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268B1 - Exchange for imt-2000 - Google Patents

Exchange for imt-2000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268B1
KR100360268B1 KR1020000076998A KR20000076998A KR100360268B1 KR 100360268 B1 KR100360268 B1 KR 100360268B1 KR 1020000076998 A KR1020000076998 A KR 1020000076998A KR 20000076998 A KR20000076998 A KR 20000076998A KR 100360268 B1 KR100360268 B1 KR 10036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atm
switch
subsyste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46689A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268B1/en
Publication of KR2002004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6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26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65Interaction of ATM with oth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이동통신 교환기 내에 다수의 제한된 공중통신망 정합용량을 갖는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을 수용하여 소용량에서부터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로(332A-332N)를 통해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와 연결되고, 후술할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의 주 제어부의 제어하에 제한된 용량의 공중통신망(PSTN)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과; ATM 스위치 기능과 이동성 제어, 호 제어 및 비동기 전송방식(ATM)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 전체를 총괄 제어하고, 내부의 선로 정합부를 통해 상기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과 연결되어 소용량으로부터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공중통신망(PSTN) 정합 용량을 유연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accommodating a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having a plurality of limited public network matching capacities in an ATM mobile switching center to allow flexible expansion from a small capacity to a large capacity and to improve signal processing speed. This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via the lines 332A-332N, and is a matching function with a limited capacity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PSTN)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ATM switch function, mobility control, call control, and asynchronous transmission (ATM) general control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nd connected to th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310A-310N) through the internal line matching unit from small to large capacity This is accomplished by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which is capable of flexibly increasing the public network (PSTN) matching capacity.

Description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EXCHANGE FOR IMT-2000}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EXCHANGE FOR IMT-2000}

본 발명은 대용량의 공중통신망 정합을 지원하는 비동기 전송방식(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정합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 이동통신 교환기 내에 다수의 제한된 공중통신망 정합용량을 갖는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을 수용하여 소용량에서부터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ching technology of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that supports a large capacity public network matching, and in particular,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limited public network matching capacity in an ATM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that accommodates matching subsystems, allows for flexible scaling from small to large and suitable for improving signal processing speed.

통상의 이동통신 교환기는 STM 기반의 교환기로서 공중통신망(PSTN)과의 정합에 있어 동종망간의 정합이 이루어지므로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ATM의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는 STM 교환방식의 공중통신망과의 정합에 있어서, 이종망간의 정합이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s are STM-based exchanges, so that the matching between homogeneous networks is made in matching wit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so there is no problem. However, ATM's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has a problem of matching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matching with STM switched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s.

