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681B1 - 자동 진공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진공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681B1
KR100351681B1 KR1020000001685A KR20000001685A KR100351681B1 KR 100351681 B1 KR100351681 B1 KR 100351681B1 KR 1020000001685 A KR1020000001685 A KR 1020000001685A KR 20000001685 A KR20000001685 A KR 20000001685A KR 100351681 B1 KR100351681 B1 KR 10035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 matter
conveyor belt
dried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145A (ko
Inventor
정모
Original Assignee
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모 filed Critical 정모
Priority to KR102000000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68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4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for drying materials in a batch operation in an enclosure having a plurality of shelves which may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진공건조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잘 밀폐되고, 건조장치 유닛(5)이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1); 수분을 함유하는 피건조물을 저장하고, 진공차폐장치(10)의 개폐작용에 건조장치의 내부로 상기 피건조물을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피건조물 호퍼(2); 상기 호퍼(2)로부터 유입된 피건조물을 적재하고, 주입구(15)를 통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콘베이어 벨트(8) 상에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적재하는 피건조물 공급수단(22); 상기 주입구(15)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피건조물(11)을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기 위한 콘베이어 벨트(8) 및 히터가 부착된 방열판(7)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유닛(5); 상기 건조장치 유닛(5)에 의하여 건조된 피건조물(12)을 수집하고, 수집된 피건조물을 진공차폐장치(10')를 통하여 다음 처리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수거장치(4); 및 건조실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수증기 배출장치(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장치 유닛은 복수개의 다단식으로 구성되어 작은 공간 내에서 다량의 내용물을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건조장치 유닛은 히터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방열판(7)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콘베이어 벨트(8)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 진공건조장치{Automatic Vacuum Dryer}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진공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수분을 다량 함유한 피건조물을 강한 열유속을 손실없이 집중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함으로써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좁은 공간에서 자동으로 고체 또는 분말 상태로 건조할 수 있는 진공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이 포함된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용화할 수 있는 방법이이제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수분이 많이 포함된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은 원심분리 방법에 의하여도 제거할 수 없고 많은 양의 열량을 공급하여 수분을 증발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방법은 다량의 공기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부피가 크고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되어 경제성이 없어서 거의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내용물들을 고체나 분말 상태로 건조시키는 방법은 이제까지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분리수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파쇄기에서 파쇄한 후 죽 상태로 가공된다. 죽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그 상태로 돼지 사료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를 고체 또는 분말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다면 펠릿화된 건식사료의 제조가 가능하다. 파쇄기에서 파쇄된 죽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겨와 같은 사료 성분을 혼합하여 수분이 약 45 % 정도 함유된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제조한다. 이 피건조물에 사료에 필요한 첨가물을 첨가한 후 수분이 약 15 % 정도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펠렛공정을 통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면 건식사료가 제조되는 것이다. 습식사료는 부패할 가능성이 높고 그 보관이나 운반 등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건식사료로 제조될 수 있다면 많은 이점이 수반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피건조물을 수작업으로 충진하고, 건조 완료된 건조물을 수작업으로 수거하는 진공건조장치를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1668호: 2000. 1. 14 출원).
상기의 특허출원 발명은 피건조물의 충진작업과 건조물의 수거작업을 모두수작업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나아가 건조비용이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처리량에도 또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적은 에너지를 집중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수분이 많이 포함된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자동으로 건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진공건조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를 건조에만 집중시켜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진공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건조물 건조 시에 발생하는 수증기와 건조실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실 내부를 0.5 기압 정도의 저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의 표면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열전달량을 극대화하여 높은 열유속을 활용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고속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진공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실의 내부를 저압으로 유지하여 방사열이 공기 등 작동 유체에 실려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봉쇄하여 건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진공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건조물의 충진과 건조물의 수거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진공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자동 진공건조장치를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진공건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진공건조장치의 주입구와 콘베이어 벨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브러시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진공건조장치에 사용되는 진공차폐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하우징 2: 피건조물 호퍼
3: 수중기 배출장치 4: 수거장치
5: 건조장치 유닛(unit) 6: 건조실
7: 방열판 8: 콘베이어 벨트
9: 주입 콘베이어 10, 10': 진공차폐장치
11: 피건조물 12: 건조물
13: 가이드 14: 요철
15: 주입구 20: 주입장치
21: 브러시 22: 피건조물 공급수단
101: 상부차단부재 102: 진공차단부재
103: 하부차단부재 104: 전자석
105: O-링
도1은 본 발명의 자동 진공건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 진공건조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잘 밀폐되고, 건조장치 유닛(5)이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1); 수분을 함유하는 피건조물을 저장하고, 진공차폐장치(10)의 개폐작용에 건조장치의 내부로 상기 피건조물을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피건조물 호퍼(2); 상기 호퍼(2)로부터 유입된 피건조물을 적재하고, 주입구(15)를 통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콘베이어 벨트(8) 상에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적재하는 피건조물 공급수단(22); 상기 주입구(15)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피건조물(11)을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기 위한 콘베이어 벨트(8) 및 히터가 부착된 방열판(7)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유닛(unit)(5); 상기 건조장치 유닛(5)에 의하여 건조된 건조물(12)을 수집하고, 수집된 건조물을 진공차폐장치(10')를 통하여 다음 처리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거장치(4); 및건조실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수증기 배출장치(3)로 구성된다.
