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102B1 -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품종김 및 그 교잡방법. - Google Patents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품종김 및 그 교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102B1
KR100356102B1 KR1019990011040A KR19990011040A KR100356102B1 KR 100356102 B1 KR100356102 B1 KR 100356102B1 KR 1019990011040 A KR1019990011040 A KR 1019990011040A KR 19990011040 A KR19990011040 A KR 19990011040A KR 100356102 B1 KR100356102 B1 KR 10035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hours
green
sesame
miu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752A (ko
Inventor
신종암
Original Assignee
신종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암 filed Critical 신종암
Priority to KR101999001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1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3/00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2Culture media for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9/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stimulation
    • C12N2529/10Stimulation by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과의 교잡에 의해서 만들어낸 신품종 김에 관한 것으로,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잡종사상체를 분리하여 얻어진 녹색형과 야생형의 F1사상체의 콜로니를 분리해서 20∼23℃, 500∼3,000lux, 명기 12∼14시간, 암기 12∼14시간의 고온, 저조도, 장일 조건에서 사상체에 각포자낭을 형성시키고 10∼15℃, 5,000∼7,000lux, 명기 10∼12시간, 암기 12∼14시간의 저온, 고조도, 단일조건에서 각포자를 방출시켜 비닐론의 단섬유에 부착하고 발아시켜 F1엽상체를 얻고; 상기 야생형의 F1엽상체 중 살아남은 돌파개체들 중에서 야생형 개체 하나를 선발하여 저온, 고조도, 단일주기의 조건에서 통기배양을 하여 성장, 성숙시킨 후 자가수정으로 유전자형을 고정시킨 유리사상체를 얻음으로써, 본원의 발명에 의한 신품종 김은 생산량이 많고 엽체가 부드러우며 이를 가지고 제조한 건해태는 적채회수가 늘어도 작은 구멍이 생기는 일이 없으며, 유리아미노산인 알라닌과 글루타민산의 함량이 재래종보다 많아 맛과 씹는감이 좋다.

Description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품종 김 및 그 교잡방법.{New Cultivar by Interspecific Crossing between Porphyra tenera Kjellman var. tamatsuensis Miura and Porphyra yezoensis Ueda form. narawaensis Miur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새로운 품종의 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교잡에 의해서 만들어낸 신품종 김에 관한 것이다.
참김은 종전에 양식 김의 대표적인 재배 대상 종(種)이었는데, 현재는 영양번식력이 강한 방사무늬김에 밀려나 일부 어장에서만 재배되고 있다. 웅성이주(雄性異株)이고 일반적으로 자웅동주가 많은 참김은 가을에서 봄까지 생육하며 저비중에 잘 견디므로 하천수의 영향이 많은 하구에서 생육함이 적합하다.
참김의 한 품종인 큰참김은 생식 세포의 형성 시기가 3,4월에 한정되어 있고, 또 시기적으로 늦은 것이 특색이다. 유엽기는 엽체가 얇고 부드러우며, 색은 연한 밤색이지만 생장해 감에 따라 색채가 진해지며 엽상체의 두께가 15∼30㎛로, 생장을 해도 엽육(葉肉)이 특히 두터워지는 일이 없고, 전 양식기간을 통하여 엽질(葉質)이 부드럽고 만지면 미끈미끈하다.
한편, 방사무늬김의 색은 명자색(明紫色)이고 광택이 많으며 보통 자웅동주, 때로는 삼성이주(三性異株)이다. 생육장소는 다소 고염분인 곳이 적합하며, 생식세포를 만드는 성질인 염성(捻性)이 강하고 조숙하여 많은 과포자를 만든다. 한편, 중성 포자도 유엽 시기까지 장기간 방출하므로, 영양 번식력이 강하고 3∼10㎝ 크기에서 가장 많이 방출한다. 또, 수온이 10℃ 이하 때까지 중성 포자를 내므로, 참김보다 우세한 번식력을 가진 셈이다. 특히, 방사무늬김의 한 품종인 큰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Ueda form. narawaensis Miura)은 유아기에는 중성 포자로써 영양 번식을 많이 하나 염성이 낮아서 2,3월이 되지 않으면 과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영양 생장을 많이 하며, 병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엽상체의 두께가 25∼53㎛인 방사무늬김에는 자연 돌연변이로서, 녹색형, 적색형 등의 색소 변이체가 있다. 녹색형은 단맛, 향기에 우수하나 수회 수확하면 잎이 거칠고 두텁게 되어 건해태(乾海苔)를 만들었을 때 제품에 소공(小孔)이 생겨매끄럽지 못한 결점이 있다. 적색형은 생장이 좋고 건해태에 소공이 생기지 않아서 마무리가 깨끗하나 병에 약한 결점이 있다. 따라서, 건해태가 녹색을 나타내거나 적색을 나타내면 상품으로서 정당하게 평가되지 않는 결점들이 있다.
