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532B1 -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532B1
KR100362532B1 KR1020000035795A KR20000035795A KR100362532B1 KR 100362532 B1 KR100362532 B1 KR 100362532B1 KR 1020000035795 A KR1020000035795 A KR 1020000035795A KR 20000035795 A KR20000035795 A KR 20000035795A KR 100362532 B1 KR100362532 B1 KR 10036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internet
pcs
ser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745A (ko
Inventor
윤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먼
Priority to KR102000003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5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5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31Distributed shared memory [DSM], e.g. remote direct memory access [RDM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77Initialisation or configuration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인터넷 PC방의 환경을 이용하여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PC방의 휴면 PC의 CPU와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활용해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및 WSP, DB Back-Up, 미러링(Mirroring), 에이전트(Agent)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PC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망(Internet Cloud)을 중심으로 본사에서는 메인 웹 전용 관리 서버와 그에 따른 DB 서버, 인터넷 PC방에서는 서브-메인 서버 역할을 하는 카운터 PC가 각각 연결되고, PC방의 개별 PC들은 직렬 혹은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카운터 PC의 관리를 받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에서 본사의 메인 서버는 서브 서버 목록과 사용 가능 지역, 사용 처리 능력을 관리하고 각 PC방의 카운터 PC에게 분산 명령 처리를 내리는 역할을 하며, PC방의 카운터 PC는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하위계층 PC를 관리하고 ERP(전사적 자원 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운영 기능과 PC방 내의 상거래와 인증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카운터 PC에 연결된 개별 PC들은 주어진 환경에 따라 카운터 PC의 명령 하에 데이터 프로세스 관리 서버, WSP 관리 서버, 미러링 관리 서버, 에이전트 등록 및 관리 서버, DB 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직/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 및 웹호스팅 서비스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기존의 PC방 환경에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시스템을 적용시키고, 이를 인터넷으로 묶어 하나의거대한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으로 활용하여, PC방 개별 PC들의 CPU와 하드디스크를 이용해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Data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using a series and parallel management computer structure from internet pc chamber }
본 발명은 인터넷 PC방 컴퓨팅 환경을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시스템화하여 각각의 PC들을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및 WSP용 서버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가 방대한 분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보통 단위 시간당 수백 메가의 데이터 처리 능력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고속의 처리 속도를 얻는 방법으로는 수퍼 컴퓨터와 같은 빠른 하드웨어를 직접 구현하는 방법과 프로세스를 여러개 사용하여 병렬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얻을 수 있는 성능에도 한계가 있어, 많은 컴퓨터 기술자들은 후자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하여 이를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이 방법 역시 적절한 컴퓨팅환경이 제공되지 못하여 실질적인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병렬 처리 시스템이 완벽히 구현된다 하더라도 일반 기업이나 가정용 PC환경에서는 프라이버시 문제로 실현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국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인터넷 PC방의 컴퓨팅 환경은 상업용이고 공중용으로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PC방의 전용선은 일반 가정과 같은 저속도(실제 사용량에 있어서) 회선이 아닌 고속의 전용선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상업용 네트워크이므로 비교적 고품질의 망을 사용하나 업 로딩(Up Loading)과 