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049B1 - 압전 자기 조성물 - Google Patents

압전 자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049B1
KR100347049B1 KR1019990046038A KR19990046038A KR100347049B1 KR 100347049 B1 KR100347049 B1 KR 100347049B1 KR 1019990046038 A KR1019990046038 A KR 1019990046038A KR 19990046038 A KR19990046038 A KR 19990046038A KR 100347049 B1 KR100347049 B1 KR 10034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ceramic composition
piezoelectric
composi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162A (ko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0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 C04B35/49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containing also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9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containing also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lead zirconates and lead titanates, e.g. PZT
    • C04B35/49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containing also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lead zirconates and lead titanates, e.g. PZT containing also other lea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9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the particle size being expressed by crystallite size or primary particle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압전 변압기의 원료로 쓰이는 압전 자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100℃ 이하의 저온에서 소결이 가능하여 기계적 품질계수(Qm)와 전기기계 결합계수(Kp)가 높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압전 자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성식 XPb1-αBaα(Sb2/3W1/3)O3- YPb1-αBaα(Mn1/3Nb2/3)O3- ZPb(Ti0.47Zr0.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0.03≤X≤0.10, 0.03≤Y≤0.10, 0.90≤Z≤0.97, 0< α<1, X+Y+Z=1을 만족하고, X,Y,Z는 각 화합물의 몰(mol)수이다.
또, 상기 조성식에 은 금속을 500 ~ 1000ppm 첨가하여 1100℃ 이하 온도에서 소성하는 동시에 상기 조성식에 CeO2를 0.1 ~1중량% 첨가시켜 결정립의 크기를 2㎛ 이하로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전 자기 조성물 {Piezoelectric materials composition}
본 발명은 적층형 압전 변압기의 원료로 쓰이는 압전 자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100℃ 이하의 저온에서 소결이 가능하며, 기계적 품질계수(Qm)와 전기기계 결합계수(Kp)가 높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압전 자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참조된 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압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압전체를 나타내고, 2는 출력측 단자전극을 나타내며, 3은 외부전극을 나타내고, 4는 내부전극을 나타내며, 5는 단자전로를 나타낸다.
종래의 압전 자기 조성물은 PZT(지르콘티탄산연)로 대표되는 2성분계의 압전 자기 조성물과 이를 주성분으로 하여 CaCO3(탄산칼슘), BaCO3(탄산바륨), SrCO3(탄산스트론튬) 등을 Pb자리에 일부 치환하거나 Nb2O5(산화니오븀), MnO2(산화망간), Fe2O3(산화철) 등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PZT보다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재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PZT에 제3 성분, 예를 들면, Pb(Mg1/3Nb2/3)O3, Pb(Ni1/3Nb2/3)O3, Pb(Fe1/2W1/2)O, Pb(Ni1/3Ta2/3)O3등을 첨가시킨 3성분계 압전 자기 조성물을 제공하여 압전체의 용도를 한층 더 넓혀왔다.
특히, PZT계에 BaCO3나 SrCO3를 Pb자리에 치환하면 압전체의 정전용량 값을 증가시키고 전기기계 결합계수(Kp)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PZT에 Pb(Mg1/3Nb2/3)O3를 첨가시키면 전기기계 결합계수(Kp)의 값은 향상된다.
그리고, MnO2를 PZT에 첨가한 경우에는 기계적 품질계수(Qm)의 상당한 향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압전 자기 조성물은 단순 PZT에 제3성분계 및 첨가제를사용하여 전기기계 결합계수(Kp)나 기계적 품질계수(Qm) 값을 증가시키게 되나, 이들은 고전력 분야에서 사용할 경우 높은 경시변화율과 낮은 기계적 강도 그리고 높은 전기기계 결합계수(Kp)와 기계적 품질계수(Qm)를 나타내는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LCD 백라이트(Backlight)용 압전 변압기의 경우에는 저소비전력을 사용함으로써 낮은 입력전압하에서 높은 출력전압을 요구하는데에는 적층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적층형 압전 변압기의 경우 층과 층 사이에 내부전극이 형성되고 이들을 동시 소성하여야 하므로 저온에서 소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된다.
