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706B1 -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 Google Patents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706B1
KR100354706B1 KR1019990047861A KR19990047861A KR100354706B1 KR 100354706 B1 KR100354706 B1 KR 100354706B1 KR 1019990047861 A KR1019990047861 A KR 1019990047861A KR 19990047861 A KR19990047861 A KR 19990047861A KR 100354706 B1 KR100354706 B1 KR 10035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paths
switch unit
line
power synthes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467A (ko
Inventor
백락준
최두헌
황인수
정찬국
안정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19990047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706B1/ko
Priority to JP2000302380A priority patent/JP2001156509A/ja
Priority to SE0003787A priority patent/SE521000C2/sv
Publication of KR2001003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6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7/463Duplexers
    • H03H7/465Duplexers having variable circuit topology, e.g. includ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Landscapes

  • Transmitter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사용되는 스위칭 전력 합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합성기의 전력 전달 경로수가 변화할 경우 선로의 임피던스에 있어 부정합이 발생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전력 전달 경로수를 가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로의 임피던스도 정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칭 전력 합성기는 전력 전달 경로수를 바꾸면 선로의 정합상태가 나빠져 성능이 크게 저하되므로 합성가능한 전력 전달 경로수가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합성되는 전력 전달 경로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정합된 선로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전달 경로수를 증감할 필요가 있거나 일부 경로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전력 전달 경로수의 효과적인 스위칭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의 구성 및 변경이 용이한 전력 합성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N-way switchable power combiner having matched transmission lin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bined channels}
본 발명은 각종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사용되는 스위칭 전력 합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합성되는 전력 전달 경로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정합된 선로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전달 경로수를 증감할 필요가 있거나 일부 경로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전력 전달 경로수의 효과적인 스위칭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의 구성 및 변경이 용이한 전력 합성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력 합성기는 크게 래디얼(Radial)형과 포크(Fork)형으로 구분되는데, 래디얼형 전력 합성기는 윌킨슨(Wilkinson)의 방식에서 유래한 것으로 입력 포트를 중심으로 출력 포트로의 전력 전달 경로가 방사형으로 뻗은 모양을 갖고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저항과 알에프(RF) 선로로 구성되며, 포크형 전력 합성기는 입력 포트로부터 출력 포트로의 전력 전달 경로가 포크 모양을 형성하면서 아이솔레이션 저항과 알에프 선로 또는 알에프 선로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칭 전력 합성기는 전력 전달 경로수를 바꾸면 선로의 정합 상태가 나빠져 성능이 크게 저하되므로 합성가능한 전력 전달 경로수가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칭 전력 합성기가 각 경로수에 따라 삽입 손실이 일정하지 않은 점, 그리고 N경로 전력 합성기인 경우 N, N-1, N-2, …, 등의 모든 경로수에 대해서 스위칭 기능을 갖지 않고 N경로와 N-1경로에 대해서만 스위칭 기능을 갖는다고 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되는 전력 전달 경로수에 따라 N경로, N-1경로, …, 1경로에 임피던스가 정합된 선로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전력 전달 경로수의 효과적인 스위칭이 가능한 전력 합성기를 제공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래디얼(Radial)형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블록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포크(Fork)형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스위칭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실시예인 3경로 전력 합성기의 블록도.