따라서, 종래의 ATM 교환기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선대행 서비스(Circuit Emulation)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ATM 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제공하던 톤(tone), 음성안내 장치와 보코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타임 스위치에 상기 각부를 연결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공중통신망 연동장치를 사용하였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ATM switch, a method such as a circuit emulation service (Circuit Emulation) was u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TM-based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s require a structure that can provide the tone, voice guidance device, and vocoder functions that were provided. An interlock was u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와 공중통신망 접속용 정합장치의 접속관계를 보인 것으로, 공중통신망 접속용 정합장치(104)가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101)와 공중통신망(PSTN) 사이에 위치하여 이종망간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1 show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system switch and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ma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matching device 104 is connected betwee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system switching device 101 and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itioned to perform the matching function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도 2는 상기 도 1에서 공중통신망 접속용 정합장치의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ITU-T 규격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을 만족시키는 기능과 수신 시 등화 기능을 수행하고, 위상 고정루우프 및 클럭발생부(204)에 기준 주파수를 제공하는 T1/E1 전로 정합부(201)와;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함과 아울러, 타임슬롯을 구분하여 타임 스위치(203)측으로 출력하고, 그 타임 스위치(203)로부터 입력되는 각 채널의 데이터를 T1/E1 전송 규격에 맞는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T1/E1 선로 정합부(201)측으로 출력하는 T1/E1 프레이머(202)와; 상기 위상 고정루우프 및 클럭발생부(204)로부터 동기클럭 및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고,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필요한 타임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 스위치(203)와; 기준주파수를 이용하여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여 시스템 각부에 공급하는 위상 고정루우프 및 클럭발생부(204)와; 상기 타임 스위치(203)와 연계하여, ADPCM, 각종 소스 코드와의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고, 반향(Echo)을 제거하는 반향제거 및 코드변환부(205)와; 비동기 전송방식(ATM)의 셀 형태로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HDLC 형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타임 스위치(203)에 출력하고, 그 타임 스위치(203)로부터 입력되는 HDLC 형태의 데이터를 ATM의 셀에 적합하도록 결합시키는 비동기 전송방식 셀 분리/결합부(206)와; 비동기 전송방식 라우터(207)와 비동기 전송방식의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를 ATM-UNI/NNI 규격을 준수하는 형태로 접속시키는 비동기 전송방식 사용자 망 정합부(208)와;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상기 공중통신망(PSTN)과의 정합에필요한 R2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203)측으로 출력하고, 그 타임 스위치(203)를 통해 입력되는 공중통신망(PSTN)의 신호 데이터를 해석하여 제어부(210)로 송출하는 신호 처리장치(209)와; 비동기 전송방식의 교환기 및 공중통신망(PSTN)과의 각종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망 정합장치 내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matching device for public network connection in FIG. 1,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satisfy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TU-T standard and an equalization function upon reception, and performs a phase locked loop and A T1 / E1 converter matching unit 201 for providing a reference frequency to the clock generator 204; In addition to performing frame synchronization, time slots are classified and output to the time switch 203 side, and data of each channel input from the time switch 203 is converted into a frame conforming to the T1 / E1 transmission standard and the T1 / A T1 / E1 framer 202 outputting to the E1 line matching unit 201 side; A time switch 203 which receives a synchronous clock and a system clock from the phase locked loop and clock generator 204 and performs a necessary time switching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A phase locked loop and a clock generator 204 for generating a system clock using a reference frequency and supplying the system clock to each system; An echo cancellation and code conversion unit (205) for performing inverse conversion with ADPCM and various source codes and removing echo (Echo) in association with the time switch (203); Extract the HDLC data from the data input in the cell form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ATM) and output it to the time switch 203, and to fit the HDLC data input from the time switch 203 into the ATM cell.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cell separation / combining unit 206 for combining;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user network matching unit 208 for connecting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router 207 to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in a form compliant with the ATM-UNI / NNI standar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the R2 signal data necessary for matching wit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time switch 203, and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input through the time switch 203. A signal processing device 209 for analyzing the signal data of th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210;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210 for performing various signal processing with the switch and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and controls various functions in the network matching device.

T1/E1 전로 정합부(201)는 공중통신망(PSTN)과 T1 1.544Mbps 또는 E1 2.048Mbps 전송속도로 정합되는 전송선로 정합 부분으로서 ITU-T 규격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수신 시 등화 기능도 수행하고, 또한 수신된 클럭을 추출하여 위상 고정루우프 및 클럭발생부(204)의 기준 주파수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1 / E1 converter matching unit 201 is a transmission line matching part that matches the PSTN at a T1 1.544 Mbps or E1 2.048 Mbps transmission rate, and fulfill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TU-T standard. It also performs an equalization function upon reception, and extracts the received clock to provide the phase locked loop and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clock generator 204.

T1/E1 프레이머(202)는 ITU-T에서 권고한 표준 형태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고, 타임슬롯을 구분하여 타임 스위치(203)측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T1/E1 프레이머(202)는 상기 타임 스위치(203)로부터 입력되는 각 채널의 데이터를 T1/E1 전송 규격에 맞는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T1/E1 선로 정합부(201)측으로 출력한다.The T1 / E1 framer 202 performs frame synchronization by extracting a frame of a standard type recommended by the ITU-T, and outputs the time slots to the time switch 203 side. In addition, the T1 / E1 framer 202 converts the data of each channel input from the time switch 203 into a frame form conforming to the T1 / E1 transmission standard and outputs the data to the T1 / E1 line matching unit 201. do.

