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142B1 -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142B1
KR100352142B1 KR1020000025857A KR20000025857A KR100352142B1 KR 100352142 B1 KR100352142 B1 KR 100352142B1 KR 1020000025857 A KR1020000025857 A KR 1020000025857A KR 20000025857 A KR20000025857 A KR 20000025857A KR 100352142 B1 KR100352142 B1 KR 10035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body portion
moisture
shove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788A (ko
Inventor
김경훈
강효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14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142B1/ko

Links

Landscapes

  • Fertilize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여 식용전분 50∼60%와 복합비료(N:P:K = 21:17:17) 3∼5%에 물 35∼50%과 다양한 색소를 첨가하여 70∼90℃ 사이에서 가열하여 떼꽂이의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일정 모양의 틀에 용해된 적정량의 원재료를 넣고 1차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1차 건조된 제품을 70℃ 이상의 건조실에서 넣고 수분함량이 5∼15%가 되도록 2차 건조시키는 단계로 그 중심선상에는 공기 및 수분이 원할히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및 수분 통과공(2)이 천공된 형태에서 상광하협의 원통형 말뚝 형상을 갖는 몸체부(1)와; 망치등으로 타격하기 쉽도록 상기 몸체부(1)의 상단부에서 원판 형태를 갖고 일체로 돌출 형성된 머리부(3)와; 상기 몸체부(1)의 중간부 외주면상에서 깔데기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땅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는 걸림돌기(4)를 구비하도록 성형시켜 조성된 뗏장의 고정을 위한 물리적인 지지력의 확보와 함께, 산소 및 우수가 지중으로 침투하여 뿌리에 원할하게 산소 및 수분을 공급시킬 수 있고, 또 수분 및 공기의 순환의 도모를 통해 잔디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떼꽂이 속에 포함된 완효성비료의 용출을 통해 식물에 비료분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 {Turf stak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잔디식재공법이나 기존 잔디밭조성지에 적용할 수 있는 떼꽂이를 환경친화적 소재인 전분(생분해성 소재)을 이용하여 제작시켜 조성된 뗏장의 고정을 위한 물리적인 지지력의 확보와 함께, 산소 및 우수가 지중으로 침투하여 뿌리에 원할하게 산소 및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또 잔디밭 조성공사뿐만 아니라 기존에 조성된 잔디밭이 답압 등의 피해로 잔디의 생육이 원할하지 못한 곳에 적용시켜 수분 및 공기의 순환을 도모하는 방식을 통해 잔디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떼꽂이 조성을 위하여 사용된 재질이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햇빛과 물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떼꽂이 속에 포함된 완효성비료가 서서히 용출되어 식물에 비료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종래의 잔디식재공법에서는 뗏장의 고정용으로 나무말뚝이나, 대못 등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떼꽂이는 뗏장을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재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만, 철재의 경우 시간이 경과하여도 그대로 남아있고, 또한 부식이 될 경우 잔디의 생육에 악영향을 주는 위험성이 남아있다.
즉, 기존의 잔디식재공법에 사용되고 있는 떼꽂이는 뗏장의 고정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을 뿐 잔디의 식재 및 우수의 침투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기존의 철재 제품은 무겁고, 비탈면에 적용된 떼꽂이가 시간이 경과되어도 분해되지 않고 비탈면이나 잔디밭에 남아있어서 환경훼손의 우려가 남아있다.
또한, 이들 떼꽂이는 이식한 잔디가 활착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강도를 지니면서 뗏장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잔디가 일단 활착이 되면 그 역할을 다하게 되고, 결국 비탈면이나 잔디식재지에 철제조각 등이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규격화되지 않는 떼꽂이의 사용으로 인하여 시공직후 경관이 불량하고, 철재가 부식된 경우 유지관리시 작업원의 안전에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첫번째 목적은 잔디식재공법이나 기존 잔디밭조성지에 적용할 수 있는 떼꽂이 자체를 환경친화적 소재인 전분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조성된 뗏장의 고정을 위한 물리적인 지지력의 확보와 함께, 산소 및 우수가 지중으로 침투하여 뿌리에 원할하게 산소 및 수분을 공급시킬 수 있는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잔디밭 조성공사 뿐만 아니라 기존에 조성된 잔디밭이 답압 등의 피해로 잔디의 생육이 원할하지 못한 곳에 적용시켜 수분 및 공기의 순환을 도모하는 방식을 통해 잔디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떼꽂이 조성을 위하여 사용된 재질이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햇빛과 물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떼꽂이 속에 포함된 완효성비료가 서서히 용출되어 식물에 비료분을 공급시킬 수 있는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전분과, 복합비료, 물 및 다양한 색소를 적정비율로 섞어 소정 용기내에서 정해진 온도로 가열시켜 용해시킨 후 소정형상을 갖는 형틀내에 충진시켜 일정온도로 가열시키는 방식을 통해 그 중심선상에는 공기 및 수분 통과공이 천공된 형태에서 상광하협의 원통형 말뚝 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망치등으로 타격하기 쉽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원판 형태를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몸체부의 중간부 외주면상에서 깔데기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도록 성형시킨 다음 정해진 수분함량을 유지하도록 건조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된 뗏장의 고정을 위한 물리적인 지지력의 확보와 함께, 산소 및 우수가 지중으로 침투하여 뿌리에 원할하게 산소 및 수분을 공급시킬 수 있고, 또 수분 및 공기의 순환의 도모를 통해 잔디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떼꽂이 속에 포함된 완효성비료의 용출을 통해 식물에 비료분을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떼꽂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떼꽂이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떼꽂이를 이용하여 떼를 고정시킨 상태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부