도 5a는 도 4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b는 도 5a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 6a는 도 4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b는 도 6a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 7a는 도 4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b는 도 7a의 외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41, 57, 65 : 입력 포트 12, 22, 42, 58, 66 : 출력 포트
23, 43, 54 : 1경로 선로 24, 44, 55, 63, 73 : 2경로 선로
25 : N경로 선로 26, 46 : 제어부
27, 47, 51, 61, 71 : 제 1 스위치부 28, 48, 52, 62, 72 : 제 2 스위치부
29, 49, 59, 67, 78 : 정션(Junction) 케이블 311 : 제 1 전자석
312 : 제 2 전자석 313 : 힌지
314 : 판스프링 315 : 스프링
316 : 제 1 접점 317 : 제 2 접점
318 : 공통단자 319 : 스위칭 단자
320 : 제어신호선 45, 56, 64, 74 : 3경로 선로
53 : 제 3 스위치부 75 : 알에프(RF) 콘넥터
76 : 하우징 77 : 디-서브(D-sub) 콘넥터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는 N개의 경로에 대한 N개의 입력 포트; 해당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 합성할 경로의 수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부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부;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정션 케이블; 합성할 경로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경로 선로, 2경로 선로, …, N경로 선로; 합성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포트; 및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각부 특성 및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래디얼형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블록도와 포크형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블록도로써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래디얼형 전력 합성기는 윌킨슨 방식의 기본 구조에 스위칭 회로를 부가하였고, 정합부의 임피던스Z E는 2Z 0가 아닌이다. 따라서, 네 개의 입력 포트 Pi1, Pi2, Pi3및 Pi4에 접속되는 패턴의 폭이Z E 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와같은 래디얼형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경우에 있어서 전력 전달 경로수를 결정해주는 정합부의 임피던스가 전술한 바와 같이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4경로와 3경로의 경우에는 동작하나 1경로와 2경로에 대해서는 임피던스 정합이 되지 않아삽입손실(Insertion Loss)이 크게 증가하므로 전력 합성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크형 전력 합성기는 λ/4 정합부를 이용한 것으로서 전술한 래디얼형 전력 합성기와는 달리 4개의 기계식 단극쌍투(SPDT;Sign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가 스위칭 기능을 하며,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션 저항이 없으므로 포트간 분리도 특성을 얻기 위하여 각 포트마다 아이솔레이터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λ/4 정합부의 임피던스가에 의해서 정해지므로 3경로와 2경로의 경우에는 동작하나 1경로와 4경로에 대해서는 임피던스 정합이 되지 않아 상기 래디얼형 전력 합성기와 마찬가지로 전력 합성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블록도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스위치부(27), 제 2 스위치부(28), 정션 케이블(29), 1경로 선로(23), 2경로 선로(24), … 및 N경로 선로(25)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는 크게 N개의 입력 포트중 해당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27), 합성할 경로의 수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부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부(28), 상기 제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정션 케이블(29)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부에 의해 선택되는 1경로 선로(23), 2경로 선로(24),… 및 N경로 선로(25),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6)로 구성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에프(RF) 콘넥터로 이루어진 N개의 입력 포트(21)를 통해서 입력된 입력 전력은 제 1 스위치부(27)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N개의 경로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거나, N개의 경로중 임의의 2개 이상의 경로를 선택하거나, 또는 N개의 경로 모두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1경로 선로(23), 2경로 선로(24), … 및 N경로 선로(25)는 각각 1경로, 2경로, … 및 N경로일때의 합성 임피던스에 정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1경로인 경우는 통상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동일한 임피던스인 선로를 그대로 적용하여Z 1=Z 0=50Ω인 선로를 사용하고, 2경로 이상의 N경로인 경우에는 임피던스가 정합될 수 있도록 선로를 구성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각각의 임피던스는 상기 정션 케이블의 길이와의 관계식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즉, 상기 정션 케이블의 길이를라 하면,
[수학식 1]: m이 우수인 경우(even mode)
[수학식 2]: m이 기수인 경우(odd mode)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로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최소 길이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학식1에서 m=2를 적용하였다.
