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095B1 -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 - Google Patents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095B1
KR100350095B1 KR1019990049515A KR19990049515A KR100350095B1 KR 100350095 B1 KR100350095 B1 KR 100350095B1 KR 1019990049515 A KR1019990049515 A KR 1019990049515A KR 19990049515 A KR19990049515 A KR 19990049515A KR 100350095 B1 KR100350095 B1 KR 10035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oundation
hollow block
breakwater
buoyanc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969A (ko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101999004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095B1/ko
Priority to KR2019990024484U priority patent/KR200185745Y1/ko
Publication of KR2001004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도면에 4 각 중공부가 개통된 부력 탱크 하부에 일정한 크기의 중공블럭을 와이어로프로 연결하여 수중에 현수하되 중공블럭 하면이 해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게 하여 수평, 수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부력 탱크에 개통된 4 각 중공부를 통하여 사석을 투하하여 사석기초단을 형성하므로서 중공블럭을 수평, 수직이 유지된 상태로 사석기초단에 안치되게 하며 이 중공블럭 내부에도 사석을 상면 높이이상으로 충전하여 이 기초단 상면에 케이슨을 재치고정하도록 하여서 방파제를 구축하는 부력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a buoyancy tank}
본 발명은 방파제를 구축하기 위한 공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육지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근해에 방파제를 구축할 시 방파제가 구축될 위치의 해저지반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공사의 난이도가 좌우되기도 하지만 특히 수심이 얼마나 깊으냐에 따라서도 작업의 난이도가 크게 좌우되는 바 본 발명은 비교적 수심이 깊은 위치에 방파제를 구축하는 공법에 대한 것으로서 종래 수심이 깊은 위치에 방파제를 구축함에 있어서 그 기초단의 기반 확보를 위하여 엄청난 양의 사석을 투하한 다음 작업자가 잠수복을 착용하고 잠수하여 수작업으로 사석면을 수평으로 고르기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엄청난 양의 사석을 해저면에 투하해야하지만 자연석인 사석의 조달이 곤란하거나 가격이 고가일 경우 막대한 공사비와 공사기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사석면의 수평 고르기 작업은 매우 중요하여 이 사석면이 수평을 유지하여야만 그 상면에 설치되는 방파제체가 수직, 수평을 유지하여 안정되게 되는 데 이 사석면의 수평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잠수복을 착용하고 잠수하여 수작업으로 사석면의 수평 고르기 작업을 함에 따라 항상 돌발적인 위험이 상존하였다.
도 1 은 본 발명상의 방파제 구축공법을 실시할 시의 공사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로로서의 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상의 방파제 구축공법을 실시할 시의 부력 탱크 사시도
도 3 은 도 1 에서의 방파제 기초를 구축하는 상태를 횡단면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4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 시공 완료된 방파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W.B 방파제 1.부력탱크 2.중공블럭
