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148B1 -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148B1
KR100362148B1 KR1019990059326A KR19990059326A KR100362148B1 KR 100362148 B1 KR100362148 B1 KR 100362148B1 KR 1019990059326 A KR1019990059326 A KR 1019990059326A KR 19990059326 A KR19990059326 A KR 19990059326A KR 100362148 B1 KR100362148 B1 KR 10036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nnection
base station
informa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905A (ko
Inventor
김성일
박남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1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발,착신시에 호의 방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거나, 통신 시스템과의 접속 성공 여부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알려주기에 적당하도록 한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은 휴대폰에서 접속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의 접속시도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접속 프로브 시퀀스간의 지연 정보, 상기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숫자 정보 및 상기 접속 시도에 필요한 상기 휴대폰의 송신 전력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폰이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 가능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과 기지국의 접속 가능성을 상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대폰 사용자가 호 진행 방향이나 접속 성공 가능성 여부를 휴대폰을 통해 알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Call process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폰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의 발,착신시에 호의 방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거나, 통신 시스템과의 접속 성공 여부를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알려주기에 적당하도록 한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발신시 혹은 착신시에 호(call)의 방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방법은 아직까지는 없으며, 통화성공 가능성 표시에 있어서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접속 프로브 시퀀스(Access probe sequence)간의 지연(Delay)과, 시스템 접속 요청을 위한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숫자만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휴대폰은 접속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을 시도할 때 기지국에서 전송된 페이징 채널에서 수신한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접속 시도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전송된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서 정해진 초기 송신 전력으로 기지국에 접속 관련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이 되지 않으면 다시 전력을 조금 증가시켜 접속을 시도하며, 이를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다가 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면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접속을 시도한다. 즉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접속 시도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하나의 접속 시도 단위를 접속 프로브라 하며, 여러 개의 접속 프로브는 접속 프로브 시퀀스라는 단위로 묶여진다. 그리고 접속 프로브 시퀀스 사이의 지연 역시 랜덤(random)한 값으로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의 BK(Back) OFF 값에 의해 지배된다. 여기서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개수는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의 최대 요구 시퀀스(MAX_REQ_SEQ)나 최대 응답 시퀀스(MAX_RSP_SEQ)로 제한된다.
종래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접속 프로브 시퀀스(Access probe sequence)간의 지연(Delay) 정보와, 시스템 접속 요청을 위한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개수 정보만을 시스템 접속 시도(probe)시 접속 성공 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팩터(factor)로 이용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휴대폰의 통화 성공 가능성 표시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휴대폰은 송수신을 위한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고주파/중간주파(RF/IF) 처리부(2)와, 상기 고주파/중간주파 처리부(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1)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열(Bit Stream)로 변환하여 제어부(1)에 비트열을 전달하거나, 제어부(1)에서 수신된 비트열을 1차 중간 주파 변환후 고주파/중간주파 처리부(2)에 송신하는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부(3)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있거나,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4)와, 음성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마이크부(7) 및 스피커(8)와, 사용자 음성의 진동파형을 전기파형으로 변환하는 마이크부(7)로부터 전송된 전기파형을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1)로 전송하거나, 제어부(1)에서의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전기파형으로 변환하여 스피커(8)로 전송하는 코덱(CODEC(Coding/Decoding))(6)과, 사용자의 숫자 및 문자 정보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로 전송하는 키패드(9) 및 제어부(1)에서 송신된 숫자 및 문자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휴대폰의 통화 성공 가능성 표시 방법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통화 성공 가능성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휴대폰의 통화 성공 가능성 표시 방법은 시스템(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접속 프로브 시퀀스간의 지연 정보와 시스템 접속 요청을 위한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숫자(개수)만을 이용하였는데, 통화 성공 가능성은 접속 프로브간의 지연(delay) 정보에 반비례하고, 접속 프로브의 최대숫자정보에 비례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통화 성공 가능성을 평가(모니터링)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통화 성공 가능성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막대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하여 통화성공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종래 휴대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에게 통화 