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164B1 -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164B1
KR100346164B1 KR1019970062368A KR19970062368A KR100346164B1 KR 100346164 B1 KR100346164 B1 KR 100346164B1 KR 1019970062368 A KR1019970062368 A KR 1019970062368A KR 19970062368 A KR19970062368 A KR 19970062368A KR 100346164 B1 KR100346164 B1 KR 10034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eed
meat
powder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719A (ko
Inventor
박동기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Priority to KR101997006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164B1/ko
Publication of KR1999004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스럽지 못한 냄새(비린내)를 낼 뿐만 아니라 육류의 육질에 비해 쫄깃한 맛의 결함으로 어육질의 촉감(texture)에 문제가 있어 육류에 비해 소비자의 구미를 끌지 못하는 담수어의 육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오징어 뼈인 오적골 가루, 천궁(川芎) 가루, 들깨 분말 등을 혼합한 분말에 두충잎으로부터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인 두충 농축액을 20~50wt% 흡착시킨 다음 음건(陰乾)시켜 제분시킨후 기존 양어 사료에 1~10wt% 첨가하여 제조한 육질개선용 양어사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는 담수어, 해수어는 물론 이를 닭, 돼지, 소 등의 가축 사료로도 이용하여 육질을 개선시킬 수 있어서, 양어 농가와 더불어 양계, 양돈, 양우 농가의 소득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Fodder To Improve Texture Of Fish}
본 발명은 수산 분야의 육질 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어용 사료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입자 및 펠럿이나 과립의 사료에 기공을 형성하여 물위에 장시간 부상되게 함으로써 양어들이 먹을 수 있는 기회를 증대케하고 사료가 물에 침전되어 부패되는 것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게 된 부상성 양어용 사료가 있으며,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는 여러 가지 식물성 및 강류를 배합하여 고단백질과 미네랄 및 비타민의 배합을 크게 한 양어용 복합사료가 있는데, 이는 양어의 성장을 보다 빠르게 촉진할 수 있게 하는 등 담수어의 성장 촉진에만 주안점을 둔 것으로서, 육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기능성 양어 사료 개발에 관한 발명은 없었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담수어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냄새(비린내)를 낼 뿐만 아니라 육류의 육질에 비해 쫄깃한 맛의 결함으로 어육질의 촉감(texture)에 문제가 있어 소비자의 구미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담수어에 대한 소비의 증가가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여 기존의 담수어 양어사료에 첨가함으로써 담수어의 육질을 개선시킴과 아울러 비린내를 제거하여 담수어의 소비를 촉진시켜, 양어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기존 사료에 2% 및 4% 혼합하여 양어중 송어에 각기 급여한 결과 나타난 송어의 육색 변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를 급여한 결과의 지질분석을 위한 송어의 시료 채취부위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전방척추근육 B : 후방척추근육
C : 전방복부근육 D : 후방복부근육
본 발명의 육질개선용 양어사료는 건조된 오적골가루, 천궁가루 및 들깨분말을 혼합한 사전혼합물(premixer)의 분말에 두충잎으로부터 추출한 농축액을 흡착시켜 음건 · 제분한 첨가제를 기존의 양어사료에 1~10wt% 첨가하므로써 제조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술한 어육의 육질개선용 양어사료는,
오적골가루, 천궁가루 및 0.0lwt% 카로테노이드가 첨가된 들깨분말을 3∼5 : 1~2 : 1~2(w/w)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건조된 두충잎 1kg을 2%의 유기 미네랄 함유 수용액 3~5ℓ에 넣고 60~100℃에서 4~6시간 열탕 처리하여 여과 · 추출한후 감압 농축하여 두충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오적골가루 등의 혼합 분말에 상기 두충 추출물을 20~50wt% 흡착시킨후 음건시켜 제분하여 기존 양어 사료에 첨가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질개선용 양어사료의 주요한 재료인 두충잎에는 클로로겐산 (C16H18O9: 2~8%), 카페산, 아우쿠빈(리난틴 또는 아우쿠보시드) (C15H22O9: 2 ~8%), 고무질, 배당체로서는 로가닌 (C17H26O10: 2~8%) 등의 성분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헤르파기드아세타르 (C26H32O12), 에우콤미을 (C9H16O4), 아유고시드, 레프로시드, 플라보노이드, 알카로이드, 유기산, 비타민C 등이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에 치료효과가 좋은 약재로 쓰인다.
