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561B1 -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 Google Patents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561B1
KR100347561B1 KR1019990057094A KR19990057094A KR100347561B1 KR 100347561 B1 KR100347561 B1 KR 100347561B1 KR 1019990057094 A KR1019990057094 A KR 1019990057094A KR 19990057094 A KR19990057094 A KR 19990057094A KR 100347561 B1 KR100347561 B1 KR 10034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got
casting
solidification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784A (ko
Inventor
남궁정
김문철
도병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1999005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5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22D7/10Hot top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12Appurtenances, e.g. for sintering, for preventing spl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강괴를 주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주조결함으로 발생하는 수축공, 응고균열, 기공 등 주형내에 부적합한 응고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응고결함의 발생을 방지하여 건전한 대형강괴를 주조하도록 하는 대형강괴의 주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탕부와 몰드의 상단부에 열전도도가 1 W/moK 이하인 재질로 제작한 단열띠를 설치하거나, 몰드 하단부에 열전도도가 40~400 W/moK 인 재질로 제작한 냉금을 설치하거나, 또는 이들 양자를 설치하여 강괴의 응고 동안의 응고모델을 조절하여 주조결함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형강괴의 주조방법{Large ingot casting method}
본 발명은 대형강괴를 주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주조결함으로 발생하는 수축공, 응고균열, 기공 등 주형내에 부적합한 응고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응고결함의 발생을 방지하여 건전한 대형강괴를 주조하도록 하는 대형강괴의 주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대형강괴 몰드 및 주조부자재를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강괴몰드 정반, 주입관, 강괴몰드, 핫탑 슬리브(hot top sleeve), 핫탑 케이스(hot top case)를 설치 완료한 다음에 강괴몰드 상단과 핫탑 케이스 하단 그리고 그 경계부분에 단열띠(insulating band)를 형성시키고, 몰드 하단부에 냉금(chill block) 및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압탕부 및 몰드 하단부에서의 용강응고진행을 조절하고 대형강괴의 응고시 발생되는 내부 수축공, 응고균열, 기공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핫탑 아래의 주괴는 건전한 주조조직을 형성하도록 주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강을 일정한 형상에 주입하고 응고시켜 목적하는 형상과 크기로 제품을 제조하는 주조기술은 용강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낮은 공정비용으로 복잡한 형상의 제조, 같은 형상 및 크기의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기계가공, 열처리 등과 같은 공정에 비하여 작업자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주조제품의 내부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으며, 용강의 응고중에는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제조변수가 적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강괴의 크기가 수십톤이 넘는 주괴는 응고시간이 길고 작은 변수에도 장시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제 주조결과에서는 2톤 미만의 경량주조품에서 예측되지 못한 수축공, 기공, 편석 등의 문제점이 심각하게 나타나게 되어 큰 