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062B1 - 오·폐수 처리용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용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51062B1 KR100351062B1 KR1020010020410A KR20010020410A KR100351062B1 KR 100351062 B1 KR100351062 B1 KR 100351062B1 KR 1020010020410 A KR1020010020410 A KR 1020010020410A KR 20010020410 A KR20010020410 A KR 20010020410A KR 100351062 B1 KR100351062 B1 KR 1003510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organisms
- cylinder
- contact
- waste water
- fluidized b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용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촉에 의한 미생물의 탈락을 방지케 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넓게하여 미생물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므로서 원하는 수질기준치내로 처리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관통공(12)이 뚫린 통체(14)내에 수장실(16)을 구성하고, 상기 수장실(16)에 활성탄충진제(28)와 폴리우레탄충진제(32)를 충진하고, 통체(14)외면에는 섬유사직포(30)를 씌워 구성하되, 통체 (14)외면에는 다수의 지지간(22)(28)과 지지테(26)936)가 돌출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시설에 장치된 폭기조내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유동상 미생물접촉재에 관한 것으러서, 특히 폭기실내에 폭기시발생하는 오·폐수의 흐름에 따라 원활한 움직임으로 접촉재의 부상이나 누적에 의한 폐쇄현상이 없도록할 뿐 아니라, 오폐수와의 접촉시간을 길게함과 동시에 면적을 크게 하고, 또한 부착된 미생물의 탈리를 최대한 억제케하여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오폐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처리장치는 여러구성으로 장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폭기조를 다단계로 구성하고, 상기 폭기조내에 미생물 접촉재를 투입하여 미생물이 접촉 번식케하고, 상기 미생물이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 등을 처리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폭기조내에 미생물이 접촉번식하는 미생물 접촉재를 투입하여 사용할 경우, 오폐수의 흐름에 의해 미생물 접촉재가 누적되어 페쇄현상이 발생하게 될뿐 아니라 접촉재끼리 충돌하여 접촉재에 부착된 미생물이 탈리하게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적정 처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설치가동중인 생물학적 오폐수처리방법을 장기 폭기식과 같은 재래식 활성슬럿지방법과 고정상 또는 유동상 접촉재를 이용한 접촉산화식 처리방법이 있으나 이들은 오페수의 유입농도 및 유입수량 등의 충격부하에 의하여 폭기조내의 미생물수 감소 및 미생물 탈리 등이 쉽게 일어나 적정 처리가 어렵게 된다.
특히 오수, 분뇨 및 축산 폐수의 처리에 관한 법률개정으로 오폐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이 시설규모에 따라 80∼40ppm으로 차등 적용받는 것이 2002년 1월 1일부터는 모든 시설에 대하여 20ppm으로 강화된 방류수 수질기준을 준수하도록 되어 있어 기존설치된 활성슬럿지 처리방법으로서는 법적 방류수 수질기준내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또한 처리시설을 완전 개.보수하는 것도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종래 사용하고 있는 오폐수 처리시설의 개.보수없이 기설치된 폭기조내에 투입하는 것만으로도 오폐수처리시설의 정상가동 및 법적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장치에 구성된 폭기조내에 투입하는 유동상 미생물 접착재를 개발하고 상기 유동상 미생물 접착재 보호케이스를 폭기조내에 투입사용케 한 것이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접착재 보호케이스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등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통체를 구성하므로서 통체내에 수장실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통체 외면 하단에는 다수의 지지간을 외향 돌출 구성되게 하되, 지지간 상단에는 하부 지지테를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테에는 또다른 플렌지와 지지간으로 구성된 지지테를 끼워 양지지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플렌지하단에 돌출구성된 결합관이 통체외면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상기 플렌지에 구성된 입구부에는 마개를 결합하여 입구부가 차단되게 한다.
이때 통체외면에는 직포가 위치되게 하며, 통체내에 구성된 수장실에는 폴리우레판 충진제와 활성탄 충진제를 충진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케이스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 : 도1의 상태에서 섬유사직포를 제거한 상태도.
도 4 : 도3의 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의 저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이 사용되는 오·폐수 처리시설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
(12)--관통공 (14)--통체
(16)--수장실 (18)--관통공
(20)--하판 (22)--지지간
(24)--돌봉 (26)--지지테
(28)--활성탄충진제 (30)--섬유사직포
(32)--폴리우레탄충진제 (34)--결합공
(36)--지지테 (38)--지지간
(40)--플렌지 (42)--결합관
(44)--입구부 (46)--관통공
(48)--마개 (50)--걸림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유동상 미생물이 쉽게 번식하여 활동할 수 있는 유동상 미생물 번식보호케이스(10)의 사시도로서 일부를 파절한 상태이고, 도2는 요부분해사시도로서 다수의 관통공(12)이 등간격으로 뚫린 통체(14)내에 수장실(16)을 구성하되, 아랫쪽에는 관통공(18)이 형성된 하판(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한다.