또한, 종래의 압전 자기 조성물은 1200℃ ~ 1300℃ 정도의 고온에서 소성을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내부전극의 휘발과 압전 자기 조성물과 내부전극의 수축율의 차이로 인한 내부 미소 크랙(crack)의 생성으로 인해 기계적 강도와 전기적 특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압전 자기 조성물은 그 소성시 내부 결정립의 크기가 5 ~ 10㎛ 정도로 그 크기가 커서 기계적 강도 및 전기적 특성의 경시변화율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층형 압전 변압기에 사용되는 경우, 내부전극과의 동시 소결로 인한 저온 소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전압 하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경시적으로 압전성이 저하되지 않는 동시에 높은 기계적 품질계수 및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갖는 압전 자기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전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압전체 2 : 출력측 단자전극 3 : 외부전극
4 : 내부전극 5 : 단자전로
본 발명은 조성식 XPb1-αBaα(Sb2/3W1/3)O3- YPb1-αBaα(Mn1/3Nb2/3)O3- ZPb(Ti0.47Zr0.53)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한다. 단, 0.03≤X≤0.10, 0.03≤Y≤0.10, 0.90≤Z≤0.97, 0< α<1이고, X+Y+Z=1, X, Y, Z는 각화합물의 몰(mol)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식에 은 금속을 500 ~ 1000ppm 첨가하여 1100℃ 이하 온도에서 소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식에 CeO2를 0.1 ~1중량% 첨가시켜 결정립의 크기를 2㎛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 자기 조성물은 아래의 조성식 1에 의해 결정된다.
(조성식 1)
XPb1-αBaα(Sb2/3W1/3)O3- YPb1-αBaα(Mn1/3Nb2/3)O3- ZPb(Ti0.47Zr0.53)
단, 0.03≤X≤0.10, 0.03≤Y≤0.10, 0.90≤Z≤0.97, X+Y+Z=1이고, α= 0.02로 설정되며, X, Y, Z는 각 화합물의 몰(mol)수이다.
저온 소결을 위한 상기 조성식 1에 500 ~1000ppm 범위의 은 금속을 사용하여 입자의 확산속도를 증가시켜 소결 중에 낮은 온도(1050℃ ~ 1100℃)에서 구조를 치밀하게 하고, 밀도를 95% 이상을 가지게 한다.
또한, 기계적 강도 및 경시변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소결시 결정립의 크기가 5 ~ 10㎛인 것을 CeO2를 0.1 ~ 1중량%를 첨가시켜 내부구조의 결정립 크기를 2㎛ 이하로 조절하여 특성을 구현한다.
즉, 먼저 원료로 PbO, ZrO2, TiO2, MgO, Nb2O5, Sb2O3, WO3, BaCO3(모두 99% 이상의 시약)을 상기 조성식 1에 맞도록 준비하고 기구를 사용하여 24시간 혼합한다.
그 후, 건조기를 사용하여 24시간 건조를 행하고 이를 800 ~ 1000℃에서 1차로 합성을 시킨다. 그 다음, 습식 볼밀(Ball mill)을 사용하여 48 ~ 100시간 동안 분쇄를 하고 건조를 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합성분체의 입자크기는 평균 0.5㎛ 정도이며 비표면적은 5.05m2/g이 된다. 이 분체를 PVA 10wt%를 1wt% 첨가하여 고르게 혼합한 다음 체가름(100mesh)을 한 후 100℃에서 1시간 건조시킨다. 그 후, 직경 18mm 몰드(mold)를 사용하여 1.2 ton/mm의 힘으로 가압 성형한 후 1050 ~ 1200℃ 범위에서 소성을 수행한다.
이렇게 제조된 소성체의 양면에 은 전극을 형성한 후 700 ~ 850℃에서 소성시키고 3kV/mm의 전압으로 분극을 행한다.
