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083B1 - 사용시혼합형모발처리용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용시혼합형모발처리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083B1
KR100356083B1 KR1019960706755A KR19960706755A KR100356083B1 KR 100356083 B1 KR100356083 B1 KR 100356083B1 KR 1019960706755 A KR1019960706755 A KR 1019960706755A KR 19960706755 A KR19960706755 A KR 19960706755A KR 100356083 B1 KR100356083 B1 KR 100356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mposition
weight
agent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126A (ko
Inventor
야스나리 나까마
요꼬 다께시타
야스히로 아라이
미찌히로 야마구찌
마사아끼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2999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5608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97070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사용하기에 간편하며, 모발의 염색성 또는 표백성이 뛰어난 모발 처리용 조성물로서 이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 반극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고급 지방산의 배합, 또한 염료 또는 알칼리제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사용시 혼합형 모발 처리용 조성물 {HAIR TREATMENT COMPOSITION TO BE MIXED BEFORE USE}
종래, 사용시 혼합형 (즉, 사용할 때에 2제 이상이 배합됨) 모발처리용 조성물, 특히 염모제 및 모발 표백제로서는, 2 액식의 것이 통상 사용되어 왔고, 각각 방향족 아미노 화합물을 비롯한 산화염료 및/또는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제를 주된 제로서 함유하는 제 1제와,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주된 제로서 함유하는 제 2제를 사용할 때에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사용에 있어서는 이 혼합물을 모발에 도포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혼합물은 모발에서 떨어지지 않는 정도의 점도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액정 영역을 이용하여 혼합시의 증점계를 얻고 있다. 즉, 액정형성 농도 이상의 농후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저급 알콜을 염료 또는 알칼리제와 함께 배합한 제 1제를,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로 희석하여 최종 혼합물의 계면활성제를 액정영역에 농도 조정함으로써 증점계를 얻었다. 그러나, 특히 염색제에 대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저급 알콜의 농후한 종래계는, 염색후의 모발의 감촉이 부시시하고, 또, 혼합시는 액정이 되기 때문에 염료의 분산이 나빠, 염착성이 나쁜 결점이 있었다.
한편, 모발의 염색 또는 색조 부여와 동시에, 세정 및 콘디셔닝을 가능하게 하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또는 양성 이온 계면활성제를 각각 특정비율로 함유하는 염모제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 특공평 4-22884호 공보 참조).
그러나, 혼합전의 분리된 형태에 있는 조제 조성물에 있어서, 물성이 안정되어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성을 나타내지만, 사용할 때, 즉 모든 성분이 혼합된 경우에는, 그 혼합 조성물이 모발에서 떨어지지않고 원하는 염색 또는 탈색, 염색 또는 탈색후의 모발의 감촉 등에 뛰어난 염모제 또는 모발 표백제를 안정하게 제공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예를들면, 상기의 저급 알콜을 사용한 조성물에 의하면, 처리후의 모발의 감촉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할 때 각 성분이 혼합된 조성물로부터, 저급 알콜의 일부 또는 그 전부를 제거할 수 있고, 게다가 각 성분이 각각 독립되어 있거나, 또는 일정의 군으로서 분리된 형태로 있을 때는, 상대적으로 저점도를 나타내지만, 그들의 각 성분이 일체가 되어 혼합된 상태에서는 적당한 점성을 나타내는, 사용시 혼합형 모발 처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사용시(使用時) 혼합형 모발 처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배합된 상태에서, 특정의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염모제 조성물 및 모발 표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모제의 기술분야에 속하지는 않지만,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반극성 계면활성제와 고급 지방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세정제로서 적당한 점도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5-17342호 및 일본국 특개평 6-65596호 공보 참조).
본 발명자들은, 이와 관련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은, 사용시 혼합형 염모제의 필수 성분인 염료 및 과산화물과, 각각 단독 또는 특정의 배합으로 조제한 경우에는, 각각 안정되고 상대적으로 저점도의 조제물을 부여하지만, 그들의 전부를 혼합한 경우에는, 염모제로서의 사용목적상 과도한 점성을 나타내는 혼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할 때에 염료 또는 알칼리제와 산화제가 배합되는 사용시 혼합형 모발 처리용 조성물로서,
(a) 상기 배합된 조성물이 염료 (I) 또는 알칼리제 (I')와, 임의성분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I) 과, 고급 지방산 1 종이상 (III) 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V) 과, 산화제 (V) 와, 물 (VII)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b) 사용전에는, 성분 (I) 또는 알칼리제 (I'), (II) 및 (III)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이, 성분 (V) 로부터 분리된 형태로 놓여지는, 모발 처리용 조성물, 특히 염모제 또는 모발 표백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 성분으로서 양이온성 중합체 (류) (VI) 를 함유하는 조성물, 즉, 사용할 때에 염료 또는 알칼리제와 산화제가 배합되는 사용시 혼합형 모발 처리용 조성물로서,
(a) 상기 배합된 조성물이 염료 (I) 또는 알칼리제 (I')와, 임의성분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 1종 이상 (II) 과, 고급 지방산 1 종 이상 (III) 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V)과, 산화제 (V) 와, 양이온성 중합체 (VI) 와, 물 (VIII)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b) 사용전에는, 성분 (I) 또는 (I'), (II) 및 (III) 및 (IV)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이, 성분 (V) 및 (V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으로부터 분리된 형태로 놓여지는, 모발 처리용 조성물, 특히 염모제 또는 모발 표백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사용시 혼합형」이란 말은, 미리 조제된 2 종 이상의 조제물을 사용할 때 즉, 모발에 처리 할 때에 혼합되는 양식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영구 염모제라 칭하여지고 있는 염모제로의 적용에 적합하지만, 염료를 알칼리제로 치환함으로써 모발 표백제로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위해 염모제로의 적용을 중심으로 설명하는데, 상기와 같이 염료를 알칼리제로 치환하는 것으로, 모발 표백제의 설명이 되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염료 (성분 (I)) 로서는, 화합물 자체의 산화에 의해 발색하는 염료 전구체 및 염료 전구체와의 배합에 의해 여러 가지의 색조를 띠는 커플러와의 배합물을 들 수 있다. 한정되지는 않지만, 이와 같은 염료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5 - 아미노 오르토 크레졸 (별명 파라 아미노 오르토 크레졸), 2 - 아미노 - 4 - 니트로페놀, 2 - 아미노 - 5 - 니트로페놀, 1 - 아미노 - 4 - 메틸 아미노 안트라퀴논, 3, 3' - 이미노 디페놀, 염산 2, 4 - 디아미노 페놀, 염산 톨루엔 - 2, 5 - 디아민, 염산 니트로 파라 페닐렌 디아민, 염산 파라페닐렌 디아민, 염산 N - 페닐 파라페닐렌 디아민, 염산 메타페닐렌 디아민, 오르토 아미노 페놀, 초산 N - 페닐 파라 페닐렌 디아민, 1, 4 - 다아미노 안트라퀴논, 2, 6 - 다아미노 피리딘, 디페닐 아민, 톨루엔 - 2, 5 - 디아민, 톨루엔 - 3, 4 - 디아민, 니트로 파라페닐렌 디아민, 파라 아미노 페닐 술파민산, 파라 아미노 페놀, 파라 니트로 오르토 페닐렌 디아민, 파라 페닐렌 디아민, 파라 메틸 아미노 페놀, N, N' - 비스 (4 - 아미노페닐) - 2, 5- 디아미노 - 1,4 - 퀴논 디이민 (별명 밴드로프스키 베이스), 2 - 히드록시 - 5 - 니트로 - 2', 4' - 디아미노 아조벤젠 - 5 - 술폰산 나트륨 (별명 크롬 브라운 RH), N - 페닐 파라페닐렌 디아민, 메타 아미노 페놀, 메타 페닐렌 디아민, 황산 5 - 아미노 오르토 크레졸 (별명 황산 파라 아미노 오르토 크레졸), 황산 2 - 아미노 - 5 - 니트로 페놀, 황산 오르토 아미노 페놀, 황산 오르토 크롤 파라페닐렌 디아민, 황산 4, 4' - 디아미노 디페닐 아민, 황산 톨루엔 - 2, 5 - 디아민, 황산 니트로 파라페닐렌 디아민, 황산 파라 아미노 페놀, 황산 파라 니트로 오르토 페닐렌 디아민, 황산 파라 니트로 메타 페닐렌 디아민, 황산 파라 페닐렌 디아민, 황산 파라 메틸 아미노 페놀, 황산 메타 아미노 페놀, 황산 메타 페닐렌 디아민, 및 또는 식물염료로 불리는 헤마틴, 탄닌산, 카테콜, 레졸신 등의 방향족 다가 알콜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염료는 원하는 염모색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고, 또 경우에 따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염료의 배합량은 통상 0.001 ∼ 10 중량 % 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 이다.
