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252B1 - 진공식 난방 보일러 - Google Patents

진공식 난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252B1
KR100347252B1 KR1020000010033A KR20000010033A KR100347252B1 KR 100347252 B1 KR100347252 B1 KR 100347252B1 KR 1020000010033 A KR1020000010033 A KR 1020000010033A KR 20000010033 A KR20000010033 A KR 20000010033A KR 100347252 B1 KR100347252 B1 KR 10034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pipe
vacuum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757A (ko
Inventor
장동현
정명호
Original Assignee
장동현
정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현, 정명호 filed Critical 장동현
Priority to KR102000001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252B1/ko
Priority to KR2020000005684U priority patent/KR200189752Y1/ko
Publication of KR2001008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02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live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4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20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securing water-tube 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4Supporting, suspending, or sett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식 난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의 상태에서 난방용수 가열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수증기가 이때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유로 사이클을 순환하면서 실내 난방을 수행함에 있어서, 환수유로상의 수증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간을 부가시킴으로서 진공압 차에 의한 유로 순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효율의 보일러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 전기 또는 유류의 가열에 의해 고온의 수증기가 발생되는 수증기발생실(1), 상기 수증기 발생실(1)을 포함하는 내부유로의 진공을 이루기 위한 진공펌프(13)를 포함하는 가운데, 상기 수증기 발생실(1)의 가열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고온의 수증기가 난방파이프(14)를 순환하면서 실내난방이 실시되는 통상의 진공 보일러에 있어서: 수증기발생실(1)로 부터 진공압에 의해 흡인되어 상기 난방파이프(14)를 통과하는 수증기는 소정구간에서 냉각밴딩관(6a)을 이루고 있는 환수관(6)을 통해 다시 환수액저장고(8)로 안내되되, 상기 냉각밴딩관(6a) 구간은 냉각수저장탱크(7)에 내설됨으로 환수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식 난방 보일러{A HEATING BOILER FOR VACUUM TYPE}
본 발명은 난방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진공의 상태에서 난방용수 가열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수증기가 이때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유로 사이클을 순환하면서 실내 난방을 수행함에 있어, 환수유로상의 수증기를 냉각시킴으로서 진공압 차에 의한 순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진공식 난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탕 또는 난방용 온수의 가열방식은 직접가열 방식과 간접가열 방식으로 구분되는 바, 직접가열방식은 급수에 포함된 불순물이 급탕 또는 난방용 온수에 혼합 공급되므로 급탕수의 오염이 심하고, 용조산소와 불순물에 의하여 관체 및 배관의부식 및 스케일의 퇴적이 심하여 보일러 및 배관의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에 상기한 직접가열 방식의 단점을 해결한 간접가열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간접가열 방식의 보일러를 열원에 의하여 구분하면 증기 가열방식과 온수가열 방식으로 구분되는 바, 증기 보일러는 온수의 가열 온도를 온수 보일러에 비하여 높게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 자체를 작게 만들 수 있고 효율이 양호한 장점이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보일러들은 대기압 이상으로 운전 되므로서 보일러를 일정압력에 견디게 하기 위하여 관체를 내압용기로 만들어야 하고 운전요원이 상주하여야하므로 관리비가 상승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대기압 이하로 운전되어서 안전하고 운전요원이 필요하지 않은 진공 보일러의 보급이 확산 추세에 있다.
이러한 진공을 이용한 난방용 보일러 장치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특허출원번호 97-39198호가 있다.
이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내부진공을 이룬 상태에서 난방용수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증발수증기를 순환시켜 난방등의 행위를 취하고, 이때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난방용수를 가열실에 유입되도록 하여 난방용수를 충족 및 수증기를 순환시키고자 한 것이다.
