
김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김영탁 filed Critical 김성우
Priority to KR102000003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15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술에 따라 상호 이질적으로 구축되고 분산되어 있는 통신망에 독립적인 기능구조를 만들고, 분산 및 병렬처리 환경을 지원하도록 "CORBA"의 채택과 멀티프로세스/멀티쓰레드(Multi-process/Multi-thread) 기법 및 콜백방법을 적용하여 상호 이질적인 통신망에 대해 독립된 성능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구현하고, 실시간으로 통신망에 대해 효과적인 성능관리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며, 현존하는 통신망뿐만 아니라 향후 구축될 통신망까지 수용하여 성능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이질적이고 분산된 환경으로 구축된 다수개의 통신망 요소와, 상기 각 통신망 요소의 성능을 각각 관리하는 다수개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과, 상기 통신망 요소관리수단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에 성능관리 기능을 요청 및 응답하며,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의 성능을 통합 관리함과 아울러 운영자에게 요청된 통신망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망 관리수단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Apparatus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이질적인 기술로 다양하게 구축된 통신망에 대해 독립적이며 분산 및 병렬 처리형태로 성능관리를 수행하므로, 각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며 통신망의 성능을 최상의 상태로 관리/유지하고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서비스에 대해 최적의 품질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망에 대한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여 점차 초고속화, 광 대역화 되어가고 있다. 공중 통신망은 비동기 전송 모드(ATM), 광대역-아이에스디엔(B-ISDN), 동기식 디지털 계위/광파장 분할 다중화(SDH/WDM), 티시피/아이피(TCP/IP)등과 같이 다양한 기술로 구축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새로운 통신망은 효율적으로 운용, 관리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으며 통신망 사업자는 이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켜야 한다. 특히 인터넷 사용자의 급증으로 현재 정보통신망은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 구축될 초고속 국가 정보통신망과 차세대 인터넷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서비스의 품질보장 및 효과적인 통신망 관리를 위해 통신망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성능관리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통신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 전기통신 표준화기구(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ector : 이하 "ITU-T"라 약칭함)에서는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TMN"(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Network) 체계를 제정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TMN"망 관리 계층구조 및 요소 관리시스템 관련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MN" 체계는 크게 통신망 관리 및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agent)기능과 "CMIP"기반의 "Q3" 접속점을 통해 접속되는 운영시스템(10)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TMN(10)은 다시 요소 관리계층(Element Management Layer : 이하 "EML"이라 약칭함)(40), 네트워크 관리계층(Network Management Layer : 이하 "NML"이라 약칭함)(30), 서비스 관리계층(Service Management Layer : 이하 "SML"이라 약칭함")(20), 비즈니스 관리계층(Business Management Layer : 이하 "BML"이라 약칭함)(11)과 같이 4계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계층들(11)(20)(30)(40)은 각각 단위 시스템 및 서브 네트워크 관리, 지역망 및 전국망 관리, 서비스 관리, 비즈니스 관리의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NML(30)은 통신망의 종단간(end-to-end) 연결을 취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단위를 관리한다. 따라서 NML(30)은 다수의 EML(40) 기능모듈(EMS : Element Management System)을 하위에 포함하게 되며, 각 EMS가 관리하는 서브 네트워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NML(40)의 기능모듈(NMS)의 SML-관리대행자(SML-Agent)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Service Management System) 또는 상위의 NMS로부터 망 단위의 망관리 기능요청을 받아들이고 이를 다시 서브네트워크 단위의 망관리 기능을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EMS로 내려보낸다. 망관리요청을 받은 EMS는 해당 요구를 수행하기 위해 망 관점(Network Level View)의 관리객체(Managed Object : 이하 "MO"라 약칭함)로 이루어진 "MIB/MIT"(Management Information Base/Management Information Tree)를 구성해야 한다.
또한, EMS는 자신이 관리하는 서브네트워크 범주 내에서 망관리를 하기 위해 다시 EML 관리기를 통해 각 통신망(NE1∼NE3) 안의 EML-관리대행자(61a∼63a)로 통신망 관리를 요구하게 된다. 여기서 NML(40)과 EML(50) 계층간의 망 구성 요소 관점에서 망 관리 기능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EMS 또는 NMS와 같이 관리기 역할과 관리대행자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시스템에서는 각 상위계층에 대해서는 관리대행자 역할을 하고 하위 계층에 대해서는 관리자 기능을 한다. EMS의 경우 상위의 NMS로는 NML 관리대행자 기능을 제공하고, 하위의 NE(61a∼63a)로는 EML 관리기의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NML 관리대행자로 들어온 망 관점의 망 관리 명령을 정확히 망 구성요소 관점의 EML 관리기 명령으로 변환하게 된다.