다운 로딩(Down Loading)에 있어서 현저한 데이터 트래픽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PC방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망(Internet Cloud)(1)이 라우터 및 허브(2)를 통해 제1PC방(4), 제2PC방(5), 제3PC방(6) 등의 각 PC들과 연결되어 운영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었으며, 도면에서 3은 데이터 처리용 서버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인터넷 망(1)에서 다수의 PC방(4-6) 쪽으로 보내는 데이터의 양과, 반대로 다수의 PC방(4-6)에서 인터넷 망(1) 쪽으로 보내는 데이터 양이 9:1 정도의 비율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종래의 PC방 운영에 있어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PC방의 CPU와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PC방 휴면 PC들의 CPU와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활용해 PC방과 인터넷 망간의 데이터 트래픽의 격차를 줄이고 공중용 PC방에서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와 웹호스팅, 미러링(Mirroring), 에이전트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PC방의 각각의 PC들을 직/병렬 연결하고 각 카운터 PC를 인터넷 망에 연결시켜 본사의 메인 웹 전용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인터넷 PC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지식 정보 처리와 DB 백업, WSP, 미러링, 에이전트 등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넷 PC방과 인터넷 망과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통한 인터넷 PC방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PC방에서의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PC방에서의 WSP '쓰기' 수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PC방에서의 WSP '읽기' 수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PC방에서의 미러링을 통한 '쓰기' 수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PC방에서의 미러링을 통한 '읽기' 수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PC방에서의 에이전트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PC방에서의 DB MS 구현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인터넷망 20:메인 웹 전용 관리 서버
30:DB서버 40:라우터 및 허브
60-80: PC방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인터넷 망과, 상기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서브 서버 목록 및 사용가능 지역, 사용 처리 능력을 관리하고 각 PC방의 카운터 PC에 분산 처리 명령을 내리는 메인 웹 전용 관리 서버와, 상기 메인 웹 서버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구성된 본사 시스템과, 상기 인터넷 망에 공통 연결되어 병렬 구조로 연결된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을 관리하고 ERP 프로그램을 통한 운영과 상거래 및 인증 처리 등을 수행하며 서브 메인 서버 역할을 하는 카운터 PC와, 상기 카운터 PC의 관리 하에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및 WSP, ASP 등의 기능을 하는 개별 PC들을 포함하는 인터넷 PC방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 인터넷 망(10)과, 상기 인터넷망(10)과 접속되어 서브-서버 목록을 기록하고 사용가능 지역을 관리하며 사용처리 능력을 관리하고 분산 명령 처리하는 메인 웹 전용관리 서버(20), 상기 메인 웹 전용관리 서버(20)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30)로 된 본사 시스템과, 상기 인터넷망(10)과 PC방(60)사이에 접속되어 신호를 스위칭 및 접속시키기 위한 라우터 및 허브(40), 상기 라우터 및 허브(40)에 접속된 다수의 제1내지 제3PC방(60-80)으로 구성되는 PC방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단, 상기 본사 시스템과 PC방 시스템에는 요청 목록 관리DB, 위치 탐색 DB, 오류확인 DB, WSP관리 DB, 용량 측정 DB,위치 탐색 DB, WSP관리 DB, 미러링 관리 DB, PC방 관리 DB, 용량 측정 DB, 속도 측정 DB, 분배 방식 결정 DB, 분산 명령 DB, 에이전트 관리 DB, 결과 수집 DB, 속도 측정 DB, 데이터 베이스 관리 DB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PC방(60)은 서브 메인 서버이며 하위계층의 PC를 관리하고 EPR개념의 PC방 운영을 주도하며 상거래 및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카운터 PC(61)와, 상기 카운터 PC(61)에 LAN으로 접속되는 데이터 프로세스 관리 서버PC(62)와, WSP관리용 PC(63)와, 밀러링(Mirroring:백업)관리용 PC(64)와, 에이전트 등록 및 관리용 PC(65)와, DB MS PC(66)가 각각 병렬 접속되어 구성되며, 상기 DB MS PC(66)와 ASP용 프로그램 PC(67)가 직렬 접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PC(62-66)는 제1PC방(60)의 다수의 PC(50)와 각각 접속되어 데이터 처리용 에이전트,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 MS프로그램, 밀러링 처리, 에이전트+데이터 베이스 목차+디스크 스페이스 관리, 검색 데이터 베이스,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관리 등을 수행한다.