또한, 모발 표백제 조성물에서는, 상기 염료를 대신해 알칼리제 (성분 (I')) 로서, 각종의 무기 알칼리 및 유기 알칼리가 적어도 1종 사용된다. 이들 알칼리제는 원하는 표백효과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고, pH 6 ∼ 12 가 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산화제 (성분 (V)) 으로서는, 상기 산화염료와 접촉함으로써, 염료에 의거한 발색을 가져오도록 작용하고, 또 모발 표백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산화제가 알칼리제와 접촉함으로써, 모발의 표백을 가져오도록 작용하고, 본 발명의 목적에 악영향을 끼치지않는 화합물 또는 계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계로서, 염료의 발색을 비롯 모발의 표백 (또는) 탈색을 촉진하도록 작용하는 과산화수소와 과황산 암모늄이나 그 외의 과황산염을 배합한 계, 또는 과산화수소와 피로아황산 나트륨을 배합한 산화환원계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계에서는 사용전에는 과산화수소와 다른 과산화물이 분리된 형태에 놓인다.
산화제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염료의 종류 및 사용할 때의 혼합조성분을구성하는 각 성분의 종류 및 pH 등에 의해, 최적당량이 다르므로 한정할 수 없지만,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총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2 ∼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 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경우에 따라 사용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성분(II)) 는, 통상의 화장품 기제 등에 이용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구체예를 든다면, 하기 화학식 A 로 나타나는 아미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시판품으로서 레본 2000 (산요우(三洋)화성제), 아논 BDF (니혼유시(日本油脂)제) 등이 해당],
하기 화학식 B 로 나타나는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시판품으로서 론자인 - CS (론자 제), 미라타인 CBS (미라놀 제) 등이 해당],
하기 화학식 C 로 나타나는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시판품으로서 아논 BL (니혼유시(日本油脂)제), 데하인톤 AB - 30 (헨켈제) 등이 해당],
하기 화학식 D 로 나타나는 술포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시판품으로서 론자인 12 CS (론자 제) 등이 해당],
하기 화학식 E 로 나타나는 이미다졸륨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시판품으로서 오바졸린 662 - N (도우호우 카가꾸 (東邦化學)제), 아논 GLM (니혼유시제) 등이 해당] 등이다.
또, 경우에 따라 사용하는 반극성 계면활성제 (성분(II)) 로서는 하기 화학식 F 로 나타나는 제 3 급 아민 옥사이드형 반극성 계면활성제 (시판품으로서 유니세프 A - LM (니혼유시제), 완다민 OX - 100 신닛뽕리카 (新日本理化)제 등이 해당) 등이 예시된다.
단, 화학식 A ∼ F 중, R1은, 평균탄소원자수 9 내지 21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평균 탄소원자수 11 내지 17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평균 탄소원자수 11 내지 13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평균 탄소원자수가 9 미만인 경우는, 9 이상의 경우와 비교하여 친수성이 강하고, 최종 혼합 조성물의 증점작용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21 을 넘으면, 21 이하의 경우와 비교하여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나빠지고, 최종 혼합 조성물 중에서, 또 사용전의 이들의 각 성분을 함유하는 조제물 중에서 이들 성분의 상분리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조성물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R2는 평균 탄소원자수 10 내지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x 는 2 내지 4 의 정수이고, y 는 0 내지 3 의 정수이며, z 는 1 또는 2 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 중 임의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종 이상의 배합으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이미다졸륨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다른 형의 적어도 1 종과의 배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미다졸륨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1 종과, 아미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술포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 3 급 아민 옥사이드형 반극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과의 배합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지만, 배합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특정 종류를 선택하면, 상기 성분은 반드시 본 발명의 모발 처리용 조성물에 함유되지 않아도 좋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급 지방산 (성분 (III)) 으로서는, 예를들면, 하기 화학식 G 로 나타나는 고급 지방산으로, 통상의 화장품 기제 등에 이용되고 있는 고급 지방산이면 모두 대상으로 할 수 있다.
R3COOH
여기에서 R3는, 평균 탄소수 7 ∼ 25 의 직쇄 또는 분지쇄 또는 수은기를 갖는 포화, 불포화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평균탄소수 9 ∼ 23 의 직쇄 또는 분지쇄 또는 수산기를 갖는 포화, 불포화 탄화수소가 보다 바람직하고, 평균탄소수 11 ∼ 21 의 직쇄 또는 분지쇄 또는 수산기를 갖는 포화, 불포화 탄화수소가 가장 바람직하다. 평균 탄소수가 7 미만인 경우는, 그 이상의 경우와 비교하여, 혼합시의 증점작용이 약하다. 한편, 25 를 넘으면, 그 이하의 경우와 비교하여, 1 제 중에서의 용해도가 작고, 상분리하여 고점도로 된다.
고급 지방산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아라킨산, 베헨산 등의 포화지방산 ; 2 - 팔미트레인산, 페토로세린산, 올레인산, 에라이딘산, 리시놀산, 리놀산, 리노에라이딘산, 리놀렌산, 알라키돈산 등의 불포화지방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의 분지쇄지방산 ; 12 - 히드록시 스테아린산 등의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안정성 및 피부자극성의 관점에서는 탄소수 18 의 포화지방산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분지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액상의 지방산, 예를들면, 메틸 분지쇄를 갖는 탄소수 18 의 포화지방산 또는 올레인산이 좋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들면, 이소스테아린산 (에메리 #871, #875 (에메리사제), 올레인산 (엑스트라 올레인 90, 99 (니혼유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작용기작에 의해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의 고급지방산을 상기 성분 (I), 임의성분인 성분 (II) 및 후술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배합하여 사용하면, 이들을 함유하는 조제조성물 (일반적으로, 제 1제) 의 저온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할 때의 혼합조성물의 점도 향상에도 유의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의 고급지방산 중 임의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선택되어 이용된다.
사용할 때의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점성은 고급지방산의 배합량과 함께 높아지고, 0.1 ∼ 5 중량 %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의 실온에서 액상의 고급지방산을 이용하면 효과가 더 한층 증대함과 동시에, -5 ℃ 이하의 저온에서도 안정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IV)) 로서는, 예를들면, 비누용 기초, 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등의 지방산 비누,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칼륨 등의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POE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 POE 라우릴 황산나트륨 등의 POE 알킬 에테르 황산염, 라우로일 살코신 나트륨 등의 N - 아실 살코신산, N - 미리스토일 - N - 메틸 타우린 나트륨, N - 라우로일 - N - 메틸 타우린 나트륨 등의 알킬로일 알킬 타우린염, 야자유 지방산 메틸 타우리드 나트륨, 라우릴 메틸 타우리드 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 아미드 술폰산염, POE 올레일 에테르 인산 나트륨, POE 스테아릴 에테르 인산 등의 인산 에스테르염, 디 - 2 - 에틸 헥실 술포 숙신산 나트륨, 모노 라우로일 모노 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 에틸렌 술포 숙신산 나트륨, 라우릴 폴리 프로필렌 글리콜 술포 숙신산 나트륨 등의 술포 숙신산염, 리니어 도데실 벤젠 술폰산 타트륨, 리니어 도데실 벤젠 술폰산 트리 에탄올 아민, 리니어 도데실 벤젠 술폰산 등의 알킬 벤젠 술폰산염, N -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모노 나트륨, N - 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 디나트륨, N - 밀리스토일 - L - 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등의 N - 아실 글루타민산염,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 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화유, POE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 POE 알킬 아릴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α - 올레핀 술폰산염,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술폰산염, 2급 알콜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 알킬로일 아미드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 모노에탄올 아미드 숙신산 나트륨, N - 팔미트일 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 아민, 카제인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중의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하고, 에틸렌 옥시드 단위가 통상 1 ∼ 20 인 것을 포함한다.
이들 중, 특히 사용할 때 혼합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POE 라우릴 황산 나트륨, POE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 POE 밀리스틸 황산 트리 에탄올 아민 및 POE 밀리스틸 황산 나트륨 등의 POE 알킬 에테르 황산염 및 N - 라우로일 - N - 메틸 타우린염, N - 밀리스틸 - N - 메틸 타우린염 등의 알킬로일 알킬 타우린염으로, 알킬 사슬의 탄소수가 10 ∼ 18 내의 어느 하나의 짝수인 계면활성제, 또한 α - 올레핀 술폰산염이다.
이들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의 모발 처리용 조성물에 함유하는 경우에는, 성분 (II)을 병용하지않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 종 이상을 적당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전의 조제물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염료 또는 알칼리제와 혼합하여 또는 산화제와 혼합하여도 좋다. 따라서, 성분 (II) 및 성분 (III) 과 혼합 또는 분리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분리한 형태로는,성분 (IV) 는 산화제 (V)와 혼합되는지, 또는 그들의 소량을 성분 (II) 및 성분 (III) 과 배합하여 사용하고, 또한 주요량을 성분 (II) 및 성분 (III) 과는 분리한 형태로 사용전의 조제물을 조제하여도 좋다.