상기 하판(20)은 통체(14)외경보다 외측방향으로 약간 더 돌출되게 구성하여 플렌지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플렌지부 외주면 다수곳에는 상향 돌출된 지지간 (22)을 구성하고, 지지간(22)상단에는 돌봉(24)이 돌출구성된 지지테(26)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간(22)상단부에 구성되는 지지테(26)의 위치는 대략 통체(14)의 중앙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통체(14)의 외면에는 섬유사로된 직포(30)를 전면에 걸쳐 씌워지게 구성하고, 통체(14)내면에 구성된 수장실(16)에는 활성탄충진제(28)와 폴리우레탄 중진제(22)를 적절한 비율로 혼입 충진한다.
상기 지지테(26)윗쪽에는 결합공(34)이 뚫린 체결지지테(36)를 안치하여 지지테(36)에 돌출구성된 돌봉(24)이 체결지지테(36)의 결합공(34)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체결지지테(36)와 지지간(38)으로 연결구성된 플렌지(40)의 아랫쪽 결합관(42)이 통체(14)외면에 끼워져 결합되게 한다.
상기 플렌지(40) 중앙에 구성된 입구부(44)에는 다수의 관통공(46)이 뚫린 마개(48)를 끼워 마개(48)하단에 구성된 걸림편(50)이 플렌지(40)에 걸려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마개(48)는 플렌지(40)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미 설명부호 (60)은 유량조, (62)는 폭기조, (64)는 침전조, (66)은 소독방류조, (68)은 오니농축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동상 미생물 번식 보호케이스(10)는 도7에서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폭기조(62)내에 투입하여 오폐수를 처리하게 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하는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10)는 폭기조(62)내에서 폭기시 발생하는 오폐수의 수류에 따라 원활한 움직임으로 보호케이스(10)의 부상이나 누적에 의한 폐쇄현상이 없을 뿐아니라, 종래 사용되고 있는 접촉재보다 오페수와의 접촉시간이 길며, 미생물의 탈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비표면적이 크므로 내외부에 미생물 부착이 빠르게 형성되어 단시간에 오폐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10)는 미생물이 접촉번식하는 섬유사직포(30)가 관통공(12)이 뚫린 통체(14)외면에 씌워져 있고, 또한 통체(14)내에 활성탄충진제(28)가 충진되어 있어 미생물이 접촉 번식할 수 있는 표면적이 매우 크고 따라서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표면적이 크므로 인하여 오폐수와 접촉하는 량도 증가하게 되므로 그 만큼 단시간내에 많은 량의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생물이 번식하는 활성탄충진제(28)는 통체(14)내에 구성된 수장실 (16)에 충진되어 보호되고, 직포(30)가 씌워진 통체(14)외면에는 통체(1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테(26)(36)와 다수의 지지간(22)(38)이 위치하고 있어 유동상 미생물 접촉케이스(10)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서로 부딪히더라도 미생물이 접촉 번식하는 섬유사직포(30)는 접촉되지 않고 지지테(26))36)나 지지간(22)(38), 마개(48) 혹은 하판(20)과 접촉하게 되므로 미생물의 탈락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체(14)외면에 돌출 구성된 지지테(26)(36) 및 지지간(22)(38)에 의해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10)가 서로 접촉하게 되더라도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고 따라서 오폐수의 흐름에는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게 되므로 폐쇄현상이 없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하는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10)를 구성하는 통체(14) 외면과 마개(48) 및 하판(20)에는 다수의 관통공(12)(46)(18)이 뚫려 있어 통체(14)내에 충전된 활성탄 충진제(28)와도 직접 접촉가능케 구성되어 있어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통체(14)내에 충진된 폴리우레탄 충진제(32)는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10)가 바닥에 침전되거나 완전히 부상되지 않고, 적절한 수준으로 부상될 수 있게 하여 보다 효과적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며 폴리우레탄 충진제(32)의 투입량에 따라 부상정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가장 이상적인 상대로 설정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시설에 장치된 폭기조내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를 구성함에 잇어서, 케이스를 구성하는 본체 내면 수장실에 활성탄 충진제를 충진하고, 외면에는 섬유사직포를 씌워 미생물의 번식장소를 보다 많이 제공하여 미생물의 왕성한 번식을 도모케함과 동시에 오폐수와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많게 하고, 또한 통체외면에는 다수의 지지간과 지지테가 구성되어 있어 접촉에 의한 미생물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잇게 되므로 강화된 법적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기존시설의 개보수없이 폭기조내에 투입사용하면 되므로 그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오폐수처리시설에 장치된 폭기조내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본체(14)내에 수장실(16)을 구성하고, 상기 수장실(16)에 활성탄 충진제(28)와 폴리우레탄 충진제(32)를 투입하 고, 상기 통체(14)외면에는 섬유사직포(30)를 씌워 구성하고, 통체(1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다수의 지지간(22)(38)과 지지테(26)(36)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게하므로서 통체(14)외면에 씌워진 섬유사직포(30)가 다른 물체와 접촉이 방지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0410A KR100351062B1 (ko) | 2001-04-17 | 2001-04-17 | 오·폐수 처리용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0410A KR100351062B1 (ko) | 2001-04-17 | 2001-04-17 | 오·폐수 처리용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6632A KR20010096632A (ko) | 2001-11-08 |
