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736B1 -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736B1
KR100351736B1 KR1020000018548A KR20000018548A KR100351736B1 KR 100351736 B1 KR100351736 B1 KR 100351736B1 KR 1020000018548 A KR1020000018548 A KR 1020000018548A KR 20000018548 A KR20000018548 A KR 20000018548A KR 100351736 B1 KR100351736 B1 KR 10035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line
signal
matching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778A (ko
Inventor
전인철
조용국
이종연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씨에스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씨에스 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씨에스 텔레콤
Priority to KR102000001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7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04M3/007Access interface unit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e.g. digital subscriber line [DSL] access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2PB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에게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설 교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설 교환 장치는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사용하는 디지털 전화기와, 상기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구비한 사설 교환기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와 기설정된 구조를 가진 프레임화된 데이터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1 정합 수단과, 상기 디지털 전화기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2 정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상기 사설 교환기와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간의 거리 및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간에 접속되어 있는 기설정된 경로 수단에 따라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의 구조 및 송수신 방식을 선택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PRIVATE BRANCH EXCHANGE APPARATUS CAPABLE OF EXTENDING A DIGITAL SUBSCRIBER LIN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사설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설 교환기와 디지털 전화 가입자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키기 위한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 장치는 회사, 학교와 같은 일정한 구역 내의 전화 가입자간에 전화국을 통하지 않고 사설 교환기만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다양한 사설 교환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사설 교환 장치는 원래의 전화번호보다 짧은 내선번호만을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한편, 아날로그 전화에 비해 양호한 품질의 통화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화는 점점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 디지털 전화기 사이는, 예를 들면, TCM(Time Compression Multiplexing) 방식 등을 사용하여 고속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TCM 방식 등은 사설 교환기와 디지털 전화기간에 사용이 가능한 실선 접속 거리가 대략 1km 이내로 제한될 뿐만 아니라, 사설 교환기와 디지털 전화기간의 접속 프로토콜도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했었다.
이를 위해, 동일 출원인에 의해 2000년 3월 17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0-13509호에는 공중망의 데이터 회선을 사용하여 원격에 위치한 디지털 전화기를 사설 교환기에 접속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정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설 교환 장치가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전송망의 전용 회선이 원격 가입자에 의해 점유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일 출원인에 의해 2000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0-0018405호에는 2 와이어 실선을 사용하여 원격에 위치한 디지털 전화기를 사설 교환기에 접속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정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설 교환 장치는 2 와이어 실선이 가설되어 있는 환경에서만 원격 가입자에게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한된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에게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와 사설 교환기간의 거리 및 이용 가능 선로 환경에 따라 정합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사설 교환 장치용 정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에게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설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사용하는 디지털 전화기와,
상기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구비한 사설 교환기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와 기설정된 구조를 가진 프레임화된 데이터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1 정합 수단과,
상기 디지털 전화기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2 정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상기 사설 교환기와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간의 거리 및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간에 접속되어 있는 기설정된 경로 수단에 따라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의 구조 및 송수신 방식을 선택하는 사설 교환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합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격 디지털 전화기
2: 사설 교환기
3, 4: 원격 가입자 및 교환기측 정합 장치
5: 교환기측 디지털 전화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디지털 전화기(1), 사설 교환기(2), 교환기측 정합 장치(3), 원격 가입자측 정합 장치(4), 원격 디지털 전화기(5)를 포함한다.
디지털 전화기(1) 및 원격 디지털 전화기(5)는 액정 화면과 숫자 및 기능 버튼을 구비한 키폰(key-phone)과 같은 전화기로서, 가입자(도시되지 않음)가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하는 전화기이다.
사설 교환기(2)는 전용 프로토콜 및 신호 규격을 사용하는 접속 방식으로 디지털 전화기(1)가 접속될 수 있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구비한 사설 교환기로서, 내선 교환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전화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설 교환기(2)는 노텔 네트웍스(Nortel Netwroks)사의 메리디안 1(Meridian 1) 기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와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는 BPRZ-AMI(Bipolar Return-to-Zero-Alternate Mark Inversion) 방식으로 코딩되고 전송 속도는 512 Kbps이다.