추가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양이온성 중합체 (성분 (VI)) 는, 통상의 화장품 기제 등에 이용되는 양이온성 중합체의 전부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를 든다면, 하기 화학식 H 로 나타나는 제 4 급 질소함유 셀룰로스 에테르 유도체 (시판품으로서, 폴리머 JR - 400, JR - 30M 및 JR125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등이 해당),
하기 화학식 I 로 나타나는 디아릴디메틸 암모늄염·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시판품으로서, 마코트 550 (메르크사, 갈곤사제) 등이 해당),
하기 화학식 J 로 나타나는 폴리 (디아릴 디메틸 암모늄염) 유도체 (시판품으로서, 마코트 100 (메크르사, 갈곤사제) 등이 해당),
또, 아래에 나타내는 양이온성 중합체에서 하기 화학식 K 로 나타나는 아민함유 (메타) 아크릴계 단량체 15 ∼ 90 중량 %,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및 R3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t - 부틸기, A 는 산소원자 또는 -NH- 기, B 는 직쇄상또는 측쇄를 갖는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하기 화학식 L 로 표현되는 비닐 단량체 0 ∼ 80 중량 %,
[식중, R1은 상기와 동일, R4는 하기 일반식 :
(식중, p 는 3 또는 4 를 나타낸다) 으로 표현되는 기 또는 하기 일반식 :
으로 표현되는 기를 나타낸다]
하기 화학식 M 으로 표현되는 (메타) 아크릴로일기 함유 단량체 1 ∼ 60 중량 % 및 가교성 비닐단량체 0.1 ∼ 25 중량 % 를 함유한 증점제용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양이온성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식중, R1및 A 는 상기와 동일, R5는 직쇄상 또는 측쇄를 갖는 탄소수 1 ∼ 17 의 알킬렌기 또는 하기 일반식 :
(식중, n 은 1 ∼ 4 의 정수, q 는 1 ∼ 25 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표현되는 기, R6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의 양이온성 중합체 중의 임의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선택되어 이용된다.
혼합시에 있어서의 증점효과는, 양이온성 중합체의 배합량과 함께 높아지는데, 혼합시에 5 % 를 넘어 배합한 경우, 반대로 증점효과는 저하한다. 배합량으로서는 0.01 ∼ 5 % 가 바람직하고, 증점효과를 고려하면, 특히 0.1 ∼ 1 % 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과산화물 (성분 (V)) 및 양이온성 중합체 (성분 (VI)) 의 성질상, 본 발명의 사용전의 조제물은, 성분 (I), 임의성분인 성분 (II) 및 성분 (III) 과 성분 (V) 및 성분 (VI) 의 배합 사용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할 때에 혼합되는 염모제 조성물은, 만약 2 제계에 의한 경우, 제 1 제를, 성분 (I), 성분 (II), 성분 (III), 성분 (IV) 및 물 (성분 VII) 로 조제하고, 제 2 제를 성분 (V), 성분 (VI) 및 성분 (VII) 로 조제한 2 제형으로 제공하는 것이 취급상 편리하다.
이렇게 해서 각 성분이 배합된 사용할 때의 혼합조성분 중에서는, 이들의 총량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함유하고, 경우에 따라, 추가성분 (VI) 을 0.01 ∼ 5 중량 % 함유하면, 사용전의 조제물 (예를들면, 상기 제 1 제 및 제 2 제) 의 점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통상, 200 cps 이하) 유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할 때의 혼합 조성물의 점도를 유의 (일반적으로 500 ∼ 10000 cps, 바람직하게는 500 ∼ 5000 cps,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3000 cps) 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도는 30 ℃ 이하에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성분 (IV) 와 (II) 의 총량이 5 % 미만인 경우는, 사용할 때의 혼합 조성물의 점도를 충분히 높일 수 없고, 또 이들의 총량이 50 % 를 넘으면 혼합 조성분의 계가 액정을 형성한 거동을 나타내게 되어 바람직하지않다.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 (IV)) 와,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반극성 계면활성제 (성분 (II)) 의 혼합시의 중량비는, 4/6 ∼ 10/0 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중량비 범위내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 1 제와 제 2 제의 혼합시에 있어서 더 폭넓은 pH 범위내 (구체적으로는 pH 6 ∼ 12) 에서 높은 증점효과가 얻어지고, 백발의 염착 및 그 균일성이 높은 염모제가 된다. 또, 소위 세련된 염색이라고 하는 밝은 색으로 염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특히 pH6 이상 8 미만에서는 백발의 염착에, 그리고 pH 8 ∼ 12 에서는 세련된 염색에 적합하다. 제 1 제 및 제 2 제, 및 이들의 혼합물은, 각각 바람직한 점도,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성분 (IV) 와 성분 (II) 의 중량비를 4/6 ∼ 6/4 로 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성분의 상기 배합에 더하여, 사용할 때의 혼합 조성물의 pH 가 6 ∼ 12 를 갖도록 조정되는 것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pH 의 조정에 의해, 혼합 조성물 (즉, 사용할 때의 염모제 조성물) 의 점도가 적당하게 유지되고, 게다가 염색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성분 (VI) 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사용전에 적어도 성분 (I) 또는 성분 (I'), 임의성분인 성분 (II), 성분 (Ⅲ) 및 성분 (VII) 의 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제물은, 성분 (V), 성분 (VI) 및 성분 (VII) 과의 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제물과 분리된 형태에 놓여진다. 이 경우도 상술한 성분 (VI) 을 포함하지 않은 혼합 조성물과 동일하게 pH 범위, 성분 (IV) 와 성분 (II) 의 사용량에 따르는 것이 좋다.
제 1 제를 알칼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알칼리성의 pH 조정제를 배합한다. 이 pH 조정제의 구체예로서는, 통상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 아미노 등의 알카노일 아민,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의 수산화 알칼리, 탄산 나트륨 등의 탄산 알칼리, 규산 나트륨 등의 규산 알칼리를 들 수 있다. 또, 황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탄산암모늄, 인산 제1암모늄, 인산 제2암모늄 등의 무기 암모늄염 등도 사용가능하다. 또,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모발 표백제로 이용될 때의 알칼리제의 구성성분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처리용 조성물을 사용할 때에 있어서의 pH 는, 상술한 바와 같이, pH 조정제를 제 1 제와 제 2 제의 혼합전에 배합해 두는 것 외에, 혼합시에 첨가함으로써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혼합시란 혼합중 또는 혼합후를 말하는데 혼합중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모발 처리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저급 알콜을 본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 (즉 제 1 제중에 3 중량 % 이하가 바람직하다) 에서 배합시켜도 좋다. 저급 알콜의 구체예로서는, 통상 에틸 알콜, n -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2 ∼ 5 의 1 가 알콜을 들 수 있다. 염모제에 있어서는, 저급 알콜을 함유시킴으로써 염료의 모발로의 침투가 촉진되지만, 이에 따라 모발의 감촉이 저하되기 때문에 배합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한 경우가 자주 있다. 한편, 종래의 염모제는, 제 1 제에 저급 알콜이 다량으로 배합되는데, 본 발명은 이 함유량을 0 또는 적게할 수 있기 때문에 헹굼시에 있어서도 사용감이 뛰어난 염모제가 된다.
이 외에 본 발명의 모발 처리용 조성물에는, 이 조제물의 단계에서, 또는 조제물이 혼합된 단계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외의 모발보호제, 안정화제, 향료, 보습제 등을 넣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전의 조제물과, 사용할 때에 이들의 조제물을 배합한 본 발명의 모발 처리용 조성물은, 최종 제품을 모발에 적용했을 때, 모발로 부터의 떨어짐을 실질적으로 초래하지 않고, 염료제에 있어서는 뛰어난 염모특성을나타낸다. 또한, 각 조제물은 보존안정성이 뛰어나고, 취급상 간편하고 상대적으로 저점도의 조성물로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예중에서 사용하는 부 또는 퍼센티지 (%)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중량) 부 또는 (중량/중량) % 를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의 효과의 평가법을 나타낸다.
1) 모발 스트랜드에 의한 염착성 테스트
미리 브리치 (탈색) 처리한 2 g 의 모발 스트랜드에 대하여 10 g 의 염모제를 도포하고, 방치시간과 L 값의 관계로 평가했다. 또한, L 값이란 헌터의 색차식에서의 L 값을 나타낸다.
2) 피시험자에 의한 염착성, 부시시함 비교 테스트
피시험자 10 명을 대상으로, 일련의 염모조작을 행한 경우의 두발의 염착성, 및 건조후의 부시시함을 아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염착성>
++ ··· 염착성이 현저하게 양호하고 균일하게 염색된다.
+ ··· 염착성이 양호하고 균일하게 염색된다.
± ··· 약간 염착성이 떨어진다
- ··· 고르지않게 염색되어 염착성이 없다
<부시시함>
++ ··· 부시시하지않고, 부드러운 촉감을 준다
+ ··· 부시시하지않다
± ··· 약간 부시시하다
- ··· 현저하게 부시시하다
3) 혼합액의 점도
혼합액의 점도는 제 1 제와 제 2 제를 혼합한 후, 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30 ℃ 에서 측정했다.
