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578B1 - 스프링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578B1
KR100355578B1 KR1019980054588A KR19980054588A KR100355578B1 KR 100355578 B1 KR100355578 B1 KR 100355578B1 KR 1019980054588 A KR1019980054588 A KR 1019980054588A KR 19980054588 A KR19980054588 A KR 19980054588A KR 100355578 B1 KR100355578 B1 KR 10035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coil spring
line
mov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291A (ko
Inventor
근 식 김
Original Assignee
동방메디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메디칼(주) filed Critical 동방메디칼(주)
Priority to KR101998005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57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5/00Making springs from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 B21F3/02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he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그 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생산성이 떨어지며, 또 만들고자 하는 코일스프링의 내경이 1∼2mm 정도로 작은 것은 만들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기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제조장치는 소정의 몸체 상의 마주보는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심재를 잡아줄 수 있는 한 쌍의 척, 척을 필요에 따라 동일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척 회동수단, 일측의 척의 클램핑 상태와 언 클램핑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척 구동수단, 몸체 상의 안내봉을 따라 이동되면서 심재에 감기는 상기 선을 안내하여주는 이동대, 이동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이동대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 이송수단, 선이 감겨져 만들어진 코일스프링을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주기 위한 절단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코일스프링을 자동으로 연속하여 만들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심선으로 직경이 작은 강철선 등을 이용하는 경우 원하는 직경의 코일스프링을 만들 수 있으며 특히 그 내경이 1mm 이하인 코일스프링도 만들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감지수단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써 쉽게 코일스프링의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효과를 제공하며, 코일스프링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Description

스프링 제조장치
본 발명은 스프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 등을 감아서 소정 직경의 코일스프링을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스프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코일스프링을 대부분 숙련자가 단지 코일을 열처리한 상태에서 코일을 감기 위한 봉이나 간단한 도구들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제조하였다.
이는 생산성이 떨어지고 비 숙련자는 코일스프링을 만들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수 작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또 비 숙련자라도 코일스프링을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코일스프링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1994년 특허출원 제 33720호(1994. 12. 12, 이하 "선 출원"이라 함)로 출원되어 등록번호 134716호로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선 출원 발명의 스프링 제조장치는 코일스프링의 리드각도 및 피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은 있으나, 맨드럴에 코일이 다 감기고 나면 코일을 절단하고, 또 맨드럴의 일단을 맨드럴 지지대에서 이탈시킨 다음 감겨진 코일스프링을 맨드럴에서 이탈시킨 후 다시 코일을 필요한 부위에 고정하여 다시 코일링 작업을 시작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만들고자 하는 코일스프링의 내경이 1∼2mm 정도로 작은 것은 만들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코일스프링의 제조에 대한 자동화는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스프링 제조과정을 자동화하여 연속적으로 코일스프링을 만들 수 있도록 하므로 써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주고 초보자라도 쉽게 코일스프링을 만들 수 있도록 해주며, 특히 그 직경이 매우 작은 코일스프링도 만들 수 있는 코일스프링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제조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 장치 몸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 장치 몸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척(Chuck) 회동수단 만을 발췌하여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내지 도 3에서 척 구동수단(150)만을 발췌하여 위에서 보아 표시한 확대 도이고,
도 6은 도 2의 척 주위인 A부위만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이동대의 이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2 표시의 A부위만을 위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8A,8B는 이동대의 이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3 표시의 B부위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확대 도이고,
도 9는 도1 내지 도 3에서 절단기(19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 12 : 코일스프링
100 : 코일스프링 제조장치 110 : 몸체
112a,112b : 척지지대 114a,114b : 안내봉
120a,120b : 척 122 : 중공축
130 : 심재 140 : 척회동수단
142 : 모터 144a~144c : 풀리
145 : 회전축 147a~147c : 벨트
150 척구동수단 152 : 제 1실린더기구
160 : 이동대 162 : 선 삽입부
164 가이드부 170 : 이동대 이송수단
172 : 제2실린더기구 180a,180b : 감지수단
182 : 지지봉 190 : 절단기
200 : 컨트롤박스 210 : 보조대