발착신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둘째, 통화성공 가능성이 접속 프로브 시퀀스간의 지연에 반비례하고, 접속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에 비례한다는 점에 착안한 2가지 파라미터만으로 통화성공 가능성을 평가하므로 정확한 통화성공 가능성 여부를 알기 어려웠고, 특히 휴대폰 사용자에게는 통화성공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폰 사용자에게 휴대폰의 발착신 방향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사용자에게 통화 성공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때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력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표시하므로 정확한 통화성공 가능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휴대폰에서 접속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의 접속시도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접속 프로브 시퀀스간의 지연 정보, 상기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숫자 정보 및 상기 접속 시도에 필요한 상기 휴대폰의 송신 전력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폰이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 가능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과 기지국의 접속 가능성을 상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사용자는 발,착신에 대한 방향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볼 수 있으며, 통화성공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휴대폰의 통화 성공 가능성 표시 방법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통화 성공 가능성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디스플레이부 12 : 휴대폰
13 : 기지국 14 : 통화성공 가능성 표시 그래픽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은 크게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에서 기지국으로 발신 호가 발생하는 경우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휴대폰으로 착신 호가 발생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는 기지국(13)과 휴대폰(12)모양의 그래픽은 휴대폰의 메모리(4)에 미리 저장시킨 것을 이용한다.그리고, 휴대폰의 제어부(도 1의 1)에서는 휴대폰에서 기지국으로의 발신 호 발생시에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래팩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해주고, 기지국(13)에서 휴대폰으로 착신 호가 발생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래픽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해준다.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은 휴대폰에서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발신 호를 발생하는 것을 표시하는 도 5a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휴대폰으로 착신 호가 발생하는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서 상기 발신 호 또는 착신 호에 대한 성공 가능성 여부에 대하여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접속 프로브 시퀀스간의 지연 정보, 상기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숫자 정보 및 최초 송신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한다.
우선,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셀룰러 휴대폰(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준 규격인 IS-95A에 의하면 휴대폰에서 접속 채널(Acces Channe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을 시도할 때 기지국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 전송된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Access Parameter Message)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한다.
휴대폰은 랜덤 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접속을 시도하며,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초기 송신 전력 옵셋 및 공칭(Nominal) 송신 전력 옵셋에 의하여 정해지는 최초 송신 전력으로 접속에 실패할 경우 휴대폰은 임의의 시간이 지난 후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에 있는 전력 증가 값만큼 송신 전력을 증가시켜 접속을 시도한다. 이러한 접속 시도는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에 담겨 있는 NUM_STEP+1번만큼 이루어진다.
이때 하나의 접속 시도 단위를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 프로브라고 하며, NUM_STEP+1번 개의 접속 프로브는 다시 접속 프로브 시퀀스라는 단위로 묶여지고, 접속 프로브 시퀀스 사이의 지연 역시 랜덤한 값으로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의 BKOFF(Back OFF)만큼 이루어진다. 또한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개수는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의 최대 요구 시퀀스(MAX_REQ_SEQ)나 최대 응답 시퀀스(MAX_RSP_SEQ)로 제한된다.
따라서 접속 프로브 시퀀스 사이의 지연과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개수가 시스템 접속 시도시 접속 성공 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팩터(Factor)가 되며,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 송신 전력을 더 포함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접속 프로브 시퀀스 사이의 지연 정보와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숫자 정보와 함께 추가적으로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의 NOM_PWR(Nominal Power), INTI_PWR(Initial Power), PWR_STEP(Power STEP), NUM_STEP(Number Step)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접속 성공 가능성을 평가한 후 호의 방향과 함께 접속 성공 가능성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9)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NOM_PWR(Nominal Power)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이징 채널의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인 공칭송신전력이고, INTI_PWR(Initial Power)) 역시 페이징 채널의 접속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인 초기송신전력이며, PWR_STEP(Power Step) 및 NUM_STEP(Number Step)은 NOM_PWR(Nominal Power) 및 INTI_PWR(Initial Power)로 정해진 최초 송신전력으로 접속이 되지 않은 경우 접속 시도를 위해 설정된 전력 증가 단위 및 접속 시도 횟수이다.
이때 하나의 접속 프로브 시퀀스 내에서 시스템 접속 시도를 위한 초기 개루프 전력값(Initial Open-Loop Power)는, -73(dBm)-평균 수신 전력(dBm)+NOM_PWR(dBm)+INTI_PWR(dBm)로 결정되고, 이후의 송신 전력은 NUM_STEP번만큼 PWR_STEP 단위로 증가한다. 따라서 이로부터 최대 송신 전력을 알 수 있으며, 접속 프로브 시퀀스 사이의 지연과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개수 외에 추가로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이용하므로 시스템 접속 성공 가능성이 더욱 정확해 진다.