4) 저온 안정성
1 제 (100 g ) 를 -5 ℃ 의 저온조에 1개월 보존한 후의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고, 아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 당초와 전혀 변함이 없다.
+ ··· 당초와 전혀 변함이 없지만 조금 증점
± ··· 조금 탁함이 발생한다
- ··· 분리가 발생한다
실시예 1, 비교예 1 (종래계)
아래의 예에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산화제와 혼합해서 사용된 경우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예증한다.
아래에 나타난 본 발명과 종래계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1 : 1 로 혼합하여 염모제를 조정하고, 모발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종래계의 염착성의 차이를 방치시간과 L 값의 관계로 평가했다.
또, 제 1 제, 제 2 제 및 양자를 혼합한 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실시예1
(제 1 제) (중량 %)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졸륨 베타인 3.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 아민 아세트산 베타인 7.0
올레인산 3.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 )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디아민 1.0
레졸신 1.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폴리 옥시 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 나트륨 10.0
과산화수소수 20.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 완충액 pH 3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비교예 1(제 1 제)
폴리옥시 에틸렌 (2) 올레일 에테르 15.0
폴리옥시 에틸렌 (5) 옥틸 페닐 에테르 5.0
올레인산 10.0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 10.0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L - 아스코르빈산 0.5
하이드로설파이드 나트륨 0.1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과산화수소수 (30 % ) 20.0
메틸 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 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 의 염모제에 의한 처리후 20 분의 L 값은 14.6, 비교예에서는 16.9 이고, 또 눈으로 보아서도 종래계에 비교하여 본 발명품은 염착성이 뛰어나 있다.
다음에, 염색한 모발에 카본 아크를 20 시간 또는 크세논램프를 30 시간 조사하고, L값의 변화 (△L) 를 조사했다. 비교예 1 에서는, △L = 12.2 (크세논) 이었던 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L = 3.6 (크세논) 이 되어, 본 실시예에서 염착한 모발은 퇴색하기 어려움을 알았다.
또, 실시예 1 의 제 1 제는, pH = 10.65, 점도 = 150 cps, 제 2 제는 pH = 3.0, 점도 = 12 cps 이고, 양자를 혼합한 후는 pH = 9.3, 점도 = 4200 cps 가 되어 현저한 증점효과가 인정되었다.
다음에, 실시예 1 의 제 1 제 및 제 2 제를 이용하여, 혼합시에 pH 조정제 (암모니아수 또는 인산) 를 적당히 가해 pH 5, 6, 12 의 염모제를 배합하고, 점도를 측정한 바, 각각 460 cps, 2510 cps, 890 cps 가 되고, pH 를 6 ∼ 12로 한 염모제에서는 뛰어난 증점효과가 얻어짐을 알았다. 또, 염모처리 20 분후의 L값은 각각 52, 23, 38 이 되고, pH 6 ∼ 12 의 범위에서 염착성이 높은 것을 알았다.
실시예 2 ∼ 25 및 비교예 2 ∼ 9
여러 가지 조성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혼합하여 얻은 염모제에 대하여, 상기한 평가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 4 에 정리했다. 또한, 아래의 표 중, 「to 100」이라는 기재는, 100 중량 % 까지 정제수가 첨가된 것을 의미한다.
이상 표 1 ∼ 4 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모제는 염착성에 뛰어나고, 부시시함이 없고, 예를들면, 제 1 제 및 제 2 제로서 조제한 경우에, 각각 점도가 낮고, 혼합후의 점도도 적당하고, 저온안정성도 뛰어난 것을 알았다. 또, 본 발명의 염모제는 모두 양호한 증점효과를 볼 수 있고, 모두 500 cps 이상의 점도가 되어, 높은 증점효과가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 26, 비교에 10 (종래계)
아래의 예에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 1 제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예증한다.
아래에 나타난 본 발명과 종래계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1 : 1 로 혼합하여 염모제를 조정하고, 모발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종래계의 염착성의 차이를 방치시간과 L값과의 관계로부터 평가했다. 또, 제 1제, 제 2제, 및 양자를 혼합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제 1 제] (실시예 26)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6.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4.0
올레인산 5.0
모노에탄올아민 3.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1 제] (비교예 10)
폴리옥시에틸렌 (2) 올레일 에테르 15.0
폴리옥시에틸렌 (5) 옥틸 페닐 에테르 5.0
올레인산 10.0
모노에탄올아민 3.0
파라페닐렌디아민 1.0
레졸신 1.0
L - 아스코르빈산 1.5
하이드로 술파이드나트륨 0.1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과산화수소수 (30%) 20.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 완충액 pH 2 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26 에 의한 처리후 20 분의 L값은 13.2, 비교에에서는 16.5 이고, 또 육안 관찰에 의해서도 종래계에 비교하여 본 발명품은 염착성이 뛰어나 있음을 알았다.
다음에, 염색한 모발에 카본 아크를 20 시간 또는 크세논 램프를 30 시간 조사하고, L 값의 변화 (△L) 를 조사했다. 비교예 10 에서는, △L = 12.0 (크세논) 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 26 에서는, △L = 6.0 (크세논) 이 되어,본 실시예에서 염착한 모발은 퇴색하기 어려움을 알았다.
또, 실시예 26 의 제 1 제는, pH = 9.83, 점도 = 300 cps, 제 2 제는 pH = 2.1, 점도 = 10 cps 이고, 양자를 혼합한 후는 pH = 7.8, 점도 = 7200 cps 가 되어 현저한 증점효과가 인정되었다.
다음에, 실시예 26 의 제 1 제 및 제 2 제를 이용하여, 혼합시에 pH 조정제 (암모니아수 또는 인산) 를 적당히 가해 pH 5, 6, 12 의 염모제를 배합하고, 점도를 측정한 바, 각각 400 cps, 3000 cps, 1070 cps 가 되고, pH 를 6 ∼ 12 로 한 염모제에서는 뛰어난 증점효과가 얻어짐을 알았다. 또, 염모처리 20 분후의 L값은 각각 45, 20, 20 이 되고, pH 6 ∼ 12 의 범위에서 염착성이 높은 것을 알았다.
실시예 27 ∼ 39 및 비교예 11 ∼ 24
여러 가지 조성의 제 1 제와 실시예 26 에서 사용한 제 2 제를 혼합하여 얻은 염모제에 대하여, 상기한 평가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5 ∼ 9 에 정리했다.
이상 표 5 ∼ 9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모제는 염착성에 뛰어나고, 부시시함이 없고, 예를들면, 제 1 제 및 제 2 제로서 조제한 경우에, 각각 점도가 낮고, 혼합후의 점도도 적당하고, 저온안정성도 뛰어나 있음을 알았다. 또, 본 발명의 염모제는 모두 양호한 증점효과를 볼 수 있고, 모두 500 cps 이상의 점도가 되어, 높은 증점효과가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 40, 비교에 25 (종래계)
아래의 예에서는, 양성성 계면활성제 또는 반극성 계면활성제를 2 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예증한다.
아래에 나타난 본 발명과 종래계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1 : 1 로 혼합하여 염모제를 조정하고, 모발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종래계의 염착성의 차이를 방치시간과 L값과의 관계로부터 평가했다.
또, 제 1제, 제 2제, 및 양자를 혼합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제 1 제] (실시예 4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0.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3.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민 초산베타인 7.0
올레인산 3.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1 제] (비교예 25)
폴리옥시에틸렌 (2) 올레일 에테르 15.0
폴리옥시에틸렌 (5) 옥틸 페닐 에테르 5.0
올레인산 10.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파라페닐렌디아민 1.0
레졸신 1.0
L - 아스코르빈산 0.5
하이드로 술파이드나트륨 0.1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과산화수소수 (30%) 20.0
메틸파라벤 적당량
EDTA 적당량
인산 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40 의 염모제에 의한 처리후 20 분의 L값은 14.3, 비교에에서는 17.8 이고, 또 육안 관찰에 의해서도 종래계에 비교하여 본 발명품은 염착성이 뛰어나 있음을 알았다.
다음에, 염색한 모발에 카본 아크를 20 시간 또는 크세논 램프를 30 시간 조사하고, L 값의 변화 (△L) 를 조사했다. 비교예 25 에서는, △L = 12.0 (크세논) 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 40 에서는, △L = 4.2 (크세논) 가 되어, 본 실시예에서 염착한 모발은 퇴색하기 어려움을 알았다.
또, 실시예 40 의 제 1 제는, pH = 10.85, 점도 = 260 cps, 제 2 제는 pH = 2.1, 점도 = 8 cps 이고, 양자를 혼합한 후는 pH = 9.3, 점도 = 6500 cps 가 되어 현저한 증점효과가 인정되었다.