212 : 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재질의 선을 감아서 코일스프링을 만들기 위한 스프링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몸체 상의 마주보는 위치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심재를 잡아줄 수 있는 한 쌍의 척, 척을 필요에 따라 동일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척회동수단, 일측의 척의 클램핑상태와 언클램핑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척구동수단, 몸체 상의 안내봉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심재에 감기는 선을 안내하여주는 이동대, 이동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이동대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 이송수단, 선이 감겨져 만들어진 코일스프링을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주기 위한 절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척회동수단은 모터, 적어도 3개의 풀리를 갖는 회전축 및 모터의 동력을 회전축을 거쳐 양측의 척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위 척구동수단은 일측의 척을 필요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제 1실린더기구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위 안내봉은 한 쌍의 척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이동대는 안내봉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하며 선이 삽입되는 선삽입부와 선이 선삽입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심선에 감길 수 있도록 선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선이 심선에 감김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 감지수단은 한 쌍을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하고, 이동대 이송수단은 이동대가 일정위치에 도달되어 감지수단에 감지되면 이동대를 필요한 위치까지 후퇴시키기 위한 제 2실린더기구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단기는 완성된 스프링의 이동경로 상에 마주보고 설치된 절단날과 일측의 절단날을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제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장치 몸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1 장치 몸체의 정면도, 도 4는 척(Chuck) 회동수단 만을 발췌하여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제조장치(100)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하고 있는 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10)는 각종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하우징(Housing)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몸체(110) 상에는 척 지지대들(112a,112b)를 통해 한 쌍의 척들(120a,120b)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척들(120a,120b)는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척들(120a,120b)을 설치한 이유는 코일 형태로 선(10)이 감기게되는 심재(130)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척들(120a,120b)는 양측에서 심재(130)를 잡아주며, 그 상태에서 같은 방향, 같은 속도로 회전된다. 이에 대한 구성은 도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의 표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척 회동수단(140)은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척 회동수단(140)은 필요에 따라 척들(120a,120b)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척들(120a,120b)를 동일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된다. 이러한 척 회동수단(140)은 모터(142)와, 적어도 3개의 풀리들(144a~144c)를 갖는 회전축(145)과, 모터(142)의 동력을 동일한 회전축(145)을 거쳐 양측의 척들(120a,120b)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들(147a~147c)와 일측의 척(120a)에 연결된 중공축(12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동일한 회전축(145)을 통해 양측의 척들(120a,120b)가 회전되도록 하면 양측의 척들(120a,120b)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제조장치(100)는 척 구동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척 구동수단(150)에 대한 것은 도 5 및 도 6에 표시하였다.
상기 척 구동수단(150)은 도 1∼도 4의 표시와 같이, 왼쪽의 척(120a)이 심재(130)를 클램핑(clamping)하거나 아니면 언 클램핑(unclamping)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척(120a)을 중공축(12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제 1실린더기구(15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데, 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이다.
즉,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왼쪽의 척(120a)이 연결되어 있는 중공축(122)을 둘러싸는 부분을 갖는 접속구(154)를 일측 지지점(p)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반면, 그 지지점(p)의 반대편 끝은 제1실린더기구(152)의 로드(153)에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실린더기구(152)의 동작에 따라 척(120a)는 소정 거리 직선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공축(122)의 내부에는 내주면이 테이퍼(126)가 진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 척(120a)의 일측 외주 면은 그와 대응되게 형성하고있기 때문에 그 결합정도에 따라 척(120a)이 심재(130)를 물거나(Clamping)아니면 놓을 수 있도록 된다. 즉, 상기 척(120a)는 척 구동수단(15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심재(130)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게 하는데, 예컨대 척 구동수단(150)이 구동하여 상기 척(120a)를 가상선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척(120a)의 분할편(125)이 벌어지면서 심재(130)을 언클램핑하는 상태로 만들게 되고, 반대로 상기 척(120a)가 원래의 실선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그 척(120a)의 분할편(125)는 다시 중공축(122)의 테이퍼(126)주면에 의해, 구속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면서 심재(130)을 클램핑 한다.