또, 유기미네랄은 생체내 물질과 결합된 형태의 미네랄로서 상어뼈나 우골 등의 알카리처리, 가수분해를 통하여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상품화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육질개선용 양어사료의 경제성 및 육질 개선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출하 3개월 전(향어의 경우 약 1kg, 송어의 경우 500~700g)부터 본 발명의 육질개선용 양어사료를 급여하여 그 급여량을 45g부터 시작하여 90g까지 늘려 가며 하루 4회 급여한 다음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는 중량 백분율을 말한다.
<실시예 1>
향어의 육질 개선 ;
건조된 두충잎 1kg에 유기미네랄(스타미네랄(star mineral) : 유디아사 제품) 2% 함유 수용액을 5ℓ 넣고 80℃에서 5시간 열탕 추출, 농축하여 오적골 가루, 천궁 가루, 0.01% 카로테노이드가 첨가된 들깨 가루를 4 : 2 : 2(w/w)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두충 농축액을 35wt% 흡착시킨 다음, 음건시켜 제분하여 첨가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첨가물을 기존 양어 사료 배합 제제에 2wt% 첨가하여 기능성 양어 사료를 얻었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를 출하 3개월 전부터 향어에 급여하여 급여량을 45g에서 시작하여 90g까지 늘려가면서 하루 4회 급여하였다.
위와 같이 급여한 향어의 육질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처리군당 동일 부위의 24개의 육편을 분리해서 총 144개의 시료(20 × 40mm)를 채취하여 전단시험(Shearing test)과 저작성시험(chewing test)을 물성을 측정하는 분석기기로서 매우 민감하게 육질의 물성, 경도(hardness)를 측정할 수 있는 혈류계(Rheometer : FUDOH, Serial No. 930801)를 이용하여 수행했다.
전단시험을 위한 혈류계 설정값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
Figure pat00020
또한, 저작시험을 위한 혈류계 설정값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
Figure pat00021
소편화지수(MFI ; Myofibrilar fragmentation index)를 이용한 육질 평가
소편화지수 역시 육질의 물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MFI는 타카하시(Takahashi : 1967)와 김(金 : 1986) 등이 발표한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2g의 근육에 10배의 완충용액(buffer)을 첨가하여 버티스(vertis)형 균질기로 14,000 rpm에서 1분간 균질한 후 30초 후에 다시 1분간 14,000 rpm에서 균질하였다. 그 뒤 2,000 rpm에서 10분동안 2회 반복하여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2mL 취하여 4배의 완충용액에 희석한후 다시 500 rpm에서 30초간 균질하게 혼합한 후 1,250배율의 위상차현미경(Olympus, BH2-RFCA)을 이용하여 소편화지수를 측정하였다. 소편화지수는 근원섬유를 300개 이상 계수하여 그 중 1~4마디의 근절(筋節)로된 근원섬유가 차지하는 비율로 나타내었다. 각 계수간의 오차율이 5% 이내가 될 때까지 5~1O회 반복하여 최종 소편화지수(%)를 구했다.
o 어육의 관능검사
식육 가능한 부위만을 선별하는 도체 후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주어진 사례에 대해 항목별로 ① - ⑤까지의 번호를 붙여 10명의 토론자(panelist)로 하여금 해당되는 곳에 ○를 찍도록 했다.
