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155B1 - 2차원 광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2차원 광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155B1
KR100366155B1 KR20000018708A KR20000018708A KR100366155B1 KR 100366155 B1 KR100366155 B1 KR 100366155B1 KR 20000018708 A KR20000018708 A KR 20000018708A KR 20000018708 A KR20000018708 A KR 20000018708A KR 100366155 B1 KR100366155 B1 KR 10036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mirror
rotating
scanning means
polygon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1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649A (ko
Inventor
송태선
Original Assignee
송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선 filed Critical 송태선
Priority to KR2000001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15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43K23/002Supporting means with a fixed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pencils or pens

Landscapes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2차원 광주사 장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나온 빛을 반사시켜 1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 및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된 빛을 2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제1 회전 다면경이 배치된다.

Description

2차원 광주사 장치 {Two-dimensional optical scanning apparatus}
본 발명은 2차원 광주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2매의 주사 수단을 사용하여 빔을 2차원적으로 편향시켜 주사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대형 영상 표시 장치는 대체로 CRT장치로 대표되는 직시형 영상표시장치, LCD 프로젝터로 대표되는투사형 영상표시장치, 및 광학적 주사형 영상 표시장치로 대별된다.
직시형 영상 표시 장치인 CRT는 컬러 화상 신호의 적/녹/청색 성분에 대응하여 적/녹/청색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적/녹/청색 전자비임이 형광패널상에 형성된 적/녹/청색 컬러화소의 형광점에 도달되어 컬러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적/녹/청색 컬러화소의 형광점을 발광시킴으로써 형광패널에 컬러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CRT장치에서는 적/녹/청색 전자총에서 방사되어 형광패널상에 도달되는 적/녹/청색 전자비임의 절대적인 유동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치수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대중량으로 되어 컬러화면의 대형화는 제한을 받게 된다.
그에 대해, 투사형 화상표시장치를 대표하는 LCD 프로젝터에 따르면 경박화가 가능하면서 비교적 대형 화면의 구성은 가능하게 되지만 편광판의 채용으로 말미암아 광손실이 초래되는 불리함이 있다.
광학적 주사 방식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영국 공개특허 공보 GB 2 108 703호에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영국 공개특허 공보 GB 2 108 703호의 경우에는 광원에서 변조된 광이 제1 회전 다면경에 입사하는 각도와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대략 45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인해 광주사 장치의 부피가 커져야 하므로 소형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정보 판독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소형화된 2차원 광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RT용이나 LCD 용으로 생성된 광변조 신호에 호환성있는 영상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2차원 광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 회전 다면경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수평 방향 주사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는 사선 방향 주사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빛이 회전 다면경에 입사하는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는, 표시될 영상으로 변조된 적색, 녹색, 청색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나온 빛을 제1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과, 제1 주사 수단에서 주사된 빛을 다시 제2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주사 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납작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이며, 제2 주사 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다면경이거나 갈바노 미러일 수 있다. 또한, 제2 주사 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각형면이 꼬인 형태의 회전 다면경일 수 있다.
제2 주사 수단의 회전 또는 진동 모드는 입력되는 영상의 주사 방향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2차원 광주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2차원 광주사 장치는 광원(11)과, 광원(11)에서 나온 빛을 제1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12)과, 제1 주사 수단(12)에서 주사된 빛을 다시 제2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16) 포함한다.
광원(11)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이며, 표시될 영상에 해당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변조된 빛을 제1 주사 수단(12)으로 발광한다.
제1 주사 수단(12)은 제1 회전 다면경(13)과, 제1 회전 다면경이 매우 높은 속도의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제1 모터(14), 및 제1 모터(14)를 제어하는 제1 모터 제어 장치(15)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 다면경의 각각의 거울면에서 반사된 빛은 화면(S)에 형성된 영상에 거의 수평 방향에 대한 주사선을 형성한다. 제1 회전 다면경(13)은 광주사 장치의 부피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광원(11)에서 나오는 빛과 제1 회전 다면경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회전 다면경(13)의 회전중심축은 입사하는 빛에 수직하게 되며, 주사방향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입사 방향과 제1 회전 다면경(13)의 회전축과 수직한 선이 만드는 평면이 된다.
제2 주사 수단(1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회전 다면경(17)과 제2 회전 다면경을 구동하는 제2 모터(18) 및 제2 모터(18)를 제어하는 제2 모터 제어 장치(19)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 다면경(13)에 의해 반사된 빛은 제2 회전 다면경에 입사하여 거울면에서 시간에 따라 반사되어 화면(S)에 형성된 영상의 수직 방향의 주사선을 형성하여 2차원 영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제,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속도와 거울면수에 대한 조건을 표시되는 화소수와 초당 보여주는 화면수와의 관계로 설명한다.