예로써, 도 2에서 2경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2경로인 경우에는 2개의 입력 포트(21)를 통해서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2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 제 1 스위치부(27)는 2개의 해당 경로를 선택하여 제 2 스위치부(28)와 연결된다. 이어 제 2 스위치부는 임피던스가인 2경로 선로(24)를 선택하기 위하여 SW21과 SW22를 ON으로 하고 나머지 2N-2개의 스위치(SW11, SW12, SW31, SW32…SWN1, SWN2)는 OFF로 하여 2경로에 정합된 2경로 선로(24) Z2가 연결되도록 하는데 이때의 동작은 상기 제 1 스위치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부(26)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스위칭부의 단면도로서 스위칭 작용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스위치 구조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제 1 전자석(311)과 제 2 전자석(312)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전자석과 제 2 전자석의 하단에 자화가능한 금속재의 힌지(313)가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의 하단에 밀착된 판스프링(314)이 제 1 접점(316) 또는 제 2 접점(317)에 압력을 가하여 공통단자(318)와 스위칭 단자(319)를 접속하거나 차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 전자석과 제 2 전자석의 동작은 제어신호선(320)에 의해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행해지는데 상기 제어신호는 반대 극성의 직류(DC)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각각의 전자석에 발생하는 자극이 서로 반대 극성이 되어 일측의 전자석이 상기힌지의 일측을 잡아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고 타측의 전자석은 상기 힌지의 타측을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와같은 작용을 도 3에 적용하면 제 1 전자석(311)이 힌지(313)를 잡아당기고 제 2 전자석(312)이 힌지(313)를 밀어내어 판스프링(314)이 제 2 접점(317)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공통단자(318)와 스위칭 단자(319)를 접속하게 되며, 상기 제 1 전자석이 상기 힌지를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스프링(315)의 작용에 의해 제 1 접점(316)은 분리된다. 상기 스위칭 동작은 상기 도 2에 표시된 각각의 스위치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도 3에서는 하나의 스위칭 기능만을 기술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의 실시예인 3경로 전력 합성기의 블록도로써 크게 3개의 입력 포트중 해당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47), 합성할 경로의 수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부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부(48),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정션 케이블(49)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부에 의해 선택되는 1경로 선로(43), 2경로 선로(44) 및 3경로 선로(45),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6)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에프(RF) 콘넥터로 이루어진 3개의 입력 포트(41)를 통해서 입력된 입력 전력은 제 1 스위치부(47)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3개의 경로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거나, 3개의 경로중 임의의 2개 이상의 경로를 선택하거나, 또는 3개의 경로 모두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1경로 선로(43), 2경로 선로(44) 및 3경로 선로(45)는 각각 1경로, 2경로 및 3경로일때의 합성 임피던스에 정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전술한 수학식 1에서 m=2이므로 상기 정션 케이블의 길이는이며 2경로와 3경로인 경우에는 각각 임피던스가 정합될 수 있도록인 선로가 된다.
도 5a는 도 4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a는 상기 도 4에 대하여 저면도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제 1 스위치부(51)에서 3개의 입력 신호 Pi1, Pi2, Pi3는 I1, I2, I3를 통해서 입력되는데 이때 1경로의 선택은 SW11, 2경로의 선택은 SW12, 3경로의 선택은 SW13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며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통단자인 C1과 접속되고, 정션 케이블(59)을 통하여 제 2 스위치부(52)의 입력측 공통단자 C2가 상기 C1과 접속되어 1경로 신호인 경우 SW21과 SW31이 ON되어 신호는 C2→ O21→ 1경로 선로(54) Z1→ O31→ C3의 경로를 통해 출력되고, 2경로 신호인 경우에는 SW22와 SW32가 ON되어 신호는 C2→ O22→ 2경로 선로(55) Z2→ O32→ C3의 경로로 출력되며, 3경로 신호인 경우에는 SW23과 SW33이 ON되어 신호는 C2→ O23→ 3경로 선로(56) Z3→ O33→ C3의 경로로 제 3 스위치부(53)의 공통단자 C3을 통해 출력신호 Po가 출력된다. 도 5a에서 NC는 사용하지 않는 단자이며, 도 5b는 도 5a의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도 6a는 도 4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써 임피던스 정합 선로가 외부에 접속되는 선로 외장형이다. 