① 촉감(Texture)
Figure pat00003
② 다즙성
Figure pat00004
③ 풍미(Flavor)
Figure pat00005
④색감
Figure pat00006
⑤ 종합적 평가
Figure pat00007
이상과 같이 진행한 실시예 1의 결과를 다음에 나타낸다.
o 저작성 측정결과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두충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첨가물 2%를 첨가한 처리군 I은 1.41배, 두충 첨가물 4%를 첨가한 처리군II는 1.45배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두 처리군 간에 있어서 저작성은 처리군 I 보다 처리군II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작성이 변하여 6시간대에 최대값을 나타냈다. 표 1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7시간째는 처리군, 대조군 모두 거의 동일한 저작성을 나타냈고 그 이후는 저작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두충의 첨가제로서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횟감으로서의 질은 6 시간 이내의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되며, 적어도 6 시간이내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고본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o 전단시험 결과
전단시험은 근육의 인열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근섬유의 견고함을 나타내는 방식으로서, 도체 직후 즉 0 시간의 인열강도는 표 2에서 보인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479, 처리군I에서는 521, 처리군II에서는 538로서 두충의 첨가군은 인열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표 2). 시간의 경과, 즉 6 시간째 될 때 각 구간의 인열강도는 623전후로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본 전단시험에서도 첨가군에 있어서 횟감으로의 효과를 느끼기 위해서는 6 시간 내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스런 것으로 나타났다.
o 근원섬유 소편화지수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도체 직후 대조군은 67.26, 처리군 I은 63.95, 처리군II는 63.04로서 근원섬유 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이 첨가군에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소편화지수(MFI)는 시간의 결과, 즉 6시간 까지는 각 그룹 모두 증가되었으나 그 증가폭은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12시간째에는 거의 동일한 소편화지수(MFI) 값을 보였다. 근원섬유 소편화지수 결과에서도 횟감으로서의저장시간은 6 시간 정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at00010
o 관능검사결과 (10명에 대한 평균값)
도체 1 시간후 본 실험과 무관한 10사람을 무작위적으로 선발하여 사전에 아무런 정보를 알려 주지 않고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촉감, 다즙성, 풍미, 색감, 종합적 평가 모든 항목에서 첨가군, 특히 처리군II는 좋은 점수를 받았다. 이들 모두 신기할 정도로 차이를 느낀다고 반응하였다. 이상의 모든 시험결과는 일식집 주방장의 회뜸에서 느낀 감각과 일치하였다. 적어도 두충을 첨가한 사료에서는 뚜렷한 육질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결과를 보였다.
Figure pat00011
<실시예 2>
송어의 육질 개선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송어 양식에도 적용하여 시험하였다.
실시예 1에서의 향어와 동일하게 출하 3개월 전부터 송어에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양어한 후 도체하여 육질을 평가하였다.
o 송어 육질의 물성 측정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전단시험과 저작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o 소편화 지수(MFI)를 이용한 육질 평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소편화를 측정하여 육질을 평가하였다.
o 송어육의 관능 검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관능 검사를 실시하여 송어의 어육을 평가하였다.
o 송어 어육의 화학적 성분 검사
어육의 육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lipid)를 중심으로 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전체지질(total lipid), 트리아실글리세롤, 콜레스테롤, 인지질, 지방산 조성등은 일반 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진행한 실시예 2의 결과를 다음에 나타낸다.
o 개발된 사료에 의해 양어된 어육의 관능검사 결과
15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사전에 아무런 설명을 하지 않고 관능 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 표 5에 제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질개선용 양어사료인 처리군 I 및 처리군II에 대한 평판이 매우 좋게 나타났다.
Figure pat00012
o 저작성 측정 결과
다음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처리군 I과 II는 대조군에 비해 저작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첨가군은 육질의 경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저작성은 변화되어 8시간 이후에는 저작성이 오히려 떨어져 횟감으로 사용할 경우 6시간 정도내에서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스런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pat00013
o 육색의 변화
첨부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에 비해 두충에 카로테노이드 등을 첨가한 군에서 더욱 밝은 황색을 띠어 상품가치를 높여주는 결과를 나타냈다.
