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235B1 -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235B1
KR100350235B1 KR1020000067886A KR20000067886A KR100350235B1 KR 100350235 B1 KR100350235 B1 KR 100350235B1 KR 1020000067886 A KR1020000067886 A KR 1020000067886A KR 20000067886 A KR20000067886 A KR 20000067886A KR 100350235 B1 KR100350235 B1 KR 100350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requency
signal
pilot tone
optic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909A (ko
Inventor
정윤철
윤천주
신승균
박근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0006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2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10/07957Monitoring or measur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3Laser transmitters
    • H04B10/505Laser transmitters using external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광통신망에서 광신호의 유무와 크기를 감시하기 위해 이미 사용되고 있는 파일럿 톤과 배열 도파로 격자의 파장 교차 특성을 이용하여 각 채널의 광주파수를 감시함으로써 광통신망의 유지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파일럿 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광신호들을 역다중화하기 위한 광학 역다중화 수단과;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의 출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광검출 수단과; 상기 광검출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파일럿 톤의 크기를 측정하여 광신호들의 광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광주파수 추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장분할다중 전송방식의 광통신망에서 배열 도파로 격자와 파일럿 톤을 이용하여 각 광신호의 주파수를 동시에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optical frequencies of WDM signals}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광통신망에서 배열 도파로 격자(역다중화기)를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광통신망의 운영, 유지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배열 도파로 격자와 광신호들에 인가된 서로 다른 주파수의 파일럿 톤 신호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장분할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WDM) 방식 광통신 시스템은 파장이 다른 여러 개의 전송 레이저들을 하나의 광섬유에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광섬유당 전송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통신망을 광대역화하고 초고속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에서 노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광신호의 광주파수가 바뀔 수 있고, 광주파수에 대한 광소자의 다른 투과 특성 때문에 각 채널의 광주파수 변화는 채널의 출력 전력 변화와 인접한 채널에 누화를 일으켜 시스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항상 각 채널의 광주파수를 감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여러 채널들의 광주파수를 감시하기 위한 상기 종래의 기술로는 배열 도파로 격자의 파장 교차 특성을 이용하여 배열 도파로 격자를 통과한 광신호를 광검출기열(photodiode-array)과 로그 증폭기(log amplifier)를 통과시켜 광신호들의 주파수를 감시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은 배열 도파로 격자의 한 포트에 두 개의 광신호가 들어오면 이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하나의 광신호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배열 도파로 격자 포트와 두 개의 광검출기가 요구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장분할다중화방식 광전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종래의 광주파수 방법으로는 음향-광학 가변 필터(acousto-optic tunable filter)나 온도 가변 에탈론 필터(temperature tunable etalon filter) 등과 같은 통과대역의 주파수 변화가 가능한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감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은 구성이 간단하나 정교한 가변 메카니즘(mechanism)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고밀도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광시스템에 사용되기에는 신뢰성, 분해능 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변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여러 채널의 광주파수를 감시하는 간단한 방법으로서는 고정된 패브리-패롯 에탈론 필터와 파일럿 톤을 이용하여 패브리-패롯 에탈론 필터의 공진 주파수 부근에 들어오는 광신호들을 감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은 파일럿 톤을 이용하는 것으로 인한 에르븀 첨가광섬유 증폭기의 상호 이득 변조에 의해 광증폭기를 통과하면 감시 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광통신망에서 광신호의 유무와 크기를 감시하기 위해 이미 사용되고 있는 파일럿 톤과 배열 도파로 격자의 파장 교차 특성을 이용하여 각 채널의 광주파수를 감시함으로써 광통신망의 유지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파일럿 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광신호들을 역다중화하기 위한 광학 역다중화 수단과;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의 