즉, 순환펌프의 사용없이 가열실의 부압을 이용하여 수증기를 순환시킴으로서, 초기에 인입된 난방용수를 그대로 유지하여 용수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함과 동시에 페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난방용 보일러 구조는 초기동작시 소정의 부압력의 발생에 따른 증기의 순환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별도의 냉각수단이 내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이클 전체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가열실과 난방 순환수단간의 진공압 차가 점차 둔화 되면서 순환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진공화시 발생되는 부압력에 의해 보충수가 보충수공급관을 통해 용수예열실 및 가열실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실제 실험해본 결과 보충수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것으로서, 실내난방을 수행한 후 환수되는 증기유로의 소정구간에서 환수되는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부가시킴으로서 순환사이클 내에서의 구간별 진공압 차에 의한 고온 수증기의 순환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실내난방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 인입된 난방용수의 손실없이 환수유로에서 수증기의 결로를 위한 냉각이 이루어져 난방용수의 손실에 따른 보충량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환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난방 보일러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상기 보일러의 동작에 따라 환수액이 저장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증기 발생실 1a : 격막
2 : 버너 3 : 용수저장고
3a : 배수관 3b : 개폐밸브
3c : 용수공급관 4 : 난방파이프 연결관
4a : 가열 밴딩구간 6 : 환수관
6a : 냉각 밴딩구간 6b : 환수액안내부
7 : 냉각수 저장탱크 8 : 환수액저장고
8a : 환수액공급파이프 9 : 수분제거부
9a : 진공유도관 10 : 유지층
11 : 주입구 12 : 볼탑
13 : 진공펌프 14 : 난방파이프(실내측)
15 : 진공탱크 16 : 계측기
17 : 수위센서 20a,20b,20c,20d : 체크밸브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수증기발생실로 연결파이프를 통해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저장고가 설치되되, 발생된 수증기를 다시 용수저장고측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증기토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용수저장고의 일측에는 내부로 토출된 수증기를 실내의 난방파이프로 안내하기 위한 연결관이 연결되되, 상기 연결관의 소정구간은 버너 및 수증기 발생실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는 가열 벤딩구간을 이루며; 상기 난방파이프를 통과한 수증기는 소정구간에서 냉각밴딩관을 이루고 있는 환수관을 통해 다시 환수액저장고로 안내되되, 상기 냉각밴딩관 구간은 냉각수저장탱크에 내설됨으로 환수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환수액저장고는 상기 수증기발생실과 연통되며 내부에 체크밸브가 내설된 환수액공급파이프가 저면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연결파이프에 의해 수분제거부와 연통 설치되며;
상기 수분제거부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진공유도관이 구비되되, 진공유도관 내측에는 상기 연결파이프가 소정높이로 형성되고;
진공펌프와 일측이 연통되는 진공탱크는 그 타측이 상기 수분제거부와 연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보일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보일러 시스템의 구조를 살펴보면, 난방용 용수가 저장되는 용수저장고(3)와, 상기 용수저장고(3)로 부터 용수를 공급받으며 버너(2)에 의한 가열시 증발 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수증기발생실(1)과, 상기 발생된 수증기를 실내측 난방을 수행하는 난방파이프(14) 입구측으로 안내하는 난방파이프 연결관(4)과, 상기 난방파이프(14) 출구측에 연결되어 실내 열교환을 이룬 수증기를 다시 환수시키는 환수관(6)과, 상기 환수관(6)의 소정구간이 경유되면서 환수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저장탱크(7)와, 상기 냉각수저장탱크(7)를 통과하면서 상변화에 의해 생성된 결로(結露)가 모여짐과 동시에 모여진 환수액을 상기 용수저장고(3)로 재 공급하기 위한 환수액저장고(8)로 개략적인 난방 사이클이 이루어지고,
상기 환수액저장고(8) 상부에는 연결파이프(9b)에 의해 연결되며 내부에 일정두께의 유지층(10)이 형성되는 수분제거부(9)가 위치하되, 수분제거부(9)의 일측에는 진공탱크(15)가 연결되어 진공펌프(13) 작동에 의한 보일러 내부의 진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난방파이프 연결관(4)과 환수관(6)은 각각 수증기 발생실(1)과 진공탱크(7)의 외주를 복수의 환형으로 감싸는 밴딩부(4a)(6a)를 형성하여 내부로 안내되는 고온의 수증기가 보다 효율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7)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냉각수가 적정한 수위에서 자동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볼탑(12)을 냉각수 수면상에 설치하고, 상기 볼탑(12)은 냉각수공급관(12a)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수위의 고/저에 따라 자동적인 냉각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수분제거부(9) 내에 일정높이로 세우져 있는 연결파이프(9b)는 진공유도관(9a)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되어 유지층(10)으로 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용수저장고(3)는 저면을 관통하는 배수관(3a)이 소정높이로 설치되되, 배수관(3a)의 하단에는 개폐밸브(3b)가 구비되어 용수저장고(3) 내부에 저장되는 난방용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고, 측면에는 초기 용수 공급을 위한 용수공급관(3c)이 설치되었다.
