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973B1 -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973B1
KR100365973B1 KR10-1999-0053552A KR19990053552A KR100365973B1 KR 100365973 B1 KR100365973 B1 KR 100365973B1 KR 19990053552 A KR19990053552 A KR 19990053552A KR 100365973 B1 KR100365973 B1 KR 100365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holder
lever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752A (ko
Inventor
권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9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이 들어다 보이는 모니터 본체에 적용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는 전면에 표시화면이 위치되는 표시창이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와, 이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갖는 모니터 본체와; 저면과 측면을 갖으며, 저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홀과 연통되는 오프닝이 형성된 홀더와, 홀더에 결합되고 오프닝을 통해 홀상에 위치되는 누름 부분을 갖는 레버 및 홀더의 홀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리고 표시화면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모니터 본체의 전면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프론트 케이스는 저면 양측에 한쌍의 깊은 홈이 각각 형성된다. 홀더는 깊은 홈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며, 홀은 오프닝과 마주보는 나사산이 형성된 반원의 제 1 내주면을 갖는다. 지지대는 레버의 누름부분에 의해 눌려서 제 1 내주면에 나사 체결되면 상하 이동이 나사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지지대는 레버를 젖혀서 제 1 내주면과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A DISPLAY MONITOR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속이 들어다 보이는 모니터 본체에 적용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폭이 넓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간도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화시대의 총아인 화상정보의 전달 매체로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의 소형화, 단순화 및 고품질화에 대한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특히, 인간에게 친숙한 느낌으로 다가설 수 있는 속이 들여다보이는 투명/반투명 제품들이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cornwall, jr 등의 U.S. Pat. No. 4,533,105, craft 등의 U.S. Pat. No. 4,564,166은 모니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탠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가상승을 초래하여 제품 가격상승에 따른 경쟁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고 제품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앞서 설명된 속이 들어다 보이는 본체 케이스에 기존 스탠드를 설치할 경우, 그 스탠드의 기울기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보기가 매우 흉하고 전체적으로 디자인을 저하시켜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당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CRT 모니터에 설치되던 스탠드는 속이 들어다 보이는 투명 케이스에 적용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는 기존 모니터의 스탠드는 심플한 디자인(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투명 개념)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가 들어다 보이는 모니터 본체에 적합하고 그 구성이 간단한 높이조절 가능한 스탠드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RT 모니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지지대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니터 본체의 부분 측 단면도들;
도 4a는 도 3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레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지지대가 설치되지 않은 모니터 본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내지 도 7c는 모니터 본체의 높낮이 조절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모니터 본체 110a : 프론트 케이스
110b : 리어 케이스 112 : 깊은 홈
114 : 제 1 받침 돌기 116 : 제 2 받침 돌기
120 : 홀더 122 : 홀
122a : 제 1 내주면 122b : 제 2 내주면
124 : 오프닝 128 : 홈
130 : 지지대 132 : 기둥부분
134 : 받침부분 136 : 수직 홈
140 : 레버 142 : 고정부분
144 : 누름부분 146 : 손잡이부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는 전면에 표시화면이 위치되는 표시창이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와, 이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갖는 모니터 본체와; 저면과 측면을 갖으며, 상기 저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는 상기 홀과 연통되는 오프닝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오프닝을 통해 상기 홀상에 위치되는 누름 부분을 갖는 레버 및; 상기 홀더의 홀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표시화면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모니터 본체의 전면부분을 지지하는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저면 양측에 한쌍의 깊은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깊은 홈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홀은 상기 오프닝과 마주보는 나사산이 형성된 반원의 제 1 내주면을 갖으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레버의 누름부분에 의해 눌려서 상기 제 1 내주면에 나사 체결되면 상하 이동이 나사운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를 젖혀서 상기 제 1 내주면과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레버는 상기 누름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홀더의 