물론, 이러한 척(120a)의 여타의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단지 정해진 시기에 심재(130)를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할 수 있고, 또 심재(130)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타측의 척(120b)과 동일속도로 회전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상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안내봉들(114a,114b)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6과 아울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이동대의 이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2 표시의 A부위만을 위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8A,8B는 이동대의 이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3 표시의 B부위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확대 도이다.
안내봉들(114a,114b)에는 이동대(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대(160)는 안내봉들(114a,114b)를 따라 이동되면서 심재(130)에 코일 형태로 감기는 선(10)을 안내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대(160)는 본 발명의 큰 특징을 이루는 한 부분으로서, 척들(120a,120b)에 물려 회전되는 심재(130)의 주위로 공급되는 선(10)이 삽입되는 선 삽입부(162)와, 선(10)이 선삽입부(162)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심선(130)에 감길 수 있도록 선(1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6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부(164)로는 롤러들을 필요한 위치에 회동가능케 설치하여 구성하면 된다(도7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이동대(160)는 선(10)이 심선(130)에 감김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안내봉들(114a,114b)를 따라서 일 측으로 이동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대(160)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는 필요치 않게 구성할 수 있으나, 이동대(160)를 오른쪽에서 왼쪽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송수단이 있어야 만 한다. 이것이 후술하는 이동대 이송수단(170)이다. 즉, 상기 이송수단(170)은 이동대(160)가 오른쪽으로 이동되면서 심재(130)에 선(10)이 감겨지도록 한 후 이동대(160)를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160)는 안내봉들(114a,114b)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대(160)는 선(10)이 삽입되는 선삽입부(162)와 선(10)이 선삽입부(162)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심선(130)에 감길 수 있도록 선(1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6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부(164)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여러 개의 롤러를 이용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 대신 마찰력이 적은 다른 형태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동대(160)는 선(10)이 심선(130)에 감김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된다.
즉, 도 1에서 롤(212)에 감겨져 있는 선(10)을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로를 거치게 하고 또 추(14) 등으로 충분한 장력을 갖게 하여 이동대(160)의 선삽입부(162)로 삽입하여 가이드부(164)를 거쳐 그 끝단을 심선(130)에 연결하고, 또 심선(130)은 척들(120a,120b)에 물린 상태에서 모터(142)를 구동하면 양측의 척들(120a,120b)은 같은 방향으로 동일속도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선(10)은 심선(130)의 외주면에 코일형태로 감기게 된다. 선(10)이 심선(130)에 감김에 따라 선(10)에는 장력이 발생되고, 도8A의 표시와 같이, 상기 이동대(160)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심선(130)의 전 길이에 걸쳐서 코일스프링(12)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이동대(160)가 안내봉들(114a,114b)를 따라 이동하여 도2 표시의 일측 감지수단(180b)에 접촉하게되면 모터(142)의 구동은 정지되고(도4참조), 동시에 제1실린더기구(152)가 작동하여 일측의 척(120a)이 심선(130)을 언클램핑하는 상태로 한다(도2, 도5참조). 반면에 반대편의 척(120b)는 심선(130)을 클램핑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동시에 이동대 이송수단(170)을 구성하는 제 2실린더기구(172)가 도 8B의 표시와 같이, 화살표 C방향으로 신장되게 작동되어 이동대(160)를 처음의 위치인 좌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때 심선(130)의 주위에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있던 코일 스프링(12)는 이동대(160)에 의해서 밀리면서 심신(130)으로부터 이탈된 후, 도 5표시와 같이 언 클램핑상태로서 확개된 상기 척(120a)와 중공 축(122)의 내부를 통하여 도1의 경사판(216) 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척(120a)이 언클램핑 상태인 도 5의 가상선 위치로 있게 되면, 상기 척(120a)는 중공축(122)의 내부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이동대(160)에 의해서 밀리면서 심선(130)으로부터 이탈된 코일 스프링(12)는 자동적으로 상기 척(120a)을 통하여 중공 축(122)의 내부를 들어가게 된다. 상기 중공축(122)의 내부는 상기 코일스프링(12)의 외경보다는 약간 크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코일 스프링(12)은 자연스럽게 상기 중공 축(122)의 내부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2)를 상기 중공축(122)의 내부로 밀어 넣는 작업이 완료된 이동대(160)은 상기 제2실린더기구(172)의 수축작동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는 되는데, 상기 제2실린더기구(172)의 수축작용은 상기 이동대(160)의 진행 방향에 설치된 감지수단(180a)로부터 유도되는 감지신호에 의하여 실행된다. 즉, 상기 제2실린더기구(172)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대(160)가 일측에 설치된 감지수단(180a)에 감지되면(도2참조), 그 감지수단(180a)로부터 유발되는 신호가 즉시 실린더기구(172)의 원래 복귀를 실행하게 한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구성이다.