교환기측 정합 장치(3)는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하여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 가입자측 정합 장치(4)는 원격 디지털 전화기(5)와 접속하여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교환기측 정합 장치(3)와 데이터 전용 회선, 2 와이어(wire) 실선 또는 4 와이어 실선 등으로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구조를 가진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 전용 회선을 사용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하는 경우, 정합 장치(3, 4)는 각각에 대응되는 디지털 서비스 유닛(DSU: Digital Service Unit)(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데이터 전용 회선에 접속된다. 즉, 정합 장치(3, 4)는 각각의 대응되는 DSU에 기설정 방식으로 접속되어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DSU는 64 Kbps급 데이터 전용 회선에 접속되고, 정합 장치(3, 4)와 대응 DSU는 64 K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RS-232C 방식으로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2 와이어 실선을 사용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하는 경우, 정합 장치(3, 4)는 8 Kbps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 24 Kbps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 및 8 Kbps 프레임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40 Kbps 전송 속도를 갖는 RS-485 방식으로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4 와이어를 사용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하는 경우, 정합 장치(3, 4)는 8 Kbps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 24 Kbps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 8 Kbps 프레임 신호 및 40 Kbps 블랭크(blank)를 포함하는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BPRZ-AMI 방식으로 코딩한 후 80 Kbps 전송 속도로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디지털 전화기(1)와 원격 디지털 전화기(5)는 예시적으로 각각 하나씩만 도시되었지만, 사설 교환기(2)는 다수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구비하여 다수의 디지털 전화기가 접속될 수 있고, 다수의 정합 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원격 디지털 전화기가 접속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환기측 및 원격 가입자측 정합 장치(3, 4)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사설 교환기(2)가 메리디안 1 기종인 경우, 사설 교환기(2)와 교환기측 정합 장치(3) 사이와 원격 가입자측 정합 장치(4)와 원격 디지털 전화기(5) 사이에서는 BPRZ-AMI 방식으로 디지털 라인 신호를 코딩하여 512 Kbps 전송 속도로 송수신한다. 또한, 교환기측 정합 장치(3)와 원격 가입자측 정합 장치(4)는 데이터 전용 회선, 2 와이어 실선 또는 4 와이어 실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장치(3, 4)는 상대 정합 장치 접속 단자(11), 선로 연장 구동부(12), 프레임 형성 및 라인 신호 재생부(13),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14),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5), 음성 신호 압축/역압축부(16), 중앙 처리부(17), 디스플레이부(18), 클록 발생부(19), 직류 전원 공급부(20), 전원 변환부(21)를 포함하는 동일한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대 정합 장치 접속 단자(11)에는 데이터 전용 회선에 연결된 DSU가 RS-232C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상대 정합 장치(3, 4)가 2 와이어 실선을 사용하여 RS-485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4 와이어 실선을 사용하여 BPRZ-AMI 코딩 방식으로 연결되어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선로 연장 구동부(12)는 상대 정합 장치 접속 단자(11)에 DSU가 연결된 경우RS-232C 정합을 수행하거나, 2 와이어 실선으로 상대 정합 장치(3, 4)가 연결된 경우 RS-485 정합을 하거나, 4 와이어 실선으로 상대 정합 장치(3, 4)가 연결된 경우 BPRZ-AMI 방식 코딩을 수행한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5)에는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원격 디지털 전화기(5)가 접속된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14)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5)에 접속된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의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프레임 형성 및 라인 신호 재생부(13)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14)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라인 신호에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압축/역압축부(16)로 전송하여 음성 신호 압축/역압축부(16)로부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형성하여 상대 정합 장치(3, 4)로 송신하기 위해 선로 연장 구동부(12)로 전송한다.