도 6a는 상기 도 4에 대하여 저면도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제 1 스위치부(61)에서 3개의 입력 신호 Pi1, Pi2, Pi3는 I1, I2, I3를 통해서 입력되는데 상기 도 5a에서와 동일하게 1경로의 선택은 SW11, 2경로의 선택은 SW12, 3경로의 선택은 SW13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며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통단자인 C1과 접속되고, 정션 케이블(67)을 통하여 제 2 스위치부(62)의 입력측 공통단자 C21이 상기 C1과 접속되어 1경로 신호인 경우 SW20, SW21이 ON되어 신호는 C21→ O1→ C22의 경로를 통해 출력되고, 2경로 신호인 경우에는 SW20, SW221, SW222가 ON되어 신호는 C21→ O1→ O21→ 2경로 선로(63) Z2→ O22→ C22의 경로로 출력되며, 3경로 신호인 경우에는 SW20, SW231, SW232가 ON되어 신호는 C21→ O1→ O31→ 3경로 선로(64) Z3→ O32→ C22의 경로로 제 2 스위치부(62)의 공통단자 C22를 통해 출력신호 Po가 출력된다. 도 6b는 도 6a의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도 7a는 도 4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써 임피던스 정합 선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선로 내장형이다. 도 7a는 상기 도 6a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 4에 대하여 저면도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제 1 스위치부(71)에서 3개의 입력 신호 Pi1, Pi2, Pi3는 I1, I2, I3를 통해서 입력되는데 상기 도 5a에서와 동일하게 1경로의 선택은 SW11, 2경로의 선택은 SW12, 3경로의 선택은 SW13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며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통단자인 C1과 접속되고, 정션 케이블(78)을 통하여 제 2 스위치부(72)의 입력측 공통단자 C21이 상기 C1과 접속되어 1경로 신호인 경우 SW211과 SW212가 ON되어 신호는 C21→ O1→ C22의 경로를 통해 출력되고, 2경로 신호인 경우에는 SW221과 SW222가 ON되어 신호는 C21→ O21→ 2경로 선로(73) Z2→O22→ C22의 경로로 출력되며, 3경로 신호인 경우에는 SW231과 SW232가 ON되어 신호는 C21→ O31→ 3경로 선로(74) Z3→ O32→ C22의 경로로 제 2 스위치부(72)의 공통단자 C22를 통해 출력신호 Po가 출력된다. 도 7b는 도 7a의 외관도로써 상기 도 7a에 대한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를 동시에 도시한 것이다.
전력 합성기는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전력 증폭기 후단에서 전력을 혼합하는데 사용된다. 이 분야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은 전력 합성기의 전력 전달 경로수가 변화할 경우 선로의 임피던스에 있어 부정합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각종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사용되는 스위칭 전력 합성기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합성기가 갖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되는 전력 전달 경로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정합된 선로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전달 경로수를 증감할 필요가 있거나 일부 경로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전력 전달 경로수를 효과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구성 및 변경이 용이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사용되어 다수 채널 신호를 결합하는 스위칭 전력 합성기에 있어서,
    N개의 경로에 대한 N개의 입력 포트와,
    해당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와,
    합성할 경로의 수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부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정션 케이블과,
    합성할 경로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경로 선로, 2경로 선로, …, N경로 선로와,
    합성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포트, 및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N개의 경로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거나,
    N개의 경로중 임의의 2개 이상의 경로를 선택하거나,
    N개의 경로 모두를 선택하되,
    경로가 선택되는 공통단자가 정션(Junction)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각각의 경로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N개의 경로에 대하여 결합되는 경로수에 따라 선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를 접속하기 위한 정션 케이블은,
    선로의 삽입손실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m이 우수이거나 기수로써 최소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5.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할 경로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경로 선로, 2경로 선로, …, N경로 선로는 각각,
    상기 정션 케이블에 있어서 m이 우수인 경우의 임피던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할 경로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경로 선로, 2경로 선로, …, N경로 선로는 각각,
    상기 정션 케이블에 있어서 m이 기수인 경우의 임피던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상기 정션 케이블과 상기 1경로 선로, 2경로 선로, …, N경로 선로를 외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상기 정션 케이블과 상기 1경로 선로, 2경로 선로, …, N경로 선로를 내부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와 상기 제 2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위해 제어신호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스위칭 전력 합성기.