2 : 공기 및 수분 통과공
3 : 머리부
4 : 걸림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떼꽂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떼꽂이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떼꽂이를 이용하여 떼를 고정시킨 상태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식용전분 50∼60%와 복합비료(N:P:K=21:17:17) 3∼5%에 물35∼50%과 다양한 색소를 첨가한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그 중심선상에는 공기 및 수분이 원할히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및 수분 통과공(2)이 천공된 형태에서 상광하협의 원통형 말뚝 형상을 갖는 몸체부(1)와;
망치등으로 타격하기 쉽도록 상기 몸체부(1)의 상단부에서 원판 형태를 갖고 일체로 돌출 형성된 머리부(3)와;
상기 몸체부(1)의 중간부 외주면상에서 깔데기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땅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는 걸림돌기(4)를 구비하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각각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여 식용전분 50∼60%와 복합비료(N:P:K = 21:17:17) 3∼5%에 물 35∼50%과 다양한 색소를 첨가하여 70∼90℃ 사이에서 가열하여 떼꽂이의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몸체부(1)와 머리부(3) 및 걸림돌기(4)를 구비한 떼꽂이의 형상에 대응되어 요홈이 음각으로 성형된 일정 모양의 틀에 상기에서 용해된 적정량의 원재료를 넣고 1차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1차 건조된 제품을 70℃ 이상의 건조실에서 넣고 수분함량이 5∼15%가 되도록 2차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 떼꽂이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중량비 대비 식용전분 50∼60%와 복합비료(N:P:K = 21:17:17) 3∼5%에 물 35∼50%를 석은 다음 다양한 색소를 첨가하여 가열장치를이용하여 70∼90℃로 가열시켜 떼꽂이의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를 용해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용해된 상태에 있는 원재료를 일정 모양의 틀 즉, 상광하협의 원통형 말뚝 형상을 갖는 몸체부(1)와 원판형 머리부(3) 및 깔데기형 걸림돌기(4)를 구비하도록 음각된 틀 내부에 적정량의 원재료를 충진시켜 1차 건조시키면 원하는 형상의 떼꽂이가 제작된다.
이와같이 형틀내에서 1차 건조된 떼꽂이는 꺼내어 약 70℃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건조실에서 넣고 수분함량이 5∼15%가 되도록 2차 건조시키므로써 현장에서 망치를 이용하여 땅에 박을 수 있을 정도로 고형화된다.
이때, 상기 떼꽂이 몸체부(1)의 중심선상에는 공기 및 수분 통과공(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햇빛이나 공기 및 물 등이 이 통과공(2)을 통해 원할히 유입되어 떼꽂이 자체의 생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원재료에 함유된 비료성분의 용출을 통해 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의 상단부에는 원판형의 머리부(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뗏장 이식후 떼꽂이를 박고자할시 망치 등으로 쉽게 타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떼꽂이의 몸체부(1) 중간부에는 깔데기 형상을 갖는 걸림돌기(4)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떼꽂이를 땅에 박았을시 이 걸림돌기(4)가 떼꽂이가 땅으로 부터 쉽게 뽑혀지지 않토록 하는 고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형태를 갖도록 제작된 떼꽂이를 평떼이식공법에 적용할 경우에는 1개의 뗏장(30㎝ x 30㎝)에 도 3과 같이 약 2개이상 비탈면에 박아 고정하면 되고,답압된 잔디밭의 복원을 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1㎡당 약 5개 정도의 비율로 훼손된 지역에 꽂아주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잔디식재공법이나 기존 잔디밭조성지에 적용할 수 있는 떼꽂이를 환경친화적 소재인 전분을 이용하므로써, 철재 떼꽂이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햇빛이나 물에 의하여 생분해되면서 떼꽂이내에 함유된 비료성분이 용출되어 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떼꽂이 속의 통과공으로 공기가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식물의 근계에 산소를 공급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식용전분 50∼60%와 복합비료(N:P:K=21:17:17) 3∼5%에 물 35∼50%과 다양한 색소를 첨가한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그 중심선상에는 공기 및 수분이 원할히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및 수분 통과공(2)이 천공된 형태에서 상광하협의 원통형 말뚝 형상을 갖는 몸체부(1)와;
    망치등으로 타격하기 쉽도록 상기 몸체부(1)의 상단부에서 원판 형태를 갖고 일체로 돌출 형성된 머리부(3)와;
    상기 몸체부(1)의 중간부 외주면상에서 깔데기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땅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는 걸림돌기(4)를 구비하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떼꽂이.
  2. 각각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여 식용전분 50∼60%와 복합비료(N:P:K = 21:17:17) 3∼5%에 물 35∼50%과 다양한 색소를 첨가하여 70∼90℃ 사이에서 가열하여 떼꽂이의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몸체부(1)와 머리부(3) 및 걸림돌기(4)를 구비한 떼꽂이의 형상에 대응되어 요홈이 음각으로 성형된 일정 모양의 틀에 상기에서 용해된 적정량의 원재료를 넣고 1차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1차 건조된 제품을 70℃ 이상의 건조실에서 넣고 수분함량이 5∼15%가 되도록 2차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떼꽂이의 제조방법.
KR1020000025857A 2000-05-15 2000-05-15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5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857A KR100352142B1 (ko) 2000-05-15 2000-05-15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857A KR100352142B1 (ko) 2000-05-15 2000-05-15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788A KR20010104788A (ko) 2001-11-28
KR100352142B1 true KR100352142B1 (ko) 2002-09-12