또한, 프레임 형성 및 라인 신호 재생부(13)는 선로 연장 구동부(12)로부터 수신된 프레임화된 데이터에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압축/역압축부(16)로 전송하고 음성 신호 압축/역압축부(16)로부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털 전화 통화 제어 신호와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를 형성하고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원격 디지털 전화기(5)로 송신하기 위해 512 Kbps 전송 속도를 재생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20)로 전송한다.
중앙 처리부(17)는 프레임 형성 및 라인 신호 재생부(13), 음성 신호 압축/역압축부(60), 디스플레이부(18)와 연결되어 있다. 중앙 처리부(17)는 사설 교환기(2)에 송신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의 비동기 전송 속도를 제어하며, 전원 인가 상태, 단자 접속 상태 및 송수신 상태 등을 감시하고 디스플레이부(18)의 표시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8)는 전원 입력 상태, 단자 접속 상태, 송수신 상태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8)는 전원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PWR 램프, 중앙 처리부(17)의 정상 작동을 표시하는 SYS 램프를 구비하고,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원격 디지털 전화기(5)의 접속을 표시하는 TEL 램프, 프레임화된 데이터 송신 상태를 표시하는 TxD 램프, 데이터 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Rx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전원 공급부(20)는 상용 전원에 연결되어, 예를 들면, 24 V의 직류 전원을 생성하여 전원 변환부(21)에 인가한다.
전원 변환부(21)는 직류 전원 공급부(20)로부터 인가된 직류 전원을 정합 장치(3, 4)에 포함된 다른 모든 각 블록에 DC +5V, -5V, -12V 등의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해당 블록에 공급한다.
클록 발생부(19)는 클록 신호를 발생시켜 프레임 형성 및 라인 신호 재생부(13), 음성 신호 압축/역압축부(16), 중앙 처리부(17), 디스플레이부(18)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정합 장치(3, 4)를 사설 교환기(2)와 원격 디지털 전화기(5) 사이에 사용하면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위치 및 정합 장치간의 사용 가능한 선로 환경에 따라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데이터 전용 회선, 2 와이어 실선 또는 4 와이어 실선을 이용하여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설 교환 장치는 전용 프로토콜 및 신호 규격을 사용하여 디지털 전화기와 접속되는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데이터 전용 회선, 2 와이어 실선 또는 4 와이어 실선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연장함으로써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에게도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발명의 본질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1)

  1.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에게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설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사용하는 디지털 전화기와,
    상기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구비한 사설 교환기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와 기설정된 구조를 가진 프레임화된 데이터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1 정합 수단과,
    상기 디지털 전화기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2 정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상기 사설 교환기와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간의 거리 및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간에 접속되어 있는 기설정된 경로 수단에 따라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의 구조 및 송수신 방식을 선택하는 사설 교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경로 수단은 데이터 전용 회선과 2 와이어 실선과 4 와이어 실선 중의 하나인 사설 교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합 수단은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접속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용 회선에 접속된 제1 디지털 서비스 유닛과 제2 정합 수단 중의 하나에 접속되어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접속 수단과,
    상기 제1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제1 프레임 형성 수단과,
    상기 제2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제1 라인 신호 재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합 수단은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기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3 접속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용 회선에 접속된 제2 디지털 서비스 유닛과 제1 정합 수단 중의 하나에 접속되어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4 접속 수단과,
    상기 제3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4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제2 프레임 형성 수단과,
    상기 제4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형성하여 상기 제3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제2 라인 신호 재생 수단
    을 포함하는 사설 교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는 BPRZ-AMI(Bipolar Return-To-Zero-Alternate Mark Inversion) 방식으로 코딩되고, 상기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 상기 제1 접속 수단간 및 상기 디지털 전화기와 상기 제3 접속 수단간에 512 Kbps 전송 속도로 송수신되는 사설 교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서비스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4 접속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서비스 유닛과 64 Kbps 전송 속도를 가진 RS-232C 방식으로 접속하여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이 상기 2 와이어 실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의 상기 제2 및 제4 접속 수단은 40 Kbps 전송 속도를 가진 RS-485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이 상기 4 와이어 실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의 상기 제2 및 제4 접속 수단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BPRZ-AMI 방식으로 코딩하여 80 Kbps 전송 속도로 서로 송수신하는 사설 교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정합 수단 각각은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고, 전원 인가 상태,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원격 디지털 전화기의 접속 상태,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감시하는 중앙 처리 수단과,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감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설 교환 장치.