먼저 한 화면의 가로축의 화소수를 a, 세로축의 화소수를 b, 초당 보여주는 화면수를 m이라 하면, 초당 보여주는 전체 화소수는
a × b × m
이 되며, 전체의 수평 주사선수는
b × m
이 된다. 광원에서 변조된 빛을 조사하였을 때 제1 회전 다면경(13)의 한 면이 바뀔 때마다 동일한 위치로 되돌아 오므로, 제1 회전 다면경의 한면이 하나의 수평 주사선을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에 의해 초당 주사되는 주사선수는 b × m이 되어야 하므로, 제1 회전 다면경의 분당 회전수(RPM)를 n1, 제1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 수를 p1이라 하면,
p1 × n1 / 60 = b × m
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회전 다면경의 분당 회전수 및 면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p1 = b × m × 60 / n1, 또는
n1 = b × m × 60 / p1
이 경우에 있어서 신호에 대한 광원의 변조 주파수 f 는
f = a × b × m /2
에 해당하게 된다.
그런데, 실제에 있어서 광다발이 회전 다면경의 두 거울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입사하는 경우 또는 제1 회전 다면경이나 제2 회전 다면경에 의해 주사될 수는 있지만 실제 유효화상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광원의 변조 주파수나 회전수등은 상기 값보다 크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회전 다면경의 회전 제어와 분당 회전수을 살펴본다.
제2 회전 다면경의 경우는 빛을 제1 회전 다면경에 의하여 주사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주사시키므로 제1 회전 다면경에 의하여 주사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져야 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우선 제1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에서 제2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까지의 거리를 L이라 하고, 주사각을 θ1(라디안 단위)라고 할 때, 제2 회전 다면경의 길이 L2는
L2 > L × θ1
를 만족해야 한다.
또한, 제2 회전 다면경의 회전 모드를 이용하여 CRT용이나 LCD용으로 생성된 광변조 신호에 모두 호환성 있도록 할 수 있다. 광원(11)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그 주사 방향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주사일 수 있고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사선 방향 주사일 수 있다.
우선, 2차원 주사 장치의 입력 신호로 도 5과 같은 수평 주사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 구성된 화면의 데이터가 광원으로부터 변조된 빛으로 나오게 되고, 제1 회전 다면경(13)에 의해 반사되어 제2 회전 다면경(17)로 입사하게 된다. 이때, 제2 회전 다면경(17)의 하나의 수평 주사선이 주사될 동안 정지하도록 제2 모터를 스텝 모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수평 주사선이 주사될 동안 스텝 모터를 정지시켰다가 일정 각도만 회전시켜 다음 수평 수사선이 주사될 동안 다시 정지시키는 스텝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스텝 이동의 경우에 있어서, 제2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수를 p2라고 할때 제2 회전 다면경의 두 거울면이 이루는 각이 360 °/ p2 이며, 한 거울면이 한 화면을 형성시키므로, 스텝 이동 각도 φ는
φ ≤ 360 / ( b × p2 ) (단위: °)
이 되어야 한다.
또한, 2차원 주사 장치의 입력 신호로 사선 주사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사선으로 구성된 화면의 데이터가 광원으로부터 변조된 빛으로 나오게 되고, 제1 회전 다면경(13)에 의해 반사되어 제2 회전 다면경(17)로 입사하게 된다. 이때, 초당 보여주는 화면수를 m, 제2 회전 다면경의 분당 회전수(RPM)를 n2, 제2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수를 p2 라고 할 때,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p2 = m × 60 / n2, 또는
n2 = m × 60 / p2
이 경우에도 회전수 등에서 마진을 확보해야 하므로 실제로 위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1 회전 다면경 또는 제2 회전 다면경에 입사하여 주사될 수 있는 빛의 범위를 회전다면경의 반경을 기준으로 살펴본다.
