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119B1 -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119B1
KR100346119B1 KR1019990012305A KR19990012305A KR100346119B1 KR 100346119 B1 KR100346119 B1 KR 100346119B1 KR 1019990012305 A KR1019990012305 A KR 1019990012305A KR 19990012305 A KR19990012305 A KR 19990012305A KR 100346119 B1 KR100346119 B1 KR 10034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intelligent network
called party
fun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695A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119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04Q3/005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e.g. provisions for portability of subscriber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5Intelligent networks, SC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망(IN: Intelligent Network)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망 서비스의 호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출호를 시도할 때 반복적인 인증절차 없이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보류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도록 지능망 CS-1(Capatility Set1)의 INAP을 확장하는 제1과정과, 착신자가 재응답을 할 수 있도록 레그(Leg)와 관련한 지능망 CS-2(Capatility Set2)의 일부 INAP을 추가하는 제2과정과, 발신보류, 착신보류, 발신 재응답, 착신 재응답을 탐지할 수 있는 CS-2 탐지점을 추가하는 제3과정과,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에 대한 CS-2 호처리점을 추가하는 제4과정과, SCF블럭에서 미리 발신측 가입자의 지능망 서비스 관련 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제5과정과,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연속호 서비스를 시도하는 것을 탐지하기 위하여 호를 진행하기 전에 상기 SCP블럭에서 상기 발신 보류와 발신 디스컨넥트 탐지점을 아밍(Arming)시키는 제6과정과, 상기 호가 발/착신자 사이에 형성되고 SSF블럭에서 상기 발신 보류나 착신 보류를 탐지하면 상기 제2과정에서 추가한 착신자가 재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레그 오퍼레이션을 이용하여 착신측의 레그를 해제하는 제7과정과, 상기 착신측의 레그 해제후 상기 제5과정에서 미리 수집하여 둔 발신측 가입자의 지능망 서비스 관련 정보의 번호번역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에서 상기 발신측 가입자의 재인증 절차를 생략하고 수집한 발신측 가입자의 번호를 수집하여 연속호를 시도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FOLLOW-ON CALL SERVICE METHOD OF INTELLIGENT NETWORK}
본 발명은 지능망(IN: Intelligent Network)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망 서비스의 호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출호를 시도할 때 반복적인 인증절차 없이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망은 통신서비스가 음성서비스 위주에서 음성데이터 영상위주로 변화하였고, 획일적인 서비스가 개별화 지향 서비스로 변화하였고, 통신서비스가 대량소품종에서 소량대품종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기인하여 신호를 하나의 공통선신호방식으로 묶어 음성과 신호체계를 별도의 통신망으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통신망 위에 별도의 대형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여 지능망 서비스 처리기능을 이곳에 집중시켜 놓으므로써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구현 및 운용할 수 있는 고도의 통신망이다. 이러한 지능망 서비스는 사용자 및 망 운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No.7 공통선 신호방식 기술의 발달로 서비스 종류 및 기능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ITU-T는 표준화 활동 대상이 되며 특정 진화단계에서 목표가 되는 지능망 능력의 작업을 IN CS(Intelligent Network Capability Set)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단계별 지능망 능력의 집합을 IN CS-1, IN CS-2, IN CS-3,...라고 명명한다.
상기 1단계 지능망 능력으로 권고된 IN CS-1의 특징은 서비스에 독립적인 망 구현을 위하여 지능망 개념모델(INCM: Intelligent Network Conceptual Model), 기본호 상태 모델(BCSM: Basic Call State Model),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INAP: IN Application Protocol)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것이고, 상기 2단계 지능망 능력으로 권고된 IN CS-2(Capatility Set2)의 특징은 상기 IN CS-1(Capatility Set1)을 확장하여 적용 대상망을 고정망 뿐 아니라 이동망까지 확장하므로써 부분적인 이동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지능망의 간략한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을 통해 지능망의 구조를 설명하면;
서비스 제어 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110)는 지능망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서비스 로직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신호망을 통하여 서비스 교환기(SSP),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IP) 등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한 분산 기능블럭으로 서비스 제어 기능(SCF: Service Control Function) 블럭(111)이 상기 서비스 제어 시스템(110)에서 제공하여 부가 서비스 또는 사용자 요구의 처리에서 지능망 호 제어를 지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교환기(SSP: Service Switching Point)(120)는 단국 교환기로 사용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망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지능망 호 연결을 위하여 필요한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교환기(120)는 서비스 교환기능(SSF) 블럭(121)과 호 제어기능(CCF: Call Control Function) 블럭(122)을 기능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호 제어기능 블럭(122)은 호/서비스 처리와 제어를 제공하며, 이용자와 상기 CCF(122)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도시하지 않은 호 제어 대리 기능(Call Control Agent Function) 블럭에 의해 요청된 인스턴스를 조작하거나 해제하며, 상기 서비스 교환기능 블럭(121)의 요구에 의해 특정한 호 또는 서비스 인스턴스에 포함된 상기 호 제어 대리 기능(Call Control Agent Function) 블럭 실체를 연결시키거나 관련짓는 능력을 제공하고, 호와 관련된 호 제어 대리기능 실체간의 관계를 관리하고 트리거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서비스 교환기능 블럭(121)으로 전달한다.