EML 관리기는 NML 관리대행자에서 내려온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CMIP"프로토콜을 사용하는 "Q3"참조점을 통하여 각 NE(61∼63)안의 EML 관리대행자와 망관리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EML 관리대행자가 관리하는 MO들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MO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도 탐색하게 된다.
EML 관리대행자는 EMS의 EML 관리기로부터 들어온 망 관리 요구에 따라 실제 자원을 정확히 조절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하며, 실제 자원에 대한 사건 보고를 EML 관리대행자로 전송한다. EML 관리대행자로부터 응답과 사건보고를 받아들인 EML 관리기는 응답과 사건보고를 가공한 후 F, Q3 참조점을 통해 각각 운영자와 상위의 NMS로 보내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TMN의 경우 중앙 집중형의 관리구조를 가지며 통신망 관리기능들의 구현이 매우 복잡하고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터넷 관련 국제기구인 "IAB"(Internet Activities Board)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현재, 대부분의 통신망 장치에 그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단순한 통신망 관리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구현이 용이하다. 그러나, 통신망 관리 기능이 개별 통신망 장치 요소에 국한되기 때문에 전체 통신망 관점의 관리 기능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성능관리기능을 위해 특별히 정의하고 있지 않다.
"TINA-C의 표준안인 "TINA"(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Networking Architecture)는 분산환경을 기반으로 전체 통신망 관점으로 관리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기능을 정의하고 있다. "TINA"는 분산환경을 위해 국제표준 미들웨어인 "CORBA"(Common Object Resource Broker Architecture)를 채택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통신망관리의 개념은 TMN을 따르고 있다. "TINA"의 가장 큰 장점은 실제 관리 대상 통신망에 대해 독립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즉, 통신망을 구축하는 기술에 무관하게 통신망 관리 및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TINA"의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현재 통신망 관리 기능 구현에 있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통신망 관리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TINA"는 구성 관리 기능과 연결관리기능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들이 정의되어 있으나, 성능관리 부분에 대해서는 TMN에서 규정하는 성능관리 기능을 사용하겠다는 언급만 되고있을 뿐 구체적으로 구현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TMN에서도 성능관리 부분에 대해서 단순한 기능적인 부분만 언급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방안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양한 기술에 따라 각각 상호 이질적으로 구축되고 분산되어 있는 통신망에 독립적인 기능구조를 만들고, 분산 및 병렬처리 환경을 지원하도록 "CORBA"의 채택과 멀티프로세서/멀티쓰레드 기법 및 콜백(call-back)방법을 적용하므로, 상호 이질적인 통신망에 대해 독립된 성능관리를 수행하는 구조를 구현하고, 실시간으로 통신망에 대해 효과적인 성능관리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며, 현존하는 통신망뿐만 아니라 향후 구축될 통신망까지 수용하여 성능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TMN"망 관리 계층구조 및 요소 관리시스템 관련 기능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이질적인 통신망을 효과적으로 통합관리하기 위한 분산/병렬처리 구조의 성능관리장치에 대한 전체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통신망 요소 성능감시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통신망 요소 성능보정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통신망 성능감시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2에서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2에서 통신망 성능보정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이질적인 통신망을 효과적으로 통합관리하기 위한 분산/병렬처리 구조의 성능관리장치에 대한 상세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1∼107 : 통신망 요소 120∼150 : 통신망 요소 관리부
121,131,141,151 : 통신망 요소 성능감시부
122,132,142,152 :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
123,133,143,153 : 통신망 요소 성능보정부
170 : 통신망 관리부 171 : 통신망 성능감시부
172 :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 173 : 통신망 성능 보정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성능관리장치는 상호 이질적이고 분산된 환경으로 구축된 다수개의 통신망 요소와, 상기 각 통신망 요소의 성능을 각각 관리하는 다수개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과, 상기 통신망 요소관리수단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에 성능관리 기능을 요청 및 응답하며,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의 성능을 통합 관리함과 아울러 운영자에게 요청된 통신망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망 관리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질적인 통신망의 성능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질적이고 분산된 환경으로 구축된 다수개의 통신망 요소(101∼107)와, 상기 각 통신망 요소(101∼107)의 성능을 각각 관리하는 다수개의 통신망 요소관리부(120∼150)와, 상기 각 통신망 