o 지질분석을 위한 시료조제 및 처리
송어를 가급적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그물로 잡아 대형 비닐 주머니에 넣어 산소를 주입하여 실험실로 가져와 동결보존 시킨 후, 송어의 근육은 부위에 따라 지방함량이 다르기 때문에 지질에 관련된 분석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부분(A: 전방척추근육(anterial dorsal muscle), B: 후방척추근육(posteria dorsal muscle), C: 전방복부근육(anterior ventral muscle), D: 후방복부근육(posteria ventral muscle))으로 나누어 행하였다.
o 인지질에 대한 변화
A 부분은 다른 세 부위보다 인지질 함량비가 현저하게 낮게 (약, 1/2정도)나타났으며, 각부분의 인지질 함량비는 대조군 > 처리군II > 처리군 I 순으로 나타났다. 각 그룹별로 보면 대체적으로 대조군이 각 부위에서 인지질 함량이 높았다. 4%의 두충잎 추출물을 섭취한 D부위에서의 인지질 함량은 대조군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다음 표 7의 결과로 보아 두충잎 추출물이 함유된 본 발명에 따른 육질개선용 양어사료, 즉 처리군 I 및 II를 섭취한 송어의 부위에서는 인지질의 함량에 있어 그 양이 감소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그중에서도 2% 첨가한 처리군 I에서 인지질 함량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것은 오오시마(大島,1983) 등이 보고한 바와 같이 두충섭취로 인해 인지질 함량이 저하되어, 즉 어류 인지질의 약60-63%를 차지하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 PC)이 저하되어 콜레스테롤 생합성이 떨어지게되거나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의 변화로 인해 이화작용이 저하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 작용은 간에서 혈중으로의 콜레스테롤 분비의 저하가 일어나 혈장의 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킨다고 추정된다. 또한, HMG-CoA 환원효소(reductase)의 활성, 이화작용의 효소의 하나인 콜레스테롤 7α-히드록실라제(cholesterol 7α-hydroxylase) 활성과 비교하여 혈중의 콜레스테롤 양과의 일치한다는 것을 알수있다 (藤卷 正生. 1988). 이러한 인지질 함량의 저하는 어류의 특징적인 EPA, DHA의 작용이라고 생각되지만, 그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밝혀지지 않고있다.
Figure pat00014
o 트리아실글리세롤(TG)에 대한 영향
부위별에서는 A > D > C > B 순으로 낮게 나타났고, 섭취별로는 2%의 두충을 섭취시킨 송어는 현저히 낮은 TG의 값을 나타냈다(표 8). 다른 그룹에서도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어류는 포유동물에 비교해 물속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먹이사슬에 의해서 체내에 n-3 계열의 에이코사펜타에노산(eicosapentaenoic acid : EPA, C2O:5), 도코사헥사에노산(docosahexaenoic acid : DHA, C22:6)등 특징적인 지방산이 풍부한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포함한 것이 많다. 예를들면, 우리들의 식생활에서 자주 애용되는 고등어에는 EPA 10-15%, DHA 7-10% 정도가 포함되어있다. DHA는 본래, 뇌의 신경조직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방산이고, 신경기능의 유지에 필수한 지방산으로되어있다. 최근, EPA도 여러가지 생리작용이 주목되고 있는 지방산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전구물질의 하나로서, 아라키돈산이 2 계열의 PG (PG2)의 전구 물질인 것에 반해, EPA는 3 계열의 PG(PG3)의 전구물질이다. 두충을 섭취시킨 담수어의 근육질은 여러 가지의 TG분자의 집합체로 되어있다. TG의 변환 결과 즉, 여기에서는 두충섭취로 인한 TG 저하작용으로, 근육의 화학적, 물리적, 영양학적인 성질을 변화시켜 EPA 등과 같은 건강적이고 유익한 지방산을 많이 함유 할수 있도록 육질을 개선시킬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Figure pat00015