즉, 개별 하위 PC들은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데이터 프로세스 관리 서버, WSP 관리 서버, 미러링 관리 서버, 에이전트 등록 및 관리 서버, DB MS 서버를 포함하고, DB MS 서버는 ASP 프로그램을 가진 PC와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지며, 이는 다른 다수의 PC들과 직/병렬로 연결되어 환경에 따라 수용 능력을 조절하여 각각의 주어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메인 웹 전용 관리 서버(20)와 DB 서버(30)로 구성된 본사 시스템에서는 각 인터넷 PC방의 카운터 PC(61)와의 연결을 통해 개별 PC방의 모든 PC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같은 시스템을 통한 본사의 역할은 각각의 카운터 PC(61)의 목록을 관리함으로써 지역 조건 및 CPU와 하드 디스크의 용량 면에서 사용 처리 능력이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가진 PC들을 파악하고 작업의 적절한 분배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분산 명령 처리를 내리고 결과를 취합하는데 있다.
상기의 본사 시스템과 같은 역할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것은, 각 PC방에 잇는 카운터 PC(61)가 본사 메인 서버(20)의 통제 하에 서브 메인 서버의 기능을 하며, 본사측에는 개별 PC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전달해 주고 개별 PC들에게는 본사에서 전달받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를 내려줌으로써, 하위 PC들을 관리해 본사 메인 웹 서버의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카운터 PC(61)는 서브 메인 서버의 역할을 하며 하위 계층의 PC들을 관리하는 것 뿐만 아니라, ERP 프로그램을 통해 PC방의 모든 자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PC방 내의 상거래를 관리하며 인증 처리의 기능까지 가진다.
PC방의 다수의 PC와 각각 직/병렬 접속되어 있는 상기 각각의 PC는 데이터 처리용 에이전트,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 MS 프로그램, 미러링 처리, 에이전트+데이터 베이스 목차+디스크 스페이스 관리, 데이터 베이스 검색,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 관리 등을 수행한다.
즉, 상기의 발명은 전국에 운영되고 있는 PC방의 카운터 PC(61)를 인터넷 망(10)을 통하여 본사 시스템(메인 웹 전용 관리 서버(20)+DB 서버(30))과 연결하고, 각 PC방(60-80)의 다수의 PC들은 직/병렬 접속으로 연결한 거대한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으로,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중앙 집중된 방대한 데이터를 지역별로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해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 받은 데이터를 최적의 방식으로 여러 PC의 CPU와 하드 디스크로 분배/할당을 함으로써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대한 분량의 데이터까지 빠른 시간에 처리 가능하다.
본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의 처리 요청을 받고, 각 PC방의 관리 서버에게 사용 가능한 PC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1,S2).
상기 S2단계에서 원하는 용량을 가진 가용 PC들이 없을 경우 다시 요청을 받고, 가용 PC가 있을 경우에는 최적화된 분배 방식을 결정하고, 여기서 분배 방식이결정되면 PC방 관리 서버로의 분산을 통한 하위 PC(CPU Hard Disk)들로의 작업 할당이 이루어진다(S3-S6).
상기의 S6단계에서 하위 PC들의 작업 수행에 문제가 있을 경우는 최적화된 분배 방식을 다시 결정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는 본사 시스템을 통해 취합된 후 클라이언트에게 보고된다(S7-S10).
도 4A와 도 4B는 WSP에서의 '쓰기'와 '읽기' 수행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본사의 서버에는 PC방 개별 PC들의 가용 용량과 그들이 저장하고 있는 특정 파일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PC방 관리 서버의 인덱스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며, 이러한 시스템은 각 PC방의 관리 서버가 직/병렬 연결된 다수의 개별 PC들의 하드 디스크 용량과 저장된 파일의 위치를 파악하고 본사에게 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4A의 '쓰기'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업 로드(Upload) 시도 요청이 아니고 단순히 서버에 대한 임대 요청인 경우, 본사에서는 인덱스 테이블을 통해 가용 용량 및 사용 가능 위치를 확인하고 파일 저장이 가능할 경우 지정된 개별 PC들에 요청 받은 파일을 저장한다(S21-S25).
상기 S24단계에서 파일의 저장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한번 인덱스 테이블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한다.