타임 스위치(203)는 상기 위상 고정루우프 및 클럭발생부(204)로부터 필요한 동기클럭(8Khz) 및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고,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필요한 타임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The time switch 203 receives the necessary synchronous clock (8Khz) and the system clock from the phase locked loop and the clock generator 204, and performs a necessary time switching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상기 위상 고정루우프 및 클럭발생부(204)는 공중통신망(PSTN)의 전송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기준주파수를 이용하여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고, 이를 시스템 각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시스템 클럭 동기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phase locked loop and clock generator 204 generates a system clock using a reference frequency extracted from data input through a transmission line of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and supplies the system clock to each system. This ensures system clock synchronization.

반향제거 및 코드변환부(205)는 상기 타임 스위치(203)와 연계하여, 64Kbps PCM 데이터와 IMT-2000 망에서 사용되는 ADPCM, 각종 소스 코드와의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는다. 이때, 필요한 클럭은 상기 위상 고정루우프 및 클럭발생부(204)로부터 공급받고, 코드변환 기능 및 역변환 기능을 필요 시에만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반향제거 및 코드변환부(205)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음성 통화시 망 지연 및 처리 지연에 따라 공중통신망(PSTN)과 연동시 발생하게 되는 반향(Echo)을 제거하게 되며, 이렇게 반향이 제거된 데이터를 상기 타임 스위치(203)측으로 출력한다.The echo cancellation and code conversion unit 205 performs inverse conversion with 64 Kbps PCM data and ADPCM used in the IMT-2000 network and various source codes in association with the time switch 203.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10 Under the control of At this time, the required clock is supplied from the phase lock loop and the clock generator 204, and performs the code conversion function and the inverse conversion function only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e echo cancellation and code conversion unit 20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10 to remove the echo (Echo) generated when interworking wit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according to the network delay and processing delay during the voice call. The echo is removed and the data is output to the time switch 203 side.

비동기 전송방식 셀 분리/결합부(206)는 53 바이트 비동기 전송방식(ATM)의 셀 형태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리하여 획득한 HDLC 형태의 데이터를 타임 스위치(203)에 출력하고, 그 타임 스위치(203)로부터 입력되는 HDLC 형태의 데이터를 비동기 전송방식(ATM)의 셀에 적합하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cell separation / combining unit 206 outputs the HDLC data obtained by separating the data input in the cell form of the 53-byt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ATM) to the time switch 203, and the time switch ( It combines the HDLC data input from the 203 to suit the cells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ATM).

비동기 전송방식 사용자 망 정합부(208)는 155MHZ 광 케이블을 통해 IMT-2000용 교환기인 비동기 전송방식 라우터(207)와 비동기 전송방식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를 ATM-UNI/NNI 규격을 준수하는 형태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user network matching unit 208 connects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router 207, which is an IMT-2000 switch, and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user network interface in a form compliant with ATM-UNI / NNI standard through a 155MHZ optical cable. Play a role.

신호 처리장치(209)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상기 공중통신망(PSTN)과의 정합에 필요한 R2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203)측으로 출력하고, 그 타임 스위치(203)를 통해 입력되는 공중통신망(PSTN)의 신호 데이터를 해석하여 제어부(210)로 송출하는 R2 신호 처리를 담당하며, 각종 톤 발생장치로 공중통신망(PSTN)과의 정합에 필요한 톤을 발생하고 이 톤 데이터를 타임 슬롯의 해당 채널에 실어 공중통신망(PSTN)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9 generates R2 signal data necessary for matching wit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outputs the signal to the time switch 203, and through the time switch 203. It is responsible for R2 signal processing that analyzes the signal data of the input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PST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10. The various tone generators generate tones necessary for matching with the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PSTN). It carries on the corresponding channel of time slot and transmits to PSTN side.

끝으로, 상기 제어부(210)는 비동기 전송방식(ATM)의 교환기 및 공중통신망(PSTN)과의 각종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망 정합장치 내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거나 유지 및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Finally, the controller 210 performs various signal processing with the switch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ATM) and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and controls various functions in the network matching device or performs maintenance and repair functions.