다음에, 실시예 40 의 제 1 제 및 제 2 제를 이용하여, 혼합시에 pH 조정제 (암모니아수 또는 인산) 를 적당히 가해 pH 5, 6, 12 의 염모제를 배합하고, 점도를 측정한 바, 각각 480 cps, 1220 cps, 1030 cps 가 되고, pH 를 6 ∼ 12 로 한 염모제에서는 뛰어난 증점효과가 얻어짐을 알았다. 또, 염모처리 20 분후의 L값은 각각 50, 25, 36 이 되고, pH 6 ∼ 12 의 범위에서 염착성이 높은 것을 알았다.
실시예 41 ∼ 56 및 비교예 26 ∼ 35
여러 가지 조성의 제 1 제와 실시예 40 에서 사용한 제 2 제를 혼합하여 얻은 염모제에 대하여, 상기한 평가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10 ∼ 14 에 정리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비교예는 비교예 32 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인데,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특정의 배합 사용과의 관계에서 비교예로 하고 있다.
이상 표 10∼ 14 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모제는 염착성에 뛰어나고, 부시시함이 없고, 혼합후의 점도도 적당하고, 저온안정성도 뛰어나있음을 알았다. 또, 본 발명의 염모제는 모두 양호한 증점효과를 볼 수 있고, 특히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반계면활성제로서 이미다졸륨 베타인형과 함께 아미드 베타인형, 아미드 술포베타인형, 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계면활성제 또는 제 3 급 아민 옥사이드형 반극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염모제는, 모두 500 cps 이상의 점도가 되어, 높은 증점효과가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 57, 비교예 36 및 37 (종래계)
이하, 추가성분으로서 양이온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예증한다.
아래에 나타난 본 발명과 종래계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1 : 1 로 혼합하여 염모제를 조정하고, 모발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종래계의 염착성의 차이를 방치시간과 L값과의 관계로부터 평가했다.
또, 제 1제, 제 2제, 및 양자를 혼합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제 1 제] (처방 1-A)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0.0
운데실 - N - 히드록시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5.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민 5.0
올레인산 3.0
프로필렌 글리콜 5.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제 1 제] (처방 1 - B)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에테르 15.0
폴리옥시에틸렌 (4) 옥틸페닐에테르 5.0
에틸알콜 10.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5.0
파리페닐렌 디아민 2.0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처방 2 - A)
30 % 과산화수소수 20.0
메틸파라벤 0.1
주석산 나트륨 0.1
염화 O - [2 - 히드록시 - 3 - (트리메틸암모니아
프로필] 히드록시 셀룰로스 [폴리머 JR - 400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1.0
인산완충액 pH 2 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처방 2 - B)
30 % 과산화수소수 20.0
메틸파라벤 0.1
주석산 나트륨 0.1
인산완충액 pH 2 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57 비교예 36 비교예 37
제 1 제 처방 1 - A 처방 1 - B 처방 1 - A
제 2 제 처방 2 - A 처방 2 - B 처방 2 - B
제 1 제 점도 150 70 150
제 2 제 점도 40 40 15
혼합시 점도 2800 2500 450
염착성 ++ ± ++
부시시함 ++ - ++
저온안정성 ++ + ++
실시예 57 에 의한 처리후 20 분의 L값은 12.9, 비교에 36 에서는 16.1 이고, 또 육안 관찰에 의해서도 종래계에 비교하여 본 발명품은 염착성이 뛰어나 있음을 알았다.
또, 실시예 57 의 제 1 제는, pH = 11.2, 점도 = 150 cps, 제 2 제는 pH = 2.0, 점도 = 40 cps 이고, 양자를 혼합한 후는 pH = 9.5, 점도 = 2800 cps 가 되어 현저한 증점효과가 인정되었다.
다음에, 실시예 57 의 제 1 제 및 제 2 제를 이용하여, 혼합시에 pH 조정제 (암모니아수 또는 인산) 를 적당히 가해 pH 5, 6, 12 의 염모제를 배합하고, 점도를 측정한 바, 각각 300 cps, 1500 cps, 650 cps 가 되고, pH 를 6 ∼ 12 로 한 염모제에서는 뛰어난 증점효과가 얻어짐을 알았다. 또, 염모처리 20 분후의 L값은 각각 24.0, 12.0, 15.2 가 되고, pH 6 ∼ 12 의 범위에서 염착성이 높은 것을 알았다.
실시예 58 ∼ 81 및 비교예 38 ∼ 45
표 15 ∼ 표 18 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조성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혼합하여 얻은 염모제에 대하여, 상기한 평가법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표 15 ∼ 17 에서의 pH 는 전부 6 ∼ 12 이었다.
표 15 ∼ 표 18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추가성분으로서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염모제도 염착성이 뛰어나고, 부시시함이 없고, 제 1 제 및 제 2 제의 점도가 낮고, 혼합후의 점도도 적당하고, 저온안정성도 뛰어나 있음을 알았다. 또, 종래의 염모제로 제 1 제를 저점도로 하여 제 2 제와의 혼합시에 높은 점도를 얻기위해서는, 비교예 3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배합하고, 1 가의 알콜 (이소프로판올) 을 가해 점도를 내려 혼합시에 고점도화 하도록 조정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 1 제를 1 가 알콜을 함유하지않고 저점도로 하여, 혼합시에 고점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82, 비교에 46 (종래계)
아래의 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pH 6 ∼ 8 로 조정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든다
아래에 나타난 본 발명과 종래계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3 : 1 로 혼합하여 염모제를 조정하고, 모발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종래계의 염착성의 차이를 방치시간과 L값과의 관계로부터 평가했다.
또, 제 1제, 제 2제, 및 양자를 혼합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제 1 제] (실시예 82)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3) 에테르 황산나트륨 10.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10.0
올레인산 3.0
모노에탄올아민 2.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2.0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1 제] (비교예 46)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 에테르 15.0
폴리옥시에틸렌 (4) 옥틸 페닐 에테르 5.0
벤질알콜 20.0
모노에탄올아민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디아민 2.0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30 % 과산화수소수 20.0
인산 0.2
에데트산 0.2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82 에 의한 처리후 20 분의 L값은 12.9, 비교예에서는 16.1 이고, 또 육안 관찰에 의해서도 종래계에 비교하여 본 발명품은 염착성이 뛰어나 있음을 알았다.
또, 실시예 82 의 제 1 제는, pH = 9.5, 점도 = 10 cps, 제 2 제는 pH = 1.5, 점도 = 8 cps 이고, 양자를 혼합한 후는 pH = 7.2, 점도 = 5000 cps 가 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서 떨어지지 않기 위해 충분한 점도를 나타내는 것이 인정되었다.
다음에, 실시예 82 의 제 1 제 및 제 2 제를 이용하여, 혼합시에 pH 조정제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인산) 를 적당히 가해 pH 5, 6, 8 의 염모제를 배합하고, 점도를 측정한 바, 각각 600, 2100, 5900이 되고, pH 를 6 ∼ 8 로 한 염모제에서는 뛰어난 증점효과가 얻어짐을 알았다. 또, 염모처리 20 분후의 L값은 각각 21.0, 12.4, 11.8 이 되고, pH 6 ∼ 8 의 범위에서 염착성이 높은 것을 알았다.
실시예 83 ∼ 88 및 비교예 47 ∼ 50
표 19 및 20 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조성의 제 1 제와 실시예 82 (또는 비교예 46) 에서 사용한 제 2 제를 3 : 1 ∼ 1 : 2 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염모제에 대하여, 상기한 평가법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표 1 에서의 염모제의 pH 는전부 6 ∼ 8 이었다. 결과를 합하여 표 19 및 20 에 정리한다.