제품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조되는 대형강괴의 주조후 열간, 냉간단조가공 같은 후가공량을 줄이고 제품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괴 폭과 길이의 비를 크게 하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른 부적합한 응고모델의 형성으로 대형강괴내 심각한 불량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제 주조공정에 의한 제품을 제조하기 전에 컴퓨터에 의한 모의주조를 통하여 결함을 예측하고, 모의주조조건에서 실제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최소화하는 몰드설계 및 주조공정조건을 설정하여 주조를 시도하거나, 주조공정조건 중에 압탕부에의 발열제의 사용법, 아크 가열법, 바닥 정반냉각법 등 인위적인 변수 조절을 위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대형강괴에서는 주조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주조결함, 즉 주괴편석, 비금속 개재물 혼입 및 잔류, 응고수축, 응고균열, 기공 등과 같은 다양한 주조결함의 발생 빈도가 높고 그에 따른 손실이 크게 된다. 또한 주조결함 발생시 대형 강괴내 내재된 결함을 검사하여 판정하는데도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단조공정중 균열발생, 최종제품에서의 불량검출 등 많은 공정비 손실을 부가하게 된다. 이같은 대형강괴의 내부결함은 대부분 주조조건의 부적합, 즉 응고모델의 부적합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용강을 주형에 채울 때의 용강온도 및 용강공급조건과 몰드에 용강이 채워진 후 몰드내에서 응고하는 조건에 따라 주괴의 품질이 좌우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강괴의 주조공정중 강괴의 내부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미국특허 제4,134,433호(도 1 참조)에서와 같이 대형강괴의 압탕부(2)에 흑연 전극봉(3)을 설치하여 몰드(1)에 용강이 채워진후 주괴의 응고를 조절하기 위하여 용강이 응고하는 동안에 흑연 전극봉(3)에 간헐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압탕부(2) 표면에서 아크를 발생시켜 압탕부(2)의 온도를 다른 부분의 강괴온도보가 높게 하고 최종적으로 응고되게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로서 대형강괴용강중에 존재할 수 있는 비금속 개재물의 부상분리, 가스의 제거, 수축공 및 응고균열의 방지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이 방법 이외에도 압탕부에 덮개를 설치하고 방열을 최소화하여 압탕부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는 방법, 몰드에 용강이 충진되는 시점에 압탕부 표면에 발열제 분말 또는 발열판재를 첨가하여 추가열원을 공급하는 방법 들이 대형강괴 주조공정중에 현장기술로서 사용되고, 핫탑부분에 유도코일을 설치하여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며 간헐적으로 가열하는 장치 및 방법 등이 발명되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 중에서 미국특허 제4,134,433호에서와 같이 대형강괴의 압탕부에 흑연 전극봉을 설치하여 가열하는 방법은 전극봉에 공급되는 전류 및 시간을 조절하여 대형강괴 압탕부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관리하는데는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흑연 전극봉에 의한 장시간 아크발생시 흑연 전극봉이 압탕부 용강표면에 의해 침식 소모되고, 그 소모된 흑연이 강괴중에 혼입되어 원하지 않는 탄소 및 기타 불순물(산화물) 들이 혼입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흑연 전극봉의 설치공간 확보로 인하여 높은 공간소모 및 흑연 전극봉의 거치대 등 높은 설비 투자비가 요구된다.
한편, 압탕부 표면에 발열제 분말 및 발열판 적용과 같은 방법은 압탕부의 용강온도를 정성적으로 상승하는 효과가 기대되지만, 발열재의 량, 적용시기, 압탕부의 표면적 등에 따라 실제적으로 압탕부의 온도에 기여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많은 숙련과 적용 데이터가 축적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몰드의 용강이 응고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열량을 조절하여 세밀한 압탕의 온도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한 점이 문제이다.