출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광검출 수단과; 상기 광검출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파일럿 톤의 크기를 측정하여 광신호들의 광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광주파수 추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주파수 추출 수단은 상기 광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파일럿 톤 주파수만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적 필터 수단과; 상기 전기적 필터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파일럿 톤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크기 검출기; 및 측정된 파일럿 톤의 크기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광주파수 연산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를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의 투과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를 이용한 주파수 감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배열 도파로 격자를 통과한 광신호의 광주파수에 대한 파일럿 톤의 크기와 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파일럿 톤의 크기의 비와 광주파수의 1 : 1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추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전송전에 광주파수를 감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640km 단일모드 광섬유로 전송한 후에 광주파수를 감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성형결합기 200: 역다중화기
300: 광검출기 400: A/D변환기
500: 고속 퓨리에 변환기 600: 광주파수 연산기
700: 전기적필터 800: 크기검출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를 이용한 주파수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를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파일럿 톤을 포함한 광신호를 광선로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성형결합기(100)와, 상기 성형결합기(100)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또는 배열 도파로 격자)(200)와, 상기 역다중화기(200)로부터 광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광검출기(300)와, 상기 광검출기(300)의 출력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400)와, 상기 A/D변환기(400)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고속 퓨리에 변환기(Fast Fourier Transform; FFT)(500)와,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500)로부터 퓨리에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파일럿 톤의 크기의 비를 연산하여 광주파수를 출력하기 위한 광주파수 연산기(6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성형결합기(100)는 광선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파장별로 할당된 파일럿 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 중 일부분을 추출한다.
이 때, 상기 성형결합기(100)는 광선로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광신호의 출력 중에서 99%는 통과시키고, 나머지 1%는 추출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기(200)는 역다중화기의 각 교차점에서 동작하는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200)는 투과 특성이 광주파수에 대하여 교차 특성을 갖는 배열 도파로 격자 혹은 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200)는 투과 특성이 교차 특성을 갖도록 광결합기와 대역 통과 필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200)는 투과 특성이 교차 특성을 갖도록 광결합기와 고체 패브리-패롯 에탈론 필터 혹은 광섬유 패브리-패롯 에탈론 필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200)는 투과 특성이 교차 특성을 갖도록 광순환기와 광섬유 격자 필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200)는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의 채널 간격이 배열 도파로 격자의 채널 간격과 같거나 배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200) 즉, 배열 도파로 격자의 각 포트에 부착된 광검출기(300)는 입력되는 광신호의 크기에 따른 파일럿 톤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A/D변환기(400)는 전기적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기(500)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한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파일럿 톤의 주파수와 그에 해당하는 크기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광주파수 연산기(600)는 파일럿 톤의 주파수에 대한 크기를 입력받아 그것의 비를 이용하여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의 광주파수를 출력하거나, 그것의 차이를 이용하여 광신호의 광주파수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일시시예로서 채널 간격이 200 GHz이고 누화가 30 dB인 배열 도파로 격자의 투과 특성을 나타낸다.
이 때, 배열 도파로 격자는 온도가 변할 때 투과 특성이 광주파수에서 이동하므로 배열 도파로 격자의 교차점 주파수를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의 표준 주파수에 맞추기 위하여 열전기 냉각기(thermoelectric cooler)와 서미스터(thermistor)를 이용하여 온도 제어를 수행한다.
즉, 배열 도파로 격자의 각 교차점 부근에서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가 동작하고 있다.