회전다면경의 거울면수를 n이라 할때, 회전다면경의 회전축을 원점(O)으로 놓고, 회전다면경의 다각형의 내접원의 반경을 ri, 외접원의 반경을 ro라 하자. 다각형의 한변과 중심이 이루는 각의 절반인 ψ는 360°/(2n)이 되고, 다각형의 한변의 길이는 2 * ro sinψ가 된다. 따라서, 한변의 절반을 나타내는 rx는
rx = ro sinψ = ro sin[360°/(2n)]
광원에서의 빛이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rx 이내의 범위로 입사하는 경우(r ≤ rx, 도 7에서 A-B 사이)는 빛이 광원 쪽으로 되돌아 가는 경우가 생기므로 제1 실시예의 주사 광학계에는 맞지 않다. 또한 빛이 다각형의 내접원과 외접원 사이로 입사하는 경우에는 ((ri ≤ r < ro, 도 7에서 C-D 사이) 회전 다면경이 돌아감에 따라 반사되지 못하고 그대로 통과하는 빛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제2 회전 다면경으로 반사되기 위해서는 빛이 내접원 내로 입사하되 rx보다는 크게 입사해야(rx < r < ri, 도 7에서 B-C 사이)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회전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어 제2 회전 다면경에 입사하는 거리는 입사각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제1 회전 다면경과 제2 회전 다면경 사이에 보정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다면경에서 반사되어 화면에 주사되는 경우에도 화면 상에 도달되는 거리가 각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제2 회전 다면경과 화면 사이에 적절한 보상 렌즈를 두어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다면경(13)과 제2 회전 다면경(17)의 광경로 상에 반사 거울이나 프리즘을 삽입하여 제2 회전 다면경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를 더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회전 다면경(13)와 제2 회전 다면경(17) 사이에 반사 거울 또는 프리즘을 삽입하거나 제1 회전 다면경의 형상을 변경하여 광경로를 변경하는 이유는 회전 다면경에 의한 기구적 간섭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체 광주사 장치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제2 주사 수단으로 입사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거의 수직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회전 다면경과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배치된 광경로 상에 반사 거울이나 프리즘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제2 회전 다면경으로 입사하는 빛의 입사 각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2차원 광주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2차원 광주사 장치는 광원(21)과, 광원(21)에서 나온 빛을 제1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22)과, 제1 주사 수단(22)에서 주사된 빛을 다시 제2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26) 포함한다. 광원(21) 및 제1 주사 수단(22)는 도 1을 참고로 하여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구성과 동작 원리가 동일하다.
제2 주사 수단(26)은 제2 회전 다면경(27)과 제2 회전 다면경을 구동하는 제2 모터(28) 및 제2 모터(28)를 제어하는 제2 모터 제어 장치(29)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 다면경(23)에 의해 반사된 빛은 제2 회전 다면경에 입사하여 거울면에서 시간에 따라 반사되어 2차원 영상을 형성하게 된다. 제2 회전 다면경(27)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꼬인 형태이며, 위, 아랫면의 다각형의 각각이 대응하는 꼭지점이 수직하지 않은 일정 각도를 가지고 연결된 거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대응하는 위, 아랫면의 꼭지점이 하나씩 어긋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제2 회전 다면경(27)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즉, 수평 주사선이 주사될 동안 제2 회전 다면경이 일정한 각회전수로 회전하면 화면에 수평 방향의 주사선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2차원 광주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2차원 광주사 장치는 원(31)과, 광원(31)에서 나온 빛을 제1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32)과, 제1 주사 수단(32)에서 주사된 빛을 다시 제2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36) 포함한다. 광원(31) 및 제1 주사 수단(32)는 도 1을 참고로 하여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구성과 동작 원리가 동일하다.
제2 주사 수단(36)은 갈바노 미러(37)과 갈바노 미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8)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회전 다면경으로 2차원 주사를 하는 경우에 제2 회전 다면경의 회전수는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수에 비하여 상당히 낮으므로 갈바노 미러를 사용할 수 있다.
갈바노 미러(37)은 반사 미러를 형성한 진동체를 구비하고 있어서 제어 장치(38)에 의해 2차원 주사를 할 수 있도록 진동하게 된다. 제1 회전 다면경(33)에 의해 반사된 빛은 갈바노 미러의 거울면에서 시간에 따라 반사되어 화면(S)에 2차원 영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는 광원(41)과, 광원(41)에서 나온 빛을 제1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42)과, 제1 주사 수단(42)에서 주사된 빛을 다시 제2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46) 포함한다.
제1 주사 수단(42)은 제1 회전 다면경(43)과, 제1 회전 다면경이 매우 높은 속도의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제1 모터(44), 및 제1 모터(44)를 제어하는 제1 모터 제어 장치(45)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 다면경의 각각의 거울면에서 반사된 빛은 화면(S)에 형성된 영상에 거의 수평 방향에 대한 주사선을 형성한다. 제1 회전 다면경(43)은 도 4b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이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지고 줄어드는 쐐기형 다면경 형상을 가지고 있다. 쐐기형 다면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제1 회전 다면경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없이, 광원(41)에서 나오는 빛과 제1 회전 다면경(43)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제1 회전 다면경(43)의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하여도 광주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 회전 다면경(13)으로 입사하는 빛의 범위도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아랫면의 다각형의 rx 이내의 범위로 입사하는 경우(r ≤ rx, 도 7에서 A-B 사이)도 가능하다.