또한, 대형강괴 몰드 압탕부에 유도가열 코일을 설치하여 주괴의 응고진행에 따라 간헐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불순물의 혼입이 없이 압탕부의 온도를 정확히 조절하고, 대형강괴의 주조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외부입력조건의 정확한 조절 및 용강의 불순물 오염에 문제가 없는 점, 흑연 전극봉 가열법에 비하여 저렴한 설비투자비를 장점으로 가지고 있으나, 다소의 유도가열장치, 소모전력 등 다소의 설비투자비와 전력소모를 피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탕부 가열방법에서 불순물 혼입으로부터 자유롭고, 전극봉 및 유도가열장치같은 설비투자 및 유지에 따른 전력소모가 필요없도록 대형강괴 핫탑 및 주괴상부 단열띠의 적용 또는 몰드 하단에 냉금 및 냉각장치를 적용하여 대형강괴 내 응고모델을 조절하여 목적하는 품질의 대형강괴의 주조품을 얻을수 있도록 하는 대형강괴의 주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대형강괴 주조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대형강괴 주조용 몰드 형상 및 단열띠 및 냉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몰드 2 : 압탕부
3 : 흑연 전극봉 4 : 압탕 케이스
5 : 단열판 6 : 정반
7 : 발열재 층 10 : 단열띠
11 : 전열선 20 : 냉금
21 : 냉각수 코일 또는 냉각 압축공기 라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형강괴의 주조방법은, 정반 위에 설치되는 몰드와, 상기 몰드 위에 설치되며 발열재 층을 구비하여 압탕부를 구성하는 압탕 케이스를 이용하여 대형강괴를 주조함에 있어서, 압탕부와 몰드의 상단부에 열전도도가 1 W/moK 이하인 재질로 제작한 단열띠를 설치하여 강괴의 응고 동안의 응고모델을 조절하여 주조결함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대형강괴의 주조방법은, 정반 위에 설치되는 몰드와, 상기 몰드 위에 설치되며 발열재 층을 구비하여 압탕부를 구성하는 압탕 케이스를 이용하여 대형강괴를 주조함에 있어서, 몰드 하단부에 열전도도가 40~400 W/moK 인 재질로 제작한 냉금을 설치하여 강괴의 응고 동안의 응고모델을 조절하여 주조결함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대형강괴의 주조방법은, 정반 위에 설치되는 몰드와, 상기 몰드 위에 설치되며 발열재 층을 구비하여 압탕부를 구성하는 압탕 케이스를 이용하여 대형강괴를 주조함에 있어서, 압탕부와 몰드의 상단부에 열전도도가 1 W/moK 이하인 재질로 제작한 단열띠를 설치하고, 몰드 하단부에 열전도도가 40~400 W/moK 인 재질로 제작한 냉금을 설치하여 강괴의 응고 동안의 응고모델을 조절하여 주조결함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띠는 상하의 폭을 20~100mm/ton 의 범위로 하고, 두께는 10~200mm 범위로 하여 제작되고, 내부에는 전열선이 내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금은 상하의 폭을 몰드 전체 높이의 1/10에서 1/3 범위로 하고, 두께는 10~200mm/10톤 범위로 하여 제작되고, 내부에는 냉각수 코일이 내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대형강괴 몰드의 상부와 압탕부 또는 핫탑(Hot top) 부분에 일정 두께를 가지는 단열띠를 일정한 폭으로 설치하여 몰드 내에 충진된 용강이 몰드를 통하여 냉각될 때 압탕부와 몰드 상부에서의 응고속도를 조절하여 강괴 내 응고결함이 적은 주조품을 제공한다.
압탕부 및 몰드상부 외벽에 설치하는 상기 단열띠의 크기와 단열특성은 강괴의 크기 및 용강의 종류, 몰드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됨으로 실제주조에서 얻어진강괴의 응고형상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모의주조에서의 강괴응고모델을 바탕으로 설정하여 실시한다.
또한, 몰드하단에서는 냉금 또는 냉각장치를 적용하여 주입된 몰드내 용강의 응고속도를 빠르게 진행하여 응고된 강괴내 응고수축, 기공, 응고균열과 같은 잔류결함을 최소화 하며, 냉금의 크기 및 냉금재의 열적성질은 컴퓨터 모사주조를 통하여 도출하여 실시하고 결과를 평가한다.
도 2는 대형강괴를 주조하기 위한 몰드에 본 발명의 단열띠 및 냉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주조하는 강괴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서, 특히 몰드 형상비에 따라서 압탕부(2)의 압탕 케이스(4) 및 몰드(1) 상부에 적용하는 최적의 단열띠(10)의 폭, 두께, 재질조건과 몰드(1) 하단에 적용하는 냉금(20)의 폭, 두께, 재질조건 등을 컴퓨터 모의주조를 통하여 도출한 후에 용강을 주입하기 전 각각 단열띠(10)와 냉금(20)을 탈착이 자유로운 형태로 조립하여 설치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단열띠(10)에는 전열선(11)을 내장 설치하여 보온효과를 크게할 수도 있고, 냉금(20)에는 내부에 수냉 또는 공냉을 위한 냉각수 코일 또는 냉각 압축공기 라인(21)을 내장 설치하여 냉각효과를 더욱 크게 조절할 수도 있다.