상기 서비스 교환기능 블럭(121)은 상기 호 제어 기능블럭(122)과 연결된 서비스 교환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호 제어기능 블럭(122)과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111)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교환기능 블럭(121)은 서비스 제어 트리거를 인식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111)과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호 제어기능 블럭(122)의 로직을 확장한다.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IP:Intelligent Peripheral)(130)은 주문화된 안내 방송, 음성 인식, 음성 합성, 음성 녹음, DTMF 디지트 수집기, 프로토콜 변환기, 팩스 송수신기, 오디오 브릿지, 정보분배 브릿지 등과 같은 특수자원을 가지며, 사용자와 지능망 사이의 유연한 상호작용을 제공하는데 신호망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어 시스템(110)과 서비스 교환기(120)와 연결될 수 있다. 기능적으로는 특수자원 기능(SRF: Specialized Resource Function) 블럭(131)을 포함하여 서비스의 실행에 요구되는 특별한 자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의 지능망에서 종래 연속호 서비스의 수행과정을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통해 종래 지능망 연속호의 서비스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 2의 흐름은 서비스 접속번호, 범용 개인 통신(UPT: 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번호, 비밀번호, 착신번호 입력을 통하는 범용 개인 통신 서비스(UPT: 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 이하 UPT라 칭함)의 출호(outcall)를 예를 든 것이다.
201 내지 221단계는 상기 UPT 서비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상기 IP(130)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에서 호가 연결된 상태이며, 222단계부터 마지막 단계까지는 착신자가 호를 해제한 후 재인증 과정없이 호를 진행하는 연속호(FOC: Follow-on Call)에대한 신호흐름이다.
도 2와 같은 종래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에서 착신자가 호를 해제하면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110)은 상기 서비스 교환 기능블럭(221) 및 호 제어 기능 블럭(222)에게 "보류(Suspend)" 이벤트(event)를 "해제(Release)" 이벤트로 간주하여 연속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종래 IN CS-1 모델이 상기 보류 포인트와 관련된 탐지점(DP: Detection Point)을 감지하지 못하여 착신자의 호가 해제되면 재응답(Re-answer)을 할 수 없었다.
즉, 종래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는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111)이 서비스 교환 기능블럭(121)/호 제어 기능블럭(122)에게 "보류" 이벤트를 "해제" 이벤트 (O_Disconnect 혹은 T_Disconnect)로써 인식하도록 지시하므로써 가입자는 연속호를 할 수 있었지만 착신자의 호가 해제되면 해당 호에 대해서 재응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능망 서비스의 호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출호를 시도할 때 인증확인 절차없이 계속해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보류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도록 지능망 CS-1의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을 확장하는 제1과정과, 착신자가 재응답을 할 수 있도록 레그(Leg)와 관련한 지능망 CS-2의 일부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을 추가하는 제2과정과, 발신보류, 착신보류, 발신 재응답, 착신 재응답을 탐지할 수 있는 CS-2 탐지점을 추가하는 제3과정과,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에 대한 CS-2 호처리점을 추가하는 제4과정과,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에서 미리 발신측 가입자의 범용 개인통신 서비스 관련 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제5과정과,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연속호 서비스를 시도하는 것을 탐지하기 위하여 호를 진행하기 전에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에서 상기 발신 보류와 발신 디스컨넥트 탐지점을 아밍시키는 제6과정과, 상기 호가 발/착신자 사이에 형성되고 서비스 교환 기능블럭에서 상기 발신 보류나 착신 보류를 탐지하면 상기 제2과정에서 추가한 착신자가 재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레그(Leg) 오퍼레이션을 이용하여 착신측의 레그를 해제하는 제7과정과, 상기 착신측의 레그 해제후 상기 제5과정에서 미리 수집하여 둔 발신측 가입자의 범용 개인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의 번호번역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에서 상기 발신측 가입자의 재인증 절차를 생략하고 수집한 발신측 가입자의 번호를 수집하여 연속호를 시도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능망의 구조도
도 2는 종래 지능망 CS-1(Capatility Set1) 형태의 연속호 서비스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CS-2(Capatility Set2) 형태의 연속호 서비스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망의 구조는 상기 도 1과 동일하며,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호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지능망 기능블럭들의 새로운 기능수행은 후술하는 도 3의 설명에서 상세히 언급한다.
