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360B1 - 냉장고용 제상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360B1
KR100353360B1 KR1019990063084A KR19990063084A KR100353360B1 KR 100353360 B1 KR100353360 B1 KR 100353360B1 KR 1019990063084 A KR1019990063084 A KR 1019990063084A KR 19990063084 A KR19990063084 A KR 19990063084A KR 100353360 B1 KR100353360 B1 KR 10035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evaporator
defrost
upper portion
defros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677A (ko
Inventor
이원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3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3Removal by evaporation using heat from electric elements or using an electric field for enhancing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히터의 설치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의 제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상장치는, 냉매가 내부를 흐르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홀더(3a,3b)를 구비하는 증발기(2)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집수하여 제상수배출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증발기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부(30); 그리고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 인접한 히터상부(20a)와, 상기 히터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집수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히터하부(20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상부는 증발기 하부의 제상을 수행하고, 히터하부는 집수부에 떨어진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되고, 보다 간단한 제상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제상장치{Defrosting devic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하게 증발기의 제상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상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용 제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증발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생성되는 냉기를 냉동실 및 냉장실로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식품을 냉동 및 냉장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증발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생성된 냉기는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어 내부에 보관중인 식품과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를 순환한 냉기는 다시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증발기가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챔버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는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외기가 냉장고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냉장고 내부의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는, 증발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증발기 표면에 착상되어 성애로 성장하게 된다.
이렇게 성장하는 성애의 양이 많으면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통로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성애가 착상되면 이를 녹이는 제상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제상과정은, 증발기 및 그 주변에 부착되어 있는 히터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발열하는 것에 의하여, 증발기 표면에 있는 성애를 녹이는 것에 의하여 진행된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제상히터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냉동실의 후방에는 열교환챔버(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열교환챔버(1)의 내부에는 증발기(2)가 설치되어 있어서, 순환하는 공기와의 접촉을 통하여 냉기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에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관(4)이 설치되어 있음은물론이고, 증발기의 표면에는 코드히터(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증발기(2)의 하단부에는 시스(sheath)히터(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스히터(8)는 상기 코드히터(6)와 같이, 발열에 의하여 증발기(2)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성애를 녹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여 증발기(2)의 표면에 맺혀있는 성애, 즉 얼음덩어리가 녹아내리게 되는데, 실제로는 증발기의 표면 부분에서 부터 녹기 때문에, 증발기(2)에서 떨어지는 것은 얼음덩어리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증발기(2)에서 떨어지는 얼음덩어리는, 열교환챔버(1)의 하부에 성형되어 있는 집수부(10)에 떨어진 다음, 제상수배수로(12)를 통하여 통상 기계실(14)로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10)으로 떨어지는 얼음덩어리가 제상수배수로(12)를 막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집수부(10)에도 히터가 설치된다. 상기 집수부(10)에도 판형상의 히터(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10)로 떨어진 얼음덩어리는, 히터(9)의 발열에 의하여 완전하게 녹게 되어, 상기 제상수배수로(12)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될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상히터의 구조를 살펴보면, 증발기의 표면에 장착되는 코드히터(6)를 제외하더라도, 증발기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시스히터(8)와, 집수부(10)의 표면에 설치되는 판형상의 히터(9)를 포함하고 있는 등 제상을 위한 히터의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제상히터를 구성하는 히터의 구조가 복잡하고, 갯수가 많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제조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상기 시스히터(8)는 물론 판히터(9)는 각각 상이한 부분에 조립되는 것이어서, 조립과정에서도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서 증발기의 제상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히터를 보다 간단하게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상용 히터를 보다 간단하게 구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증발기 및 집수부에 구현되는 히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갯수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제상히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상히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상히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상히터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증발기 3a, 3b ..... 홀더
