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663B1 - 와이어 커넥터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663B1
KR100356663B1 KR1019990053507A KR19990053507A KR100356663B1 KR 100356663 B1 KR100356663 B1 KR 100356663B1 KR 1019990053507 A KR1019990053507 A KR 1019990053507A KR 19990053507 A KR19990053507 A KR 19990053507A KR 100356663 B1 KR100356663 B1 KR 100356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connector
passage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708A (ko
Inventor
오석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66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를 이용하여 커넥터로부터 와이어 터미널들의 접속 해제가 요구될 때, 터미널들 사이의 접속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는 전단부와 후단부로 분할된다. 전단부는 각각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제 1 통로, 및 각각의 제 1 통로 하부면에 삽입된 와이어의 터미널을 록킹하기 위한 록커를 가지며, 터미널이 록커에 의하여 록킹되었을 때, 터미널의 단부 및 록커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진다. 한편, 후단부는 각각 전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통로와 소통하는 제 2 통로를 가지고, 전단부와 스냅 결합되며, 상기 전단부와 스냅 결합되었을 때, 제 2 통로가 외부로 돌출된 터미널 및 록커의 단부를 수용하는 후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커넥터{Wire connector}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접속을 해제할 때, 와이어의 접속을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와이어 하니스는 개별적으로 절연된 여러 가닥의 전선을 함께 피복하여 간편하고 말끔하게 하나의 묶음으로 이루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점화, 등화, 충전 등을 위한 배선들을 위한 배선을 말한다.
이러한 와이어 하니스의 단자를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와이어 하니스 커넥터 및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방법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와이어(104, 도 2 참조)가 관통하는 다수의 통로(101)들을 가진다. 와이어(104)의 터미널(10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통로(101)의 하부에 제공되는 록커(105)의 돌출부(107)가 터미널(103)에 형성된 홈(109)의 한 쪽 면에 걸리게 되는 것에 의하여 커넥터(100)에 접속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커넥터(100)에 접속됨으로써, 수형 커넥터에 접속된 다른 와이어 터미널과 접속된다.
도 2와 같이 와이어(104)의 터미널(103)이 커넥터(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커넥터(100)로부터 와이어(104)의 터미널(103)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곳과 같이 뾰족한 첨단부를 가지는 공구(106)가 통로(101)에 삽입되어, 공구(106)의 첨단부가 터미널(103)과 록커(105) 사이의 틈으로 들어가, 록커(105)를 아래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터미널(103)에 형성된 홈(109)의 한쪽 면(108)으로부터 록커(105)의 돌출부(107)를 분리함으로써, 터미널(103)이 커넥터(100)로부터 접속이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구멍이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커넥터로부터 접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공구를 사용할 때, 공구와 커넥터 통로의 상하 좌우면에 간섭이 발생되는 한편, 공구를 록킹 위치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커넥터로부터의 터미널들의 접속 해제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를 이용하여 커넥터로부터 와이어 터미널들의 접속 해제가 요구될 때, 터미널들 사이의 접속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후단부를 전단부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와이어 터미널의 접속을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커넥터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단부 2 : 후단부
3 : 와이어 4 : 터미널
5 : 록커 6 : 홈
7 : 홈면 8 : 록커의 돌출부
9 : 구멍 10 : 훅
11 : 제 1 통로 12 : 제 2 통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각각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제 1 통로, 및 상기 각각의 제 1 통로 하부면에 삽입된 와이어의 터미널을 록킹하기 위한 록커를 가지며, 터미널이 상기 록커에 의하여 록킹되었을 때, 상기 터미널의 단부 및 록커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는 전단부와; 각각 상기 전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통로와 소통하는 제 2 통로를 가지고, 상기 전단부와 스냅 결합되며, 상기 전단부와 스냅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2 통로가 외부로 돌출된 터미널 및 록커의 단부를 수용하는 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와이어 커넥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는 전단부(1)와 후단부(2)의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전단부(1)와 후단부(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9)과 훅(10)의 이용하여, 서로 스냅 결합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전단부(1)는 각각 와이어(3)의 터미널(4)에 삽입되는 다수의 제 1 통로(11)를 가지며, 후단부(2)는 제 1 통로(11)와 통하며 수형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 2 통로(12)를 가진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은 구멍(9)과 훅(10)은 전단부(1)와 후단부(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터미널(4)이 전단부(1)의 제 1 통로(11)의 하부에 형성된 록커(5)에 의해 록킹되고, 이 때, 터미널(4)의 단부 및 록커(4)의 단부는 전단부(1)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로 돌출된 터미널(4) 및 록커(4)의 단부는 후단부(2)의 제 2 통로(12)에 수용된다.
터미널(4)이 전단부(1)의 록커(4)에 록킹된 상태에서, 터미널(4)을 전단부(1)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훅(10)을 구멍(9)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후단부(2)가 전단부(1)로부터 분리한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106)의 첨단부가 터미널(4)과 록커(4) 사이에 삽입된 후에, 록커(4)가 공구(106)에 의하여 아래로 가압됨으로써, 터미널(4)의 홈(6)의 한 쪽 면(7)으로부터 록커(4)의 돌출부(8)가 해제되어, 터미널(4)이 전단부(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는 전단부와 후단부로 분할됨으로써, 터미널을 커넥터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공구를 터미널과 커넥터의 통로 하부에 형성된 록커 사이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터미널을 커넥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Claims (1)