상기 실린더기구(172)의 복귀 작동(도8A참조)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대(160)가 후퇴(도8A참조)후, 타측에 설치된 감지수단(180b)에 접촉되면 후술하는 절단기(190)가 작동하여 코일스프링(12)을 절단한다. 동시에 상기 제1실린더기구(152)가 작동하면 상기 척(120a)를 원래의 위치로 작동되게 하여 선(10)이 감겨져 있는 심선(130)을 도 8A의 표시와 같이, 다시 클램핑 상태로 만들고, 이와 동시에 다시 모터(142)가 구동되도록 하여 앞의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절단되는 코일스프링(12)의 길이는 감지수단들(180a,180b)에 대한 간격 조정으로 일차 조정이 가능하고, 두 감지수단들(180a,180b)의 간격보다 더 긴 코일스프링(12)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대(160)가 일정 횟수 왕복 후에 절단기(190)가 작동되도록 하고, 또 감지수단들(180a,180b)의 간격을 조정하므로 써절단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10)상에 설치된 감지수단들(180a,180b)는 이동대(16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들(180a,180b)은 별도의 지지봉(182)에 설치하여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도2참조).
도 9는 도1 내지 도 3에서 절단기(19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 도이다.
상기 절단기(190)는 몸체(100)상의 일측 단에 설치되어 선(10)이 감겨져 만들어진 코일스프링(12)을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준다. 상기 절단기(190)는 코일스프링(12)의 이동경로 상에 마주보고 설치된 한 쌍의 절단날들(192a,192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우측의 절단날(192b)는 직선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탄성부재(194)를 통해 일측으로 힘을 받고 있으며, 뒤쪽으로 솔레노이드기구(19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기구(196)는 정해진 시기에 일측의 절단날(192b)을 전진시켜 코일스프링(12)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앞에서 설명한 감지수단에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로드(198)가 앞쪽으로 돌출되면서 일측의 절단날(192b)를 순간적으로 밀어준 후 다수 후퇴한다. 이에 따라 양 절단날(192a,192b)사이의 코일스프링(12)은 절단된다. 왼쪽의 절단날(192b)는 탄성부재(194)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물론, 이와 같은 절단기(190)는 여타의 형태로 구성하여도 된다. 단시 필요한 시기에 코일스프링(12)을 절단하여줄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도면부호 (200)은 몸체(110)의 일 측면에 설치된 컨트롤박스로(도1 내지 도3 참조), 상기 컨트롤 박스(200)은 상기 감지수단들(180a,180b)의 도움을 받아 각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몸체(110)의 좌측으로 보조대(210)가 설치되어 있고(도1참조), 그 위에 와이어 등의 선(10)이 감겨져 있는 롤(212)이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롤(212)에 감겨져 있는 선(10)이 다수의 보조구(214)를 거쳐 이동대(160)로 공급 된다. 이러한 보조대(210)와 보조구(214)는 여타의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몸체(110)의 일측 면에 설치된 경사판(216)은 절단된 코일스프링(12)이 일정 수량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도1참조).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을 자동으로 연속하여 만들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심선으로 직경이 작은 강철선 등을 이용하는 경우 원하는 직경의 코일스프링을 만들 수 있으며 특히 그 내경이 1mm 이하인 코일스프링도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지수단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써 쉽게 코일스프링의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소정 재질의 선을 감아서 코일스프링을 만들기 위한 스프링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몸체 상의 마주보는 위치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심재를 잡아줄 수 있는 한 쌍의 척;
    상기 척을 필요에 따라 동일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척 회동수단;
    상기 일 측의 척의 클램핑 상태와 언클램핑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척 구동수단;
    상기 척 구동수단에 의해 클램핑 상태가 조정되는 한 쌍의 척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안내 봉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심재에 감기는 상기 선을 안내하여주는 이동 대;