또한, 수증기 발생실(1) 내에는 소정의 체적을 이루고 있는 격막(1a)이 상부통공(1a')과 하부통공(1a")을 이룬 상태로 형성되어, 연결파이프(5)를 통해 용수저장고(3)로 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용수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서 가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즉, 연결파이프(5)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는 격막(1a)내에서 일정온도로 가온이 된 상태로 하부통공(1a")을 통해 가열원측으로 보내지게 되고, 버너(2)에 의해 가열되어 수증기 발생실(1) 내에서 상승되는 용수중 완전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은 용수는 상부통공(1a")을 통해 격막(1a)내로 다시 환원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보충수저장고(9) 내로 보충수 및 유지층(10) 형성을 위한 유지 공급을 위한 주입구를 나타내고, 20a,20b,20c,20d는 각각 유체의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예비단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수분제거부(9) 내에는 주입구(11)를 통해 일정량의 보충수를 1차주입하여 연결파이프(9b)의 상단을 넘지 않는 수위까지 채운 후, 2차로 유지를 주입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수 위에 소정두께의 유지층(10)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용수저장고(3) 내에는 용수공급관(3c)을 통하여 외부로 부터 용수가 공급되어 소정수위를 이루게 되면, 용수의 공급을 멈춘 상태에서 배수관(3a)의 개폐밸브(3b)를 개방시켜 과 급수된 용수를 배출시키면서 용수의 수위를 배수관(3a) 높이까지 낮춘 후 개폐밸브(3b)를 닫게 된다.
이때, 용수저장고(3) 내의 용수는 연결파이프(5)를 통해 하부의 수증기 발생실(1)로 공급되면서 동일한 수위를 이루게 된다.
또한, 냉각수 저장탱크(7) 내에도 냉각수 공급관(12a)을 통한 냉각수의 공급이 소정 수위까지 계속되며, 볼탑(12)에 의해 적정한 수위가 감지되면 냉각수 공급관(12a)이 폐쇄되면서 냉각수의 공급이 멈추게 된다.
이와같이 이룬 상태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일러의 동작을 위한 완료단계로서, 이때는 환수액저장고(8)가 비어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펌프(13)의 가동에 의해 내부 공기가 흡인되는 내부진공이 실시되면, 진공펌프(13)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체크밸브(20d)와 환수구(6) 상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20c)는 개방되고 다른 체크밸브(20a,20b) 및 외부와 연통되는 개폐장치는 모두 닫혀지게 되면서 보일러 내부유로에는 강한 진공압이 걸리게 된다.