o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변화
다음 표 9에서 볼 수 있듯이 부위별로는 C 부분의 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다른 그룹보다 현저히 높은 차를 나타내었고, 섭취 비율로 보면 2% 섭취시킨 처리군I, 4% 섭취시킨 처리군II 송어가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냈다. 특히, 처리군II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Figure pat00016
두충으로 인한 인체의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작용은 알려져 있지만, 담수어에 대한 보고는 없다. 인지질과 비슷한 경향으로 근육질의 콜레스테롤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작용기전으로는, 간장, 소장점막에서의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의 저하, 답즙산으로의 이화작용 촉진, 또는 양쪽 전부가 촉진에 따른 것으로 생각될수 있다. 이 결과는, 간장에서의 콜레스테롤 생합성의 주효소인 HMG-CoA 환원효소의 활성, 이화작용의 효소의 하나인 콜레스테롤 7α-히드록실라제 활성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o TBA에 대한 변화 (육질의 산화 안정도 평가)
대체적으로, 부위별로는 D부분의 TBA치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A, B, 그리고 D 부분에서는 거의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 > 2% > 4%) 낮은치를 보였다. 그러나, 내장을 제거한 부위인 C부분에서는 역순으로 나타났다. (표 10)
Figure pat00017
어류에 포함되어 있는 지질, 특히 이중결합을 2 개 이상 함유하고 있는 고도 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및 그 에스테르는 대기중의 산소 분자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지질과 산화물을 생성한다. 지질이 산화되어 지질과산화물이 생성되면, 어류로서의 질, 미각, 영양이 떨어지고, 또한 안정성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어류의 지질과산화 반응을 억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결과로 부터 두충섭취는 어육의 산화 안정성을 높이는 좋은 현상을 나타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육질개선용 사료는 담수어, 해수어는 물론 소, 돼지 등의 가축용 사료에도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는 담수어의 육질을 개선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높여 담수어의 소비를 확대시키고 양어 농가 및 사료 제조회사의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육질개선용 양어사료를 양계, 양돈, 양우 등의 가축용 사료에 이용하여도 육질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건조된 오적골가루, 천궁가루 및 0.0lwt%의 카로테노이드가 첨가된 들깨분말을 완전히 혼합시킨 다음, 이 분말상 혼합물에 두충잎으로부터 추출한 농축액을 흡착시켜 음건 · 제분하여 얻은 첨가제를 기존의 양어사료에 1~10wt% 첨가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질개선용 양어사료.
  2. 오적골가루, 천궁가루 및 0.0lwt% 카로테노이드가 첨가된 들깨분말을 3~5 : 1~2 : 1~2(w/w)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건조된 두충잎 1kg을 2%의 유기 미네랄 함유 수용액 3~5ℓ에 넣고 60~100℃에서 4~6시간 열탕 처리하여 여과·추출후 감압 농축하여 두충 추출물을 얻은다음, 상기 오적골가루 등의 혼합분말에 상기 두충 추출물을 20~50wt% 흡착시킨후 음건시켜 제분하여 기존 양어 사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사료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질개선용 양어사료가 담수어, 해수어는 물론 소, 돼지, 닭 등의 가축용 사료에도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질 개선용 양어사료.