이 때, 도 2에서 투과 특성 위의 숫자는 배열 도파로 격자의 포트 번호를 나타내고, f1 ~ f7는 각 광신호에 인가된 수 백 kHz의 낮은 주파수인 파일럿 톤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광신호가 배열 도파로 격자의 교차점에서 동작할 때, 배열 도파로 격자의 인접한 두 포트로부터의 각 광신호의 크기는 같고, 광신호의 광주파수가 변화하게 되면 인접한 두 포트로부터의 각 광신호의 크기는 배열 도파로 격자의 투과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역다중화기)를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역다중화기)를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파일럿 톤을 포함한 광신호를 광선로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성형결합기(100)와, 상기 성형결합기(100)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는 배열 도파로 격자 즉, 역다중화기(200)와, 상기 역다중화기(200)로부터 광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광검출기(300)와, 상기 광검출기(300)를 통과한 파일럿 톤 주파수에 해당하는 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적 필터(700), 상기 다수의 전기적 필터(700)를 통과한 신호로부터 파일럿 톤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크기 검출기(800) 및 측정된 파일럿 톤의 크기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광주파수 연산기(600)를 구비하고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를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열 도파로 격자를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의 동작중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파일럿 톤을 포함한 광신호를 광선로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성형결합기(100)와, 상기 성형결합기(100)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는 배열 도파로 격자 즉, 역다중화기(200)와, 상기 역다중화기(200)로부터 광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광검출기(300)의 동작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기적 필터(700)는 상기 광검출기(300)의 출력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각 채널에 해당하는 파일럿 톤만을 통과시키며, 상기 크기검출기(800)는 상기 다수의 전기적 필터의 출력에서 파일럿 톤의 크기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광주파수 연산기(600)는 측정된 파일럿 톤의 크기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추정하여 출력한다.
이 때, 상기 광주파수 연산기(600)는 파일럿 톤의 주파수에 대한 크기를 입력받아 그것의 비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출력하거나, 그것의 차이를 이용하여 광신호의 광주파수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된 1x8 배열 도파로 격자와 광검출기를 통과한 특정 파일럿 톤 크기와 비를 광주파수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보통 193.2 THz에서 동작하고 파일럿 톤(도 2에서 f5)이 인가된 광신호의 주파수를 193.36 THz에서 193.46 THz까지 변화시키면서 배열 도파로 격자의 다섯 번째 포트(A)와 여섯 번째 포트(B)에서 측정한 파일럿 톤의 크기와 그 비를 측정한 것이다.
광주파수가 변화할 때 배열 도파로 격자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크기가 배열 도파로 격자의 투과 특성에 따라 바뀌고 광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파일럿 톤의 크기도 똑같이 투과 특성에 따라 바뀌게 된다.
보통,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배열 도파로 격자의 교차점에서 동작하므로 배열 도파로 격자의 각 포트에 부착된 광검출기는 주파수가 다른 두 파일럿 톤 성분을 검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배열 도파로 격자의 다섯 번째 포트에 부착된 제 5광검출기는 톤 주파수 f4와 f5를 검출하고, 여섯 번째 포트에 부착된 제 6광검출기는톤 주파수 f5와 f6을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다섯 번째 포트를 통과한 톤 주파수 f5의 크기와 여섯 번째 포트를 통과한 f5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배열 도파로 격자의 다섯 번째 포트와 여섯 번째 포트의 교차점에 위치한 광신호의 광주파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톤 주파수 f4의 크기는 네 번째 포트와 다섯 번째 포트의 교차점에 위치한 광주파수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톤 주파수 f6의 크기는 다섯 번째 포트와 여섯 번째 포트의 교차점에 위치한 광주파수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광검출기(300)에 두 개의 광신호가 입력될지라도 이 들의 파일럿 톤 주파수가 다르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어 각각 광신호의 주파수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도 4에서 보듯이 파일럿 톤 크기의 비가 광주파수에 대해서 1 : 1 의 대응관계가 성립함을 볼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배열 도파로 격자의 다섯 번째 포트와 여섯 번째 포트의 교차점에 위치한 광신호의 주파수를 감시하는 예를 나탄낸다.