대형강괴 주조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몰드와 압탕부 재질로 회주철인 FC20, FC25 등을 사용하고, 용강의 재질을 JIS규격으로 S45C, SUS304, SCM440, SKD11, SKD61 등의 강종으로 적용할 때, 강괴의 자연 응고시간을 0.5~0.6시간/톤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주입후 약 0.8~1시간/톤 지난후 주형과 주조품을 분리하는 것을 작업표준으로 하고 있다.
상기 단열띠(10)에 적용되는 단열재의 재질은 열전도도가 1W/moK 이하인 재질로 하여, 압탕부(2)와 몰드(1) 상부 단열폭 전체를 20~100mm/ton 으로 하고, 두께는 모든 강괴의 경우에 10~200mm 범위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띠(10) 내부에는 전열선(8)이 내장되어 단열효과 및 압탕부(2)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0.5~10KW/m2의 용량으로 가열하도록 한다.
이때, 단열띠(10)의 단열특성을 나타내는 열전도도가 1W/moK 보다 큰 경우는 단열띠(10)의 체적에 비하여 단열효과가 미약하여 단열띠의 부피가 커서 적용에 제약을 받거나 실효성이 적게 된다. 또한, 전열선(11)을 사용한 가열장치는 가열용량이 0.5W/m2이하인 경우엔 그 가열효과가 미약하여 효과를 보기가 어려무며, 10W/m2이상인 경우는 가열과잉이 되어 필요 이상의 전력소모를 초래하여 적합하지 않다.
한편, 몰드(1) 하부에 냉각속도를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냉금(20)의 재질은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도가 40~400W/moK 정도로 높은 재질을 선택하여, 몰드 높이의 1/10에서 1/3 폭 범위로 하여, 10~200mm/10톤 두께로 탈착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내부에는 냉각수가 통과하도록 냉각수 코일(21)을 설치하여 냉각속도를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몰드(1) 하단의 냉금(20)의 크기에 있어서, 냉금(20)의 높이를 몰드 전체 높이의 1/10 이하로 할 경우 또는 냉금의 두께가 10mm 이하인 경우에는 냉각효과가 미약하여 몰드(1) 하단부의 응고속도 제어효가가 미약하며, 냉금(20)의 높이가 몰드 전체높이의 1/3를 초과하면 몰드(1) 중심부 응고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오히려 응고모델에 악영향을 줄 수 가 있으며, 냉금(20)의 두께를 200/10톤 이상 하는 것은 불필요한 설치이므로, 가능한 냉금(20)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량을 조절하여 응고모델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몰드(1) 상부에는 전열선(11)이 내장된 단열띠(10)를 적용하고, 몰드(1) 하단부에서는 냉각수 코일(21)이 내장된 냉금(20)을 설치하여 응고모델을 조절함으로서 목적하는 주조품에서 응고결함에 의한 내부결함이 적은 건전한 주조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탕부와 몰드 상부에의 단열띠 적용과, 몰드 하단에 냉금을 동시 적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어느 한 가지만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SCM440 합금강을 몰드형상비(길이/폭)가 1.5~1.8 범위에 있는 30톤 크기의 몰드에 열전도도가 0.5~1.5 W/moK 범위의 단열띠를 폭과 두께를 변화시켜 가면서 몰드 상단부에 설치하고, 융점보다 50oC 높게 초가열된 용강을 주입하여 주조할 때얻은 강괴의 주조내부결함 및 품질을 정성적으로 비교 평가하여 얻은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열띠의 적용 폭 및 두께에 따른 30톤 강괴 주조품질 평가표
열전도도(W/m。K) 단열띠 폭/몰드 폭 단열띠두께(㎜) 수축공(%) 응고균열 균열위치 주괴품질
1.5 0.1 10 8 많음 주괴중단 ×
100 8 많음 주괴중단 ×
150 7 많음 주괴중단 ×
200 7 많음 주괴중단 ×
0.2 10 4 많음 주괴중단 ×
100 3 많음 주괴중단 ×
150 3 약간 주괴상단
200 2 약간 주괴상단
0.5 10 3 약간 주괴중단
100 2 약간 주괴중단