    상기 이동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된 한 쌍의 감지수단;
    상기 이동 대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대 이송수단; 및
    상기 선이 감겨져 만들어진 완성된 코일스프링의 절단을 위해 그 완성된 스프링의 이동경로 상에 마주보고 설치된 절단날과 상기 일측의 절단날을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기구로 이루어진 절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회동수단은 모터, 적어도 3개의 풀리를 갖는 회전축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축을 거쳐 양측의 척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 일측의 척에 연결된 중공의 축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척구동수단은 상기 일측의 척을 필요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제 1실린더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는 상기 선이 삽입되는 선 삽입부와 상기 선이 상기 선삽입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심선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선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선이 상기 심선에 감김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 이송수단은 상기 이동대가 일정위치에 도달되어 상기 감지수단에 감지되면 상기 이동대를 필요한 위치까지 후퇴시키기 위한 제2실린더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제조장치.
KR1019980054588A 1998-12-12 1998-12-12 스프링제조장치 KR10035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88A KR100355578B1 (ko) 1998-12-12 1998-12-12 스프링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88A KR100355578B1 (ko) 1998-12-12 1998-12-12 스프링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291A KR20000039291A (ko) 2000-07-05
KR100355578B1 true KR100355578B1 (ko) 2002-12-11

Family

ID=1956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588A KR100355578B1 (ko) 1998-12-12 1998-12-12 스프링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0634A (zh) * 2017-09-04 2018-01-12 珠海市赛科自动化有限公司 一种医用导丝绕线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291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069B1 (ko) 컷팅블레이드의 절곡시스템
US5744778A (en) Tube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machine
JP2001500808A (ja) カテーテル、誘導線などに切れ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006692A (en) Wire electrode supplying device for use in a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EP1524065A1 (en) Clamp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
KR100355578B1 (ko) 스프링제조장치
CN109309898B (zh) 一种全自动音圈绕线机
JP3710116B2 (ja) 素材送り装置及び線状加工装置
JP3780829B2 (ja) テープ巻き付け装置およびテープ巻き付け方法
US20030061925A1 (en) Apparatus for cutting an elongate tube
JP2689001B2 (ja) 線材製造装置およびピン打ち装置
JP2008229683A (ja) 切断機構を備えた曲げ加工装置
US6718853B2 (en) Log saw apparatus and method
JP2842708B2 (ja) テーピング機付き巻線装置
US6164584A (en) Winding machine
KR100492010B1 (ko) 공작기계용 클램프장치, 소재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상가공장치와 3 차원 선상(線狀) 가공 장치
CN213185822U (zh) 一种绕线装置及绕线机
ATE220649T1 (de) Positionierverfahren und positioniervorrichtung für bearbeitungsköpfe einer mehrkopf- bearbeitungsmaschine
JPS6148769B2 (ko)
CN210702162U (zh) 穿芯定位装置及管件自动冲压设备
KR19990021776A (ko) 길이가 다른 공작물용 회전식 클램핑장치
JPH10284334A (ja) コイル巻線機
WO2003074403A8 (en) Single-arm, dual-mandrel wire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JP3479127B2 (ja) 横型帯鋸盤の鋸刃ガイド
JPS62248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