외면에 결합되는 고정부분과, 상기 누름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는 외면에 상기 레버의 고정부분이 결합되는 홈을 갖는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홀더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홀의 제 1 내주면에 체결되는 기둥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설치면에 놓여지는 구형의 받침부분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구형의 받침 부분은 외면에 다수개의 수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받침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미설치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저면에 상기 모니터 본체의 전면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받침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모니터 본체와 지지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에 의하면,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고 높낮이 조절을 위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투명 케이스에 어울릴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 향상 및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c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RT(Carhode Ray Tube;음극선관) 모니터(100)는 모니터 본체(110), 홀더, 레버, 지지대를 갖는다. 상기 모니터 본체(110)는 전면에 표시화면(102)이 위치되는 표시창과, 저면 양측에 깊은 홈(deep recess;112)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front case;110a)를 갖는다. 그리고 저면에 2개의 제 1 받침 돌기(114)가 형성된 리어 케이스(rear case;110b)를 갖는다. 상기 깊은 홈(112)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10a)의 보강을 위한 리브들상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120)는 상기 깊은 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110a)에 고정된다. 상기 홀더(120)는 상기 깊은 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면(120a)에는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의 홀(122)은 타원형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반원의 제 1 내주면(122a)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내주면(122b)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내주면(122a)과 마주보는 홀더(120)의 측면(120b)에는 상기 홀(122)과 연통되는 오프닝(1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20)의 외면에는 상기 레버(140)의 고정부분(142)이 결합되는 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컴퓨터 본체(110)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화면(102)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모니터 본체(110)의 전면 부분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130) 각각은 상기 홀더(120)의 홀(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리고 상기 홀(122)에 삽입되는 기둥부분(132)과, 그 기둥 부분(132)의 끝단부에는 설치면에 놓여지는 받침부분(1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 부분(134)은 투명한 구슬 형상으로 그 외면에는 다수개의 수직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홈(136)들은 상기 지지대(130)의 디자인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추후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지지대(130)를 돌릴 때 사용자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상기 지지대(130)는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다.
상기 레버(140)는 상기 오프닝(124)을 통해 상기 홀(122)상에 위치되는 누름 부분(144)과 상기 누름 부분(14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 부분(142) 그리고 상기 누름 부분(144)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분(1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부분(142)은 ' ㄷ' 자 형태로 그 양단에는 각각 상기 홀더(120)와의 결합을 위한 후크(1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누름 부분(144)은 상기 홀(122)에 삽입된 상기 지지대(130)의 기둥부분(132)이 상기 제 1 내주면(122a)에 밀착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대(130)의 기둥부분(132)을 상기 제 1 내주면(122a) 쪽으로 눌러준다.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140)의 손잡이 부분(146)을 'a'방향으로 당겨 상기 누름 부분(144)을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지지대(130)의 기둥부분(132)이 상기 제 1 내주면(122a)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RT 모니터(100)에서 상기 모니터 본체(11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지대(130)에 의해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140)를 당겨 상기 지지대(130)의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모니터 본체(110)의 높낮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사용자에 필요에 따라 상기 모니터 본체(110)에/로부터 설치/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a)에는 상기 깊은 홈(112)과 근접한 저면에 각각 제 2 받침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받침 돌기(116)는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30)를 상기 모니터 본체(110)에 설치된 홀더(120)에 장착하지 않았을 때, 상기 지지대(130) 대신 상기 모니터 본체(110)의 전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13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니터 본체(110)는 표시화면(102)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면에 놓여지게 된다.