150 2 적음 주괴상단
200 2 적음 주괴상단
1.0 0.1 10 8 많음 주괴중단 ×
100 7 많음 주괴중단 ×
150 6 약간 주괴중단
200 6 약간 주괴중단
0.2 10 1 적음 주괴상단
100 0.5 없음 압탕부
150 0.1 없음 압탕부
200 0.1 없음 압탕부
0.5 10 0.5 적음 압탕부
100 1 없음 압탕부
150 1 적음 주괴상단
200 2 적음 주괴상단
0.5 0.1 10 8 많음 주괴중단 ×
100 7 많음 주괴상단 ×
150 6 약간 주괴상단
200 6 약간 주괴상단
0.2 10 0.5 적음 압탕부
100 0.1 없음 압탕부
150 0.1 없음 압탕부
200 0.1 없음 압탕부
0.5 10 0.5 적음 주괴상단
100 1 적음 주괴상단
150 2 약간 주괴상단
200 2 약간 주괴중단
상기 표 1에서 ◎는 우수, ○는 양호, △는 보통, ↓는 미달, ×는 불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2
SCM440 합금강을 몰드형상비(길이/폭)가 1.5~1.8 범위에 있는 30톤 크기의 몰드에 열전도도가 40~400 W/moK 범위의 냉금을 폭과 두께를 변화시켜 가면서 몰드 하단부에 설치하고, 융점보다 50oC 높게 초가열된 용강을 주입하여 주조할 때 얻은 강괴의 주조내부결함 및 품질을 정성적으로 비교 평가하여 얻은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냉금의 적용 폭 및 두께에 따른 30톤 강괴 주조품질 평가표
열전도도(W/m。K) 냉금 폭/몰드 폭 냉금두께(㎜) 수축공(%) 응고균열 균열위치 주괴품질
40 0.1 30 8 많음 주괴중단 ×
100 8 많음 주괴중단 ×
300 5 많음 주괴중단 ×
600 4 많음 주괴중단 ×
0.3 30 5 많음 주괴중단 ×
100 4 많음 주괴중단 ×
300 3.5 약간 주괴상단
600 2 약간 주괴상단
0.5 30 4 약간 주괴중단 ×
100 3.5 약간 주괴중단
300 3 적음 주괴상단
600 1.5 적음 주괴상단
200 0.1 30 4 많음 주괴중단 ×
100 3.5 많음 주괴중단 ×
300 3 약간 주괴중단
600 2.5 약간 주괴중단
0.3 30 3 적음 주괴상단
100 1.5 없음 압탕부
300 0.5 없음 압탕부
600 0.2 없음 압탕부
0.5 30 2 적음 압탕부
100 1.2 없음 압탕부
300 0.7 적음 주괴상단
600 0.8 약간 주괴상단
400 0.1 30 3 많음 주괴중단
100 2.5 많음 주괴중단
300 1.7 약간 주괴중단
600 1.3 약간 주괴중단
0.3 30 1.3 없음 압탕부
100 0.5 없음 압탕부
300 0.3 없음 압탕부
600 0.1 없음 압탕부
0.5 30 1.5 적음 주괴상단
100 1.1 적음 주괴상단
300 0.8 적음 주괴상단
600 0.9 약간 주괴중단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하면, 대형강괴의 주조공정에서 압탕부 및 몰드 상단부의 단열법 및 몰드 하단부의 냉금에 의한 냉각법을 적용하여 응고과정동안 응고모델을 조절함으로써 강괴의 용강내 존재할 수 있는 비금속 개재물의 부상분리효과와 가스의 제거, 응고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수축공 및 내부 기공과 같은 주조결함을 방지하여 건전한 강괴를 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정반 위에 설치되는 몰드와, 상기 몰드 위에 설치되며 발열재 층을 구비하여 압탕부를 구성하는 압탕 케이스를 이용하여 대형강괴를 주조함에 있어서,
    상기 압탕부와 몰드의 상단부에 열전도도가 1 W/moK 이하인 재질로 제작한 단열띠를 설치하여 강괴의 응고 동안의 응고모델을 조절하여 주조결함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2. 정반 위에 설치되는 몰드와, 상기 몰드 위에 설치되며 발열재 층을 구비하여 압탕부를 구성하는 압탕 케이스를 이용하여 대형강괴를 주조함에 있어서,
    상기 몰드 하단부에 열전도도가 40~400 W/moK 인 재질로 제작한 냉금을 설치하여 강괴의 응고 동안의 응고모델을 조절하여 주조결함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3. 정반 위에 설치되는 몰드와, 상기 몰드 위에 설치되며 발열재 층을 구비하여 압탕부를 구성하는 압탕 케이스를 이용하여 대형강괴를 주조함에 있어서,