요소관리부(120∼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 요소관리부(120∼150)에 성능관리 기능을 요청 및 응답하며, 운영자(190)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 요소관리부(120∼150)의 성능을 통합 관리함과 아울러 운영자(190)에게 요청된 통신망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망 관리부(170)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망 요소 관리부(120∼150)는 해당 통신망 요소(120∼150)의 성능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감시부(121∼151)와,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감시부(121∼151)에서 수집된 성능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와 상기 통신망 관리부(17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해당 통신망 요소(120∼150)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122∼152)와,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122∼152)와 통신망 운영자(190)의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망 요소(101∼107)에 대한 성능 보정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성능 보정결과를 상기 통신망 관리부(170)에 전송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보정부(123∼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망 관리부(1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신망 요소 관리부(120∼150)로부터 통신망 요소(101∼107)의 성능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성능감시부(171)와, 상기 통신망 성능감시부(171)에서 수집된 통신망의 성능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와 통신망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통신망 요소 관리부(120∼150)를 통해 해당 통신망 요소(101∼107)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172)와, 상기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172)와 통신망 운영자(190)의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망 요소(101∼107)에 대한 성능 보정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성능 보정결과를 통신망 운영자(190)에게 전송하는 통신망 성능보정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0"은 통신망 요소(101∼107)와 통신망 요소관리부(120∼150)간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규약된 프로토콜(IIOP, SNMP, CMIP)이고, "160"은 통신망 요소관리부(120∼190)와 통신망 관리부(170)간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규약된 분산처리환경에서의 프로토콜(IIOP)이고, "180"은 통신망 운영자(190)와 통신망 관리부(170)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또는 IIOP)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 2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호 이질적이고 분산된 환경에서의 통신망에 대한 효과적인 성능관리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단일한 구조를 가지는 성능관리 구조를 위해 통신망 요소 관리층(EML)과 통신망 망 관리층(NML)에 대해 각각 3개의 성능 관리 기능 모듈을 구성한다.
3개의 성능관리 모듈은 성능감시(PM:Performance Monitoring), 성능분석 및 제어(PAC : Performance Analysis and Control), 성능 보정(PT : Performance Tuning)모듈로 구성된다. 이때 각 모듈은 개별적인 프로세스이며, 멀티쓰레드의 구조를 가진다. 이들 모듈들은 "CORBA"의 분산처리환경을 기반으로 구현되며, 통신망 관리층과 통신망 요소관리층간의 성능 관리기능 요청 및 응답은 콜백(call-back) 방법에 의해 동작한다. 이와 같은 "CORBA" 분산처리환경 및 멀티프로세스/멀티쓰레드 구조와 콜백 방법을 통해 분산 및 병렬처리가 가능하다.
통신망 운용자(190)와의 연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성능관리 기능과의 연결을 위해서는 CORBA-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환경은 자바(JAVA)를 이용한 웹 기반이나 비쥬얼 C++의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도 3은 통신망 요소관리부(120)에서의 성능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 감시부(121)이다. 개별적인 통신망 요소(101∼107)에 대한 성능 감시 기능을 수행하며, 그 내부에는 통신망 요소 부하감시기능(121b)에서 성능 관련 정보를 감시/수집하기 위해 부하감시(Workload Monitoring)하며, 통신망 요소 요약 정보수집기능(121c)에서는 요약정보 수집 기능을 포함한다. 부하감시는 통신망의 부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인 폴링 방법 및 사건중심의 방법(Event-driven)에 의해 감시/수집하며 요약정보 수집은 통신망의 부하와 자원에 대한 요약정보(평균값, 최대/최소값, 편차 등)를 사건 중심의 방법에 의해 수집한다. 어떠한 기능을 사용하느냐는 통신망 운영자(190)로부터 "i_Monitoring"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성능감시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결정된 기능은 개별적인 쓰레드로 동작한다. 때문에 다수의 관리 명령에 대해 병렬처리가 가능하다. 통신망 성능 경보수신기(121a)는 TMN을 갖는 통신망 요소장치에 대한 성능에 관련된 경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이다. 관리 대상이 되는 망 요소장치가 SNMP를 갖는 경우에는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TMN의 경우 성능변동에 따른 경보에 대한 보고기능이 정의되어 있으나 SNMP의 경우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SNMP를 갖는 망 요소 장치에 대한 성능에 관련된 경보는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장애 관리 기능으로 통보하게 된다.