이에 본원은 상기와 같은 결점이 있는 방사무늬김의 형질을 유전적으로 개량하고자 이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 실험을 거듭하여왔고, 그 결과 상기 결점들을 보완하여 생산량이 많고 엽체가 부드러우며 맛이 더 좋은 우수한 형질을 갖는 고정품종인 본 발명의 신품종 김을 안출하게 되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라 교잡되어 육성된 신품종 김의 엽체를 그물에서 떼어낸 사진,
도 1b는 재래품종인 큰방사무늬김의 엽체를 그물에서 떼어낸 사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교잡되어 육성된 신품종 김의 엽체를 그물에서 떼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b는 재래품종인 큰방사무늬김의 엽체를 그물에서 떼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큰참김의 녹색형과 큰방사무늬김의 적색형으로부터 성숙 직전의 엽상체 엽편을 취하여 같은 배양용기에 넣고 저온, 고조도, 단일주기 조건에서 완숙할 때까지 통기배양을 하고, 상기 통기배양 동안 타가수정 된 큰참김 녹색형의 엽편에서 과포자를 얻어서 고온, 저조도, 장일주기 조건에서 정치배양을 하여 F1사상체를 얻는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잡종사상체를 분리하여 교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녹색형과 야생형의 F1사상체의 콜로니를 분리해서 20∼23℃, 500∼3,000lux, 명기 12∼14시간, 암기 12∼14시간의 고온, 저조도, 장일 조건에서 사상체에 각포자낭을 형성시키고 10∼15℃, 5,000∼7,000lux, 명기 10∼12시간, 암기 12∼14시간의 저온, 고조도, 단일조건에서 각포자를 방출시켜 비닐론의 단섬유에 부착하고 발아시켜 F1엽상체를 얻고; 상기 야생형의 F1엽상체 중살아남은 돌파개체들 중에서 야생형 개체 하나를 선발하여 상기의 저온, 고조도, 단일주기의 조건에서 통기배양을 하여 성장, 성숙시킨 후 자가수정으로 유전자형을 고정시킨 유리사상체를 얻는 교잡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품종은 큰참김 녹색형을 모본으로 하고 큰방사무늬김 적색형을 부본으로서 행한, 종간 교잡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교잡에서 F1사상체(胞子??)의 생존률은 100%이지만 이 F1사상체로부터 생기는 F1엽상체는 거의 죽고, 소위 잡종붕괴가 생긴다. 그 중 살아남는 소수의 개체가 있는데, 소위 돌파개체(breakthrough 또는 escaper)라고 한다. 이 돌파개체들 중 하나의 야생형 개체를 선별해, 그 개체를 성장, 성숙시킨 후 자가수정 시켜서 고정한다. 품종의 유지 증식은 F1사상체의 배양에 의해 이루어져있다.
상기에서 큰참김 녹색형과 큰방사무늬김 적색형을 교잡해서 분리하는 잡종사상체의 분리까지는 평성2년에 동경 수산대학 초류증식학 연구실에서 행해졌다. 그 후 평성5년에 (재)해태증식 진흥회 해태 종묘연구실에 엽상체를 선별 고정하여 무기질 사상체를 증식하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1. 양친명
모친 : 참김의 변종인 큰참김의 녹색형
부친 : 방사무늬김의 품종인 큰방사무늬김의 적색형
2. 육성의 방법
① 큰참김 녹색형과 큰방사무늬김 적색형의 성숙 직전에 있는 엽상체의 상부 엽편을 잘라, 같은 배양용기에 넣어서 15℃, 7,000lux, 명기 10시간, 암기 14시간의 저온, 고조도, 단일주기 조건에서 완숙할 때까지 통기배양을 했다.