상기 S21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업 로드 시도 요청이 아니고 이미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요청일 경우, 인덱스 테이블을 통해 PC방 레벨에서의 파일 위치를 파악하고, 다시 개별 하위 PC 레벨에서 파일의 위치를 파악한 후,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PC에 이상이 없으면 클라이언트에게 요청된 파일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의 업 데이트 작업이 수행된다(S26-S32).
그러나 요청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PC에 문제가 있을 경우 동일한 파일이 이미 백업되어 있는 다른 PC로 이동하여 클라이언트에게 파일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에서 이미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요청이 아니라 새로운 파일에 대한 추가 요청일 경우, 본사 시스템에서는 기존 파일과 연계 가능한 옵티멀(Optimal)한 위치를 확인하고, 새로운 파일 저장이 가능하다면 지정된 개별 PC에 요청 받은 새로운 파일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S33-S36).
상기의 S35단계에서 파일 저장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다시 옵티멀한 위치에 대한 확인 작업을 한다.
도 4B는 WSP에서의 '읽기' 수행 과정으로, 사용자에게서 특정 파일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은 본사는 보유되어 있는 인덱스 테이블을 통해 필요한 파일의 위치를 파악하고, 필요한 파일이 저장된 PC에 이상이 없을 경우 요청된 파일을 보유한 PC방 관리 서버에게 파일 전송 요청을 한다(S40,S41,S44,S46).
또한, PC방 관리 서버는 개별 하위 PC들에게 지정된 파일에 대한 요청 명령을 내리고, 개별 PC에 저장되어 있던 파일은 다시 PC방 관리 서버를 통해 본사 서버로 전송되며, 이것은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44-S46).
상기 S41단계에서 필요한 파일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재시도를 통해 다시 작업을 수행하며(S42,S43), 상기 S44단계에서 필요한 파일이 저장된 PC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필요한 파일이 백업되어 있는 다른 PC로 이동한다(S45).
도 5A와 도 5B는 미러링을 통한 '쓰기'와 '읽기' 수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로, 미러링이란 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오리지널 파일(Original File)과 동일한 데이터를 각각의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다른 서버들에 복사해 저장하는 것으로, 이것은 하나의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수가 많을 경우에, 사용자와 동일한 지역 범위에 있고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로 연결하는 것을 통해 로컬라이제이션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의 트래픽(Traffic)을 막아 서비스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발생했을 시에 다른 서버가 대신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기능을 해 준다.
도 5A의 미러링을 통한 '쓰기' 과정에서, 기존 파일에 대한 요청이 아니라 오리지널 파일에 대한 특정 지역 서버(PC방 관리 서버)로의 클라이언트의 복사 요청일 경우, 가용 용량과 적절한 위치의 파일 저장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고 없을 경우에는 다시 환경에 적합한 요청을 받고, 적절한 공간이 있으면 복사된 파일의 저장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정된 PC방 서버를 거쳐 가능한 개별 PC들로의 파일 전송 및 저장을 통한 복사(mirror)를 수행한다(S50-S54).
그러나 복사된 파일의 저장이 어려운 경우에는 사용 가능한 용량을 가진 다른 위치의 PC가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확인해 보아야 한다.
상기 S50단계에서 기존 파일의 업데이트로 인한 다른 지역 서버로의 미어링 요청일 경우에는, 업데이트가 요구되는 특정 지역 PC방의 관리 서버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업데이트가 요구되는 파일이 저장된 PC에 이상이 없을 경우 위치가 확인된 특정 지역 PC방 관리 서버로 업데이트된 파일을 전송하여 기존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개별 PC들로의 분배 및 저장을 통해 기존 파일을 업데이트된 새로운 파일로 교체한다(S54-S59).
여기서, 상기 S56단계에서, 업 데이트가 요구되는 파일이 저장된 PC에 이상이 있을 경우 기존 파일과 동일한 파일이 백업되어 있는 다른 PC로 이동한다(S60).