KR1019970062368A 1997-11-24 1997-11-24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4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368A KR100346164B1 (ko) 1997-11-24 1997-11-24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368A KR100346164B1 (ko) 1997-11-24 1997-11-24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19A KR19990041719A (ko) 1999-06-15
KR100346164B1 true KR100346164B1 (ko) 2002-11-30

Family

ID=3748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368A KR100346164B1 (ko) 1997-11-24 1997-11-24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270B1 (ko) * 2021-08-26 2022-04-22 주식회사 코팩스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4832B (zh) * 2023-08-25 2024-05-24 广州市联鲲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添加剂、制备方法及其在改善草鱼肌肉品质中的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247A (ja) * 1989-04-20 1990-11-20 Sana Yakuhin Kogyo Kk 養殖魚用飼料添加剤及び養殖魚用飼料
JPH0330638A (ja) * 1989-06-29 1991-02-08 Shiyuushichi Takahashi 魚介類用飼料添加物
JPH06303919A (ja) * 1993-04-20 1994-11-01 Takahiro Futaki 錦鯉及びその生産方法
KR950028630A (ko) * 1994-04-06 1995-11-22 정을권 가축용 한방첨가제 사료의 제조방법
KR960015511A (ko) * 1994-10-28 1996-05-22 김광호 비디오신호 극성검출 및 변환장치
KR960012395B1 (ko) * 1993-11-29 1996-09-20 최수부 한약재 추출박을 이용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JPH08294363A (ja) * 1995-02-28 1996-11-12 Nippon Suisan Kaisha Ltd 養殖魚用体色改善剤、それを用いた体色改善法および体色が改善された養殖魚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247A (ja) * 1989-04-20 1990-11-20 Sana Yakuhin Kogyo Kk 養殖魚用飼料添加剤及び養殖魚用飼料
JPH0330638A (ja) * 1989-06-29 1991-02-08 Shiyuushichi Takahashi 魚介類用飼料添加物
JPH06303919A (ja) * 1993-04-20 1994-11-01 Takahiro Futaki 錦鯉及びその生産方法
KR960012395B1 (ko) * 1993-11-29 1996-09-20 최수부 한약재 추출박을 이용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950028630A (ko) * 1994-04-06 1995-11-22 정을권 가축용 한방첨가제 사료의 제조방법
KR960015511A (ko) * 1994-10-28 1996-05-22 김광호 비디오신호 극성검출 및 변환장치
JPH08294363A (ja) * 1995-02-28 1996-11-12 Nippon Suisan Kaisha Ltd 養殖魚用体色改善剤、それを用いた体色改善法および体色が改善された養殖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270B1 (ko) * 2021-08-26 2022-04-22 주식회사 코팩스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19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rsen et al. Health benefits of marine foods and ingredients
Jiménez-Colmenero et al. Healthier meat and meat products: their role as functional foods
RU2214107C2 (ru) Мясные консервы для детского питания
AU2007235419A1 (en) Feed formulations containing docosahexaenoic acid
WO2009105620A1 (en) Selective short chain monounsaturated oils
WO2007098582A1 (en) A non marine or non algal sourced omega 3 feed/food supplement and process for stabilizing, enhancing the conversion efficiency, and enrichment of omega 3 fatty acids in livestock/humans and products therefrom
Das et al. 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contents of dried shrimp products available in Jashore region, Bangladesh.
Smichi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nutritional quality of fish by-products: in vitro oils digestibility and synthesis of flavour esters.
Shahbazpour et al. Replacement of meat by mycoproteins in cooked sausages: Effects on oxidative stability, texture, and color
Aspevik et al. Nutri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rotein hydrolysates based on salmon (Salmo salar), mackerel (Scomber scombrus), and herring (Clupea harengus) heads and backbones
Ochang et al. Influence of dietary palm oil on growth response, carcass composition, haematolog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juvenil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JPWO2005027651A1 (ja) 動物プランクトン用飼料
Muralisankar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ish and vegetable oil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uscle compositions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Suprayitno et al. Banana blossom addition to increase food fiber in tuna (Thunnus sp.) floss product as functional food for degenerative disease’s patient
KR100346164B1 (ko) 육질개선용 양어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Pena-Bermudez et al. Effect of yerba mate (Ilex paraguariensis) in lamb diets on fatty acid profil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longissimus muscle
Nagatsuka et a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ikogori’gelatin gel food made from head, bone, skin, tail and scales of fishes measured using the chemiluminescence method
RU2305416C2 (ru) Пищевая эмульсионная паст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JPH07107920A (ja) 鶏用飼料
KR20110045518A (ko) 정제 목초액, 소성난각, 황토 분말 및 마늘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JP2002540778A (ja) 風味付け
CN110100972A (zh) 一种鱼皮切丝及其制备方法
CN117044832B (zh) 一种添加剂、制备方法及其在改善草鱼肌肉品质中的应用
KAKKO Alternative approaches to improve the processing and quality of under-utilized fish
Das et al. 1Department of Fisheries and Marine Bioscience, Jashor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ashore 7408, Bangladesh 2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Technology, Jashor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ashore 7408, Banglade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