이렇게 제조된 압전 자기 조성물의 전기적 특성은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번호 Ba PSW PMN Ce Ag(ppm) 평균결정크기(㎛) 밀도 εr kp σm 소결온도(℃)
1 0.02 0.05 0.03 - - 5.31 7.83 1850 56 1270 1170
2 0.02 0.03 0.05 - - 6.76 7.91 1450 62 1300 1170
3 0.02 0.10 0.10 - - 6.43 7.80 1630 49 1870 1170
4 0.02 0.03 0.05 0.2 - 1.3 7.84 1380 61 1700 1100
5 0.02 0.03 0.05 0.1 500 1.72 7.89 1420 60 1650 1100
6 0.02 0.05 0.05 0.2 1000 1.36 7.80 1250 59 1830 1050
7 0.02 0.10 0.10 1.0 1000 0.54 7.38 980 53 1600 1050
8 0.02 0.04 0.04 - 500 1.76 7.81 1310 58 1540 1100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 4 내지 번호 5, 번호 6내지 번호 8은 고전압 하에서 사용되는 소자로서 이용이 가능하고, 특히, 번호 4는 LCD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압전 변압기의 조성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 자기 조성물은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압전 액츄에이터나 고전압 발생장치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전 자기 조성물은 높은 전기기계 결합계수 및 기계적 품질계수를 나타내고 결정립의 크기의 미세화로 인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며 적층형, 단판형 압전 변압기, 압전 액츄에이터, 또는 고전압 발생장치에 소자원료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아래의 조성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자기 조성물.
    XPb1-αBaα(Sb2/3W1/3)O3- YPb1-αBaα(Mn1/3Nb2/3)O3- ZPb(Ti0.47Zr0.53)O3
    단, 0.03≤X≤0.10, 0.03≤Y≤0.10, 0.90≤Z≤0.97, 0< α<1, X+Y+Z=1이며, X, Y, Z는 각 화합물의 몰(mol)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식에 은 금속을 500 ~ 1000ppm 첨가하여 1100℃ 이하 온도에서 소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자기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식에 CeO2를 0.1 ~1중량% 첨가시켜 결정립의 크기를 2㎛ 이하로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자기 조성물.
KR1019990046038A 1999-10-22 1999-10-22 압전 자기 조성물 KR10034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038A KR100347049B1 (ko) 1999-10-22 1999-10-22 압전 자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038A KR100347049B1 (ko) 1999-10-22 1999-10-22 압전 자기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162A KR20010038162A (ko) 2001-05-15
KR100347049B1 true KR100347049B1 (ko) 2002-08-03

Family

ID=1961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038A KR100347049B1 (ko) 1999-10-22 1999-10-22 압전 자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0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162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6018B1 (en)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s
US6080328A (en) Piezoelectric ceramic and method for producing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
US20070152183A1 (en) Piezoelectric ceram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79202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JP4727458B2 (ja) 圧電セラミックス用焼結助剤、bnt−bt系圧電セラミックス、積層型圧電デバイスおよびbnt−bt系圧電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US6806625B2 (en)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piezoelectric element
JP4752156B2 (ja) 積層圧電素子用圧電磁器組成物、積層圧電素子、積層圧電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圧電装置
US7468143B2 (en)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piezoelectric element
US20070252483A1 (en) Piezoelectric ceramic compostion and piezoelectric actuator
US6413443B1 (en) Piezoelectric ceramic and piezoelectric device
KR100347049B1 (ko) 압전 자기 조성물
JP4432280B2 (ja) 圧電磁器
JPWO2008078487A1 (ja) 圧電磁器組成物及び圧電素子
EP1327615B1 (en) Piezoelectric ceramic and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 comprising the same
CN1286475A (zh) 压电陶瓷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压电器件
KR100380109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JPH0687652A (ja) 圧電材料
US11812665B1 (en) Hard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for multilayer piezoelectric transformers
JP4009417B2 (ja) 圧電磁器および圧電デバイス
JP2003020275A (ja) 圧電磁器及びその組成物
KR100250207B1 (ko) 바이모프 액츄에이터용 압전 세라믹스 조성물
JPH0478582B2 (ko)
KR100186997B1 (ko) 압전 자기 조성물
KR20040049383A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20010096365A (ko) 압전 자기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