  7.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에게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원격 디지털 전화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기 중의 하나에 접속되어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접속 수단과,
    기설정된 경로 수단에 연결되어 다른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기 제2 접속 수단과,
    상기 제1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털 음성 신호와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프레임 형성 수단과,
    상기 제2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라인 신호 재생 수단
    을 포함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는 BPRZ-AMI 방식으로 코딩되고, 상기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 상기 원격 디지털 전화기 중의 선택된 하나와 상기 제1 접속 수단 간에 512 Kbps 전송 속도로 송수신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경로 수단은 데이터 전용 회선과 2 와이어 실선과 4 와이어 실선 중의 하나인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데이터 전용 회선에 접속된 디지털 서비스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접속 수단과 상기 디지털 서비스 유닛은 64 Kbps 전송 속도를 가진 RS-232C 방식으로 접속하여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다른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에 상기 2 와이어 실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접속 수단은 40 Kbps 전송 속도를 가진 RS-485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다른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에 상기 4 와이어 실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접속 수단은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BPRZ-AMI 방식으로 코딩하여 80 Kbps 전송 속도로 송수신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고, 전원 인가 상태,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원격 디지털 전화기의 접속 상태, 상기 프레임화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감시하는 중앙 처리 수단과,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감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용 정합 장치.
KR1020000018548A 2000-04-10 2000-04-10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KR10035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548A KR100351736B1 (ko) 2000-04-10 2000-04-10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548A KR100351736B1 (ko) 2000-04-10 2000-04-10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778A KR20000053778A (ko) 2000-09-05
KR100351736B1 true KR100351736B1 (ko) 2002-09-11

Family

ID=1966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548A KR100351736B1 (ko) 2000-04-10 2000-04-10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112B1 (ko) * 2001-12-28 200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사설교환기의 blf 정보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778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0402B2 (en) Digital added main line system
JP2635190B2 (ja) 電話回線網に対する個人用コンピュータの接続装置
GB1603898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51736B1 (ko)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KR100351737B1 (ko) 2 와이어 실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키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KR20010074674A (ko) 소스 적응성 디지털 가입자 라인 및 방법
KR100351735B1 (ko) 공중망의 데이터 회선을 이용한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JPH0870335A (ja) データ通信制御装置
KR20000055949A (ko) 개인용 컴퓨터 카드형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가입자 정합장치
KR910005331B1 (ko) 음성 및 비음성정보를 써비스하는 디지탈 텔리폰
KR100327158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에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를접속시키기 위한 정합 장치
AU4005099A (en) Communications web for pstn subscribers
KR100215725B1 (ko) 무선 키폰시스템
KR1002670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KR100353965B1 (ko) 전송장비의 가입자 선로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950022664A (ko) Isdn망에 접속 가능한 디지탈 키폰시스템
KR100303301B1 (ko)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KR920002211B1 (ko) Isdn 전화기
KR950005977B1 (ko) 복수연결 가능한 디지탈 키폰 전화기
JP2684125B2 (ja) 音声処理装置
KR0179205B1 (ko) 위성통신 시스템용 아날로그 가입자회로
KR0185645B1 (ko) 영상전화기의 화면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0032552A (ja) 有線通信端末を用いた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0927849A (ja) 通信端末装置
KR19990048561A (ko) 종합 정보 통신시스템의 음성신호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