건조장치 유닛(5)은 복수개의 다단식으로 구성되어 작은 공간 내에서 다량의 내용물을 처리할 수 있다. 건조장치 유닛(5)은 히터(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방열판(7)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피건조물(11)을 건조시키는 콘베이어 벨트(8)로 이루어진다. 방열판(7)의 하부쪽에 히터가 설치되는데, 방열판(7)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열을 복사하게 된다. 방열판(7)의 열을 하부쪽으로 복사하여 하부쪽에서 콘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이때 열의 상부 방향으로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열판 상부에 단열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히터(도시되지 않음)는 전기 또는 가스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으며, 히터 및 방열판은 건조기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히터의 온도도 외부 콘트롤 박스(도시되지 않음)에서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콘베이어 벨트(8) 위에는 일정한 양의 피건조물(11)이 피건조물 공급수단(22)의 주입구(15)를 통하여 위치하여 콘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된다. 콘베이어 벨트위에서 펼쳐지는 피건조물의 두께는 콘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주입구에서의 주입장치(20)의 작동을 통하여 조절된다. 또한 건조속도를 감안하여 콘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외부 콘트롤 박스에서 제어한다.
콘베이어 벨트위에 피건조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은 피건조물 호퍼(2), 진공차폐장치(10), 피건조물 공급수단(22), 및 주입구(15)로 이루어진다. 피건조물(11)을 피건조물 호퍼(2)에 충진시키고 진공속도를 고려하여 진공차폐장치(10)로써 충진량을 조절한다. 호퍼(2)에 충진된 피건조물(11)은 피건조물 적재함(22) 내에 적재되고 주입구(15)를 통하여 하중에 의하여 콘베이어 벨트(8)위에 공급된다. 피건조물 공급수단(22)은 주입 콘베이어(9)와 주입장치(20)를 포함한다.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주입 콘베이어(9)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고 균일한 양으로 피건조물(11)을 공급하기 위하여 주입장치(20)가 부착될 수 있다. 진공차폐장치(10)의 주기적 개폐작용에 의하여 유입되는 피건조물은 피건조물 호퍼 내로 유입되어 피건조물 공급수단을 통하여 콘베이어 벨트로 공급되는데,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피건조물 호퍼내에 별도의 여유공간을 두고, 여유공간의 크기에 따라 진공차폐장치(10)의 개폐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피건조물 호퍼에 여유공간을 충분히 둠으로써 공정을 무리없이 연속적인 작동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건조장치 유닛(5)은 다단식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반드시 다단식일 필요는 없고 1단으로 이루어진 건조장치 유닛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단식으로 운용되는 경우에는 그 수에 맞는 숫자의 피건조물 공급수단(22)가 설치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피건조물 공급수단에 주입장치(20)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콘베이어 벨트로 공급된 피건조물은 함유한 수분의 양이 많은 경우 주입 콘베이어만으로는 콘베이어 벨트 상에 정확하고 균일한 양으로 이송되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는 건조장치 유닛(5) 내에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정도가 콘베이어 벨트(8) 상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되는데, 예를 들어 피건조물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피건조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없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사상의 돌출부를 갖는 주입장치(20)를 주입구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데, 주입 콘베이어(9)에 의하여 건조장치 유닛(5)으로 공급되는 피건조물이 콘베이어 벨트에 도달하기에 앞서 주입장치(20)에 의하여 콘베이어 벨트 상에 균일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다. 주입구는 피건조물의 상태에 따라 주입구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건조장치 유닛(5) 내의 콘베이어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요철(14)이 형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14)은 주입구로부터 공급되는 피건조물을 콘베이어 벨트 위에 보다 균일하게 펼쳐지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4는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브러시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콘베이어 벨트가 이송하면서 그 표면에서 건조된 건조물(12)은 콘베이어 벨트의 단부에서 하중에 의하여 자유 낙하하여 수거장치(4)로 수립된다. 이때 콘베이어 벨트의 단부에 가이드(13)를 설치하고, 콘베이어 벨트(8) 단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브러시(21)를 설치하여 건조물을 쓸어냄으로써 수거를 원활히 할 수 있다.