도 4는 통신망 요소 관리부에서의 성능 분석/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122)이다. 개별적인 통신망 요소(101∼107)에 대한 성능 분석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12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5는 통신망 요소 관리부(120)에서의 성능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보정부(123)이다. 개별적인 통신망 요소(101∼107)에 대한 성능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는 통신망 성능 보정부(173)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6은 통신망 관리부(170)에서의 성능 감시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 성능감시부(171)이다. 내부에 성능 관련 정보를 감시/수집하기 위한 부하감시 및 요약정보 수집기능을 포함한다.
부하감시는 통신망의 부하에 대한정보를 주기적으로 폴링방법에 의해 감시/수집하며 요약정보 수집은 통신망의 부하와 자원에 대한 요약정보를 사건 중심의 방법에 의해 수집한다. 어떠한 기능을 사용하느냐는 통신망 운영자(190)f부터 "i_Monitoring"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성능감시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결정된 기능은 개별적인 쓰레드로 동작한다. 때문에 다수의 관리 명령에 대해 병렬처리가 가능하다.
도 7은 통신망 관리부(170)에서의 성능분석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172)이다. 통신망 성능 분석/제어부(172)는 통신망 성능감시부(171)로부터 수집된 성능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수집된 정보의 전달이나 통신망 운영자(190)로부터의 통신망 성능분석 요청은 "i_Analyzer"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통신망 성능 분석/제어부(172)는 크게 통신망 성능 분석기(172a)와 통신망 성능 제어기(172b)로 나누어진다. 통신망 성능 분석기(172a)는 트래픽 특성분석 기능(NPCF : Network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Function), 통신망 요소 성능 특성분석기능(NEPCF : NE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Function), 예측기능(Forecaster)을 갖는다. 그리고 통신망 성능 제어기(172b)는 통신망 성능 분석기(172a)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다른 성능관리부(171)(173)나 다른 통신망 관리(장애관리, 구성관리)기능으로 적절한기능 수행요청 및 통신망 운영자(190)에게 결과를 보고 기능을 담당하는 조정자(Coordinator)를 갖는다.
도 8은 통신망 관리부(170)에서의 성능보정 기능 수행을 위한 통신망 성능보정부(173)이다. 이는 통신망의 성능변동에 대처하기 위한 보정기능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대역폭 분산(Bandwidth distribution), 부하평형(Load balancing), 수율 재조정(Threshold resetting)등을 갖고 있다. 이들 기능은 "i_Tuning"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172)의 조정자(Coordinator), 통신망 운영자(190) 또는 다른 관리기능(구성관리)으로부터 요청되며 그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다. 여기에 내재되어 있는 보정기능들은 그 목적에 따라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도 3내지 도 8에서 각 로그(Log)와 데이터페이스(DB : Database)로의 기능은 각 성능관리 기능 수행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것이다. 로그는 단순히 수행된 성능관리 기능의 종류와 시간 등의 단순 정보를 기록하며,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성능관리 기능의 측정자료로 사용되며, 향후 통신망의 확장이나 재구성 또는 새로운 통신망의 설계/구성 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로서, 통신망 요소 관리계층(EML)과 통신망 관리계층(NML)간의 성능관리 기능모듈의 구성 및 "TINA"의 다른 관리 기능(구성관리, 장애관리)과의 연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통신망 관리부(170)와 요소관리부(120∼150)는 1:N의 관계를 가지며, 통신망 요소관리부(120∼150)와 통신망을 구성하는 통신망 요소(101∼107)는 1:1의 관계를 갖는다. 이 관계는 현재"TINA"에서 명시하고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를 사용함으로서 "TINA"와의 연계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는 멀티프로세스/멀티쓰레드 구조를 갖는다. 쓰레드는 성능관리 요청이 있을 때에만 각 모듈에서 적절한 기능 수행 쓰레드(예를 들어 부하감시 쓰레드)를 생성하여 성능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그 기능 수행이 완료되었을 때 자동 삭제된다. 이때 성능관리 기능 요청 및 그에 대한 응답은 콜백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성능관리 요청을 동시에 수행하는 병렬처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각 모듈이 개별적인 프로세스를 동작하기 때문에 성능감시와 성능분석 및 제어 또는 성능 보정기능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에 의하면, 통신망 운영자는 보다 쉽고 빠르게 통신망의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고, 향후 통신망의 확장이나 재구성 또는 새로운 통신망을 설계/구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이질적인 통신망에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존하는 통신망뿐만 아니라 향후 구축될 통신망까지 수용할 수 있다. 또한 TMN의 통신망 관리기능의 개념을 따르고 있으며, OMG의 국제 표준 분산처리환경 미들웨어인 "CORBA"를 채택함으로서 "TINA"의 통신망 관리 기능과의 연계가 쉽게 되어 국제 표준으로서의 채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상호 이질적이고 분산된 환경으로 구축된 다수개의 통신망 요소의 성능을 각각 관리하는 분산/병렬처리 구조의 다수개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