또한, 상기 S55단계에서, 특정 지역 PC방 관리 서버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는 재시도를 통하여 재시도에 성공했을 경우 상기 S56단계를 수행한다(S61,S62).
미러링을 통한 '읽기' 수행 과정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사용자의 특정 파일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있으면, 본사는 최적화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서버(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와 동일한 지역 공간에 있는 PC방의 관리 서버)의 위치를 파악하고, 요청된 파일이 저장된 PC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한다(S70-S72).
여기서 PC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요청한 파일과 동일한 파일이 저장(Mirror)되어 있는 다른 지역(비교적 근접한 지역)의 PC방 관리 서버로 이동하여 개별 하위 PC들에게 요청된 파일에 대한 제공을 명령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바로 파일 제공을 명령한다(S73,S74).
또한, 요청된 파일은 개별 PC로부터 PC방 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75).
상기 S71단계에서 서버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 재시도를 하여 재시도에 성공시 상기 S72단계를 수행한다(S76-S78).
상기의 과정은 인터넷 PC방 환경에서의 미러링을 통한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 기능 수행을 나타낸 것으로, 각 지역별로 분포해 있는 PC방으로의 데이터에 대한 미러링을 통해, 하나의 중앙 서버로 트래픽(Traffic)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보다 빠른 속도의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에이전트 등록 및 관리 서비스 과정을 도시해 놓은 플로우 차트로, 사용자의 행동 양식을 관찰하고 학습하여 정보 스페이스(Information Space)에서 사용자를 대표하고 학습된 사용자의 행동 양식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야할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해 주는 에이전트 역할에 대한 등록과 관리를 인터넷 PC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해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에이전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받고, 각 PC방의 관리 서버에게 사용 가능한 PC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80, S81).
그리고 원하는 용량을 가진 가용 PC들이 없을 경우 다시 요청을 받고, 가용 PC가 있을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 받은 처리 속도에 부합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속도에 알맞으면 에이전트 서비스를 위한 최적화된 분배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분배 방식대로 PC방 관리 서버로의 분산을 통한 하위 PC(CPU Hard Disk)들로의 에이전트 작업 할당이 이루어진다(S82-S85).
그러나, 상기 S83단계에서 요청 받은 처리 속도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한번 클라이언트로부터 그에 적절한 요청을 받는다.
에이전트 서비스에 대한 작업 할당 후, 상기 하위 PC들의 작업 수행에 문제가 있을 경우는 최적화된 분배 방식을 다시 결정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에이전트 작업을 수행하고, 등록된 에이전트에 대한 관리를 하게 된다(S86-S88).
이때, 에이전트에 대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되는지를 확인하여, 관리 수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재차 관리 과정을 거치고,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에이전트 결과를 취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고한다(S89-S91).
도 7은 DB 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구현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사 시스템은 인터넷 망을 통해 인터넷 PC방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 및 웹호스팅 등의 각각의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이것은 본사 시스템만의 일방적인 관리와 통제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본사 메인 서버의 역할을 보조해주는 각 PC방의 서브-메인 서버(카운터 PC)와, 병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여러 기능들을 관리해 주는 하나의 작은 서버 역할을 하는 개별 PC들, 그리고 상기의 작은 서버 역할을 하는 개별 PC와 연결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병렬 접속의 다수의 PC들이 역할을 적절히 분담하고 상호간에 Data의 효율적인 전송을 수행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거대한 네트워크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DB MS 구현의 과정은 도시된 도 7과 같다.
본사는 클라이언트 및 사용자로부터 파일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받게 되는데, 이는 크게 데이터 프로세서 처리 요청, WSP 서비스 요청, 미러링 요청, 에이전트 서비스 요청 등으로 구분된다(S100-S104).
