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164B1 - 대나무베개 - Google Patents

대나무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164B1
KR100361164B1 KR1020000065570A KR20000065570A KR100361164B1 KR 100361164 B1 KR100361164 B1 KR 100361164B1 KR 1020000065570 A KR1020000065570 A KR 1020000065570A KR 20000065570 A KR20000065570 A KR 20000065570A KR 100361164 B1 KR100361164 B1 KR 10036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piece
charcoal
pillo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326A (ko
Inventor
김쌍일
Original Assignee
김일심
김남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심, 김남중 filed Critical 김일심
Priority to KR102000006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1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에 대나무 숯을 내장한 대나무 베개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기존의 대나무 베개의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대편들과 대편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체를 규격화 하고, 별도의 조립 및 체결 부품이 없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대나무 베개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조가 튼튼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나무 베개는 대나무를 쪼개어 임의의 폭과, 두께와, 길이를 일정하게 가지도록 대량생산하는 본체대편(11)과 간격지지편(12)등의 대나무 가공공정, 상기 본체대편(11)들을 가지런히 모아 밀착시킨 후, 이면에 고정용 이면직물(41)을 부착하여 하나의 판재로 제작하는 표면판(40)의 제작공정, 베개의 속에 들어갈 크기의 밀폐봉투(50)에 대나무숯을 담고 입구를 막아 숯 분진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한 숯 포장공정,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베개의 양쪽 측면모양을 이루도록 한 쌍을 준비하되, 그 둘레에 등간격의 작은돌기(32)를 형성하여 그 사이 사이가 판체요입부(33)가 되도록 하고, 내경을 따라 간격지지편(12)의 끝단 삽입용 요홈(34)을 다수 형성한 대편고정대(30)의 제작공정,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상기 좌, 우 한 쌍의 대편고정대의 둘레를 각각 덮어 끼울수 있는 한 쌍의 지지판체(20) 제작공정들을 포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대나무 가공공정에서 만들어진 복수의 간격지지편(12)들을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완성된 좌, 우 양쪽 대편고정대(30)의 요홈(34)에 끼워 기본형태를 완성하는 제1차조립공정,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숯이 담긴 밀폐봉투(50)를 간격지지편(12)의 안쪽에 넣는 숯 투입공정, 상기와 같은 1차조립공정에 의해 임의의 간격으로 유지되고 있는 양쪽 대편고정대(30)의 둘레에 표면판(40)을 감합한 후, 좌, 우 양쪽에서 지지판체(20)를 끼우는 제2차조립공정을 포함하는 조립단계를 거쳐 완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베개{BAMBOO PILLOW}
본 발명은 속에 대나무 숯을 내장한 대나무 베개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부품이 없이도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작업이 매우 간단하여 대량생산에 용이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며, 본원 출원인의 선 출원 발명(특허출제 2000년 제48075호)을 개량한 것이다.
참고로 대나무는 왕성한 성장활동을 하면서 생명력이 끈질기고 곧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로 널리 사용될 뿐만 아니라 대나무기름(죽력)이나 대나무수액, 대나무껍질 등은 뇌졸증, 중풍, 기침, 파상풍, 구토 등 여러 가지 증세에 효능이 있어 인체에 유익하다고 알려지고 있다.
또한, 대나무 숯은 일반 숯보다 미세한 구멍이 많아 숯의 표면적이 1g당 약 300m2가량으로 넓기 때문에 보수성, 통기성,흡착성, 축열성이 탁월하며 특히, 인간의 우측 뇌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알파파를 발생시키므로 심신안정과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대나무와 대나무숯을 이용하여 많은 일용품을 만들고 있는데, 대나무 배게를 만들었을 경우 냄새제거 및 냉기효능이 우수한 대나무숯을 집어 넣어 수면중에 정화된 공기를 호흡하면서 기분좋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하는데, 지금 까지의 대나무 베개는 규격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대량생산이 어려우며, 제품가격을 낮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선 출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보완하고 안출한 것으로서 몇가지 개선하고자 하는 점이 나타났다.