제2 주사 수단(4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회전 다면경(47)과 제2 회전 다면경을 구동하는 제2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2 모터 제어 장치(49)로 이루어진다. 제2 회전 다면경(47)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제2 회전 다면경(17)이거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향으로 연장된 꼬인 형태의 회전 다면경(27)일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갈바노 미러(37)일 수도 있다.
제1 회전 다면경(43)에 의해 반사된 빛은 수평 방향(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주사되어 제2 회전 다면경에 입사하며, 제2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에서 시간에 따라 반사되어 화면(S)에 형성된 영상의 수직 방향의 주사선을 형성하여 2차원 영상을 형성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영상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주사 장치를 이용하여 2차원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 즉, 광원으로 연속적으로 발광하는 단색 레이저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영상 표시 장치의 스크린 부분(S)에 정보가 기록된 시트 등을 놓아 2차원적으로 주사하여, 시트에서 반사, 산란된 빛을 외부의 인식 장치에서 인식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는 상기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제1 회전 다면경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2차원 주사 장치에 비해 소형화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CRT용이나 LCD 용으로 생성된 광변조 신호에 호환성있게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입력 신호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2)

  1.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광원;
    길이 방향으로 납작한 형태의 제1 회전다면경을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서 나온 빛을 반사시켜 1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 및
    상기 제1 회전다면경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2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된 빛을 2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이 배치되며,
    상기 영상 정보가 사선 주사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2 주사 수단의 제2 회전 다면경이 일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고,
    상기 영상 정보가 수평 주사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수평 주사선이 주사될 동안 제2 주사 수단의 제2 회전 다면경의 회전이 정지되었다가 회전하는 스텝 이동을 하며, 스텝 이동 각도 φ가 다음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 주사 장치.
    φ ≤ 360 / ( b × p2 ) (단위: °)
    여기서 b는 한 화면의 세로축의 화소수,
    p2는 제2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수임.
  2.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광원;
    길이 방향으로 납작한 형태의 제1 회전다면경을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서 나온 빛을 반사시켜 1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 및
    상기 제1 회전다면경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2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된 빛을 2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이 배치되며,
    상기 제2 주사 수단의 제2 회전 다면경은 위, 아랫면의 다각형 각각이 대응하는 꼭지점이 수직하지 않은 각도를 가지고 연결된 거울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3. (정정)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광원;
    길이 방향으로 납작한 형태의 제1 회전다면경을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서 나온 빛을 반사시켜 1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 및
    상기 제1 회전다면경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갈바노 미러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된 빛을 2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이 배치되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의 분당 회전수 p1가 다음식
    p1 ≥ b × m × 60 / n1
    (여기서 b는 세로축의 화소수,
    m은 초당 보여 주는 화면수,
    n1은 제1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 수임)
    을 만족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4.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광원;
    길이 방향으로 납작한 형태의 제1 회전다면경을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서 나온 빛을 반사시켜 1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1 주사 수단; 및
    상기 제1 회전다면경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된 빛을 2차원적으로 주사시키는 제2 주사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주사 수단의 제1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이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지고 줄어드는 형상이며, 상기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제1 주사 수단에서 반사되는 빛이 이루는 평면과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평행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이 배치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사 수단과 제2 주사 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광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반사 거울 또는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 수단은 제2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정보가 사선 주사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2 주사 수단의 제2 회전 다면경이 일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고,
    상기 영상 정보가 수평 주사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수평 주사선이 주사될 동안 제2 주사 수단의 제2 회전 다면경의 회전이 정지되었다가 회전하는 스텝 이동을 하며, 스텝 이동 각도 φ가 다음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 주사 장치.
    φ ≤ 360 / ( b × p2 ) (단위: °)
    여기서 b는 한 화면의 세로축의 화소수,
    p2는 제2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수임.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가 사선 주사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회전 다면경의 분당 회전수 p2가 다음식을 만족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p2 ≥ m × 60 / n2
    여기서, m은 초당 보여 주는 화면수,
    n2 제2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 수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 수단의 제2 회전 다면경은 위, 아랫면의 수직하게 대응하는 꼭지점이 하나씩 어긋난 형태인 2차원 광주사 장치.