본사는 요청 받은 서비스 종류에 따라, 그 내용이 "쓰기"에 대한 서비스 요청인지 "읽기" 에 대한 서비스 요청인지를 파악해, "쓰기"일 경우에는 사용 가능 위치(지역) 및 사용 처리 능력(용량)에 대한 파악을 통해 서비스 수행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경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처리 속도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각 인터넷 PC방의 현재 환경이 요청 받은 처리 속도에 적합하다면 분산 명령 처리를 내리고, 환경이 적절하지 못하다면 다시 그에 맞는 서비스 요청을 클라이언트에게 요구한다(S105-S109).
상기의 S109단계에서 분산 명령 처리가 내려지면 최적화된 분배 방식인지를 고려해, 각 PC방 관리 서버로의 분산을 통한 개별 하위 PC들로의 작업 할당이 이루어지고, 본사 시스템 및 인터넷 PC방 시스템의 종합적인 데이터 베이스 관리가 수행된다(S110,S111).
그러나, 상기 S105 단계에서 서비스 요청이 "읽기"에 대한 것일 경우, 최적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하고 파일이 저장된 PC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이상이 없으면 지정된 개별 PC들은 PC방 관리 서버를 통해 요청된 파일을 제공하게 되고 본사 시스템 및 인터넷 PC방 시스템의 종합적인 데이터 베이스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S112-S114, S116 ).
이때, 이상이 있을 시에는 파일이 백업되어 있는 다른 PC로 이동할 수 있다(S115).
상기의 DB MS 구현은 거대한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을 관리하는 본사의 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각각의 단계별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 PC방은 관리 서버 외에 병렬 연결된 개별 PC 중 하나를 DB MS 서버로 이용하여야 하며, 이것의 구현을 위해 ASP 프로그램도 연동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인터넷 PC방 환경에서 분산 메모리 직/병렬 컴퓨터 구조로 인해 수행되는 각종 기능들은 본사 시스템 및 인터넷 PC방 시스템의 종합적인 데이터 베이스 관리(DB MS)로 인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인터넷 PC방 환경에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시스템을 도입, 본사의 메인 웹 서버와 연결된 각 PC방의 카운터 PC의 관리를 통해 쉬고 있는 개별 PC들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종래의 수퍼 컴퓨터와 같이 막대한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데이터 처리 및 웹호스팅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가의 고성능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은 WSP나 ASP,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업체의 비용을 절감시켜줄 뿐만 아니라 기존 인터넷 PC방의 수익 구조 개선에도 이바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인프라(Network Infra)가 아직 구성되지 않았거나 구성되었더라도 지역 특성상 어려운 경우(중국 등)에 PC방 환경을 지역 데이터 서비스 프로그램의 직렬/병렬 처리용으로 제공해 방대한 데이터의 중앙 집중에 따른 효율적인 분산 처리를 가능하게 해줌으로 종래의 컴퓨터에서 처리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비용이나 프라이버시 문제, 속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통상의 인터넷 망과,
    상기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서브 서버 목록 및 사용가능 지역, 사용 처리 능력을 관리하고 각 PC방의 카운터 PC에 분산 처리 명령을 내리는 메인 웹 전용 관리 서버, 상기 메인 웹 서버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구성된 본사 시스템과,
    상기 인터넷 망에 공통 연결되어 병렬 구조로 연결된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을 관리하고 ERP 프로그램을 통한 운영과 상거래 및 인증 처리 등을 수행하며 서브 메인 서버 역할을 하는 카운터 PC, 상기 카운터 PC의 관리 하에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및 WSP, 미러링, 에이전트 서비스, DB MS 등의 기능을 하는 개별 PC들을 포함하는 인터넷 PC방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방 시스템이, 국내에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고 상업용 및 공중용으로 제공되는 인터넷 PC방 환경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터넷 PC방 환경이, 카운터 PC인 서브 메인 서버와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간에 분산 메모리 직/병렬 컴퓨터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PC방 시스템의 카운터 PC가, 본사 메인 서버의 역할을 대신하는 서브 메인 서버 역할을 하여, 병렬 구조로 연결된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을 관리하고 ERP 프로그램을 통한 운영과 상거래 및 인증 처리 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PC방 시스템의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이,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웹호스팅, 미러링, 에이전트 등록 및 관리 서비스, DB MS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이,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의 기능을 하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 받은 데이터를 최적의 방식으로 여러 PC의 CPU와 하드 디스크로 분배/할당을 하기 위해 사용 가능 용량과 처리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이, WSP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본사의 서버에 PC방 개별 PC들의 가용 용량과 그들이 저장하고 있는 특정 파일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PC방 관리 서버의 인덱스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이, 미러링 기능을 하며, 이를 통해 로컬라이제이션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이, 사용자의 행동 양식을 관찰하고 학습하여 정보 스페이스에서 사용자를 대표하고 학습된 사용자의 행동 양식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야 할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해주는 에이전트 역할에 대한 등록과 관리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10. 