건조장치 유닛(5)을 거쳐 건조된 건조물(12)은 수거장치(4)로 수집되어 적재된다. 상기 수거장치에도 별도의 여유공간을 두고, 여유공간의 크기에 따라 진공차폐장치(10')의 개폐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여유공간을 충분히 둠으로써 공정을 무리 없이 연속적인 작동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수거장치(4)에 쌓여진 건조물은 진공차폐장치(10')에 의하여 펠렛화를 위한 다음 처리공정으로 이송된다.
건조장치 유닛은 두 개 이상의 다단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 3 내지 5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장치 유닛의 숫자에 따라 각각의 피건조물 공급수단(22)이 설치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진공건조장치에 사용되는 진공차폐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의 진공차폐장치는 피건조물 호퍼와 건조물 수거장치를 차폐하기 위한 수단의 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유사한 기타 방식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진공차폐장치(10, 10')는 피건조물 또는 건조물을 지지하고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차단부재(101), 건조실의 내부를 저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진공차단부재(102), 및 주로 단순한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차단부재(10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차단부재, 진공차단부재, 및 하부차단부재는 외부 콘트롤 박스의 제어 하에 수평 왕복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진공차폐장치(10, 10')가 개폐된다.
상기 상부차단부재(101)는 호퍼(2)와 직접 연결되므로 호퍼 내부의 피건조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특히, 진공차단부재(102)는 건조기 내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양 단부에 한 쌍의 전자석(104)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의 외측에 밀폐 상태를 더욱 보장하는 한 쌍의 O-링(105)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차단부재(10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판이 각각 왕복운동하면서 호퍼(2) 내의 피건조물을 건조기 내로 유입시키고, 피건조물의 비산을 차단시킨다.
본 발명의 건조기 내부는 처음에는 공기로 충진되어 있지만, 건조장치유닛(5) 내에 설치된 히터 및 방열판(7)이 피건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피건조물(11)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혼재한다. 건조장치 유닛(5)에 의한 피건조물(4)의 건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부, 즉 건조실 내부의 공기와 수증기를 외부로 수증기 배출장치(3)에 의하여 배출시킨다. 수증기 배출장치(3)는 통상의 진공펌프, 팬(fan), 또는 블로아(blow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용량은 수증기 배출 용량, 즉 건조실의 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수증기 배출장치(3)에 의하여 건조실 내부를 0.3∼0.7 기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0.3 기압 이하나 0.7 기압 이상에서도 가능하지만, 0.3 기압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펌프의 용량이 더 커져야 하고, 0.7 기압 이상에서는 펌프의 용량은 작아지지만 건조면의 증발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방사열의 양호한 복사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건조 공정에서 수증기만 방출시키는 또 다른 이점은 음식 쓰레기에 포함된 액취 성분이나 가연 성분을 단순히 수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공해 처리에 매우 유리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실 내부를 0.3∼0.7 기압의 저압으로 유지하여 방사열의 복사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로 인하여 에너지를 손실없이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건조실 내부를 저압으로 유지하여 건조물의 표면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 고온에 의한 건조물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사료 제작 시 영양소 파괴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죽과 같은 상태로 파쇄된 음식물에 사료를 혼합하여만들어진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음식물의 경우 45 % 정도의 수분 함량을 15 % 정도까지 건조시킬 수 있으며, 수거장치에 의하여 수거된 건조물은 펠렛공정을 거쳐서 펠렛 형상의 건식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는 물론, 점착성이 없는 입자나 분말 상태의 물질이 수분을 다량 함유하여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때 매우 효율적으로 이들을 건조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자동진공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의 충진과 건조물의 수거가 자동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건조장치에 비하여 노동력 및 기타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를 건조에만 집중시켜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피건조물 건조시에 발생하는 수증기와 건조실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실 내부를 0.5 기압 정도의 저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의 표면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고온 피해를 줄이면서 열전달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젖은 톱밥과 같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잘 밀폐되고, 건조장치 유닛(5)이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1);
    수분을 함유하는 피건조물을 저장하고, 진공차폐장치(10)의 개폐작용에 건조장치의 내부로 상기 피건조물을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피건조물 호퍼(2);
    상기 호퍼(2)로부터 유입된 피건조물을 적재하고, 주입구(15)를 통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콘베이어 벨트(8) 상에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적재하는 피건조물 공급수단(22);
    상기 주입구(15)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피건조물(11)을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기 위한 콘베이어 벨트(8) 및 히터가 부착된 방열판(7)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유닛(5);
    상기 건조장치 유닛(5)에 의하여 건조된 건조물(12)을 수집하고, 수집된 건조물을 진공차폐장치(10')를 통하여 다음 처리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수거장치(4); 및
    상기 건조 과정중에 건조실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수증기 배출장치(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진공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 유닛(5)이 다단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진공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장치(3)에 의하여 건조실 내부를 0.3∼0.7 기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진공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 공급수단(22)은 피건조물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8)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구(15) 하부 면에 주입 콘베이어(9)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진공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 공급수단(22)은 상기 콘베이어 벨트(8) 상에 상기 피건조물의 두께를 조절하고, 피건조물을 정확하고 균일한 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장치(20)가 주입구(15) 내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진공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건조된 상기 건조물을 수거장치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콘베이어 벨트(8)의 단부 하부쪽에 가이드(1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진공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건조된 상기 건조물의 수거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콘베이어 벨트(8)의 하부에 부착되는 건조물을 쓸어내기 위한 브러시(21)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진공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차폐장치(10, 10')의 개폐 작동, 히터의 온도, 및 콘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제어하는 외부 콘트롤 박스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진공건조장치.