Family

ID=4581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857A KR100352142B1 (ko) 2000-05-15 2000-05-15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1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6030A (ja) * 1990-07-06 1992-03-02 Akiyama:Kk
US5211722A (en) * 1989-08-01 1993-05-18 Wagner John W Divot anchoring process
JPH068444U (ja) * 1991-12-02 1994-02-04 株式会社ノースエルビー 目 串
JPH07103218A (ja) * 1993-10-06 1995-04-18 Toshio Sakanaka シート状物の固定具
JPH08228611A (ja) * 1995-02-27 1996-09-10 Sanpori:Kk 無用植物の発生防止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1722A (en) * 1989-08-01 1993-05-18 Wagner John W Divot anchoring process
JPH0466030A (ja) * 1990-07-06 1992-03-02 Akiyama:Kk
JPH068444U (ja) * 1991-12-02 1994-02-04 株式会社ノースエルビー 目 串
JPH07103218A (ja) * 1993-10-06 1995-04-18 Toshio Sakanaka シート状物の固定具
JPH08228611A (ja) * 1995-02-27 1996-09-10 Sanpori:Kk 無用植物の発生防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788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3976B (zh) 一种育苗钵及钵苗一体化育苗栽植方法
CN1020248C (zh) 幼苗的栽植方法
KR200436528Y1 (ko) 수목 보호용 식생매트
JP2017018049A (ja) 無土壌法面の緑化方法
CA2293374A1 (en) Stabilized turf for athletic field
CN105993474A (zh) 一种河西走廊地区提高果树苗木栽植成活率的方法
CN110249756A (zh) 一种团粒混合纤维喷播方法
KR100352142B1 (ko) 떼꽂이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561389A (zh) 小叶榆树新桩晾根高成活率栽培方法
JP2000327472A (ja) 徐効性肥料
KR101747933B1 (ko) 이식용 수목의 잔뿌리촉진매트 및 이를 이용한 수목 이식 방법
CN209384251U (zh) 一种双网免养护生态护坡结构
US3900963A (en) Method and means of pregerminating grass seeds
JPH10150862A (ja) 植生保護筒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9729932A (zh) 高海拔地区草山草坡小面积石漠化秃斑修复工艺
EP3338536A1 (en) Plan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planting a plant
KR101299486B1 (ko) 친환경 이끼 녹화 방법
CN100441087C (zh) 一种根包石树桩及其培育方法
Koller Transplanting stress-a view from the plant's perspective
US10472295B2 (en) Composite material for enriching natural sports playing fields
JPH0834691A (ja) 肥料供給筒
JPH11181776A (ja) 緑化工法及び緑化用植栽ポット
CN104969824A (zh) 一种使葡萄提前上市的种植方法
JPH0543807U (ja) 植生袋
EP4346376A1 (de) Verfahren zum Vorkultivieren und Pflanzen von Forstgehölz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