도 5를 살펴보면, 도 4의 파일럿 톤의 크기의 비와 광주파수와의 1 : 1 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배열 도파로 격자를 통과한 광신호의 파일럿 톤 크기의 비를 측정하면 역으로 광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일곱 채널의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의 주파수를 단일모드 광섬유로 전송하기 전에 측정한 실험 결과에 대한 예시도로서, 주파수감시 장치로부터 측정한 광신호의 주파수와 다파장 측정기로부터 측정한 주파수와의 오차를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들의 채널 간격이 200 GHz일 때, ITU 표준 주파수로부터 ±50 GHz 이내의 범위에서 ±2 GHz 이내의 주파수 오차를 가지고 감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7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640 km의 길이를 갖는 단일모드 광섬유로 전송한 후에 일곱 채널의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한 실험 결과에 대한 예시도로서, 광주파수 감시 장치로부터 측정한 광신호의 주파수와 다파장 측정기로부터 측정한 광주파수의 오차를 나타낸다.
도 7로부터 ITU 표준 주파수로부터 ±40 GHz 이내의 범위에서 ±2 GHz 이내의 주파수 오차를 가지고 감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광주파수가 ±40 GHz 이상 벗어날 때 측정오차들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광주파수가 ITU 표준 주파수로부터 벗어날수록 측정 파일럿 톤의 크기가 작아지고 작아진 파일럿 톤의 크기는 같은 광검출기에서 여전히 ITU 표준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다른 광신호에 의한 고스트 톤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고스트 톤이란 파일럿 톤을 포함한 광신호들이 에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EDFA)를 통과하게 되면 에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의 상호 이득 변조에 의해 각 채널의 광신호마다 자신의 파일럿 톤 성분 이외에 다른 채널의 광신호에 포함된 톤 주파수 성분이 발생되는데, 이 발생된 톤 성분을 일컫는다. 또한, 고스트 톤들은 파장분할다중화된 채널에 골고루 분포된다.
따라서, 에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의 상호 이득 변조에 의한 고스트 톤의 크기는 광검출기에서 검출되는 파장분할다중화된 채널의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기존에 제안된 고정된 에탈론 필터와 파일럿 톤을 이용한 기술은 하나의 광검출기에서 파장분할다중화된 모든 채널을 검출하므로 채널의 수가 증가할수록 광주파수 오차가 증가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은 광검출기당 단지 두 개의 채널만 검출하기 때문에 파일럿 톤을 이용한 다른 감시기술과 달리 파장분할다중화된 전체 채널의 수에 제한 받지 않는다.
그러나, 광주파수가 동작 주파수로부터 ±40 GHz 이상 벗어날 때 인접한 한 채널에 의한 고스톤의 영향을 받게 되어 광주파수 오차가 증가하지만,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들의 채널 간격이 200 GHz일 때 ITU 표준 주파수로부터 ±40 GHz 이내에서 동작하는 한 측정하고자 하는 파일럿 톤의 크기는 고스트 톤의 크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고스트 톤에 의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열 도파로 격자를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통신망에서 배열 도파로 격자와 파일럿 톤을 이용하여 각 광신호의 주파수를 동시에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배열 도파로 격자와 파일럿 톤을 이용한 광주파수 감시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3)

  1. 파일럿 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광학 역다중화 수단과;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으로부터 역다중화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검출 수단; 및
    상기 광검출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파일럿 톤의 크기를 측정하여 광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광주파수 추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주파수 추출 수단은
    상기 광검출 수단의 출력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 수단과;
    상기 A/D변환 수단으로부터 변환된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파일럿 톤 크기 추출을 위한 고속 퓨리에 변환 수단; 및
    상기 고속 퓨리에 변환 수단의 출력인 파일럿 톤의 크기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광주파수 연산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주파수 추출 수단은
    상기 광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파일럿 톤만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적 필터 수단과;
    상기 전기적 필터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파일럿 톤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크기 검출기; 및
    측정된 파일럿 톤의 크기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광주파수 연산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주파수 연산기는 측정된 파일럿 톤의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주파수 연산기는 측정된 파일럿 톤의 크기의 차를 이용하여 광주파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은 투과 특성이 교차점을 갖는 배열 도파로 격자 역다중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은 투과 특성이 교차점을 갖는 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역다중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은 광결합기와 대역 통과 필터들을 이용하여 투과 특성이 교차 특성을 갖도록 역다중화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은 