지능망(IN) CS-2의 연속호가 IN CS-1의 연속호와의 차이점은 "보류" 이벤트를 감지하는 능력이고, 탐지점(DP)의 ARM과 이벤트를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111)에 보고할 수 있다는 점이며, 이것은 상기 IN CS-1 호 모델에 CS-2의 일부 기본호상태모델(BCSM)의 정의에 속하는 발신 보류(O_Suspend)와 착신 보류(T_Suspend) 탐지점의 추가와 상기 탐지점 이벤트의 보고와 탐지의 아밍(ARMING)에 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 메시지 확장에 의해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추가적으로 일부 CS-2 INAP 오퍼레이팅(DisconnectLeg)의 자원이 필요하며, 상기 자원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CS-1 일부 INAP의 확장: "보류"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는 INAP의 확장
2. CS-2 일부 INAP의 추가: 착신자가 "재응답"을 할 수 있도록 레그(Leg)에관련된 INAP
3. CS-2 일부 DP의 추가: 발신 보류, 착신 보류, 발신 재응답, 착신 재응답
4. CS-2 일부 PIC의 추가: 발신 보류, 착신 보류
연속호를 Local SSP에서 지원하기 위한 CS-2의 범위는 EventTypeBCSM data type(enumeration type)과 DisconnectLeg INAP 오퍼레이션의 지원에 제한하며, 변경은 단지 새로운 enumeration 값의 추가이기 때문에 상기 CS-2의 정의 이용은 상기 CS-1과 역방향 호환이 된다. 상기 CS-2 형태의 연속호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네 개의 추가적인 탐지점(DP)들과 두 개의 호처리점(PIC: Point In Call)이 CS-1 호 모델에 추가로 지원된다. 상기 탐지점은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 발신 재응답과 착신 재응답 DP이며, 상기 호처리점은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 PIC이다.
상기 CS-2의 추가된 탐지점과 호처리점과 그에 대한 설명이 하기의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구 분 DP PIC 설 명
탐지점(DP) O_Suspend 착신자가 호 보류한 것을 탐지
T_Suspend 호를 보류했을 때 유저가 T_BCSM에게 보내는 지시를 탐지
O_Re-Answer 착신자가 호를 재연결하였을 때 보내는 지시를 탐지
T_Re-Answer 호를 재개했다는 것을 유저가 T_BCSM에게 보내는 지시를 탐지
호처리점(PIC) O_Suspend 착신측이 발신 보류 하였을 때 T_BCSM으로부터 재응답 지시를 받으면 착/발신측을 재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T_Suspend 호가 보류된 것을 수신한 상태이며 물리적인 자원은 연결된 호 자원과 관련이 있다.
또한, 하기 표 2는 상기 탐지점 이벤트 관련 보고 및 레그 오퍼레이션은 연속호의 구현을 위해서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사항들이다.