  9. (정정) 제1항, 제2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 수단의 제2 회전 다면경의 길이 L2가 다음식을 만족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L2 > L × θ1
    여기서 L은 제1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에서 제2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까지의 거리이며,
    θ1은 제1 주사 수단의 주사각도(라디안 단위)임.
  10. (정정) 제1항, 제2항,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다면경의 분당 회전수 p1가 다음식을 만족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p1 ≥ b × m × 60 / n1
    여기서, b는 세로축의 화소수,
    m은 초당 보여 주는 화면수,
    n1은 제1 회전 다면경의 거울면 수임.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 수단은 위, 아랫면의 다각형 각각이 대응하는 꼭지점이 수직하지 않은 각도를 가지고 연결된 거울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 수단은 갈바노 미러를 포함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KR20000018708A 2000-04-10 2000-04-10 2차원 광주사 장치 KR10036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8708A KR100366155B1 (ko) 2000-04-10 2000-04-10 2차원 광주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8708A KR100366155B1 (ko) 2000-04-10 2000-04-10 2차원 광주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649A KR20010090649A (ko) 2001-10-19
KR100366155B1 true KR100366155B1 (ko) 2002-12-31

Family

ID=1966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18708A KR100366155B1 (ko) 2000-04-10 2000-04-10 2차원 광주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7045A1 (en) * 2005-08-29 2007-03-08 Tae-Sun Song Light source module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3510B (zh) * 2017-06-15 2024-04-12 深圳市速腾聚创科技有限公司 激光雷达及激光雷达控制方法
WO2019135494A1 (ko) 2018-01-08 2019-07-11 주식회사 에스오에스랩 라이다 장치
US10591598B2 (en) 2018-01-08 2020-03-17 SOS Lab co., Ltd Lidar device
KR101977315B1 (ko) * 2018-05-14 2019-05-20 주식회사 에스오에스랩 라이다 장치
KR102050678B1 (ko) 2018-05-14 2019-12-03 주식회사 에스오에스랩 라이다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015A (en) * 1987-08-20 1989-02-23 Seiko Epson Corp Two-dimensional optical drawing device
JPH01164918A (ja) * 1987-12-21 1989-06-29 Seiko Epson Corp 2次元光走査装置
US5012464A (en) * 1988-03-09 1991-04-30 Agfa-Gevaert Ag Computer-controlled laser imaging system with automatic beam start at line beginning
JPH09133888A (ja) * 1995-11-09 1997-05-20 Ricoh Co Ltd 光走査装置
KR19990071924A (ko) * 1995-12-05 1999-09-27 페브라이스 메이라우드 주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015A (en) * 1987-08-20 1989-02-23 Seiko Epson Corp Two-dimensional optical drawing device
JPH01164918A (ja) * 1987-12-21 1989-06-29 Seiko Epson Corp 2次元光走査装置
US5012464A (en) * 1988-03-09 1991-04-30 Agfa-Gevaert Ag Computer-controlled laser imaging system with automatic beam start at line beginning
JPH09133888A (ja) * 1995-11-09 1997-05-20 Ricoh Co Ltd 光走査装置
KR19990071924A (ko) * 1995-12-05 1999-09-27 페브라이스 메이라우드 주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7045A1 (en) * 2005-08-29 2007-03-08 Tae-Sun Song Light source module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649A (ko) 200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5678B1 (en) Mems laser scanner having enlarged fov
US7839552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7385745B2 (en) Two-dimensional scanning apparatus and scanning type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264360B2 (en) Scan type display optical system
EP3267236B1 (en) Optical scanner, projector, and heads-up display
CN102109675B (zh) 图像显示装置、以及手机、信息处理装置、摄影装置
US20060267858A1 (en) Optical modulators including incorporated into mobile terminal projector
CN1823518A (zh) 投影设备
US5044710A (en) Laser beam deflection apparatus
WO2010021331A1 (ja) レーザー投射装置
KR100366155B1 (ko) 2차원 광주사 장치
KR100607644B1 (ko)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US5929979A (en) Scanning exposure device
US7277213B2 (en) Aperture plate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WO2001092946A1 (fr) Dispositif d&#39;eclairage et projecteur dote de ce dispositif, et unite d&#39;affichage integree
EP1693696A1 (en) Display unit and scanning method therefor
KR100607643B1 (ko)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JP2003021804A (ja) 画像表示装置
KR100563917B1 (ko)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0970644B1 (ko) 스캐닝 디스플레이 장치
JP4639691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559790B1 (ko) 투사 표시 장치
CN1271112A (zh) 激光曝光装置
KR20100085363A (ko) 투사 표시 장치
JPH0381722A (ja) レーザ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