광결합기와 고체 패브리-패롯 에탈론 필터들을 이용하여 교차 특성을 갖는 역다중화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은 광결합기와 광섬유 패브리-패롯 에탈론 필터를 이용하여 교차 특성을 갖는 역다중화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은 광순환기들과 광섬유 격자 필터들을 이용하여 교차 특성을 갖는 역다중화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은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가 동작해야 하는 주파수 영역 부근에서 교차점을 갖는 역다중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역다중화 수단은 파장분할다중화된 광신호의 채널 간격이 배열 도파로 격자(역다중화기)의 채널 간격과 같거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KR1020000067886A 2000-11-16 2000-11-16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KR100350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886A KR100350235B1 (ko) 2000-11-16 2000-11-16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886A KR100350235B1 (ko) 2000-11-16 2000-11-16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909A KR20020037909A (ko) 2002-05-23
KR100350235B1 true KR100350235B1 (ko) 2002-08-27

Family

ID=1969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886A KR100350235B1 (ko) 2000-11-16 2000-11-16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735B1 (ko) 2005-07-11 2006-10-16 옵시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광파장 모니터링이 가능한 광수신기
KR20190115732A (ko) * 2018-04-03 2019-10-14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03B1 (ko) * 2004-12-3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
KR101036848B1 (ko) * 2008-04-25 2011-05-25 한국광기술원 광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09253A (ko) * 2011-03-28 2012-10-08 (주)포인테크 파장분할 다중 광통신용 파장 모니터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735B1 (ko) 2005-07-11 2006-10-16 옵시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광파장 모니터링이 가능한 광수신기
KR20190115732A (ko) * 2018-04-03 2019-10-14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
KR102387422B1 (ko) 2018-04-03 2022-04-18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909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187B1 (ko) 주파수 변조된 광신호 전송장치 및 주파수 변조된광신호의 전력 및 광주파수 감시장치
US7149428B2 (en) OSN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unable optical bandpass filter and polarization nulling method
US7756369B2 (en) OSNR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polarization splitting
US6433864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ptical signal-to-noise ratio of optical signals in WDM optical transmission system
EP1059753A2 (en) Wavelength monitor using hybrid approach
CN105973284B (zh) 一种多通道高精度光纤光栅传感器解调装置
US7302179B2 (en) Optical performance monitor using co-located switchable fiber bragg grating array
US7123788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ptical frequencies of WDM signals
US63471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optical signal
JP2004233070A (ja) Fbgセンシングシステム
KR20030050465A (ko) 음향광학 파장가변 필터를 이용한 다중파장 고정방법 및장치
KR100292808B1 (ko) 투과특성이 서로 다른 광학 필터를 이용한 주파수 감시 장치
KR100350235B1 (ko)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광주파수 감시 장치
JP4331978B2 (ja) Fbgセンシングシステム
US200502326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performance monitoring
EP1936841A2 (en) OSNR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polarization splitting
JPH11340920A (ja) 線形光中継器
KR100342757B1 (ko)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광신호 감시 장치
KR100553572B1 (ko)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다채널 광신호 성능감시 장치
KR100319737B1 (ko) 배열형도파로격자를역방향으로이용한파장분할다중화된광신호의신호세기검출장치및그방법
KR100271206B1 (ko) 파장분할다중광전송시스템에서의온도제어방식의에탈론필터를이용한주파수및광출력감시장치
KR100325685B1 (ko) 광신호파장및광전력감시장치,감시방법및그기록매체
Ji et al. Optical path and crosstalk monitoring technique using pilot tones in all-optical WDM transport network
KR100439226B1 (ko)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광 다중화부/역다중화부의상태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Lin et al. Multiwavelength simultaneous monitoring by integrated planar lightwave circuit and fast fourier transform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