방 향 INAP 오퍼레이션 설 명
SSF → SCF EventReportBCSM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 탐지점 이벤트의 보고를 할 수 있도록 CS-1의 확장이 필요
SCF → SSF DisconnectLeg CS-2 INAP 오퍼레이션 지원착신자가 일정 시간내에 재응답을 할 수 있도록 추가
RequestReportBCSMEvent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 탐지점 이벤트의 보고를 할 수 있도록 CS-1의 확장이 필요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호 서비스 방법은 먼저, 연속호 서비스를 하기 위해 상기 IP(130)는 이미 상기 SCF(111)가 요구한 서비스 접속번호, UPT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를 이미 수집한 상태에서 상기 SCF(111)는 발신 보류나 착신 보류를 상기 CCF(122)에 아밍(ARMING) 시킨다. 그 다음, 호가 발/착신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발신 보류나 착신 보류가 감지되면 상기 CCF(122)는 상기 SSF(121)에 알리고, 상기 SSF(121)는 상기 SCF(111)에 알린다. 이때, 상기 SCF(111)는 상기 DisconnectLeg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이용하여 착신측의 레그(Leg)를 분리하여 해제하게 된다. 이후, 상기 SCF(111)는 연속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IP(130)과 연결하여 사용자의 재인증 작업없이 번호를 수집한 후 번호번역을 통하여 호를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호 서비스 과정을 도 3의 흐름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CS-2 형태의 연속호 서비스 흐름도로서,
상기 도 3에서 생략된 과정은 발신자가 IP 안내방송에 의해 입력한 서비스 접근코드, 비밀번호, 계좌번호, UPT 번호등의 정보를 상기 SCF(111)이 수집하는 과정이다. 이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렇게 상기 SCF(111)이 필요에 의해 이미 발신자가 IP 안내방송에 의해 입력한 서비스 접근코드, 비밀번호, 계좌번호, UPT 번호등의 정보를 수집하였으면, 상기 SCF(111)는 가입자가 연속호 서비스를 시도하는 것을 탐지하기 위하여 호를 진행하기 전에 RequestReportBCSMEvent(301신호)를 사용하여 O_Suspend와 O_Disconnect 탐지점들을 상기 SSF(121)로 아밍시킨다(302신호). 상기 SCF(111)는 착신자가 사용하는 폰의 형태(아날로그 혹은 ISDN)를 미리 알 수 없기에 두 개의 탐지점들은 암(Armed)된다. ISUP를 이용한다면 상기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 탐지점들은 보류를 초기화하는 상기 CCF(122)에 의해서 트리거 된다.
그러면 상기 SSF(121)는 번호번역에 의한 결과의 착신번에 호를 연결시키는 메시지(MakeOutgoingCall: 303신호)를 상기 CCF(122)에게 보낸다.
상기 CCF(122)는 상기 SF(121)로부터 착신번에 호를 연결시키라는 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착신번으로 호 설정을 요구하는 링신호(IAM: 304신호)를 보낸다.
이에 대한 상기 착신측의 응답으로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305신호를 통해 주소완료메시지(ACM)/응답메시지(ANM)가 상기 CCF(122)로 통지된다.
만약, 상기 305신호의 진행과정후 착측에서 일방적으로 호를 단절시켰을 경우와 같이 지능망 서비스의 호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출호를 시도할 때 상기 CCF(122)는 착신자가 호를 해제할 때 NextDP(306신호)를 상기SSF(121)로 보내고, 상기 SSF(121)는 O_Suspend와 O_Disconnect 탐지점 이벤트를 탐지한다.
그러면, 상기 SSF(121)는 상기 RequestReportBCSMEvent(301신호)에 대한 결과보고로서 EventReportBCSM(307신호)을 상기 SCF(111)에 보고한다.
상기 SCF(111)는 호를 계속 진행하기 위하여 DisconnectLeg Operation(308신호)을 상기 SSF(121)로 보내 착신자를 해제한다. 이때,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착신자는 호에 재응답할 수 있는데 이것은 착신 재응답 탐지점을 이용하면 된다.
상기 SSF(121)는 상기 CCF(122)에게 호를 해제하라는 "해제" 메시지(309신호)를 보내고, 상기 CCF(122)는 통화회선의 해제를 요구하는 REL(310신호) 신호를 착신측으로 보내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호 해제 완료 메시지(RLC: 311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SCF(111)는 연속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IP(130)와 연결하여 사용자의 재인증 절차없이 처음에 수집한 이외의 번호를 수집하여 호를 계속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RLC 신호는 상기 REL 신호 수신시 해당 회선을 해제하고 타의 호에 사용될 수 있다는 상태인 것을 REL 송신국에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후의 신호흐름 과정은 상기 도 3에 생략되어 있는데, 이때는 발신측을 상기 306신호 흐름에서 일방적으로 호를 단절시킨 착신측과 재연결하기 위한 과정중 발신자의 서비스 접근코드, 비밀번호, 계좌번호, UPT 번호등의 정보 입력과정 및 수집과정 등의 재인증 절차없이 이미 상기 IP(130)에 수집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번의 입력만 요구하게 되며, 이후의 과정은 착신과정 흐름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호 서비스 방법은 상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CS-1일부 INAP의 확장과 CS-2 일부 INAP, DP, PIC를 추가하여 착신자의 호가 해제되면 발신 BCSM(기본호 상태모델)은 발신 보류 PIC(호처리점)으로 천이하며, 이 상태에서 발신 재응답을 하였을 경우 호를 재연결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능망 CS-1의 기본호상태모델(BCSM)과 CS-2의 일부 오퍼레이션 및 DP, PIC를 이용하여 CS-2 형태의 연속호를 구현하므로써 지능망 서비스의 호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출호를 시도할 때 반복적인 인증확인 절차없이 계속해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교환기능블럭에서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으로 발신보류와 착신 보류 탐지점 이벤트를 보고하도록 지능망 CS-1의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을 확장하는 제1과정과,