    상기 통신망 요소관리수단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에 성능관리 기능을 콜백 방법으로 요청 및 응답하며,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의 성능을 통합 관리함과 아울러 운영자에게 요청된 통신망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분산/병렬처리 구조의 통신망 관리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은 해당 통신망 요소의 성능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감시부;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감시부에서 수집된 성능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와 상기 통신망 관리수단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성능관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 및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와 통신망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망 요소에 대한 성능 보정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성능 보정결과를 통신망 관리 운영자 및 상기 통신망 관리수단에 전송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감시부는 해당 통신망 요소에 대해 성능에 관련된 경보를 수신하는 성능 경보수신기;
    상기 해당 통신망 요소의 부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시/수집하는 통신망 요소 부하감시부; 및
    상기 통신망 요소로부터 통신망의 부하와 자원에 대한 요약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망 요소 정보수집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요소 부하감시부에서 부하에 대한 정보의 감시/수집은 주기적인 폴링방식 및 사건중심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요소 정보수집부의 요약정보의 수집은 사건중심의 방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제어부는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 감시부로부터 수집된 통신망 요소의 성능정보를 분석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기; 및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기의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성능관리 기능을 제어하는 통신망 요소 성능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통합 성능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기는 트래픽 특성분석, 통신망 전체의 성능 특성분석, 개별적인 각각의 통신망 요소 성능 특성분석, 각 분석결과의 예측기능 및 상기 각 분석과정의 갱신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제어기는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분석기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망 요소 성능감시부 및 통신망 요소 성능보정부 또는 다른 통신망 관리부로 해당 기능수행 요청 및 통신망 운영자에게 해당 결과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통신망 요소 성능보정부는 통신망의 성능변동에 대처하도록 대역폭 분산, 부하평형 및 수율 재조정기능등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관리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신망 요소 관리수단으로부터 통신망 요소의 성능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성능감시부;
    상기 통신망 성능감시부에서 수집된 통신망의 성능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와 통신망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통신망 요소 관리수단을 통해 해당 통신망 요소에 대한 성능관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 및
    상기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와 통신망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망 요소에 대한 성능 보정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성능 보정결과를 통신망 운영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망 성능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성능감시부는 해당 통신망 요소에 대해 성능에 관련된 경보를 수신하는 경보 수신기;
    상기 해당 통신망의 부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시/수집하는 통신망 부하감시부; 및
    상기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을 통해 통신망의 부하와 자원에 대한 요약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망 요약 정보수집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부하감시부에서 부하에 대한 정보의 감시/수집은 주기적인 폴링방식 및 사건중심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정보수집부에서 요약정보의 수집은 사건중심의 방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성능관리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성능분석/제어부는 상기 통신망 성능감시부로부터 수집된 통신망 요소의 성능정보를 분석하는 통신망 성능분석기; 및
    상기 통신망 성능분석기의 분석 결과에 따라 통신망 요소관리수단을 통해 해당 성능관리 기능을 제어하는 통신망 성능제어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성능분석기는 트래픽 특성분석, 통신망 전체의 성능 특성분석, 개별적인 각각의 통신망 요소 성능 특성분석, 각 분석결과의 예측기능 및 상기 각 분석과정의 갱신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성능제어기는 상기 통신망 성능분석기에서 통신망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망 성능감시부 및 통신망 성능보정부 또는 다른 통신망 관리부로 해당 기능의 호출 및 통신망 운영자에게 해당 결과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통신망의 성능관리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통신망 성능보정부는 통신망의 성능변동에 대처하도록 대역폭 분산, 부하평형 및 수율 재조정기능등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통신망의 성능관리장치.