비동기 전송방식의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는 사업자의 망 구성에 따라 소용량부터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공중통신망 정합용량을 유연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는 공중통신망 접속용 정합장치 내의 타임 스위치의 용량 제한으로 인하여 공중통신망의 정합용량을 증설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공중통신망 접속용 정합장치를 외부 장치로 두고 ATM-UNI/NNI로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늦어지는 결함이 있었다.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of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requires structure that can flexibly increas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matching capacity from small capacity to large capacity according to operator's network configuration, but in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Due to the capacity limitation of the time switch in the connection matching device, it was difficult to increase the matching capacity of the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re is a defect that the processing speed is slow because the matching device for accessing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is an external device and the signal is processed by ATM-UNI / NNI.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동기 전송방식의 교환기 내에 다수의 제한된 공중통신망 정합용량을 갖는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을 수용하여 소용량에서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비동기 전송방식의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 내부의 프로세서간 통신(IPC) 방식을 채용한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ommodate a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having a large number of limited public network matching capacities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switch, and to flexibly expand from small capacity to large capacity and improve processing speed. In order to provide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dopting the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IPC) method of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와 공중통신망 접속용 정합장치의 접속관계를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asynchronous transfer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matching device for public network connection.

도 2는 도 1에서 공중통신망 접속용 정합장치의 상세 블록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matching device for public network connectio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의 일실 예시 블록도.Figure 3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의 상세 블록도.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ATM switch subsystem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10A-310N :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 320 :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10A-310N: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320: ATM switch subsystem

321A,321B : 선로 정합부 322 : ATM 스위치321A, 321B: line matching unit 322: ATM switch

323 : ATM 셀 분리/결합부 324 : 제어부323: ATM cell separation / combination unit 324: control uni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로(332A-332N)를 통해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와 연결되고, 트렁크(331A-331N)를 통해서는 제한된 용량의 공중통신망(PSTN)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과; ATM 스위치 기능과 이동성 제어, 호 제어 및 비동기 전송방식(ATM)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 전체를 총괄 제어하고, 내부의 선로 정합부를 통해 상기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과 연결되어 소용량으로부터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공중통신망(PSTN) 정합 용량을 유연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로 구성하였다.3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connected to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via the lines 332A-332N and the trunks 331A-331N. A plurality of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for performing a matching function with a limited capacity public network (PSTN); ATM switch function, mobility control, call control, and asynchronous transmission (ATM) general control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nd connected to th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310A-310N) through the internal line matching unit from small to large capacity It consists of an ATM switch subsystem 320 that can flexibly increase the public network (PSTN) matching capacity.

도 4는 도 3에서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의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M-4급, STM-1급 또는 TS-3급의 가입자 선로를 ATM 스위치(322)에 정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로 정합부(321A),(321B)와; 상기 선로 정합부(321A),(321B)의 사이에 위치하여 비동기 전송방식 차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322)와; 제어부(324)로부터 입력되는 셀을 결합하여 상기 ATM 스위치(322)에 전달하거나, 그 ATM 스위치(322)에서 제어부(324)측으로 전송되는 셀을 분리하여 제어부(324)의 각부에 전달하는 ATM 셀 분리/결합부(323)와; 이동통신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위치 데이터 및 인증 기능을 갖는 이동성 제어부(324A), 다른 망 요소와의 정합을 위해 각종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망 제어부(324B),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을 제어하고, 시스템의 운용,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주 제어부(324C)로 이루어진 제어부(324)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in FIG. 3. As shown in FIG. 4, an STM-4, STM-1, or TS-3 subscriber line is connected to an ATM switch 322. Line matching units 321A and 321B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matching with the line); An ATM switch 322 positioned between the line matching units 321A and 321B to perform a core switch function of asynchronous transmission typ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TM cells that combine the cells input from the control unit 324 and transfer them to the ATM switch 322, or separate the cells transmitted from the ATM switch 322 to the control unit 324 and transfer them to respective parts of the control unit 324. Separating / combining portion 323; Mobility control unit 324A having position data and authentication function to ensure mobility of mobile communication user, network control unit 324B in charge of various signal processing for matching with other network elements,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310A- 310N), the control unit 324 consisting of the main control unit 324C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ystem,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3에서 각각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스시스템(310A-310N)은 도 2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나, 내부의 제어부(210)는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 내부의 주 제어부(324C)의 제어 하에 해당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 다른 점이다.In FIG. 3, each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310A-310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2, but an internal controller 210 corresponds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324C in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The difference is that the entir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are controlled.