3.4각 중공부 4,4a,4b,4c,6,6a.걸고리 5,5a,5b,5c.와이어로프
7.사석 8,8a.사석 기초단 9.케이슨
10.해저면 11.콘크리트 캡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막대한 공사비와 공사기간이 소요되고 사석의 수평고르기 작업등에 따르는 작업자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보다 손쉽고도 용이하게 방파제 구축 공사를 행하면서 한편으로 귀중한 자연 자원인 사석의 낭비없이 가장 합리적이고 절대량만의 사석을 사용하면서도 기초가 튼튼한 방파제를 구축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방파제(WB)의 전체 구조는 사석으로 되는기초단 상면에 상하부가 개통되고 4주벽만으로 된 일정한 크기의 중공블럭이 거치되며 이 중공블럭 내부에 사석을 충전하되 중공블럭 상면보다 높게 사석을 체움하여 이 사석 상면에 밑면이 있고 4주벽으로 되는 중공블럭 보다 다소 작은 면적으로 되는 케이슨을 입설하여 이 케이슨 내부에 사석을 충전하고 이 케이슨 상면에 콘크리트 캡을 고정설치하는 구조로 되는 바 본 발명은 사석으로 되는 기초단과 이 기초단 상면에 중공블럭을 정확하게 수직,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중공블럭을 안치고착하도록 하는 공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이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해저면(10)의 평탄화 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없이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공지한 육면체 부력 탱크(1)를 구비하되 부력 탱크(10)중도부가 사석 기초단 상면에 안치고정될 중공블럭(2)의 사각 외벽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4각 중공부(3)로 개통되게 하고 이러한 육면체 부력 탱크(1)의 4각 중공부(3) 4모서리에 걸고리(4)(4a)(4b)(4c)를 착설하고 이 4모서리의 걸고리(4)(4a)(4b)(4c)에 동일한 길이의 와이어 로프(5)(5a)(5b)(5c)를 연결하는 한편 수중에 미리 투하한 중공블럭(2) 상면의 4모서리에 중공블럭(2)을 거푸집으로 성형시 돌설되게 한 4개의 걸고리(6)(6a) (도면상으로는 2개)에 와이어로프(5)(5a)(5b)(5c)하측선단을 연결하여 부력탱크(1)의 부력으로 중공블럭(2)을 해저면(10) 상측으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첨부한 도면 도 1 에 도시한 상태와 같이 현수되게 한다. 이때 중공블럭(2) 저부와 해저면(10)사이의 거리는 수심에 따라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임의의 거리로 이격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이 해저면(10)과 중공블럭(2) 저단 사이의 이격거리는 곧기초단(8)의 높이가 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공블럭(2)을 해저면(10)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시키면 중공블럭(2)은 와이어로프(5)(5a)(5b)(5c)의 길이가 동일하고 부피가 큰 부력 탱크는 약간의 파랑과는 상관없이 수면에서 대략 수평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와이어로프(5)(5a)(5b)(5c)에 현수된 중공블럭(2) 또한 정확하게 수직 상태를 유지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선박으로 부터 운반해온 사석을 밸트콘베이어등의 수단으로 부력탱크(1) 중도부에 개통된 4 각 중공부(3)를 통하여 사석(7)을 하방으로 골고루 투하하면 이 사석(7)은 해저면(10)에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해저면(10)으로 낙하되어 적체되기 시작하여 해저면(10)의 이격공간을 메우면서 사석 기초단(8)이 형성되고 계속 투하되는 사석은 중공블럭(2) 하면 및 첨부한 도면 도 3 의 상태와 같이 중공블럭(2) 내부에도 점차로 쌓여서 중공블럭(2) 내부 전체를 체우고 중공블럭(2) 상부에 일정한 높이로 쌓이게 하여 케이슨(9)기초단(8a)이 되게 한 다음 이 기초단(8a)상면에 중공블럭(2) 평면 면적보다 다소 작은 크기와 높이의 케이슨(9)을 적층 거치고정한 다음 케이슨(9) 내부에도 사석 체움을 하며 케이슨(9)상면에는 콘크리트 캡(11)을 재치하여 본 발명공법상으로 실시되는 방파제(WB)를 구축한다.