제 4항에 있어서, 개별 하위 계층의 PC들이, 각각의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해 거대한 네트워크가 보유하고 있는 개별 인터넷 피씨방 마다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DB MS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방 시스템의 기능 수행을 위해 구성된 각각의 개별 하위 계층의 관리 서버용 PC들이, 인터넷 PC방의 환경에 따라 수용 능력이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 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KR1020000035795A 2000-06-27 2000-06-27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KR10036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795A KR100362532B1 (ko) 2000-06-27 2000-06-27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795A KR100362532B1 (ko) 2000-06-27 2000-06-27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745A KR20000058745A (ko) 2000-10-05
KR100362532B1 true KR100362532B1 (ko) 2002-11-23

Family

ID=1967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795A KR100362532B1 (ko) 2000-06-27 2000-06-27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868A (ko) 2015-02-23 2016-08-31 김성헌 원격에서 특정 좌석의 정보를 조회하고 예약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9893A (ko) 2015-03-13 2016-09-21 (주)인업 익명으로 이용하는 채팅 서비스, 메시지 전달 서비스 또는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6689B1 (en) * 1998-04-20 2008-03-18 Sun Microsystems, Inc. Computer architecture having a stateless human interface device and methods of 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868A (ko) 2015-02-23 2016-08-31 김성헌 원격에서 특정 좌석의 정보를 조회하고 예약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9893A (ko) 2015-03-13 2016-09-21 (주)인업 익명으로 이용하는 채팅 서비스, 메시지 전달 서비스 또는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745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11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b based storage on-demand distribution
US7007048B1 (en) System for information life cycle management model for data migration and replication
RU2585981C2 (ru) Крупномасштабная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US71714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olicies in an enterprise
KR100974149B1 (ko)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정보 유지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7962609B2 (en) Adaptive storage block data distribution
US74443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 handling in an enterprise
US74410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olicies
US20040225659A1 (en) Storage foundry
US8352434B2 (en) Performing scheduled backups of a backup node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agent nodes
US7216148B2 (en) Storage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lers
US200401534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data storage capacity
US80419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control of storage media in a network environment
KR100985443B1 (ko) 시퀀스 관리 장치, 데이터 백업 방법, 데이터 백업 클라이언트, 데이터 백업 시스템,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장치 및 데이터 백업 장치
US200500913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ically zoning storage area networks based on policy requirements
US20020194324A1 (en) System for global and local data resource management for service guarantees
JP2003248611A (ja) 記憶管理統合システム、および、その記憶管理制御方法
JP5584910B2 (ja) 分散ストレージ
JP2000512416A (ja) ネットワーク付属仮想テープデータ記憶サブシステム
CN102844772A (zh) 管理用于共享资源的承诺的请求速率
US20030158920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supporting a level of service for an application
KR100362532B1 (ko) 인터넷 피씨방 환경에서의 분산 메모리 직/병렬 처리컴퓨터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EP1860846B1 (en) Method and devices for managing distributed storage
JP4981412B2 (ja)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管理装置ならびにサーバ
CN116360875A (zh) 一种高可用性的配置中心服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