이때, 참김과 방사무늬김의 두 품종은 생식 세포의 형성 시기가 다르므로 미숙한 모조(母藻)의 사용으로 실패하는 일이 없도록 성숙시기를 맞추어준 후 배양용기에 넣어 주어야 한다.
② 상기 통기배양 동안 수정이 된 큰참김 녹색형의 엽편에서 과포자를 얻어서 22℃, 500lux, 명기 14시간, 암기 10시간의 고온, 저조도, 장일주기 조건에서 정치배양하여 F1사상체를 얻었다.
상기 F1사상체는 과포자를 옮겨 심은 다음 약 40일 후에 3∼5㎜의 콜로니가 생장하여 녹색형과 야생형 등의 색채형을 판단할 수 있었다. 녹색형 사상체는 큰참김 녹색형의 자가수정에 의한 동형접합형이고, 야생형 사상체는 큰참김 녹색형과 큰방사무늬김 적색형의 타가수정에 의한 이형접합형이다. 이렇게 F1사상체에 동형접합형과 이형접합형이 나타나는 것은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이 다같이 자웅동주로 자가수정과 타가수정의 기회를 가지기 때문이다.
③ 상기와 같이하여 얻은 녹색형과 야생형 사상체의 콜로니를 분리해서 22℃, 500lux, 명기 14시간, 암기 10시간의 고온, 저조도, 장일주기 조건에서 사상체에 각포자낭을 형성시켰다.
④ 상기 각포자낭이 형성된 사상체를 15℃, 7,000lux, 명기 10시간, 암기 14시간의 저온, 고조도, 단일조건에서 정치배양 또는 진탕배양을 하여 각포자를 방출시켜 비닐론의 단섬유에 부착하고 발아시켜 F1엽상체를 얻었다.
녹색형의 F1사상체는 자가수정의 동형접합형이므로 그 F1엽상체는 전부 녹색형이었다. 야생형의 F1사상체는 타가수정의 이형접합형이므로 F1엽상체에서는 유전자형의 분리가 일어나, 녹색형, 적색형, 야생형과 키메라 엽상체가 나타났고, 또한 대다수의 F1발아체가 사멸하였다.
F1엽상체에서 유전자형의 분리가 일어나 하나의 색채형과 키메라 엽상체가 나타나는 것은 각포자가 발아할 때 감수분열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대다수의 엽상체가 죽어가는 것은 이 두 종이 근연종이기는 하나 감수분열 도중에 어떤 이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⑤ 상기 F1발아체 중 살아남은 돌파개체들 중에서 야생형 개체 하나를 선발하여 15℃, 7,000lux, 명기 10시간, 암기 14시간의 저온, 고조도, 단일주기의 조건에서 통기배양을 하여 성장, 성숙시켰다.
⑥ 그후 상기 성숙된 야생형의 F1엽상체를 자가수정하여 유전자형을 고정시킨 유리사상체를 얻었다.
이 품종의 특성검정은 상기 고정품종의 유리사상체를 패각에 이식시켜 만든 패각사상체로부터 채묘하여 종망을 만들어서 일부는 바다에 펼쳐서 재배하였고 일부는 냉동망으로하여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바다에 펼쳐서 재배하였다.
3. 특성 검정의 개황
상기와 같이하여 배양된 본 발명의 신품종 김은 특정의 해태 재배업자에 의뢰하여 특성검정을 위해 재배시험을 실시했다. 본 발명의 신품종 김을 하구역, 내만성의 어장에 지주책 시설로 재배한 경우, 품질 및 수량이 함께 안정하였다.
본 품종은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과의 종간 교잡에 의해 만들어낸 품종이다. 그 때문인지 아닌지 이유는 불명확하지만, 패각 사상체로부터 방출된 각포자(殼胞子)는 해태망에 부착한 후 발아하지만, 그 대부분은 4세포기(細胞期)까지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채묘시에 해태망에 붙이는 각포자의 밀도를 높게 해서 아(芽) 수를 많게 하는 것으로 해결된다.
< 비교예 >
상기와 같이하여 재배된 본 발명의 신품종 김과 가장 유사한 대조품인 방사무늬김 녹색형(일본 농림수산성 등록 제 712호)과의 구별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품종의 엽상체는 클로로필 a, 홍조소, 남조소의 함량이 많고 진한 흑자색을 나타낸다(표 1, 2). 또, 생장속도가 빠르고 유실저항성도 강하며 수확량도 많다. 엽상체는 부드럽고 유아기에는 다량의 단포자를 방출해 영양번식력도 강하며 붉은 갯병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낸다.