상기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은 비동기 전송방식(ATM)의 스위치 기능과 이동통신 교환기로서의 이동성 관리와 ATM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유지 보수 및 제어를 담당하는데, 이를 위한 내부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TM switch subsystem 320 is responsible for the switch function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ATM), mobility management as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nd maintenance and control of the entire ATM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선로 정합부(321A),(321B)는 STM-4급, STM-1급 또는 TS-3급의 가입자 선로를 ATM 스위치(322)에 정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TM 스위치(322)는 비동기 전송방식 차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스위치이다.The line matching units 321A and 321B perform a function of matching subscriber lines of STM-4, STM-1, or TS-3 class with the ATM switch 322. In addition, the ATM switch 322 is a key switch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ATM 셀 분리/결합부(323)는 제어부(324)로부터 입력되는 셀을 결합하여 상기 ATM 스위치(322)에 전달하거나, 그 ATM 스위치(322)에서 제어부(324)측으로 전송되는 셀을 분리하여 이동성 제어부(324A), 망 제어부(324B), 주 제어부(324C)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TM cell separating / combining unit 323 combines the cells input from the control unit 324 and transfers them to the ATM switch 322, or separates and transmits the cells transmitted from the ATM switch 322 to the control unit 324.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ferring to the control unit 324A, the network control unit 324B, and the main control unit 324C.

상기 제어부(324)는 이동통신 교환기로서 이동통신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위치 데이터 및 인증 기능을 갖는 이동성 제어부(324A), 다른 망 요소와의 정합을 위해 각종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망 제어부(324B),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을 제어하고, 시스템의 운용,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주제어부(324C)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324 is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 mobility control unit 324A having location data and an authentication function to ensure mobil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user, and a network control unit 324B in charge of various signal processing for matching with other network elements. ), A main control unit 324C that controls th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and is in charge of operating and maintaining the system.

한편, 도 3에서 트렁크(331A-331N)는 공중통신망(PSTN) 정합을 위한 T1/E1 트렁크이다. 또한, 선로(332A-332N)는 각각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을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에 연결하기 위한 선로이고, 선로(333A-333N)는 기지국 제어기(RNC)를 비롯한 다른 망 요소를 정합하기 위한 선로이다.Meanwhile, trunks 331A through 331N in FIG. 3 are T1 / E1 trunks for matching PSTNs. Also, lines 332A-332N are lines for connecting respectiv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to ATM switch subsystem 320, and lines 333A-333N include a base station controller (RNC). A line for matching other network elements.

상기 각각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은 상기 선로 정합부(321A)를 통해 상기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과 연결되며, 그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의 주 제어부(324C)가 선로(332A-332N) 및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의 제어부(210)를 통해 프로세서간 통신(IPC) 방식으로 호 제어 및 운용, 유지보수 등의 각종 신호처리를 수행한다.Each of th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is connected to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via the line matching unit 321A, and the main controller 324C of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is Through the controller 210 of the lines 332A-332N and th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various signal processing such as call control, operation, and maintenance are performed in an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IPC) metho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N개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N배의 용량 증대가 가능하여 대용량의 공중통신망 정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apacity of N times by adding N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thereby enabling the public network matching of a large capacity.

또한, 각각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을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선로로서 ATM-UNI/NNI를 사용하는 대신에 ATM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 내부의 IPC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공중통신망 접속용 정합장치를 별도의 망 요소가 아닌 ATM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 내부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으로 다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using ATM-UNI / NNI as a line for connecting each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to the ATM switch subsystem, the processing speed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IPC method inside the ATM next-generation mobile switching cent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tching device for public network access can be treated as a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inside an ATM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instead of a separate network element.