KR1019990047861A 1999-10-30 1999-10-30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KR10035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861A KR100354706B1 (ko) 1999-10-30 1999-10-30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JP2000302380A JP2001156509A (ja) 1999-10-30 2000-10-02 スイッチング電力合成器
SE0003787A SE521000C2 (sv) 1999-10-30 2000-10-19 Omkopplingsbar effektkombiner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861A KR100354706B1 (ko) 1999-10-30 1999-10-30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467A KR20010039467A (ko) 2001-05-15
KR100354706B1 true KR100354706B1 (ko) 2002-09-30

Family

ID=1961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861A KR100354706B1 (ko) 1999-10-30 1999-10-30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156509A (ko)
KR (1) KR100354706B1 (ko)
SE (1) SE52100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77A (ko) * 2002-02-18 2003-06-0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스위칭 전력 합성기
KR100537529B1 (ko) * 2002-08-19 2005-12-16 케이에스엠 주식회사 스위칭이 가능한 컴바이너
KR100927169B1 (ko) * 2002-11-16 2009-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스위칭 가능한 통합형 합성기
KR20040043444A (ko) * 2002-11-18 2004-05-24 셀레콤 주식회사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구비한 전력 합성 및 분배기
JP4718308B2 (ja) * 2005-11-25 2011-07-06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周波スイッチ
CN103872416B (zh) * 2012-12-11 2016-04-20 镱钛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功率并合器
CN108270421A (zh) * 2018-01-31 2018-07-10 德清利维通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合路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491A (en) * 1996-11-27 1999-02-16 Kmw Usa, Inc. Switchable N-way power divider/comb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491A (en) * 1996-11-27 1999-02-16 Kmw Usa, Inc. Switchable N-way power divider/comb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56509A (ja) 2001-06-08
SE0003787D0 (sv) 2000-10-19
SE521000C2 (sv) 2003-09-23
SE0003787L (sv) 2001-05-01
KR20010039467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8856B1 (en) RF power divider/combiner circuit
JP2867987B2 (ja) 高周波電力合成器
KR100354706B1 (ko) 합성 채널수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선로를 갖는 n경로
US5642083A (en) High-frequency switch
EP1889373B1 (en) By-pass arrangement of a low noise amplifier
KR100279490B1 (ko) N-웨이 전력 분배기/합성기
KR100233234B1 (ko) 공통 리던던시를 갖는 다극 다위치 마이크로웨이브 스위치
US6650200B2 (en) Dynamic combiner/splitter for RF signal systems
US6587013B1 (en) RF power combiner circuit with spaced capacitive stub
EP1476912B1 (en) Switchable combiner and integrated combining apparatus for using it
KR100521422B1 (ko) 스위칭 가능한 전력 분배기/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주파수할당 장치
KR100411904B1 (ko) N경로 가변 컴바이너
KR100346746B1 (ko) 스위칭 가능한 2-웨이 전력 분배기/합성기
KR100352577B1 (ko) 위상 불균형을 개선한 스위처블 콤바이너
KR100384970B1 (ko) 분배 경로수에 따른 정합선로를 구비한 스위칭 분배기
KR100308516B1 (ko) λ/2 전송선로와 이중정합부를 이용한 스위칭 전력 합성기
KR20040025424A (ko) 임피던스 정합 합성 및 분배기
KR200298269Y1 (ko) 스위칭 가능한 전력 합성기/분배기
KR20040069816A (ko) 스위칭 가능한 2-웨이 전력 분배기/합성기
KR100352576B1 (ko) 가변 정합부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형 스위처블 콤바이너
KR20000009285A (ko) 스위칭이 가능한 전력 분배기/합성기
KR20040025425A (ko) 바이패스 기능을 포함하는 스위처블 콤바이너/디바이더
US6518822B1 (en) High-frequency switch
KR200302896Y1 (ko) 스위처블 콤바이너
KR200270091Y1 (ko) 대역내 삽입손실의 평탄도를 개선한 스위칭 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