KR1020000034274A 2000-06-21 2000-06-21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KR10036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74A KR100366157B1 (ko) 2000-06-21 2000-06-21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74A KR100366157B1 (ko) 2000-06-21 2000-06-21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739A KR20000054739A (ko) 2000-09-05
KR100366157B1 true KR100366157B1 (ko) 2002-12-31

Family

ID=1967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274A KR100366157B1 (ko) 2000-06-21 2000-06-21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89B1 (ko) * 2001-07-10 2004-06-04 김영탁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284B1 (ko) * 1999-12-18 2005-04-13 주식회사 케이티 가입자망운용관리시스템에서의 반복시험 처리 장치 및 그방법
KR100374880B1 (ko) * 2000-11-08 2003-03-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더블유에프엠에스를 이용한 전기통신 관리망
KR100387046B1 (ko) * 2001-02-27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779397B1 (ko) * 2001-06-30 2007-11-23 주식회사 케이티 Atm기반 초고속 데이터망에서의 통신 세션 상태관리시스템
KR100747929B1 (ko) * 2001-12-29 2007-08-08 엘지노텔 주식회사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KR100840085B1 (ko) * 2001-12-31 2008-06-19 주식회사 케이티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73226A (ko) * 2003-02-13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큐오에스 알람 검출 방법
KR100926229B1 (ko) * 2003-02-14 2009-11-09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274A (ko) * 1998-02-18 1999-09-15 윤종용 멀티 인터페이스 망관리 시스템
KR20000028413A (ko) * 1998-10-31 2000-05-25 서평원 티엠엔과 씨오알비에이 연동 시스템
KR20000065363A (ko) * 1999-04-02 2000-11-15 김영환 통합관리망 에이전트의 처리속도 제어방법
KR100281554B1 (ko) * 1998-12-15 2001-03-02 정선종 전기통신관리망 관리대행자와 통합서비스/망 관리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연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274A (ko) * 1998-02-18 1999-09-15 윤종용 멀티 인터페이스 망관리 시스템
KR20000028413A (ko) * 1998-10-31 2000-05-25 서평원 티엠엔과 씨오알비에이 연동 시스템
KR100281554B1 (ko) * 1998-12-15 2001-03-02 정선종 전기통신관리망 관리대행자와 통합서비스/망 관리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연동방법
KR20000065363A (ko) * 1999-04-02 2000-11-15 김영환 통합관리망 에이전트의 처리속도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89B1 (ko) * 2001-07-10 2004-06-04 김영탁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739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062B1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for heterogeneou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9300537B2 (en) Bandwidth-on-demand systems and methods
US20020032769A1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0366157B1 (ko)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US8514725B2 (en) Operating network entiti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20060002705A1 (en) Decentralizing network management system tasks
US20050015476A1 (en) Network element system for providing independent multi-protocol service
Hu et al. Home network management for IPTV service operations—A service provider perspective
Wilson et al. Multiwavelength optical networking management and control
Wei et al. Connection management for multiwavelength optical networking
Gavalas et al. Enabling mobile agent technology for intelligent bulk management data filtering
Jukić et al. Fault manage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base (MIB)
Kotsopoulos et al. A SOA-based information management model for Next-Generation Network
Kar et al. An architecture for managing application services over global networks
KR20010080170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종단 관리
Sharma et al. An intelligent mobile-agent based scalable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for large-scale enterprise system
KR20050076406A (ko)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소자에 대한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Mishra et al. Application of Mobile Agent in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Hartmer et al. Generic architecture for a management system of automatic switched transport networks
Díaz et al. Expert System–Based Alarm Management In Communication Networks
Vanchynathan et al. Distributed NMS for affordable communications
KR20050001123A (ko)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grawal On the design of element management system for node Bs in a 3G wireless network
Khan et al. Towards an Agent-based Distributed Hierarchical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Khan et al. OPTIPRISM: A Hierarchical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All-Optic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