표 19 및 20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염모제는 염착성이 뛰어나고, 부시시함이 없고, 혼합후의 점도도 적당하고, 저온안정성도 뛰어나 있음을 알았다. 또, 종래의 염모제에서 제 1 제를 저점도로 하여 제 2 제와의 혼합시에 높은 점도를 얻기 위해서는, 비교예 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배합하고, 1 가의 알콜 (이소프로판올) 을 가해 점도를 내려 혼합시에 고점도화 하도록 조정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 1 제를 1 가 알콜을 함유하지 않고 저점도로 하여, 혼합시에 고점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89 ∼ 107
아래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더 나타낸다. 실시예 82 의 조성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이용하여 염모제를 제작한 바, 모두 점도가 500 cps 이상이 되어, 염착성, 부시시함, 퇴색성, 저온안정성, 사용성의 어느것이나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실시예 89
(제 1 제) (중량%)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2.0
야자유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8.0
올레인산 3.0
케라틴 단백 가수분해물 1.0
피롤리돈 카르복실산염 1.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메타아미노페놀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0
과산화수소수 (30%) 2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0
(제 1 제) (중량%)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8.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7.0
미리스틴산 4.0
디메틸폴리실록산 20 cs 1.0
케라틴 가수분해물 1.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나트륨 하이드로 술파이드 0.2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5
메타아미노페놀 0.1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α - 알케닐 (12, 13) 술폰산 나트륨 8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2
과산화수소수 (30%) 2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1
(제 1 제)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5) 라우릴 에테르 황산 트리
에탄올 아민 1.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5.0
라우릴 디메틸아민 초산베타인 5.0
이소스테아린산 3.0
케라틴 단백 가수분해물 1.0
디메틸 폴리실록산 (중합도 3000 ∼ 6000) 1.5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5.0
L - 아스코르빈산 0.5
티오글리콜산염 1.0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5
오르토 아미노페놀 1.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α - 알케닐 (12, 13) 술폰산 나트륨 10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하이비스와코 105」,
和光純藥사제) 0.5
과산화수소수 (30%) 2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2
(제 1 제) (중량%)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2.0
야자유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8.0
올레인산 3.0
1, 3 - 부틸렌 글리콜 3.0
콜라겐 단백 가수분해물 1.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메타아미노페놀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8
라우로일메틸 타우린 나트륨 2
염화 O - [2 - 히드록시 - 3 - (트리메틸암모니오)
프로필]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스 0.5
과산화수소수 (30%) 2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3
(제 1 제) (중량%)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4.0
야자유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4.0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 초산 베타인 4.0
이소스테아린산 3.0
케라틴 단백 가수분해물 1.0
아미노 변성 실리콘
(도레이사제 ; SM - 8702C) 3.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파라아미노페놀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α - 알케닐 (12, 13) 술폰산 나트륨 12
라우로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8
염화 O - [2 - 히드록시 - 3 - (트리메틸암모늄)
프로필]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스 0.5
과산화수소수 (30%) 2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4
(제 1 제) (중량%)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5.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 아미노 초산 베타인 3.0
올레인산 2.0
유동 파라핀 2.0
글리세린 4.0
디메틸 폴리실록산 100 cs 1.0
수산화나트륨 1.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2
오르토 아미노페놀 0.8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5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하이비스와코-105」,
和光純藥사제) 0.5
과산화수소수 (30%) 2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5
(제 1 제) (중량%)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1.0
야자유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8.0
이소스테아린산 3.0
4급화 콜라겐 단백 가수분해물 1.5
미리스틴산 4.0
디메틸 폴리실록산 6 cs 2.0
모노에탄올아민 4.0
암모니아수 (28%) 12.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0.5
레졸신 0.4
메타아미노페놀 0.3
파라아미노오르토 크레졸 0.2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α - 알케닐 (12, 13) 술폰산 나트륨 15
아미노 변성 실리콘 (「실리콘 SM - 8702C」
도오레사제) 1
염화 O - [2 - 히드록시 - 3 - (트리메틸암모니오)
프로필]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스 0.5
과산화수소수 (30%) 2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6 또는 40 의 제 2 제와 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모두 점도가 500 cps 가 되어, 염착성, 부시시함, 퇴색성, 저온안정성 및 사용성의 어디에서나 뛰어난 성질을 나타낸 제 1 제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96(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4.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2.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4.0
올레인산 3.0
케라틴 단백 가수분해물 1.0
피롤리돈 카르복실산염 1.0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메타아미노페놀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7(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5.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2.0
미리스틴산 4.0
디메틸 폴리실록산 20 cs 1.0
케라틴가수분해물 1.0
모노 에탄올 아민 3.0
L - 아스코르빈산 0.5
나트륨 하이드로 술파이드 0.2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5
메타아미노페놀 0.1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8(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7.0
폴리옥시에틸렌 (1.5) 라우릴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 3.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2.0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 초산 베타인 2.0
이소스테아린산 3.0
케라틴 단백 가수분해물 1.0
디메틸 폴리실록산 (중합도 3000 ∼ 6000) 1.5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5.0
L - 아스코르빈산 0.5
티오글리콜산염 1.0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5
오르토 아미노페놀 1.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99(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8.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2.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1.0
올레인산 3.0
1, 3 - 부틸렌 글리콜 3.0
콜라겐 단백 가수분해물 1.0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5.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메타아미노페놀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0(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25.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1.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1.0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 초산 베타인 1.0
이소스테아린산 3.0
케라틴 단백 가수분해물 1.0
아미노 변성 실리콘 3.0
(도오레(주)사제 ; SM - 8702C)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파라아미노페놀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1(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25.0
올레인산 2.0
유동 파라핀 2.0
글리세린 4.0
디메틸 폴리실록산 100 cs 1.0
수산화나트륨 1.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2
오르토 아미노페놀 0.8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2(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20.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1.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4.0
이소스테아린산 3.0
4급화 콜라겐 단백 가수분해물 1.5
디메틸 폴리실록산 6cs 2.0
모노 에탄올 아민 4.0
암모니아수 (28%) 12.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0.5
레졸신 0.4
메타아미노페놀 0.3
파라아미노 오르토 크레졸 0.2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3(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5.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8.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7.0
미리스틴산 4.0
디메틸 폴리실록산 20cs 1.0
케라틴 가수분해물 1.0
모노 에탄올 아민 4.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5
메타아미노페놀 0.1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4(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6.0
폴리옥시에틸렌 (1.5) 라우릴 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 4.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5.0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 초산 베타인 5.0
이소스테아린산 3.0
케라틴 단백 가수분해물 1.0
디메틸 폴리실록산 (중합도 3000 ∼ 6000) 1.5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5.0
L - 아스코르빈산 0.5
티오글리콜산염 1.0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5
오르토아미노페놀 1.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5(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5.0
라우로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5.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2.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8.0
올레인산 3.0
1, 3 - 부틸렌 글리콜 3.0
콜라겐 단백 가수분해물 1.0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메타아미노페놀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6(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8.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4.0
야자유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4.0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 초산 베타인 4.0
이소스테아린산 3.0
케라틴 단백 가수분해물 1.0
아미노 변성 실리콘 3.0
(도오레(주)사제 ; SM - 8702C)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1.0
파라아미노페놀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7(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2.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5.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3.0
올레인산 2.0
유동 파라핀 2.0
글리세린 2.0
디메틸 폴리실록산 100 cs 1.0
수산화나트륨 1.0
암모니아수 (28%) 10.0
L - 아스코르빈산 0.5
파라페닐렌 디아민 1.0
레졸신 0.2
오르토 아미노페놀 0.8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모발표백제 (탈색제) 조성물을 비교예와 비교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평가는 다음의 기준에 의한다.
1) 모발 스트랜드에 의한 탈색효과 테스트
미처리의 2 g 의 모발 스트랜드에 대하여 10 g 의 탈색제를 도포하고, 방치시간과 L 값의 관계로 평가했다. 또한, L 값이란 헌터의 색차식에서의 L 값을 나타낸다.
2) 피시험자에 의한 탈색효과, 부시시함 비교 테스트
피시험자 10 명을 대상으로, 일련의 탈색조작을 행한 경우의 두발의 탈색효과 및 건조후의 부시시함을 아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탈색효과>
++ ··· 탈색효과가 현저하게 양호하고 균일하게 탈색된다.
+ ··· 양호하고 균일하게 탈색된다.
± ··· 약간 탈색효과가 떨어진다
- ··· 고르지않게 탈색되고 탈색효과도 낮다
<부시시함>
++ ··· 부시시하지않고, 부드러운 촉감을 준다
+ ··· 부시시하지않다
± ··· 약간 부시시하다
- ··· 현저하게 부시시하다
3) 혼합액의 점도
혼합액의 점도는 제 1 제와 제 2 제를 혼합한 후, 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30 ℃ 에서 측정했다.
4) 저온 안정성
1 제 (100 g ) 를 -5 ℃ 의 저온조에 1개월 보존한 후의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고, 아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 당초와 전혀 변함이 없다.
+ ··· 당초와 전혀 변함이 없지만 조금 증점
± ··· 조금 탁함이 발생한다
- ··· 분리가 발생한다
실시예 108, 비교예 51 (종래계)
아래에 나타난 본 발명과 종래계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1 : 1로 혼합하여 모발표백제를 조정하고, 흑발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종래계의 탈색효과의 차이를 방치시간과 L 값의 관계로 부터 상기에 따라 평가했다.
또, 제 1 제, 제 2 제, 및 양자를 혼합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실시예 108
(제 1 제) (중량%)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3.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미노 초산베타인 7.0
올레인산 3.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0.0
과산화수소수 20.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비교예 51
(제 1 제)
폴리옥시에틸렌 (2) 올레일 에테르 15.0
폴리옥시에틸렌 (5) 옥틸페닐에테르 5.0
올레인산 10.0
모노에탄올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과산화수소수 (30%) 20.0
메틸파라벤 적당량
주석산 나트륨 적당량
인산완충액 pH 3 으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8 의 제 1 제는, pH = 10.58, 점도 = 120 cps, 제 2 제는 pH = 3.0, 점도 = 12 cps 이고, 양자를 혼합한 후는 pH = 9.2, 점도 = 3800 cps 가 되어, 현저한 증점효과가 인정되었다.