Claims (3)

선로(332A-332N)를 통해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와 연결되고, 후술할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의 주 제어부의 제어하에 제한된 용량의 공중통신망(PSTN)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과; ATM 스위치 기능과 이동성 제어, 호 제어 및 비동기 전송방식(ATM)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 전체를 총괄 제어하고, 내부의 선로 정합부를 통해 상기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과 연결되어 소용량으로부터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공중통신망(PSTN) 정합 용량을 유연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A plurality of lines connected to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via the lines 332A-332N and performing a matching function with a limited capacity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PSTN)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described later.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ATM switch function, mobility control, call control, and asynchronous transmission (ATM) general control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nd connected to th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310A-310N) through the internal line matching unit from small to large capacity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comprising an ATM switch subsystem (320) capable of flexibly increasing the public network (PSTN) matching capacity up to. 제1항에 있어서, ATM 스위치 서브시스템(320)은 가입자 선로를 ATM 스위치(322) 에 정합하는 선로 정합부(321A), (321B) 와; 상기 선로 정합부(321A),(321B)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통신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322)와; 제어부(324)로부터 입력되는 셀을 결합하여 상기 ATM 스위치(322)에 전달하거나, 그 ATM 스위치(322)에서 제어부(324)측으로 전송되는 셀을 분리하여 제어부(324)의 각부에 전달하는 ATM 셀 분리/결합부(323)와; 이동통신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위치 데이터 및 인증 기능을 갖는 이동성 제어부(324A), 다른 망 요소와의 정합을 위해 각종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망 제어부(324B),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을 제어하고, 시스템의 운용,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주제어부(324C)로 이루어진 제어부(3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ATM switch subsystem (320) comprises: line matching units (321A, 321B) for matching subscriber lines to ATM switches (322); An ATM switch 322 positioned between the line matching units 321A and 321B to perform a switch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TM cells that combine the cells input from the control unit 324 and transfer them to the ATM switch 322, or separate the cells transmitted from the ATM switch 322 to the control unit 324 and transfer them to respective parts of the control unit 324. Separating / combining portion 323; Mobility control unit 324A having position data and authentication function to ensure mobility of mobile communication user, network control unit 324B in charge of various signal processing for matching with other network elements,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 310A- And a control unit 324 composed of a main control unit 324C which controls the 310N) and i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주 제어부(324C)는 상기 각 공중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310A-310N)의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해 내부 프로세서간 통신방식(IPC)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3.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in controller (324C) uses an internal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scheme (IPC) to control the controllers of the respective public network matching subsystems (310A-310N).
KR1020000076998A 2000-12-15 2000-12-15 Exchange for imt-2000 KR1003602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98A KR100360268B1 (en) 2000-12-15 2000-12-15 Exchange for imt-20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98A KR100360268B1 (en) 2000-12-15 2000-12-15 Exchange for imt-200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89A KR20020046689A (en) 2002-06-21
KR100360268B1 true KR100360268B1 (en) 2002-11-09

Family

ID=2768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998A KR100360268B1 (en) 2000-12-15 2000-12-15 Exchange for imt-2000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26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89A (en)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31521A (e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KR100248074B1 (en) Structure for base station j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O981155L (en) Routing of messages in an SDH communication network via second-choice connections
KR100360268B1 (en) Exchange for imt-2000
KR100258178B1 (en) Multiplexer/dimultiplexer
KR100258179B1 (e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public network matching device
US7843971B2 (en) Modular expandab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337648B1 (en) The switching method of ALL2 traffic for base station controller system in mobile system
KR100243098B1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CN101247372B (en) Communication system, gateway device and adapter device
KR100233099B1 (en) Time sharing switch having bidirectidnal stm-1 interface
KR20000062655A (en) Switching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53506B1 (en) Atm network interfacing apparatus of ds3 trunk
KR20000045598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e1 interface of imt-2000 control station
KR100850111B1 (en) Apparatus for VOIP in keyphone system
KR200259810Y1 (en) Line Interface Apparatus Between Access Gateway And Switching System
KR100347327B1 (en) Atm switch router interface device in imt-2000 system
KR100337647B1 (en) MSC apparatus of IMT-2000 network
KR100217348B1 (en) Isdn primary rate access interfacing device i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KR100227342B1 (en) Atm optical switching system
KR100542703B1 (en) Swich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supporting convergence service through interworking various network
KR0175466B1 (en)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Subscriber Registration Device and Call Processing Method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ing System
KR930004097B1 (en) 64 kbps data mutilateral device
KR100483547B1 (en) Apparatus for coupling Asynchrous system and Remote system
JPH06197119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ubscriber's circuit for analog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