  1. 와이어의 터미널 하부면에 형성된 홈과 각각의 통로 내측 하부면에 형성된 록커가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통로 내부에서 와이어의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하는 와이어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제 1통로가 다수개로 형성된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의 다수개로 형성된 제 1통로와 소통하도록 제 2통로가 형성된 후단부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전단부에서 와이어 터미널이 각각의 제 1통로 내부에 설치된 록커와 결합되어 록킹되었을 시에는, 상기 후단부와 결합되는 전단부의 측면에 터미널의 단부 및 록커의 단부가 상기 전단부에서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와이어의 터미널을 각각의 제 1통로 내부에 설치된 록커로부터 분리시에는, 상기 후단부를 전단부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단부에서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 터미널의 단부와 록커의 단부 사이에 공구를 삽입하고, 공구의 첨단부로써 상기 록커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와이어 터미널이 상기 전단부 각각의 제 1통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KR1019990053507A 1999-11-29 1999-11-29 와이어 커넥터 KR100356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507A KR100356663B1 (ko) 1999-11-29 1999-11-29 와이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507A KR100356663B1 (ko) 1999-11-29 1999-11-29 와이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708A KR20010048708A (ko) 2001-06-15
KR100356663B1 true KR100356663B1 (ko) 2002-10-19

Family

ID=1962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507A KR100356663B1 (ko) 1999-11-29 1999-11-29 와이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00B1 (ko) * 2006-12-14 2008-09-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공간 절약형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1347A (ja) * 1995-05-26 1996-12-03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組付構造
KR970047374U (ko) * 1995-12-18 1997-07-31 와이어 하니스 결합용 커넥터의 구조
KR970047375U (ko) * 1995-12-20 1997-07-31 전자기기의 콘넥터 장치
JPH1022009A (ja) * 1996-07-05 1998-01-23 Amp Japan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1186918A (ja) * 1997-09-02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導通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1347A (ja) * 1995-05-26 1996-12-03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組付構造
KR970047374U (ko) * 1995-12-18 1997-07-31 와이어 하니스 결합용 커넥터의 구조
KR970047375U (ko) * 1995-12-20 1997-07-31 전자기기의 콘넥터 장치
JPH1022009A (ja) * 1996-07-05 1998-01-23 Amp Japan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1186918A (ja) * 1997-09-02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導通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708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2026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a pressure-receiving wall for improved manufacturing
US712859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ock
US7232324B2 (en) Electrical connector bridge arrangement with release means
US5662496A (en) Fuse junction box
TWI251962B (en) Electric connector with cable holding mechanism
US20020187670A1 (en) Connection device with pusher
US20010031574A1 (en) Retainer-including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6932641B1 (en) Plug structure
US20040198080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116952A (en) Multipole waterproof connector
CN217485868U (zh) 一种以太网线端连接器
US20020146932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FC
KR100356663B1 (ko) 와이어 커넥터
US4436359A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tion system for quick field service
CN215601585U (zh) 电控盒及电器设备
CN213546734U (zh) 一种节省装配工序的密封圈与护套装配结构
US5529338A (en) One piece automotive airbag squib connector
US5599214A (en) Terminal chain and terminal lug
KR200227805Y1 (ko) 커넥터
KR100240856B1 (ko) 개선된 단자 래칭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2001257024A (ja) コネクタ
KR100324000B1 (ko) 커넥터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CN110911876A (zh) 电连接器组合
US5634824A (en) Method of and construction for fitting optional connector relative to high-density multi-po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