  9.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을 진공차폐장치의 주기적인 개폐 동작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로 이송시키고;
    하우징 내부로 이송된 상기 피건조물을 피건조물 공급수단에 의하여 콘베이어 벨트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건조물을 콘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동안 히터를 작동시켜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열판을 가열시키고 상기 방열판에 의하여 방사되는 복사열로 하부쪽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고;
    수증기 배출장치를 가동시켜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단계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면서 건조실 내부의 압력을 0.3∼0.7 기압이 되도록 유지하고; 그리고
    건조된 건조물을 수거장치로 수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작은 공간 내에서 다량의 피건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 단계가 다단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 공급수단(22)은 피건조물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8)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구(15) 하부 면에 주입 콘베이어(9)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 공급수단(22)은 상기 콘베이어 벨트(8) 상에 상기 피건조물의 두께를 조절하고, 피건조물을 정확하고 균일한 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장치(20)가 주입구(15) 내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건조물의 수집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단부 하부에 가이드 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건조물의 수집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부착되는 건조물을 쓸어내기 위한 브러시 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000001685A 2000-01-14 2000-01-14 자동 진공건조장치 KR100351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685A KR100351681B1 (ko) 2000-01-14 2000-01-14 자동 진공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685A KR100351681B1 (ko) 2000-01-14 2000-01-14 자동 진공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45A KR20000018145A (ko) 2000-04-06
KR100351681B1 true KR100351681B1 (ko) 2002-09-11

Family

ID=1963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685A KR100351681B1 (ko) 2000-01-14 2000-01-14 자동 진공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6870A (zh) * 2015-06-26 2015-10-14 天津莱沃真空干燥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料斗式微波真空复合除湿干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404A (ja) * 1992-03-11 1993-10-05 Okawara Mfg Co Ltd 真空乾燥装置における供給ノズルの付着防止構造
JPH06185857A (ja) * 1992-12-14 1994-07-08 Ogihara:Kk 真空蒸発回収方法及び装置
KR19990018346U (ko) * 1997-11-04 1999-06-05 김현숙 세탁물 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404A (ja) * 1992-03-11 1993-10-05 Okawara Mfg Co Ltd 真空乾燥装置における供給ノズルの付着防止構造
JPH06185857A (ja) * 1992-12-14 1994-07-08 Ogihara:Kk 真空蒸発回収方法及び装置
KR19990018346U (ko) * 1997-11-04 1999-06-05 김현숙 세탁물 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6870A (zh) * 2015-06-26 2015-10-14 天津莱沃真空干燥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料斗式微波真空复合除湿干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45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133B1 (ko) 분립체 재료의 공급 시스템
CA1332080C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ing uniform, pelletizable sludge product
CA235212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wood particles
RU23318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ей продукции перегретым паром
US20060123657A1 (en) Drying device for powder material
CN112534199A (zh) 用于湿基质的干燥设备及湿基质的相关干燥方法
US20160102909A1 (en) A method of evaporating liquid and drying static bed of particles within a container and recovering water condensate
KR20020033805A (ko) 페이스트형 물질을 건조시키는 방법
US5245762A (en) Sludge dr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68931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0351681B1 (ko) 자동 진공건조장치
EP1533279A1 (en) Device for processing biomass and method applied thereby
JP2000005799A (ja) 汚泥乾燥処理装置
US7261208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drying sludge
WO2009081373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products of variable particle size, chips and granules
US20010047594A1 (en) Vibrating vacuum dryer and the related drying method
US4745691A (en) Means and methods for drying sludge
US36232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damp pulverant materials by adsorption
KR20200012232A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2284184B1 (ko) 디스크 건조기의 건조제품 함수율 선택 배출 시스템
KR101546382B1 (ko) 에너지 절약을 위한 미분 중간 배출형 그래뉼 건조장치
KR101549488B1 (ko) 인라인형 숯 건조장치
JP2001062830A (ja) 粉粒体の乾燥装置
JPH08243598A (ja) 回転型乾燥装置
KR200197065Y1 (ko) 폐기식품 숯 제조 장치용 재료 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