    착신자가 재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에서 상기 서비스 교환 기능블럭으로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 탐지점 이벤트를 보고하도록 레그와 관련한 지능망 CS-2의 일부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을 추가하는 제2과정과,
    발신보류, 착신보류, 발신 재응답, 착신 재응답을 탐지할 수 있는 CS-2 탐지점을 추가하는 제3과정과,
    상기 발신 보류와 착신 보류에 대한 CS-2 호처리점을 추가하는 제4과정과,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에서 미리 발신측 가입자의 지능망 서비스 관련 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제5과정과,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연속호 서비스를 시도하는 것을 탐지하기 위하여 호를 진행하기 전에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에서 상기 발신 보류와 발신 디스컨넥트 탐지점을 아밍시키는 제6과정과,
    상기 호가 발/착신자 사이에 형성되고 서비스 교환 기능블럭에서 호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출호를 시도할 때 상기 발신 보류나 착신 보류를 탐지하면 상기 제2과정에서 추가한 착신자가 재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레그 오퍼레이션을 이용하여 착신측의 레그를 해제하는 제7과정과,
    상기 착신측의 레그 해제후 상기 제5과정에서 미리 수집하여 둔 발신측 가입자의 지능망 서비스 관련 정보의 번호번역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블럭에서 상기 발신측 가입자의 재인증 절차를 생략하고 수집한 발신측 가입자의 번호를 수집하여 연속호를 시도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서 상기 착신측의 레그 해제후 일정 시간 이내에 착신측의 재응답 탐지점이 탐지될 시 상기 착신측을 해당 호에 재연결하는 과정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서비스는 범용 개인통신 서비스(UPT)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KR1019990012305A 1999-04-08 1999-04-08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KR10034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305A KR100346119B1 (ko) 1999-04-08 1999-04-08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305A KR100346119B1 (ko) 1999-04-08 1999-04-08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695A KR20000065695A (ko) 2000-11-15
KR100346119B1 true KR100346119B1 (ko) 2002-08-01

Family

ID=1957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305A KR100346119B1 (ko) 1999-04-08 1999-04-08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00B1 (ko) * 2000-12-16 200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지능망에서 착신 이동통신 가입자의 통화중 상태 호 처리방법
KR100907994B1 (ko) * 2002-12-18 2009-07-16 주식회사 케이티 스플릿 레그 컨트롤을 이용한 지능망 교환시스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695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1279A (e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interacting with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S5732130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enhanced subscriber services in a multi-nod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U72275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lligent network call
KR980013191A (ko) 호출 가입자 식별 고지 서비스용 장치 (Calling party identification announcement service)
US6728543B2 (en) Implementation of call forwarding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151935B2 (en) Method for initiative setting up calls by service control point in mobile intelligent network
US6341162B1 (en) Telecommunications intelligent network
US6304652B1 (en) Merging of calls
US6201861B1 (en) Method for making a continuing call in an intelligent network call
KR100346119B1 (ko) 지능망의 연속호 서비스 방법
US67717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merge to an AIN SSP from an intelligent peripheral
EP1036469A2 (en) Service interaction in an intelligent network
US6760425B2 (en) Interworking between services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327042B1 (ko) 지능망 교환 시스템에서 발신 번호 메일 통지 서비스 방법
KR100634725B1 (ko) 사설 교환 환경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라 링백톤대체음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17811B1 (ko) 교환시스템에서 지능망 서비스중 훅크플래쉬 발생 시호처리방법
US6389131B1 (en) Enhanced initiate call attempt
KR950016082A (ko) 고도 지능망 교환기의 프로토타입 시스팀 및 제어방법
CN100421444C (zh) 一种拍叉方法
KR100285504B1 (ko) 지능망시스템과지능형부가장치간접속방법
Chopra Exploring intelligent peripheral configurations
US6813345B1 (en) Special situation in intelligent network during which service provisioning fails but switching point operates successfully
JPH0522759A (ja) 呼処理方式
KR960013271B1 (ko) 아이피 시스팀 운용 방법
KR100271301B1 (ko)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내장 서비스 교환기에서의 프리 폰 서비스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