본 품종을 가지고 제조한 건해태는 색체가 검고 표면은 부드럽고 광택이 있으며, 이면도 색이 짙고 양호하다. 또, 엽의 두께가 얇아서 여러 번 채취하여도 제조된 해태에 작은 구멍이 생기는 일은 없으며, 특히 맛을 내는 성분인 유리 아미노산 중 알라닌과 글루타민산의 함량이 재래품종보다 많고, 단맛이 강하며 또, 씹는 감이 좋다(표 1, 2, 3).
표 1. 출원품종 및 큰방사무늬김의 특성표
형 질 출원품종의 특성 큰방사무늬김의 특성
형태적성질 사상체의 색유엽의 엽형성숙의 엽형엽장엽색엽의 두께성숙기생식세포형성 면적율번식기단포자 발아체량염분적응성온도적응성유실저항성내건성영양요구성내병성-붉은갯병-호상균병 흑자색선형선형크다흑자색얇음불염성적다성엽기다수넓다보통강함강함보통강함보통 흑자색선형선형크다흑자색보통불염성적다유엽기,성엽초기,성숙기다수넓다강함강함보통보통강함보통
제품의품질에관계하는형질 조직표면광택색조구웠을 때 색깔매끄러움맛향색소함량클로로필 a홍조소남조소 매끄러움좋음녹색좋음좋음좋음좋음많음많음많음 보통보통녹색보통보통보통보통보통보통보통
표 2. 본 발명의 신품종 김 및 재래품종의 광합성 색소함량 정량비교(㎍/㎠)
구분 클로로필 a 카로티노이드 홍조소 남조소 총량
1994년 1월 15일애지 서미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5년 11월 4일좌하 남천부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5년 11월 7일좌하 제부정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5년 12월 24일좌하 제부정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6년 1월 10일좌하 남천부어협신품종재래품종 3.372.943.832.873.743.153.973.493.973.92 0.9310.9610.9340.8621.000.8351.230.7740.9610.919 41.931.858.737.157.753.979.659.459.159.0 17.812.729.629.829.027.236.429.229.229.6 64.048.493.170.691.485.112192.9102102
상기 표는, 본 발명의 신품종 김이 클로로필 a, 카로티노이드, 홍조소, 남조소 등 거의 모든 색소를 재래품종 보다 더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그 결과 색, 맛, 영양 면에서 본 발명의 신품종 김이 재래품종 보다 더 좋은 품질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 본 발명의 신품종 김의 유리아미노산 정량결과
구분 알라닌(㎍/100g건 중량) 글루타민산(㎍/100g건 중량)
1995년 1월 15일에지 의기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5년 11월 13일좌하 제부정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5년 12월 24일좌하 제부정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6년 12월 18일좌하유명어련(제부정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6년 12월 27일도원만 천구어협신품종재래품종1997년 1월 3일복강 고전 연구회신품종재래품종 152114301601145114801366138012401751136611401070 11309179789258498291800170051132697583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원의 신품종 김은 생산량이 많고 엽체가 부드러우며 이를 가지고 제조한 건해태는 적채회수가 늘어도 작은 구멍이 생기는 일이 없으며 색체가 검고 광택이 있고 부드러워서 버석거리는 감도 없다. 특히, 유리아미노산인 알라닌과 글루타민산의 함량이 재래품종보다 많아서 맛이 더 좋고 씹는 감도 좋아 소비자의 미각을 만족시켜주어 결과적으로 해태 제조농가의 소득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2)

  1. 큰참김의 녹색형과 큰방사무늬김의 적색형으로부터 성숙 직전의 엽상체 엽편을 취하여 같은 배양용기에 넣고 저온, 고조도, 단일주기 조건에서 완숙할 때까지 통기배양을 하고, 상기 통기배양 동안 타가수정 된 큰참김 녹색형의 엽편에서 과포자를 얻어서 고온, 저조도, 장일주기 조건에서 정치배양하여 F1사상체를 얻는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잡종사상체를 분리하여 교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녹색형과 야생형의 F1사상체의 콜로니를 분리해서 20∼23℃, 500∼3,000lux, 명기 12∼14시간, 암기 12∼14시간의 고온, 저조도, 장일 조건에서 사상체에 각포자낭을 형성시키고 10∼15℃, 5,000∼7,000lux, 명기 10∼12시간, 암기 12∼14시간의 저온, 고조도, 단일조건에서 각포자를 방출시켜 비닐론의 단섬유에 부착하고 발아시켜 F1엽상체를 얻고;
    상기 야생형의 F1엽상체 중 살아남은 돌파개체들 중에서 야생형 개체 하나를 선발하여 상기의 저온, 고조도, 단일주기의 조건에서 통기배양을 하여 성장, 성숙시킨 후 자가수정으로 유전자형을 고정시킨 유리사상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교잡방법.
