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328Y1 -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328Y1
KR200165328Y1 KR2019970022142U KR19970022142U KR200165328Y1 KR 200165328 Y1 KR200165328 Y1 KR 200165328Y1 KR 2019970022142 U KR2019970022142 U KR 2019970022142U KR 19970022142 U KR19970022142 U KR 19970022142U KR 200165328 Y1 KR200165328 Y1 KR 200165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efrost water
water
defrost
collec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967U (ko
Inventor
윤중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22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3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제상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제상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조는, 하향하는 배수통로가 성형되어 있는 배수접시와, 상기 배수접시의 주위에 성형되고,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하는 제상수안내공이 형성된 집수홈, 그리고 상기 배수접시에서 집수홈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증발기에 녹아내리는 얼음은 상기 집수홈의 내부에 모여 완전하게 녹은 상태의 제상수로 되어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제1도는 종래의 제상수 배수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상수 배수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상수 배수구조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2 : 증발기 4, 14 : 배수접시
6, 16 : 히터 8, 18 : 배수통로
20 : 집수홈 22 : 제상수 안내공
본 고안은 냉장고의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제상수가, 배수통로로 들어가기 전에 형성된 집수홈에 모여서 히터에 의하여 완전히 녹은 다음 제상수 배수 통로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서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의 표면에는 냉장고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침투한 습기에 의하여 결빙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결빙현상이 발생하면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냉장고에서는 증발기의 표면에 형성된 얼음을 녹이는 제상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고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제상수의 배출에 대하여 고찰한다. 상기 제상과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상수는, 증발기(2)가 설치되어 있는 냉각실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수접시(4)를 통하여 배수통로(8)로 안내되어, 냉장고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물받이로 안내됨으로써,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되고 있다. 상기 배수접시(4)에는 제상과정에서 사용되는 히터(6)가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2)에 얼어붙어 있던 얼음은, 제상과정을 통하여 상기 배수접시(4)로 떨어져 내린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접시(4)의 배수통로(8)로 안내되지만, 증발기(2)에서 떨어져 내리는 것은, 완전히 녹은 상태의 제상수가 아니라, 얼음 상태의 것이 많다. 이러한 얼음상태의 것은, 상기 배수접시(4)에 의하여 안내되어 배수통로(8)로 모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배수통로(8)에 모인 얼음은, 원활하게 배수통로(8)의 하단부로 안내되지 않고, 배수통로(8)에 쌓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배수통로(8)에는 나중에 녹은 제상수가 배수되지 않게 된다. 즉, 배수통로(8)자체가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은, 배수접시(4)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6)가 얼음을 완전히 녹이지 못하는 점에 기인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제상수의 배출이 원활한 제상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조는, 하향하는 배수통로가 성형되어 있는 배수접시와, 상기 배수접시의 주위에 성형되고,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하는 제상수안내공이 형성된 집수홈, 그리고 상기 배수접시에서 집수홈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증발기에서 떨어진 얼음이 상기 집수홈에 모여서, 그 내부에 설치된 히터에 의하여 완전히 녹은 제상수로 되어 배수 통로를 통하여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배수통로의 결빙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상수 배수구조는, 증발기(1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제상수가 배출되는 제상수 배수통로(18)를 구비하는 배수접시(14)와, 상기 배수통로(18)의 주위에 형성되는 원형의 집수홈(20)과, 상기 원형의 집수홈(20)의 내부 및 배수접시(14)에 설치되는 히터(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접시(14)는 증발기(1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떨어지는 제상수를 배수통로(18)을 향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접시(14)의 상측면에는 히터(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16)는, 후술하는 집수홈(2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이와 같이 제상히터를 집수홈(20)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상과정에서 발생하는 얼음을 충분히 녹인 다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배수접시(14)에 형성된 제상수 