즉, 속에 숯을 내장한 후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타입의 베개가 있기 때문에 저부 덮개와 저부덮개의 착탈에 사용되는 구조가 필요치 않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기존의 대나무 베개의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대편들과 대편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체를 규격화 하고, 별도의 조립 및 체결 부품이 없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대나무 베개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조가 튼튼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대나무를 쪼개어 임의의 폭과, 두께와, 길이를 일정하게 가지도록 대량생산하는 본체대편과 간격지지편등의 대나무 가공공정, 상기 본체대편들을 가지런히 모아 밀착시킨 후, 이면에 고정용 이면직물을 부착하여 하나의 판재로 제작하는 표면판의 제작공정, 베개의 속에 들어갈 크기의 밀폐봉투에 대나무숯을 담고 입구를 막아 숯 분진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한 숯 포장공정,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베개의 양쪽 측면모양을 이루도록 한 쌍을 준비하되, 그 둘레에 등간격의 작은돌기를 형성하여 그 사이 사이가 판체요입부가 되도록 하고, 내경을 따라 간격지지편의 끝단 삽입용 요홈을 다수 형성한 대편고정대의 제작공정,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상기 좌, 우 한 쌍의 대편고정대의 둘레를 각각 덮어 끼울수 있는 한 쌍의 지지판체 제작공정들을 포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대나무 가공공정에서 만들어진 복수의 간격지지편들을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완성된 좌, 우 양쪽 대편고정대의 요홈에 끼워 기본형태를 완성하는 제1차조립공정,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숯이 담긴 밀폐봉투를 간격지지편의 안쪽에 넣는 숯 투입공정, 상기와 같은 1차조립공정에 의해 임의의 간격으로 유지되고 있는 양쪽 대편고정대의 둘레에 표면판을 감합한 후, 좌, 우 양쪽에서 지지판체를 끼우는 제2차조립공정을 포함하는 조립단계를 거쳐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나무 베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본체대편 12 : 간격지지편
20 : 지지판체 21 : 테두리
22 : 돌기 30 : 대편 고정대
31 : 테두리 32 : 작은돌기
33 : 판체요입부 34 : 요홈
35 : 통공 40 : 표면판
41 : 이면직물 50 : 밀폐봉투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베개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따른 대나무 베개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완성된 대나무 베개는 베개의 양쪽 측면모양을 이루도록 하되, 그 테두리(31)의 외주면 둘레에 등간격의 작은돌기(32)를 형성하여 그 사이 사이가 판체요입부(33)가 되도록 하고, 간격지지편(12)의 끝단을 삽입하기 위해 테두리(31)의 내경을 따라 다수의 요홈(34)을 형성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한 좌, 우 한 쌍의 대편고정대(30)와, 상기한 좌, 우 한 쌍의 대편고정대(30)요홈(34)에 좌, 우 끝단을 끼워 이들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간격지지편(12)과, 상기한 간격지지편(12)의 속에 내장한 포장 숯과, 상기한 좌, 우 한 쌍의 대편고정대(30) 둘레에 감합하되, 대나무를 쪼개어 임의의 폭과, 두께와, 길이를 일정하게 가지도록 가공한 본체대편(11)들을 밀착 나열한 상태에서 이면에 이면직물(41)을 붙여 하나의 판체로 만든 표면판(40)과, 상기 간격지지편(12)과 표면판(40)의 사이에서 상반부에 개입시킨 발포성 합성수지재(얇은 스폰지 등)의 완충부재(60)와, 상기한 양측 대편고정대(30)의 둘레에 각각 덮어 끼운 한 쌍의 지지판체(20)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베개 제조방법은 크게 부품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부품을 조립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부품 준비단계는 대나무 가공공정, 표면판의 제작공정, 숯 포장공정, 대편고정대의 제작공정, 지지판체(20)의 제작공정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대나무 가공공정은 대나무를 쪼개어 임의의 폭과, 두께와, 길이를 일정하게 가지도록 대량생산하는 본체대편(11)과 간격지지편(12)등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표면판 제작공정은 본체대편(11)들을 가지런히 모아 밀착시킨 후, 그 이면에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이면직물(41)을 부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본체대편(11)들이 나열된 방향을 따라 유연하게 말릴 수 있다.
상기 숯 포장공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베개의 속에 들어갈 크기의 밀폐봉투(50)에 대나무숯을 담고 입구를 막아 숯 분진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대편고정대(30)의 제작공정은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베개의 양쪽 측면모양을 이루도록 한 쌍을 준비하는 것이며, 이때의 대편고정대(30)는 외곽 형상을 따라 안쪽을 향해 테두리(31)를 갖는 것으로서, 테두리(31)의 둘레에 등간격의 작은돌기(32)들을 형성하고, 이들 작은 돌기(22)들의 그 사이 사이가 판체요입부(33)가 되도록 하고, 또 테두리(31)의 내경을 따라 간격지지편(12)의 끝단을 삽입하기 위한 요홈(34)을 다수 형성한 것이다.