즉, 수분제거부(9), 환수액저장고(8), 그리고 환수관(6) 및 난방파이프 연결관(4)으로 이어지는 유로를 통해 용수저장고(3)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흡입되면서 해당공간의 진공이 이루어지며, 특히 진공유로를 이루고 있는 수분제거부(9)의 경우 진공펌프(13)의 동작에 의해 연결파이프(9b)를 통해 흡인되는 내부유로상의 공기는 체크밸브(20a)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도면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충수를 통해 유지층(10)을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흡착. 제거되고 순수한 공기만이 진공탱크(15)측으로 흡인되면서 보일러 내부의 각 부위가 동일한 진공압을 이루는 진공평형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진공동작을 통해 내부가 적절한 진공상태를 이루면, 이는 진공탱크(15)에 설치되어 있는 계측기(15a)가 감지하여 현재의 진공압이 설정된 값에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신호를 보냄으로서 진공펌프(13)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후, 난방을 위해 버너(2)를 작동시켜 주게되면 가열에 의해 수증기발생실(1)이 가열되면서 내부에 채워져 있는 용수가 증발수증기를 발생시켜 증기토출관(1b)을 통해 용수저장고(3)로 보내지고, 이러한 수증기의 발생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하여 용수저장고(3)의 진공압이 약해지면서 수증기는 난방파이프 연결관(4)을 통해 난방파이프(14)로 빨려들어가 실내 난방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증기는 진공압 차에 의한 계속적인 순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난방파이프 연결관(4)을 통해 고속으로 이동되는 고온의 수증기는 수증기 발생실(1)에 근접 설치되어 있는 가열밴딩구간(4a)을 통과하게 되며, 여기서 간접가열에 의한 영향으로 더욱 고온의 수증기 상태를 이루게 됨과 동시에 수증기 분자가 순간적으로 증폭되면서 이동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된다.
그리고 난방파이프(14)를 통과하면서 실내난방을 이룬 수증기는 환수관(6)을 통해 환수액저장고(8)로 보내지게 되는데, 환수관(6)의 일부구간이 냉각수저장탱크(7) 내에서 냉각밴딩구간(6a)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를 통과하는 수증기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온도의 저하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환수되던 수증기는 이러한 냉각작용에 의해 물방울로 액상화 되어 환수액 안내부(6b)를 통해 환수액저장고(8)로 떨어지면서 저장고 내의 환수액은 수증기의 순환이 반복됨에 따라 점차 그 수위가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만일 환수되는 수증기의 냉각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수액저장고(8)를 포함하는 수증기의 환수유로는 내부온도가 증가되면서 용수저장고(3)와의 진공압차가 점차 둔해짐으로 인해, 가열수증기가 순환하지 않게 됨으로 수증기의 연속적인 순환을 위해서 상기 냉각작용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됨을 알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난방동작이 계속되는 가운데 용수저장고(3) 내의 용수가 수증기 증발로 인해 점차 감소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저장되는 용수가 일정수위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이를 수위감지센서(17)가 감지하여 버너(2)의 가동을 멈추게 된다. 이경우 용수저장고(3)측의 부압이 점차 감소되면서 역진공압이 용수저장고(3)측으로의 걸리게 되나, 체크밸브(20c)에 의해 환수관(6)으로의 증기 이동이 방지됨으로 환수액저장고(8)와 용수저장고(3)간의 진공압 차에 의해 환수액공급파이프(8a)를 통해 환수액저장고(8) 내에 저장되어 있던 환수액이 용수저장고(3)로 공급되게 되고, 용수저장고(3)에 일정수위의 용수가 공급되면 이후 버너(2)의 재가동에 의해 계속적인 수증기의 증발이 이루어지면서 부압에 따른 수증기의 순환이 다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수의 증발에 따른 용수공급관(3c)을 통한 추가적인 용수공급은 이루어질 필요가 없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환수되는 수증기중 결로현상에 의해 액상화된 환수액은 환수액저장고(8)에 고이게 되고, 액상화 되지 않은 수증기는 상승되어 연결파이프(9b)를 통해 진공탱크(15) 측으로 흡인됨에 있어서 체크밸브(20a)는 역류를 방지하도록 폐쇄되어 있는 관계로 진공유도관(9a)으로 유도되지 못하고 유지층(10)을 통과하게 되면서 수증기 내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흡착된다. 결국, 흡착된 수분은 수분제거부(9)내의 보충수 수위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인해 수위가 연결파이프(9b)보다 높아지게 되면 연결파이프(9b)를 통해 환수액저장고(8)로 일부 보충수가 낙하 되어환수액의 수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장시간 동작으로 인해 내부의 진공압이 저하될 경우 상대적으로 수증기의 순환력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는 진공탱크(7)에 설치되어 있는 계측기(16)가 감지하여 버너(2)의 가동을 멈추고 이후 진공펌프(13)를 다시 가동시켜 환수액저장고(8) 및 환수유로의 진공압을 다시 일정수준으로 높임으로서 진공압 차에 의한 난방사이클의 순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냉각수 저장탱크(7)의 경우는, 냉각밴딩구간(6a)을 지나는 고온의 수증기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해 점차 온도가 상승되면서 냉각수의 