KR100351062B1 true KR100351062B1 (ko) | 2002-09-05 |
Family
ID=1970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0410A KR100351062B1 (ko) | 2001-04-17 | 2001-04-17 | 오·폐수 처리용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5106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17074A (zh) * | 2019-06-19 | 2019-08-13 | 刘潇湉 | 双功能生物膜污水处理系统 |
KR102502107B1 (ko) * | 2021-05-28 | 2023-02-23 | 이경환 | 유동상 담체하우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0079A (ja) * | 1994-04-21 | 1995-11-07 | Kureha Gosen Kk | 汚水処理用接触材 |
KR960008089Y1 (ko) * | 1993-05-06 | 1996-09-23 | 박노철 | 메쉬로된 망을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금형 |
KR19990022765U (ko) * | 1999-04-10 | 1999-07-05 | 성기달 | 오ㆍ폐수정화용미생물담체 |
KR100282212B1 (ko) * | 1999-05-20 | 2001-02-15 | 양금모 |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유니트 제조 방법 |
KR20010054140A (ko) * | 1999-12-03 | 2001-07-02 | 박경주 | 생물막 접촉 담체의 고정화 장치 |
-
2001
- 2001-04-17 KR KR1020010020410A patent/KR1003510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8089Y1 (ko) * | 1993-05-06 | 1996-09-23 | 박노철 | 메쉬로된 망을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금형 |
JPH07290079A (ja) * | 1994-04-21 | 1995-11-07 | Kureha Gosen Kk | 汚水処理用接触材 |
KR19990022765U (ko) * | 1999-04-10 | 1999-07-05 | 성기달 | 오ㆍ폐수정화용미생물담체 |
KR100282212B1 (ko) * | 1999-05-20 | 2001-02-15 | 양금모 |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유니트 제조 방법 |
KR20010054140A (ko) * | 1999-12-03 | 2001-07-02 | 박경주 | 생물막 접촉 담체의 고정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6632A (ko) | 2001-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64616B1 (de) | Verfahren zum durchmischen und/oder belüften von flüssigkeiten, insbesondere von abwässern, mit einem flutbaren belüfter | |
US8137557B2 (en) |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EP1838629A1 (en) |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system | |
KR101551856B1 (ko) |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 |
KR101722059B1 (ko) | 빗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세정수의 순환사용이 가능한 순환수세 화장실처리시스템 | |
KR100351062B1 (ko) | 오·폐수 처리용 유동상 미생물 접촉재 케이스 | |
KR100610589B1 (ko) |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시스템 | |
KR102410922B1 (ko) |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 | |
KR101864032B1 (ko) | 반송슬러지를 이용한 하폐수용 선회류 미생물 탈취기 | |
KR100530529B1 (ko) | 부표식 공기 산기장치 | |
KR100756292B1 (ko) | 상부 자폐 공기방울 방출 억제층 및 거품 억제층을 구성하고, 미세공기주입을 통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호기/혐기성 병합처리방법 | |
US7121532B2 (en) | Aeration system for liquid | |
KR100530716B1 (ko) | 무동력 부유식 이물질수거및 여과장치 | |
CN207891115U (zh) | 一种用于水处理的网箱式移动生物床 | |
JP3437966B1 (ja) | 流体供給管および該流体供給管を備えた排水処理装置 | |
CA2131180A1 (en) | Secondary sewage treatment system | |
SK1642022U1 (sk) | Mobilné prevzdušňovacie zariadenie vodných nádrží | |
CN208200479U (zh) | 给排水絮凝池及其托网结构 | |
JP3949537B2 (ja) | 排水処理装置 | |
US4938867A (en) | Configuration of aeration chamber for an activated-sludge sewage treatment system | |
KR100563772B1 (ko) | 활어수족관 보관수 제독 및 멸균장치 | |
KR20230038962A (ko) | 수처리용 미생물 접촉 담체 | |
JPH03232591A (ja) | 生物活性炭処理装置 | |
JPH0721279Y2 (ja) | 汚水処理用曝気装置 | |
JPH01115496A (ja) | 汚水浄化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