20 ..... 히터 20a ..... 히터상부
20b ..... 히터하부 30 ..... 집수부
32 ..... 제상수배출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상장치는, 냉매가 내부를 흐르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홀더를 구비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집수하여 제상수배출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증발기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부; 그리고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 인접한 히터상부와, 상기 히터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집수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히터하부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상부는 증발기 하부의 제상을 수행하고, 히터하부는 집수부에 떨어진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히터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하부를 가열하여 제상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집수부에 떨어지는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되어, 구조적으로 보다 간단한 제상장치를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히터상부는 증발기의 홀더에 지지되고, 상기 히터하부는 하부로 더 연장되는 일측의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고, 히터하부의 단부는 다시 상방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하부는 집수부의 제상수배출로의 직상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는,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유격을 가질 수 있도록 홀더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히터의 동작시와 증발기의 동작시 사이에서 발생하는 심한 온도차에 의하여 열팽창 또는 열수축하여도 충분히 이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의 후방에는 증발기(2)가 설치되는 열교환챔버(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챔버(1)의 내부에는 증발기(2)가 설치되는데, 상기 증발기(2)에는 코드히터 및 냉매관이 내장된다. 이러한 냉매관 및 코드히터에 관한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2)의 하단부에는 히터(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히터(20)는, 종래의 시스히터와 판히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는, 증발기(2)와 상기 히터(20)의 결합관계가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에는 냉매관(2a)가 지그재그로 왕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관(2a)에는 복수개의 열교환핀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냉매관(2a)의 양측단부에는 냉매관을 지지하기 위한 홀더(3a,3b)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히터(20)는, 증발기(2)의 하부에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히터상부(20a)와, 상기 히터상부에서 연장되어 집수부(3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히터하부(20b)로 구성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히터상부(20a)는 증발기(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의 홀더(3a,3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부분(a)와 부분(b)에서 홀더(3a,3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히터(20)의 지지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히터하부(20b)는, 상기 증발기(2)에서 녹아내리는 물 또는 얼음덩어리를 모아서 제상수배출로(32)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집수부(20)와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하부(20b)는 집수부(20)의 제상수배출로(32)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제상수배출로(32)의 상부에 얼음덩어리가 떨어질 때 이를 신속하게 녹여서 얼음덩어리가 상기 제상수배출로(32)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하부(20b)의 일측단부(20c)는, 다시 상방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일측단부(20c)는 증발기 홀더(3a)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면상에서 좌측의 증발기 홀더(3a)는 하방으로 더욱 연장되는 상태로 성형되어, 부분(c,d)에서 상기 히터하부(20b)의 일측단부(20c)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히터(20)는, 증발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히터상부(20a)와 집수부(30)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히터하부(20b)를 구비하는 하나의 히터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히터상부(20a)는 증발기(2)의 하부에서 성장한 성애를 발열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종래의 시스히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히터하부(20b)는 집수부(30)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이고, 증발기(2)에서 떨어져 나온 얼음덩어리를 완전하게 녹일 수 있도록 하고, 제상수배출로(32)가 얼음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히터(20)의 지지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상부(20a)는 홀더(3a,3b)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히터하부(20b)는, 그 일측단부에서 홀더(3a)의 하단부에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더(3a)에 의하여 히터상부(20a)가 지지되는 것은, 클립부재(3c)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부재(3)는, 홀더(3a)에 성형되는 것으로, 한쌍의 아암(3e,3f)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아암(3e,3f) 사이에는 상기 히터상부(20a)가 탄성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히터(20)가 홀더(3a,3b)에 지지될 때,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상기 클립부재(3)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클립부재(3)가 히터(20)를 지지할 때 서로가 완전하게 접착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고, 따라서 히터의 발열 또는 증발기의 구동에 의하여, 히터(20) 및 홀더(3a,3b)가 고온 및 저온상태를 반복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히터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아암(3e,3f)로 구성되는 클립부재(3c)에 의하여, 홀더(3a,3b)에 히터(20)를 지지하는 것은, (a)부분 뿐만 아니라, (b)부분, 및 (c),(d) 부분에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클립부재(3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히터(20)를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히터(20)가 고온 또는 저온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열팽창 또는 열수축을 상기 홀더(20)가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클립부재(3c)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다. 