    상기 압탕부와 몰드의 상단부에 열전도도가 1 W/moK 이하인 재질로 제작한 단열띠를 설치하고, 상기 몰드 하단부에 열전도도가 40~400 W/moK 인 재질로 제작한 냉금을 설치하여 강괴의 응고 동안의 응고모델을 조절하여 주조결함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띠는 상하의 폭을 20~100mm/ton 의 범위로 하고, 두께는 10~200mm 범위로 하여 제작되고, 내부에는 전열선이 내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금은 상하의 폭을 몰드 전체 높이의 1/10에서 1/3 범위로 하고, 두께는 10~200mm/10톤 범위로 하여 제작되고, 내부에는 냉각수 코일이 내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KR1019990057094A 1999-12-13 1999-12-13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KR10034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94A KR100347561B1 (ko) 1999-12-13 1999-12-13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94A KR100347561B1 (ko) 1999-12-13 1999-12-13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784A KR20010055784A (ko) 2001-07-04
KR100347561B1 true KR100347561B1 (ko) 2002-08-07

Family

ID=1962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094A KR100347561B1 (ko) 1999-12-13 1999-12-13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235B1 (ko) * 2001-10-22 2004-11-16 주식회사 포스코 대형 스텐레스 강괴 주조방법
CN117862432A (zh) * 2023-12-22 2024-04-12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大型铸锭凝固质量的浇铸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784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40140A (zh) 一种提高亚包晶钢铸坯中心偏析质量的方法
RU2296034C2 (ru) Обработка расплавленных металлов движущейс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дугой
EP37506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tructure of solidified cast ingot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and control device thereof
JPH01170550A (ja) 鋼の連続鋳造用鋳型
KR100347561B1 (ko) 대형강괴의 주조방법
JP2001516284A (ja) 改良された連続鋳型及び連続鋳造法
CN103317108B (zh) 连铸坯振痕控制方法
CN102974794B (zh) 一种降低连铸钢包或中间钢包钢水过热度的装置和方法
Li et al. Effect of multielectromagnetic field on meniscus shape and quality of continuously cast metals
KR101254110B1 (ko) 복층주편 슬라브 연속주조장치
CN214442909U (zh) 一种特殊钢凝固组织模拟装置
KR100333074B1 (ko) 압탕 가열법에 의한 대형강괴 주조방법
KR20080055417A (ko) 도가니 내에 용해잔탕이 남지 않도록 하는수평연속주조장치
KR100405515B1 (ko) 보조 주형을 이용한 강괴 주조방법
KR100524613B1 (ko) 연속주조몰드의 폭방향 자기장 제어방법
KR20110076571A (ko) 대형 강괴 주조 방법 및 주조 몰드
JPS632535A (ja) 鍛造用鋼塊品の製造方法
KR100538057B1 (ko) 스테인레스 대형강괴 주조용 몰드
KR20120071474A (ko) 복층주편 슬라브 연속 주조방법
KR101400040B1 (ko) 턴디쉬의 용강온도 유지방법
KR100457235B1 (ko) 대형 스텐레스 강괴 주조방법
KR101435115B1 (ko) 슬라브 표면 결함 예측 방법
Zheng et al. Experimental study of concavity of large EMC slab
JPS59209456A (ja) 鋼塊の製造法
KR101175642B1 (ko) 몰드 슬래그 필름층 형성 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