예컨대, 상기 모니터 본체(110)의 프론트 케이스(110a)와 리어 케이스(110b)는 속이 들어다 보이는 투명/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몰론, 상기 지지대(130)도 투명한 케이스들과의 통일성을 위해서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은 홀더와, 투명한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해제할 수 있는 레버를 갖는데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 모니터 본체의 미세한 높낮이 조절과 급격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과 투명성을 가짐으로 투명 케이스의 디자인과 조화될 수 있으며(디자인 향상), 원가 절감에 따른 경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고 제품 크기가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30)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니터 본체(110)는 상기 제 1 받침 돌기(114)와 제 2 받침 돌기(116)에 의해 지지되며, 이때 상기 모니터 본체(110)는 설치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여기서 그 기울기는 상기 제 1 받침 돌기(114)와 제 2 받침 돌기(116)의 형성 높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c는 모니터 본체의 높낮이 조절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130)의 기둥부분(132)이 상기 레버(140)의 누름부분(144)에 의해 상기 제 1 내주면(122a)에 밀착되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300는 회전에 의한 직선운동(나사운동)으로 일정한(미세한) 상하 이동만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30)의 상하 조절을 신속하게 또는 이동 간격을 크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7a에서와 같이, 원하는 만큼 컴퓨터 본체(110)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30)의 기둥부분(132)이 상기 제 1 내주면(122a)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손으로 상기 레버(140)의 손잡이부분(146)을 화살표('a')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누름 부분(144)을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홀더(120)의 홀(122)에서 빠지게 된다.(도 7b 참조) 도 7c에서와 같이, 손으로 당기고 있던 상기 레버(140)의 손잡이부분(146)을놓으면, 상기 지지대(130)는 기둥부분(132)이 상기 제 1 내주면(122a)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CRT 모니터(100)는 상기 지지대(130)의 회전에 의한 미세한 직선 이동과 상기 레버(140)를 젖힌 상태에서의 신속한 직선 이동으로 상기 모니터 본체(110)의 표시화면(102) 각도를 적절하게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모니터 본체 전면부분의 미세한 높낮이 조절과 급격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그 높낮이 조절을 위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투명하기 때문에 투명 케이스에 잘 어울리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단순한 구성에 따른 원가 절감으로 대내,외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기존 스탠드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모니터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표시화면이 위치되는 표시창이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와, 이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갖는 모니터 본체와;
    저면과 측면을 갖으며, 상기 저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는 상기 홀과 연통되는 오프닝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오프닝을 통해 상기 홀상에 위치되는 누름 부분을 갖는 레버 및;
    상기 홀더의 홀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표시화면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모니터 본체의 전면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저면 양측에 한쌍의 깊은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깊은 홈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홀은 상기 오프닝과 마주보는 나사산이 형성된 반원의 제 1 내주면을 갖으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레버의 누름부분에 의해 눌려서 상기 제 1 내주면에 나사 체결되면 상하 이동이 나사운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를 젖혀서 상기 제 1 내주면과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누름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홀더의 외면에 결합되는 고정부분과, 상기 누름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는 외면에 상기 레버의 고정부분이 결합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홀더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홀의 제 1 내주면에 체결되는 기둥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설치면에 놓여지는 구형의 받침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의 받침 부분은 외면에 다수개의 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받침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미설치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저면에 상기 모니터 본체의 전면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받침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본체와 지지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KR10-1999-0053552A 1999-11-29 1999-11-29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KR10036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552A KR100365973B1 (ko) 1999-11-29 1999-11-29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552A KR100365973B1 (ko) 1999-11-29 1999-11-29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752A KR20010048752A (ko) 2001-06-15
KR100365973B1 true KR100365973B1 (ko) 2003-01-24

Family

ID=1962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552A KR100365973B1 (ko) 1999-11-29 1999-11-29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9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283A (ko) * 1986-08-06 1988-05-16 오오가 노리오 기록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283A (ko) * 1986-08-06 1988-05-16 오오가 노리오 기록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75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919A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wide swivel angle
KR100607505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US7336478B2 (en) Monitor apparatus
US5520361A (en) Monitor tilting device
KR20050118937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60985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13886A (ko)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KR100365973B1 (ko)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JP2000250418A (ja) 薄型表示装置のチルト機構
KR100365974B1 (ko)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JP2008507444A (ja) モニタ用傾き調節装置
KR100715729B1 (ko) 액정 tv 모니터용 스탠드장치
KR20010048751A (ko) 디스플레이 모니터 장치
KR20000014404U (ko) 피디피 티브이의 벽고정 장치
KR10054560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구조
JPH06318289A (ja) 表示装置
KR102323485B1 (ko)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구조
KR0133729Y1 (ko) 화상표시장치의 회동기구
KR200221231Y1 (ko) 평판 디스플레이의 풋 스탠드 구조
KR20000073609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엘씨디 모니터
KR20020068184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75685Y1 (ko)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100305971B1 (ko) 평판영상표시기기의높이조절장치
KR100257727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19990018422U (ko) 다각도 회전이 가능한 평판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