  2. 제 1항에 기술된 교잡방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김.
KR1019990011040A 1999-03-30 1999-03-30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품종김 및 그 교잡방법. KR10035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040A KR100356102B1 (ko) 1999-03-30 1999-03-30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품종김 및 그 교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040A KR100356102B1 (ko) 1999-03-30 1999-03-30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품종김 및 그 교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752A KR20000061752A (ko) 2000-10-25
KR100356102B1 true KR100356102B1 (ko) 2002-10-19

Family

ID=1957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040A KR100356102B1 (ko) 1999-03-30 1999-03-30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품종김 및 그 교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1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370B1 (ko) 2010-02-25 2010-12-15 전라남도 방사무늬김의 신품종 육성방법 및 그로부터 생산된 신품종 방사무늬김
KR101184318B1 (ko) 2010-11-10 2012-09-19 전라남도 신품종 방사무늬김 전남슈퍼김 1호
KR101387056B1 (ko) 2012-03-12 2014-04-25 서천군 신품종 방사무늬김의 육성방법
KR101433619B1 (ko) * 2012-08-10 2014-08-27 서천군 신품종 방사무늬김 서풍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30A1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에프앤피 신규 유채 품종
KR102612026B1 (ko) * 2022-10-14 2023-12-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병성 변이참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370B1 (ko) 2010-02-25 2010-12-15 전라남도 방사무늬김의 신품종 육성방법 및 그로부터 생산된 신품종 방사무늬김
KR101184318B1 (ko) 2010-11-10 2012-09-19 전라남도 신품종 방사무늬김 전남슈퍼김 1호
KR101387056B1 (ko) 2012-03-12 2014-04-25 서천군 신품종 방사무늬김의 육성방법
KR101433619B1 (ko) * 2012-08-10 2014-08-27 서천군 신품종 방사무늬김 서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752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iend Brassica
JP5231466B2 (ja) 小さい果実を作出する四倍体スイカ
Israeli et al. In vitro culture of bananas
CN105230497B (zh) 一种海南地区白花油茶组培苗的生产方法
Skene et al. In vitro culture of abscissed immature avocado embryos
US6600092B2 (en) Plant species ssamchoo and breeding method thereof
AU2003243222B2 (en) Tetraploid watermelons producing small fruits
Talukdar Recent progress on genetic analysis of novel mutants and aneuploid research in grass pea (Lathyrus sativus L.)
CN110122316B (zh) 棉花光敏核雄性不育突变体及其应用
CN110169355B (zh) 一种夏季直播棉品种的培育方法
Sharma et al. Pigeonpea
KR100356102B1 (ko) 큰참김과 큰방사무늬김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품종김 및 그 교잡방법.
Taylor Clovers
CN112715303A (zh) 一种木薯朱砂叶螨抗性选育方法
KR101881992B1 (ko) 신품종 배추 식물
Zadoo et al. Cytogenetics of cultivated bougainvilleas VII: Origin and evolution of ornamental taxa
Kigel et al. Portulaca oleracea
Wilson et al. Landscape performance and fruiting of nine heavenly bamboo selections grown in northern and southern Florida
CN108739356A (zh) 一种高结实率耐盐的优质香型光身水稻种质的创制方法
Hasnain et al. Flowering, Fruit Set, and Pollination of Plum
Salgotra et al. Breeding and improvement
Renu Intervarietal hybridization in Anthurium andreanum Linden
Zhang Hybridization and Cutting of Buddleja Genus
Madhukumar Cross compatibility analysis for production of hybrids in anthurium andreanum linden
US6140561A (en) To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