배수통로(18)는 제상과정에서 생성된 제상수를 냉장고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입구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고, 상기 배수통로(18)의 주위에는 도너츠 형상의 집수홈(20)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집수홈(20)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접시(14)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16)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집수홈(20)과 배수통로(18) 사이에는 벽(24)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사아기 집수홈(20)의 하부에는 상기 집수홈(20)과 배수통로(18) 사이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상수 안내공(22)이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제상수의 배출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증발기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얼음은, 제상과정에 의하여 증발기 표면에서 분리되어 배수접시(14)로 떨어져 내리게 된다. 이렇게 배수접시(14)로 떨어져 내리는 것은, 완전히 녹은 제상수가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증발기에서 분리된 얼음 상태의 것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배수접시(14)로 떨어진 얼음은, 배수접시(14)에 의하여 안내되어, 배수통로(18)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얼음은 배수통로(18)의 주위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집수홈(20)에 모이게 된다. 집수홈(20)의 내부로 안내된 얼음은, 그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는 히터(16)에 의하여 완전히 녹게 된다. 상기 집수홈(20)의 내부에서 히터(16)에 의하여 녹은 제상수는, 상기 집수홈(20)과 배수통로(18) 사이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상수 안내공(22)을 통하여 배수통로(18)로 안내되어, 배수통로(18)를 따라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증발기에서 녹아내린 얼음은 상기 집수홈(20)에 모이게 되고, 집수홈(2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에 의하여 완전히 녹은 상태의 제상수로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제상 과정에서 녹은 얼음이 배수통로의 입구를 막아서 배수통로를 결빙시키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제상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정) 냉장고의 제상수를 받는 제상접시를 가진 제상수배수장치에 있어서, 배수접시와 일체화되어 하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배수통로와, 상기 배수통로의 입구부 주위에 배수통로와 연통하는 제상수안내공이 형성되고, 하향으로 단차진 집수홈과, 상기 집수홈에 연장된 히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수 배수장치.
KR2019970022142U 1997-08-14 1997-08-14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KR200165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142U KR200165328Y1 (ko) 1997-08-14 1997-08-14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142U KR200165328Y1 (ko) 1997-08-14 1997-08-14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967U KR19990008967U (ko) 1999-03-05
KR200165328Y1 true KR200165328Y1 (ko) 2000-01-15

Family

ID=1950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142U KR200165328Y1 (ko) 1997-08-14 1997-08-14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3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79B1 (ko) 2005-11-14 2007-04-12 박광균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의 집수조히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79B1 (ko) 2005-11-14 2007-04-12 박광균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의 집수조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967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5328Y1 (ko)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구조
KR200431862Y1 (ko)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 구조
SU109388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далени талой воды из бытового холодильника
JP3014073B2 (ja) 除霜水排出装置
KR200217765Y1 (ko) 냉장고의 제상수 받이
KR200201381Y1 (ko) 제상수 배수구 빙결방지장치
JP2501931Y2 (ja) 冷凍冷蔵装置
JP3704971B2 (ja) 冷蔵庫
WO2023083222A1 (zh) 一种用于制冷设备的接水盘组件及制冷设备
KR19990005907U (ko) 제상수 배수장치의 열전도구조
KR0117023Y1 (ko) 냉장고용 얼음저장용기
CN110542257B (zh) 一种带有液封结构的制冰机
JPH08313146A (ja) 冷凍冷蔵庫の除霜水排出装置
JPH0328305Y2 (ko)
KR200152274Y1 (ko) 냉장고용 제상수 배수장치
KR200282600Y1 (ko) 냉장고의제상수배수장치
KR970007867B1 (ko)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KR100520063B1 (ko) 냉장고
KR19990010688U (ko)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장치
KR100213924B1 (ko) 제상용 히터 파이프
CN116105443A (zh) 一种用于制冷设备的接水盘组件及制冷设备
KR0119060Y1 (ko) 냉동고의 배수장치
KR200194355Y1 (ko) 냉동기용 저온증발기의 물받이판 제상수 체류장치
KR20160114322A (ko) 냉장고
KR940006809Y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