또한, 지지판체(20)의 제작공정도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상기 대편고정대(30)의 외측에 씌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쌍을 준비하는 것이며, 이때의 지지판체(20)는 역시 테두리(21)가 형성되어 있어 대편고정대(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조립하게 될 것이다.
이때, 대편고정대(30)에는 측벽에 다수의 통공(35)을 형성하고, 여기에 결합될 지지판체(20)의 내측벽에는 상기 통공(35)에 일치하는 다수의 돌기(22)들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본 발명의 조립단계를 설명한다.
제1차조립공정은 상기 대나무 가공공정에서 만들어진 복수의 간격지지편(12)들을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완성된 좌, 우 양쪽 대편고정대(30)의 요홈(34)에 끼워 기본형태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숯이 담긴 밀폐봉투(50)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두리(31)를 따라 배열된 간격지지편(12)들의 중앙에 넣어 주고, 간격지지편(12)의 상반부에는 스폰지로 이루어진 완충부재(60)를 얹어 준다.
제2차조립공정은 상기 제1차조립공정에 의해 임의의 간격으로 유지되고 있는 양쪽 대편고정대(30)의 테두리(21) 둘레에 표면판(40)의 양측 끝단이 얹히도록 감합하고, 이 상태에서 좌, 우 양쪽에 지지판체(20)를 끼우는 끼우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대나무 베개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대편고정대(30)의 테두리(21)를 따라 돌설된 돌기(22)들에 의해 그 사이 사이에 마련된 판체요입부(33)마다 본체대편(11)을 일일이 하나씩 끼운 다음, 좌, 우 양측에서 지지판체(20)를 끼우는 것이다.
이때는 판체요입부(33)와 본체대편(11)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부착 고정하는 것이 좋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좌, 우 양측의 대편고정대를 간격지지편으로 연결하여 베개의 틀을 잡고, 이면직물에 본체대편들을 부착하여 만든 표면판을 감싼 후, 좌, 우 양측에서 지지판체를 끼워 조립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기구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치수가 규격화 되어 있기 때문에 선 발명출원에 비해 생산성이 양호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대나무를 쪼개고 절단하여 임의의 폭과, 두께와, 길이를 일정하게 가지도록 대량생산하는 본체대편(11)과 간격지지편(12)등의 대나무 가공공정과, 상기 본체대편(11)들을 가지런히 모아 밀착시킨 후, 이면에 고정용 이면직물(41)을 부착하여 하나의 판재로 제작하는 표면판(40)의 제작공정과, 베개의 속에 들어갈 크기의 밀폐봉투(50)에 대나무숯을 담고 입구를 막아 숯 분진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한 숯 포장공정과,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베개의 양쪽 측면모양을 이루도록 한 쌍을 준비하되, 그 둘레에 등간격의 작은돌기(32)를 형성하여 그 사이 사이가 판체요입부(33)가 되도록 하고, 내경을 따라 간격지지편(12)의 끝단 삽입용 요홈(34)을 다수 형성한 대편고정대(30)의 제작공정과,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상기 좌, 우 한 쌍의 대편고정대의 둘레를 각각 덮어 끼울수 있는 한 쌍의 지지판체(20) 제작공정들을 포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대나무 가공공정에서 만들어진 복수의 간격지지편(12)들을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완성된 좌, 우 양쪽 대편고정대(30)의 요홈(34)에 끼워 기본형태를 완성하는 제1차조립공정과,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숯이 담긴 밀폐봉투(50)를 간격지지편(12)의 안쪽에 넣는 숯 투입공정과, 상기와 같은 1차조립공정에 의해 임의의 간격으로 유지되고 있는 양쪽 대편고정대(30)의 둘레에 표면판(40)을 감합한 후, 좌, 우 양쪽에서 지지판체(20)를 끼우는 제2차조립공정을 포함하는 조립단계를 거쳐 완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편고정대(30)는 베개의 양쪽 측면모양을 이루도록 하고, 그 둘레에 등간격의 작은돌기(32)를 형성하여 그 사이 사이가 판체요입부(33)가 되도록 하고, 내경을 따라 간격지지편(12)의 끝단 삽입용 요홈(34)을 다수 형성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하되, 측벽에 다수의 통공(35)을 형성하고, 여기에 결합될 지지판체(20)의 내측벽에는 상기 통공(35)에 일치하는 다수의 돌기(22)들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간격지지편(12)는 좌,우 한 쌍의 대편고정대(30) 요홈(34)에 좌, 우 끝단을 끼워 이들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간격지지편(12)의 속에 내장한 포장 숯 밀폐봉투(50)와, 상기 표면판(40)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대편고정대(30) 둘레에 감합하되, 대나무를 쪼개어 임의의 폭과, 두께와, 길이를 일정하게 가지도록 가공한 본체대편(11)들을 밀착 나열한 상태에서 이면에 이면직물(41)을 붙여 하나의 판체로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간격지지편(12)과 표면판(40)의 사이에서 상반부에 개입시킨 발포성 합성수지재의 완충부재(60)와, 상기한 양측 대편고정대(30)의 둘레에 각각 덮어 끼운 한 쌍의 지지판체(2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베개.