증발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인한 수위의 저하시는, 수면위에 떠있는 볼탑(12)의 작용에 의해 냉각수공급관(12a)이 개방되면서 냉각수가 보충되어 적정한 수위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보일러구조는 난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수증기를 보일러내부의 진공유로를 따라 순환시킴에 있어 환수유로가 냉각수저장탱크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서, 진공순환의 원동력인 수증기 발생부와 수증기환수부 간의 진공압 차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환수되는 수증기는 냉각에 의해 액상화 되어 모아진 후 진공압차를 이용하여 용수 저장고로 재 공급시킬 수 있게 되어 용수의 순환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로서, 즉 종래 기술의 진공보일러 구조에 의하면 가열실의 부압에 의한 난방용수의 보충 및 발생된 수증기의 순환이 이루어져야 하나 실제 실험결과 진공평형에 따른 난방용수의 가열실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등 동작상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진공압 차에 의한 수증기의 순환이 진공유로내에서 빠른속도로 이루어지면서 원활한 실내난방이 수행됨과 동시에 효율적인 수증기의 환수가 이루어지게 됨을 실제 실험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진공식 난방보일러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진공식 난방보일러는, 내부 유로를 진공시킨 후 수증기 발생에 따라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수증기의 유로순환을 이루기 때문에 별도의 순환펌프가 필요치 않은 것으로서, 실내난방을 수행한 후 환수되는 증기유로의 소정구간에서 환수되는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부가시킴으로서 순환사이클 내에서의 진공압 차에 의한 수증기의 순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 환수되는 증기는 냉각시스템을 통해 재 환수되는 결로액의 량이 더욱 증가될 수 있어 가열을 위한 용수의 필요 공급량을 최소화 할 수 있게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5)

  1. 가열에 따른 고온의 수증기가 발생되는 수증기발생실(1), 상기 수증기 발생실(1)을 포함하는 내부유로의 진공을 이루기 위한 진공펌프(13)를 포함하는 가운데, 상기 수증기 발생실(1)의 가열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고온의 수증기가 난방파이프(14)를 순환하면서 실내난방이 실시되는 통상의 진공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발생실(1)은 용수의 가열에 따라 발생된 고온의 수증기를 용수저장고(3) 측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증기토출관(1b)이 구비되되, 상기 용수저장고(3)로 부터 용수를 공급받기 위한 연결파이프(5)가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수저장고(3)는, 상기 증기토출관(1b)을 통해 유입된 수증기를 실내의 난방파이프(14)로 안내하기 위한 연결관(4)이 연결되되, 상기 연결관(4)의 소정구간은 상기 버너(2) 및 수증기 발생실(1)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는 가열 벤딩구간(4a)을 이루며;
    상기 난방파이프(14)를 통과한 수증기는 소정구간에서 냉각밴딩관(6a)을 이루고 있는 환수관(6)을 통해 다시 환수액저장고(8)로 안내되되, 상기 냉각밴딩관(6a) 구간은 냉각수저장탱크(7)에 내설됨으로 환수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환수액저장고(8)는 상기 수증기발생실(1)과 연통되며 내부에 체크밸브(20b)가 내설된 환수액공급파이프(8a)가 저면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연결파이프(9b)에 의해 수분제거부(9)와 연통 설치되며;
    상기 수분제거부(9)는 체크밸브(20a)가 설치된 진공유도관(9a)이 내부에 구비되되, 진공유도관(9a) 내측에는 환수액저장고(8)와 연통되는 상기 연결파이프(9b)가 소정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펌프(13)와 일측이 연통되는 진공탱크(15)는 그 타측이 상기 수분제거부(9)와 연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난방보일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7) 내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냉각수의 수위 조절을 위한 볼탑(12)이 소정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공급관(12a)과 연동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난방보일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수저장고(3)는, 개폐밸브(3b)가 설치된 배수관(3a)이 저면에서 소정높이로 설치되어 용수저장고(3) 내부에 저장되는 난방용수의 수위를 조절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난방보일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발생실(1)은, 용수저장고(3)로 부터 연결파이프(3c)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버너(2)로 부터 직접 열을 받는 가열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격막(1a)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난방보일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막(1a)은, 소정의 체적을 이루되 상부와 하부에는 용수의 유동을 위한 연통공(1a',1a")이 각각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난방보일러.