다음에, 실시예 108 의 제 1 제 및 제 2 제를 이용하여, 혼합시에 pH 조정제 (암모니아수 또는 인산) 를 적당히 가해 pH 5, 6, 12 의 탈색제를 배합하고, 점도를 측정한 바, 각각 480 cps, 3020 cps, 1050 cps 가 되고, pH 를 6 ∼ 12 로 한 탈색제에서는 뛰어난 증점효과가 얻어짐을 알았다. 또, 탈색처리 20 분후의 △L값은 각각 5, 18, 32 가 되고, pH 6 ∼ 12 의 범위에서 탈색효과가 높은 것을 알았다.
실시예 109, 비교예 52 및 53 (종래계)
아래에 나타난 본 발명과 종래계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1 : 1 로 혼합하여 염모제를 조정하고, 흑발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종래계의 탈색효과의 차이를 방치시간과 L 값과의 관계로 부터 평가했다.
또, 제 1 제, 제 2 제, 및 양자를 혼합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제 1 제] (처방 1 - A) (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1.5) 알킬 (12, 14)
에테르 황산나트륨 10.0
운데실 - N - 히드록시 에틸 - N - 카르복시 메틸 이미다
졸륨 베타인 5.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민 5.0
올레인산 3.0
프로필렌 글리콜 5.0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10.0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1 제] (처방 1 - B)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에테르 15.0
폴리옥시에틸렌 (4) 옥틸 페닐에테르 5.0
에틸알콜 10.0
모노 에탄올 아민 2.0
암모니아수 (28%) 5.0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처방 2 - A)
30 % 과산화수소수 20.0
메틸파라벤 0.1
주석산 나트륨 0.1
염화 - O - [2 - 히드록시 - 3 - (트리메틸암모니아
프로필] 히드록시 셀룰로스 [폴리머 JR - 400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1.0
인산완충액 pH 2 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제 2 제] (처방 2 - B)
30 % 과산화수소수 20.0
메틸파라벤 0.1
주석산 나트륨 0.1
인산완충액 pH 2 로 조정
정제수 바란스
-----------------------------------------------------------------
합계 100.0
실시예 109 비교예 52 비교예 53
제 1 제 처방 1 - A 처방 1 - B 처방 1 - A
제 2 제 처방 2 - A 처방 2 - B 처방 2 - B
제 1 제 점도 170 70 170
제 2 제 점도 40 40 15
혼합시 점도 3200 2500 460
염착성 ++ ± ++
부시시함 ++ - ++
저온안정성 ++ + ++
실시예 109 의 제 1 제는, pH = 11.0, 점도 = 170 cps, 제 2 제는 pH = 2.0, 점도 = 40 cps 이고, 양자를 혼합한 후는 pH = 9.4, 점도 = 3200 cps 가 되어 현저한 증점효과가 인정되었다.
다음에, 실시예 109 의 제 1 제 및 제 2 제를 이용하여, 혼합시에 pH 조정제 (암모니아수 또는 인산) 를 적당히 가해 pH 5, 6, 12 의 염모표백제를 배합하고, 점도를 측정한 바, 각각 330 cps, 1600 cps, 800 cps 가 되고, pH 를 6 ∼ 12 로 한 모발표백제에서는 뛰어난 증점효과가 얻어짐을 알았다. 또, 탈색처리 20 분후의 △L값은 각각 4, 18, 30 이 되고, pH 6 ∼ 12 의 범위에서 탈색효과가 높은 것을 알았다.
실시예 110 ∼ 157 및 비교예 54 ∼ 69
표 21 ∼ 표 28 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조성의 제 1 제와 제 2 제를 혼합하여 얻은 모발표백제에 대하여, 상기한 평가법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표 1 ∼ 표 3 에서의 모발표백제의 pH 는 전부 6 ∼ 12 이었다.
표 21 ∼ 표 28 에 나타난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모발표백제는 탈색효과가 뛰어나고, 부시시함이 없고, 제 1 제 및 제 2 제의 점도가 낮고, 혼합후의 점도도 적당하고, 저온안정성도 뛰어나 있음을 알았다. 또, 종래의 모발표백제에서 제 1 제를 저점도로서 제 2 제와의 혼합시에 점도를 얻기위해서는, 비교예 5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배합하고, 1 가의 알콜 (이소프로판올) 을 가해 점도를 내려 혼합시에 고점도화하도록 조정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 1 제를 1 가 알콜을 함유하지않고 저점도로 하여, 혼합시에 고점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모발표백제 조성물로서는, 염모제 조성물을 예시한 실시예 89 ∼ 107 의 조성물로 부터 염료 (염색계에 관여하는 화합물) 를 단순히 제거하거나, 또는 염료를 대신하여 알칼리제를 함유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두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나타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한 사용시 혼합형 모발 처리제가 제공된다. 이와 관련되는 조성물은 염모 또는 모발표백에 적합하고, 특히, 사용전의 조제물은 상대적으로 저점도로 안정된 물성을 갖는데, 사용할 때에 이들이 혼합되면 모발로부터의 떨어짐이 0 으로 되거나, 또는 적어지는 적당한 점도를 나타내고 (증점), 게다가 뛰어난 염색효과 또는 표백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재료의 제조분야에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6)

  1. 사용할 때에 염료와 산화제가 배합되는 사용시 혼합형 염모제 조성물로서,
    (a) 상기 배합된 조성물이 염료 (I), 임의성분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I), 고급지방산 1 종 이상 (III),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V), 산화제 (V) 및 물 (VII)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b) 사용 전에는 성분 (I), (II) 및 (III)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성분이 성분 (V) 로 부터 각각 분리된 형태로 있는 염모제 조성물.
  2. 사용할 때에 알칼리제와 산화제가 배합되는 사용시 혼합형 모발 표백제 조성물로서,
    (a) 상기 배합된 조성물이 알칼리제 (I'), 임의성분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I), 고급지방산 1 종 이상 (III),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V), 산화제 (V) 및 물 (VII)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b) 사용 전에는 성분 (I'), (II) 및 (III)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성분이 성분 (V) 로 부터 각각 분리된 형태로 있는 모발 표백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에서 성분 (IV) 가 성분 (I) 또는(I'), (II), (III) 및 (VII) 과 혼합된 형태로 있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에서 성분 (IV) 가 성분 (I) 또는 (I'), (II), (III) 및 (VII) 과 혼합되고, 성분 (V) 및 (VII) 과도 혼합된 형태로 있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에서 성분 (IV) 가 성분 (V) 및 (VII)과 혼합된 형태로 있는 조성물.
  6. 사용할 때에 염료와 산화제가 배합되는 사용시 혼합형 염모제 조성물로서,
    (a) 상기 배합된 조성물이 염료 (I), 임의성분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I), 고급지방산 1 종 이상 (III),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V), 산화제 (V), 양이온성 중합체 (VI) 및 물 (VII)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b) 사용 전에는 성분 (I), (II), (III) 및 (IV)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성분이, 성분 (V) 및 (VI)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성분으로부터 분리된 형태로 있는 염모제 조성물.
  7. 사용할 때에 알칼리제와 산화제가 배합되는 사용시 혼합형 모발 표백제 조성물로서,
    (a) 상기 배합된 조성물이 알칼리제 (I'), 임의성분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I), 고급지방산 1 종 이상 (III),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종 이상 (IV) , 산화제 (V), 양이온성 중합체 (VI) 및 물 (VII)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b) 사용 전에는 성분 (I'), (II), (III) 및 (IV)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성분으로부터 분리된 형태로 있는 모발 표백제 조성물.
  8.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이 pH 6 ∼ 12 를 갖도록 조정된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 함유하는 조성물.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 함유하며, 성분 (VI) 을 0.01 ∼ 5 중량 % 함유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 함유하며, 성분 (IV) 와 성분 (II) 의 중량비가 4/6 ∼ 10/0 인 조성물.
  12.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 함유하며, 성분 (VI) 을 0.01 ∼ 5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V) 와 성분 (II) 의 중량비가 4/6 ∼ 10/0 인 조성물.
  13.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탄소수 2 ∼ 5 의 1 가 알콜의 함유량이 3 중량 % 이하인 조성물.
  14.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II) 는 이미다졸륨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아미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술포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 3 급 아민 옥사이드형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군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1 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
  15.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II) 는 이미다졸륨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1 종 이상과, 아미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 술포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 3 급 아민 옥사이드형 반극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의 혼합물인 조성물.
  16.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III) 은 탄소수 7 ∼ 25 이며, 수산기를 가질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고급지방산을 1 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
  17.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IV) 는 폴리 옥시 알킬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알킬 에테르 황산염, α - 올레핀 술폰산염 및 알킬로일알킬 타우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1 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
  18.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IV) 는 탄소수 10 ∼ 18 중 어느 하나의 짝수인 알킬 사슬을 갖는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및 알킬 에테르 황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1 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
  1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성분 (VI)은 제 4 급 질소함유 셀룰로스 유도체, 디아릴 디메틸 암모늄염·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및 폴리 (디아릴 디메틸 암모늄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중합체를 1 종 이상 함유하는조성물.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 함유하며, 성분 (IV) 과 성분 (II) 의 중량비가 4/6 ∼ 6/4 이고, pH 가 8 ∼ 12 인 조성물.