이때, 접속 프로브 시퀀스 사이 지연의 범위는 0-16 슬롯(slot)이므로 통화를 위한 시스템 접속 시도시의 시스템 접속 성공 가능성은, 접속 프로브의 최대 송신 전력*(17-접속 프로브 시퀀스 사이의 지연(0-16)*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개수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통화를 위한 시스템 접속 시도시 접속 성공 가능성을 평가하여 호의 방향성과 함께 접속 성공 가능성을 표시한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는 기지국(13)과 휴대폰(12)모양의 그래픽은 휴대폰의 메모리(4)에 미리 저장시킨 것을 이용하며, 통화성공 가능성 표시 그래픽(14)의 화살표 길이는 상기 휴대폰(12)과 기지국(13) 사이에서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성공 가능성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특징은 휴대폰(12)에서 기지국(13)으로의 발신 호 발생시(도 5a)나 기지국(13)에서 휴대폰(12)으로의 착신 호 발생시 발착신호 발생 방향과 시스템 접속 성공 가능성을 그래픽(Graphic)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휴대폰에서의 발,착신호 방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좀더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둘째, 휴대폰의 발신호 발생이나, 착신 호 발생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파라미터중 접속 프로브 시퀀스간의 지연 및 시스템 접속 요청을 위한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숫자와 최대 전력 등을 이용하므로 사용자가 성공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휴대폰에서 접속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의 접속시도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접속 프로브 시퀀스간의 지연 정보, 상기 접속 프로브 시퀀스의 최대 숫자 정보 및 상기 접속 시도에 필요한 상기 휴대폰의 송신 전력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폰이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 가능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과 기지국의 접속 가능성을 상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가능성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휴대폰과 상기 기지국을 그래픽으로 나타내고,
    상기 호에 대한 방향을 또 다른 그래픽으로 하여, 상기 휴대폰 그래픽과 상기 기지국 그래픽 사이에서 방향성을 갖도록 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가능성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휴대폰과 상기 기지국을 그래픽으로 나타내고,
    상기 호에 대한 성공 가능성 여부를 또 다른 그래픽으로 하여, 상기 휴대폰 그래픽과 상기 기지국 그래픽 사이에서 상기 성공 가능성 여부에 따라 상기 또 다른 그래픽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KR1019990059326A 1999-12-20 1999-12-20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KR10036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326A KR100362148B1 (ko) 1999-12-20 1999-12-20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326A KR100362148B1 (ko) 1999-12-20 1999-12-20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05A KR20010064905A (ko) 2001-07-11
KR100362148B1 true KR100362148B1 (ko) 2002-11-23

Family

ID=1962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326A KR100362148B1 (ko) 1999-12-20 1999-12-20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988A (ko) * 2002-10-08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호 연결 알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988A (ko) * 2002-10-08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호 연결 알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05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92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ial tone to a telephone within a wireless local loop system
US5867782A (en) Method of indicating outer communication range in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US7024162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call quality indic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in
KR100393398B1 (ko) 셀방식무선전화에서현재시각을생성하는시스템및방법
MY123598A (en) Paging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10007209A (ko) 데이터 메시지 방향 전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6192239B1 (en) Handset based automatic call re-initiation for multi-mode handsets
US61049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status information in a fixed wireless terminal
KR19990046679A (ko) 호출음과화중음선택형통신기기
JP2008109595A (ja) 通話方法自動切替システム、サー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631274B1 (en) Mechanism for better utilization of traffic channel capacity in GSM system
KR100362148B1 (ko) 휴대폰의 호 접속 정보 표시 방법
KR20020006864A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 방법
WO2002056271A3 (de) Kontaktvermittl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JPH10200957A (ja) デジタル無線電話装置
KR10038984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착신호 표시 방식 전환 방법
KR100543307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긴급구조 요청 방법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KR970055757A (ko) 페이징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079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call 실패에 따른 단문 메시지전송 방법
KR101107189B1 (ko) 반복 모닝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5965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189632B1 (ko) 셀룰라폰의 비지 메시지 표시방법
KR19980055661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통화성공 가능성 표시방법
WO2001043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fixed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