본 명세서 상에서 클립부재라는 것은, 히터(20)를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되, 히터가 그 길이방향으로 유격을 가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홀더(3a,3b)에 의하여 지지되는 히터는 열팽창 또는 열수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클립부재에 의하여 지지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히터(20)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증발기(2)에 착상된 성애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히터(20)에는 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발열하게 된다. 히터(20)의 발열에 의하여, 증발기(2)의 하부에 착상되어 있는 성애는, 히터상부(20a)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녹아서, 물 또는 얼음덩어리의 형태로 집수부(30)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집수부로 떨어져 내리는 얼음은, 실제로는 히터하부(20b)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완전하게 녹게 되고, 이렇게 하여 발생하는 제상수는 제상수배출로(32)를 통하여 안내되어, 냉장고의 기계실로 배수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상과정 동안에, 히터는 상당한 고온까지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는 증발기(2)의 구동시의 온도와는 엄청난 온도차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히터(20)는 열팽창 또는 열수축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히터(20)의 팽창 또는 수축은, 증발기홀더(3a,3b)의 클립부재에 의하여 충분히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하여 히터(20) 자체 또는 증발기의 홀더(3a,3b)가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은 충분히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히터상부(20a)와 히터하부(20b)로 구성되어, 증발기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하나의 히터(20)를 이용하여, 증발기 하부에 착상된 성애의 제거는 물론, 집수부(30)에 떨어져 내리는 얼음을 완전하게 녹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히터로서 기능을 가지는 히터(20)의 구성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단하게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있다. 즉 하나의 히터(2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시스히터의 기능과 판히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어, 구조상으로 더욱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상히터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한 제조 코스트 다운과, 조립공정상의 편의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터는, 클립부재에 의하여 증발기 홀더에 지지되고 있어서,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냉매가 내부를 흐르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판형상 홀더를 구비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집수하여 제상수배출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증발기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부; 그리고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 인접한 히터상부와, 상기 히터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집수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히터하부를 포함하는 히터로 구성되고;
    상기 히터상부는 증발기의 양측의 홀더에 지지되고, 상기 히터하부의 단부는 다시 상방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하부로 더 연장되는 일측의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히터는, 내부에 히터가 들어가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쌍의 아암(3e,3f)으로 구성되는 클립부재(3c)에 의하여 홀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19990063084A 1999-12-27 1999-12-27 냉장고용 제상장치 KR10035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084A KR100353360B1 (ko) 1999-12-27 1999-12-27 냉장고용 제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084A KR100353360B1 (ko) 1999-12-27 1999-12-27 냉장고용 제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677A KR20010060677A (ko) 2001-07-07
KR100353360B1 true KR100353360B1 (ko) 2002-09-18

Family

ID=1963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084A KR100353360B1 (ko) 1999-12-27 1999-12-27 냉장고용 제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807A (ko) 2007-03-30 2008-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677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360B1 (ko) 냉장고용 제상장치
KR20080057976A (ko) 냉장고의 제상 시스템
JP2004183998A (ja) 冷蔵庫
KR100520063B1 (ko) 냉장고
KR200152274Y1 (ko) 냉장고용 제상수 배수장치
KR100213924B1 (ko) 제상용 히터 파이프
KR0165659B1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KR100499027B1 (ko) 냉장고
KR100248632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KR100366499B1 (ko) 냉장고의냉장실냉각장치
KR20000006563U (ko) 냉장고의 드레인수조
KR100558818B1 (ko) 냉장고의 제상 잔빙 제거용 면상히터
KR100213628B1 (ko)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KR0119060Y1 (ko) 냉동고의 배수장치
KR100379165B1 (ko) 냉장고의 제상 장치
KR100652776B1 (ko) 냉장고
KR200165328Y1 (ko)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KR200184323Y1 (ko) 냉장고용 증발기의 취부장치
JPH11248331A (ja) 冷蔵庫
KR200165787Y1 (ko) 냉장고용 제상히터의 열기송풍장치(a fan of hiter for refrigerator)
KR100839907B1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KR200180838Y1 (ko) 냉장고용 증발용기
KR880003764Y1 (ko) 냉동 냉장고의 증발기
WO2014206128A1 (zh) 电冰箱
KR100208020B1 (ko) 히터 파이프의 고정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