  3. 삭제
KR1020000065570A 2000-11-06 2000-11-06 대나무베개 KR10036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70A KR100361164B1 (ko) 2000-11-06 2000-11-06 대나무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70A KR100361164B1 (ko) 2000-11-06 2000-11-06 대나무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26A KR20020035326A (ko) 2002-05-11
KR100361164B1 true KR100361164B1 (ko) 2002-11-22

Family

ID=1969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570A KR100361164B1 (ko) 2000-11-06 2000-11-06 대나무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499B1 (ko) 2018-05-19 2019-05-29 나종일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744B1 (ko) * 2004-07-05 2006-06-22 이지석 자세교정용 매트
KR100830146B1 (ko) * 2007-03-29 2008-05-20 최문식 대나무 목베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9560A (ja) * 1988-11-19 1990-05-29 Brother Ind Ltd 顕色剤塗布装置
KR950000322U (ko) * 1993-06-19 1995-01-03 김재웅 베개
KR950000317U (ko) * 1993-06-04 1995-01-03 김재웅 베 개
KR200185101Y1 (ko) * 1999-12-09 2000-06-15 홍길선 대나무발 외피를 갖는 숯 내장형 베게
KR20000051469A (ko) * 1999-01-22 2000-08-16 최영미 베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9560A (ja) * 1988-11-19 1990-05-29 Brother Ind Ltd 顕色剤塗布装置
KR950000317U (ko) * 1993-06-04 1995-01-03 김재웅 베 개
KR950000322U (ko) * 1993-06-19 1995-01-03 김재웅 베개
KR20000051469A (ko) * 1999-01-22 2000-08-16 최영미 베개
KR200185101Y1 (ko) * 1999-12-09 2000-06-15 홍길선 대나무발 외피를 갖는 숯 내장형 베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499B1 (ko) 2018-05-19 2019-05-29 나종일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26A (ko) 200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7700C (en) Cushion assembly
US5689844A (en) Pillow
KR102438283B1 (ko) 쿠션의 제조 방법
US2609278A (en) Ornamented ophthalmic frame
KR101448715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361164B1 (ko) 대나무베개
WO20030495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rative skirting
CN101929693A (zh) 一种燃气灶锅支架及其制造方法
KR101146259B1 (ko) 보석장식판
US20060010603A1 (en) Comfort pillow
KR100353508B1 (ko) 대나무베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대나무베개
KR200258666Y1 (ko) 수납함을 구비한 대나무 베개
KR200329369Y1 (ko) 베개 구조
JPH04506015A (ja) ディスプレイクッション、その製造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セット
KR100428493B1 (ko) 건강옥돌매트
US3771828A (en) Seating and reclining furniture unit
CN210748518U (zh) 枕头
CN220778026U (zh) 一种乳胶枕
CN202873411U (zh) 一种花槽
CN213446269U (zh) 净水器主机及具有其的净水装置
JP3231384U (ja) 室内用のマット
ITBO940251A0 (it)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strisce imbottite, in particolare da impiegare come fasce perimetrali nella fabbricazione di materassi.
CN219835469U (zh) 一种可拆洗记忆枕
CN215945222U (zh) 祭祀托盘
CN217524432U (zh) 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