KR1020000010033A 2000-02-29 2000-02-29 진공식 난방 보일러 KR10034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033A KR100347252B1 (ko) 2000-02-29 2000-02-29 진공식 난방 보일러
KR2020000005684U KR200189752Y1 (ko) 2000-02-29 2000-02-29 진공식 난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033A KR100347252B1 (ko) 2000-02-29 2000-02-29 진공식 난방 보일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684U Division KR200189752Y1 (ko) 2000-02-29 2000-02-29 진공식 난방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757A KR20010084757A (ko) 2001-09-06
KR100347252B1 true KR100347252B1 (ko) 2002-08-03

Family

ID=196510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684U KR200189752Y1 (ko) 2000-02-29 2000-02-29 진공식 난방 보일러
KR1020000010033A KR100347252B1 (ko) 2000-02-29 2000-02-29 진공식 난방 보일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684U KR200189752Y1 (ko) 2000-02-29 2000-02-29 진공식 난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97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19A (ko) 2015-05-12 2016-11-22 정상열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83B1 (ko) * 2004-03-03 2007-07-30 박경호 무동력 온수강제순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408A (ja) * 1997-07-16 1999-02-12 Nakano Kimie 無負荷時も減圧運転を行なって真空蒸気の発生を促す真空蒸気ボイラ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408A (ja) * 1997-07-16 1999-02-12 Nakano Kimie 無負荷時も減圧運転を行なって真空蒸気の発生を促す真空蒸気ボイラ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19A (ko) 2015-05-12 2016-11-22 정상열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757A (ko) 2001-09-06
KR200189752Y1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153B1 (ko) 응축수의 강제 순환과 진공압 유지 및 물 보충 자동형 진공 스팀 보일러
US6303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illing liquid
KR101028053B1 (ko) 일체형원자로의 피동 잔열제거계통
KR101373830B1 (ko) 진공압 유지와 물 보충 자동형 진공 스팀 보일러
CN1959310A (zh) 载热体加热冷却装置
JP5869000B2 (ja) 蒸気圧を利用した自動給水式蒸気発生器
KR100347252B1 (ko) 진공식 난방 보일러
KR102044482B1 (ko) 진공식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KR100847591B1 (ko) 증기회수장치용 펌핑장치
KR101549607B1 (ko) 탱크의 압력조정장치
JP5319906B2 (ja) 低温液体加熱方法及びその装置
US5921085A (en) Condenser with built-in deaerator and starting/stopping methods of the same
JP3725221B2 (ja) 復水回収装置
RU2631057C1 (ru) Система пассивного отвода тепла реак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KR101752395B1 (ko)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CN1143105C (zh) 吸收式制冷机
JPH0252177B2 (ko)
JP2003329382A (ja) 蓄熱装置
KR950003784B1 (ko) 온수순환장치
CN112484373B (zh) 用于冰箱的蓄水散热装置和冰箱
CN217953174U (zh) 蒸气凝水回收装置
KR101042941B1 (ko) 직화 노통 연소식 온수 기화기
KR200288923Y1 (ko) 온풍기
JP2002257497A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温度制御方法並びに温熱供給装置
KR970075744A (ko) 난방 보일러의 난방수 순환방법과 난방 보일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