  2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 함유하며, 성분 (IV) 를 0.01 ∼ 5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V) 와 성분 (II) 의 중량비가 4/6 ∼ 6/4 이며, pH 가 8 ∼ 12 인 조성물.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 함유하며, 성분 (IV) 와 성분 (II) 의 중량비가 4/6 ∼ 6/4 이고, pH 가 6 이상, 8 미만인 조성물.
  23.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성분 (IV) 와 (II) 를 5 ∼ 50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II) 을 0.1 ∼ 5 중량 % 함유하며, 성분 (VI) 를 0.01 ∼ 5 중량 % 함유하고, 성분 (IV) 와 성분 (II) 의 중량비가 4/6 ∼ 6/4 이며, pH 가 6 이상, 8 미만인 조성물.
  24.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성분 (IV) 와 성분 (II) 의 중량비가 6/4 ∼ 10/0 이고, pH 가 6 ∼ 12 이며, 성분 (IV) 는 탄소수 10 ∼ 18 중 어느 하나의 짝수인 알킬 사슬을 갖는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및 알킬 에테르 황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1 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
  25.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이 성분 (II) 를 함유하지 않고, pH 가 6 ∼ 12 이며, 성분 (IV)는 탄소수 10 ∼ 18 중 어느 하나의 짝수인 알킬 사슬을 갖는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및 알킬 에테르 황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1 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
  26.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합된 조성물의 점도가 30 ℃ 이하에서 500 cps 이상인 조성물.
KR1019960706755A 1995-03-28 1995-08-01 사용시혼합형모발처리용조성물 KR100356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48,075 1994-05-23
FR94/06,842 1994-06-03
JP95/69101 1995-03-28
JP95/69100 1995-03-28
JP6909995 1995-03-28
JP6910095 1995-03-28
JP95/69099 1995-03-28
JP6910195 1995-03-28
PCT/JP1995/001527 WO1996029976A1 (fr) 1995-03-28 1995-08-01 Composition de traitement a melanger juste avant l'uti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126A KR970703126A (ko) 1997-07-03
KR100356083B1 true KR100356083B1 (ko) 2002-11-18

Family

ID=2729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755A KR100356083B1 (ko) 1995-03-28 1995-08-01 사용시혼합형모발처리용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85961A (ko)
EP (1) EP0763355B1 (ko)
KR (1) KR100356083B1 (ko)
DE (1) DE69531941T2 (ko)
TW (1) TW398980B (ko)
WO (1) WO1996029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534A (ja) * 1995-07-27 1997-02-10 Shiseido Co Ltd 用時混合型の染毛剤組成物
KR100507611B1 (ko) * 1997-12-26 2006-09-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일시모발착색용칼라헤어무스조성물
PL195678B1 (pl) * 1998-03-06 2007-10-31 Oreal Sposób farbowania włókien keratynowych, kompozycja do farbowania utleniającego, kompozycja utleniająca oraz wieloprzedziałowy zestaw do farbowania
US6238653B1 (en) 1999-12-22 2001-05-29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Liquid crystalline perox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loring and/or bleaching hair
US6315989B1 (en) 1999-12-22 2001-11-13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Water in oil microemulsion peroxide compositions for use in coloring hair and related methods
DE10005162A1 (de) * 2000-02-08 2001-08-09 Henkel Kgaa Kosmetisches Mittel
DE60129956T2 (de) 2000-06-12 2008-05-08 Kao Corp. Blondiermittel oder haarfärbemittel
JP4499989B2 (ja) * 2001-03-13 2010-07-14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からなる化粧料原料の製造方法
JP2002348474A (ja) * 2001-05-23 2002-12-04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化粧料原料
US20040064903A1 (en) * 2002-06-06 2004-04-08 Jack Massoni Hair dye composition
US20070048241A1 (en) * 2005-08-30 2007-03-01 Croda, Inc. Emulsifying system
US7981403B2 (en) * 2006-10-06 2011-07-19 L'oreal Artificial hair color removal compositions and methods
EP2072037A1 (en) * 2007-12-17 2009-06-24 Farmen International Cosmetics Distribution S.p.A Hair dyeing compositions
EP2272492A1 (en) 2009-07-08 2011-01-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levelling hair colour
EP2272496A1 (en) * 2009-07-08 2011-01-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levelling hair colour
EP2272495A1 (en) 2009-07-08 2011-01-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levelling hair colour
EP2272493A1 (en) 2009-07-08 2011-01-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levelling hair colour
EP2272489A1 (en) 2009-07-09 2011-01-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Method for levelling hair colour
EP2277498A1 (en) 2009-07-22 2011-01-26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ulouring hair
EP2277497A1 (en) 2009-07-22 2011-01-26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louring hair
EP2277499A1 (en) * 2009-07-22 2011-01-26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Method for levelling hair colour
EP2277600A1 (en) 2009-07-22 2011-01-26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louring hair
EP2377509A1 (en) 2010-04-19 2011-10-19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louring composition
US20130205515A1 (en) * 2010-05-07 2013-08-15 L'oreal Ready-to-use cosmetic composition for oxidation dyeing keratin fibers
EP2471504A1 (en) * 2010-12-28 2012-07-04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Two-part hair colouring composition
JP5594608B2 (ja) * 2011-07-29 2014-09-24 山栄化学株式会社 変性シリコーン含有多剤式ヘアリンス又はヘアトリートメント
JP5940324B2 (ja) * 2012-03-12 2016-06-29 花王株式会社 2剤式染毛剤
DE102012221987A1 (de) * 2012-11-30 2014-06-05 Henkel Ag & Co. Kgaa Farbglanzmittel mit speziellen kationischen Farbstoffen, Tensiden und Polymer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1244A (en) * 1957-09-17 1962-06-26 Jerome A Feit Quinone hair dye compositions
US4021538A (en) * 1975-09-29 1977-05-03 Yu Ruey J Method for producing pigmentation in hair or skin
FR2502949B1 (fr) * 1981-04-02 1985-10-18 Oreal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 teinture ou de decoloration des cheveux, composition destinee a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et application de la composition obtenue par le procede
US4776855A (en) * 1986-03-19 1988-10-11 Clairol Inc. Hair dyeing process and composition
FR2596985B1 (fr) * 1986-04-10 1990-08-24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teindre ou pour decolorer les cheveux
DE4022848A1 (de) * 1990-07-18 1992-01-23 Henkel Kgaa Haarfaerbemittel-zubereitung
US5393305A (en) * 1993-08-26 1995-02-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wo-part aqueous composition for coloring hair, which forms a gel on mixing of the two parts
US5376146A (en) * 1993-08-26 1994-12-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wo-part aqueous composition for coloring hair, which forms a gel on mixing of the two parts
DE19515903C2 (de) * 1995-04-29 1998-04-16 Wella Ag Mittel und Verfahren zum oxidativen Färben von Haa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31941T2 (de) 2004-09-09
WO1996029976A1 (fr) 1996-10-03
US5785961A (en) 1998-07-28
TW398980B (en) 2000-07-21
EP0763355B1 (en) 2003-10-15
DE69531941D1 (de) 2003-11-20
EP0763355A4 (en) 1998-11-25
EP0763355A1 (en) 1997-03-19
KR970703126A (ko) 199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083B1 (ko) 사용시혼합형모발처리용조성물
CA2956304C (en) Permanent hair colorants based on a cream-like carrier and a combination of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at least an amino acid and an oxidative dye
JP4829536B2 (ja) ベタイン型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HU224431B1 (hu) Amfifil, nemionos polimert tartalmazó, keratintartalmú rostok festésére való oxidációs festékkészítmény és alkalmazása
AU2007280076A1 (en) Polymer thickened hair colouring and bleaching compositions
JPH0940534A (ja) 用時混合型の染毛剤組成物
JP5647381B2 (ja) 脱色用品、及び染毛用品
JP4993272B2 (ja) 染毛用第2剤組成物
JP3816122B2 (ja) 用時混合染毛剤組成物及び混合方法
FR2849774A1 (fr) Composition pur la coloration permanente de fibres keratiniques.
JP2000007540A (ja) 用時混合型染毛剤組成物
KR20130057597A (ko) 모발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흘러내리지 않는 거품형 염모제 조성물
JPH0940533A (ja) 用時混合型染毛剤組成物
US6835375B2 (en) Composition for blending to hair treating agent and a hair treating agent
KR101305493B1 (ko) 거품형 염모제
JP2002363047A (ja) 酸化型染毛剤
JP2004269466A (ja) 酸化型染毛剤
JPH0840853A (ja) 酸化染毛剤組成物
KR100692100B1 (ko)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JP2004099549A (ja) 透明液状酸化染毛剤第1剤組成物
KR102057542B1 (ko) 겔 상의 염모제 조성물
KR20070074744A (ko)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JPH06172146A (ja) 染毛剤
JPH0840852A (ja) 酸化染毛剤組成物
JPH07145025A (ja) 染毛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