본 발명 공법인 부력 탱크(1)를 이용하여 중공블럭(2)을 해저면(10)에서 일정한 높이로 이격하여 수평수직을 유지하게 한 상태에서 사석을 투하하는 작업만으로 해저면(10)의 평탄화 여부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기초단(8)을 형성하며 또한 기초단(8)에 대한 수평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없이 기초단(8) 형성과 중공블럭(2)의 수평수직 유지고정등의 고난도 작업을 동시에 해결함과 동시에 엄청난 양의 사석을 절약하고 공기의 파격적인 단축과 작업자의 위험요인이 원천적으로 원인 제거되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심이 깊은 근해에 중공블럭(2)과 케이슨을(9)사용하여 방파제를 구축함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와 중량의 중공블럭(2)을 수중에서 현수할 수 있는 부력을 가진 입방체로 되고 중도면에 중공블럭(2)의 평면적 크기와 동일한 면적의 4 각 중공부(3)가 개통된 부력탱크(1)의 4 각 중공부(3) 4 모서리에 걸고리 (4)(4a)(4b)(4c)를 돌설하고 이 걸고리(4)(4a)(4b)(4c)(4d)에 동일한 길이의 와이어로프(5)(5a)(5b)(5c)를 연결하고 이 와이어로프(5)(5a)(5b)(5c) 하단부를 4개의 걸고리(6)(6a)(도면상으로는 2 개)가 상면 4 모서리에 돌설된 중공블럭(2)의 4 개의 걸고리(6)(6a)에 연결하여 수중에서 중공블럭(2)이 해저면(10)에서 일정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수평, 수직이 유지되게 한 상태에서 부력탱크(1)의 4 각 중공부(3)를 통하여 사석(7)을 해저로 투하하여 중공블럭(2) 하면에 사석기초단(8)을 형성하도록 하고 계속하여 사석(7)을 투하하여 중공블럭(2) 내부 전체에 사석을 충전하고 중공블럭(2) 상면에도 일정한 높이로 쌓아 기초단(10)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케이슨(9)을 재치고정하며 이 케이슨(9) 내부전체에도 사석 체움을 하여 케이슨(9) 상면에 콘크리트 캡(11)을 재치고정하여서되는 부력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
KR1019990049515A 1999-11-09 1999-11-09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 KR10035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515A KR100350095B1 (ko) 1999-11-09 1999-11-09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
KR2019990024484U KR200185745Y1 (ko) 1999-11-09 1999-11-10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515A KR100350095B1 (ko) 1999-11-09 1999-11-09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484U Division KR200185745Y1 (ko) 1999-11-09 1999-11-10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69A KR20010045969A (ko) 2001-06-05
KR100350095B1 true KR100350095B1 (ko) 2002-08-22

Family

ID=1961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515A KR100350095B1 (ko) 1999-11-09 1999-11-09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392A (ko) * 2003-08-05 2005-02-21 원 회 양 요철이 심한 지역에서의 방파제 기초구조
KR101104856B1 (ko) * 2009-03-19 2012-01-16 전영진 친환경적인 간척지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69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6245A (en) Offshore drilling and/or production system
EP0379383A1 (en) Method of constucting underwater buildings
CN105780726A (zh) 一种砖及使用该砖在水上建堤的方法
NO170735B (no) Fremgangsmaate for bygging av gravitasjonsplattformer og installasjon av slike paa havbunnen ved hjelp av kraner
KR100350095B1 (ko)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구축공법
US3863457A (en) Submarine foundation and offshore working platform
KR200185745Y1 (ko) 부력 탱크를 이용한 방파제
CN1020203C (zh) 河港工程结构件的制造方法和装备
KR200229222Y1 (ko) 교량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우물통 재하장비
JP2958696B1 (ja) 水中捨石基礎法面均し工法とその重錘
US3925997A (en) Breakwater device for offshore submerged foundation structures
KR100906113B1 (ko) 전면 소파블럭을 이용한 케이슨식 방파제체
RU120972U1 (ru) Основание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KR20060023627A (ko) 깊은 심도의 연약지반 상의 방파제
JPH0513777Y2 (ko)
JPS599695B2 (ja) 水中捨石基礎の「てん」圧均し工法とその重錘
KR20030018382A (ko) 연약층이 깊은 심도의 부력을 이용한 방파제
JPH1150464A (ja) オープンケーソン構造とその沈設方法
JP5588929B2 (ja) 海洋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海洋構造物
JP2004052331A (ja) 水中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及び水中構造物の製造方法。
JPH0230815A (ja) 水中構造物用鉄筋コンクリート製基礎ブロック体とその沈設方法
KR200212552Y1 (ko) 깊은 수심의 방파제 구조
KR200300435Y1 (ko) 다층 직립식 방파제
KR20020017175A (ko) 깊은 수심의 방파제 구조
JP2576891B2 (ja) 翼付き桁ブロックとその消波堤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