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313B1 - 툴륨 및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 - Google Patents

툴륨 및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313B1
KR100345313B1 KR1019990045300A KR19990045300A KR100345313B1 KR 100345313 B1 KR100345313 B1 KR 100345313B1 KR 1019990045300 A KR1019990045300 A KR 1019990045300A KR 19990045300 A KR19990045300 A KR 19990045300A KR 100345313 B1 KR100345313 B1 KR 10034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s
glass
thulium
optic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649A (ko
Inventor
조두희
최용규
김경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9004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3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03C13/04Fibre optics, e.g. core and clad fibre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0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ibre, e.g. compositions, cross-section, shape or tapering
    • H01S3/06716Fibre compositions or doping with activ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34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3C2201/3447Europ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34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3C2201/3458Ter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34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3C2201/347Hol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34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3C2201/3482Thul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툴륨 이온(Tm3+) 첨가 유리 광섬유를 광증폭 매질로 하고 Tm3+:3H43F4천이를 이용하여 1.47 ㎛ 대역의 효율 높은 광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활성 이온 조성의 유리로서 툴륨 이온(Tm3+)과 디스프로슘 이온(Dy3+)을 공동 첨가한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툴륨 이온 여기 준위 중의 하나인3H4에서 역시 여기 준위의 하나인3F4로 천이하는 1.47 ㎛ 대역의 천이를 광증폭에 이용하기 위해서 툴륨 이온(Tm3+)과 디스프로슘 이온(Dy3+)을 공동 첨가한 유리를 광증폭 매질로 이용하여 상위 준위인3H4로의 밀도 반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툴륨 및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Tm and Dy-co-doped glass and Optical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소자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툴륨 이온(Tm3+)과 디스프로슘 이온(Dy3+)이 공동 첨가된 유리 및 이를 광증폭 매질로 이용하는 1.47 ㎛ 대역의 고효율 광증폭기 등과 같은 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툴륨 이온(Tm3+)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0.8 ㎛ 대역 레이저 다이오드로 간편하게 여기시킬 수 있는 활성 이온으로서, 1.47 ㎛ 대역과 1.8 ㎛, 2.3 ㎛ 대역의형광이 방출되며 이 형광에 해당하는 천이를 이용하여 광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다.
툴륨 이온(Tm3+)이 첨가된 광섬유를 광도파로형 광증폭기 분야에 이용하는 종래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툴륨 이온(Tm3+)과 홀뮴 이온((Ho3+)을 공동 첨가하여 Tm3+:3F4에서 Ho3+:5I7으로 비복사 에너지 전달을 유도하여 툴륨에 의한 1.5 ㎛와 홀뮴에 의한 2.1 ㎛ 레이저를 동시에 발진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리고, 광섬유 레이저를 구성할 때 1.46 ㎛ 및 1.86 ㎛를 동시에 발진할 수 있도록 두 쌍의 반사경을 사용하여 파브리-페롯 형태의 연차적 연속 레이저를 구현한다. 또한, 툴륨 이온과 터븀 이온을 공동 첨가하여 Tm3+:3F4에서 Tb3+:7F0로 비복사 에너지 전달을 유도하여 툴륨 이온의3H4-3F4준위 간 계속적인 밀도 반전을 이루어 연속 레이저 발진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툴륨 이온을 첨가한 광섬유에서 1.064 ㎛ 상향 전이 펌프 구조를 이용하여3H4-3F4준위 간 밀도 반전을 이루고, 1.47 ㎛ 대역 광섬유 광증폭기를 구현하기도 한다.
희토류 이온의 특정 형광 천이를 이용하여 효율 높은 광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천이의 유도 형광 방출 단면적이 커야 하고, 상위 준위의 형광 수명 및 흡수 단면적이 커야 한다. 또한 필수적으로 해당 천이의 상위 준위와 하위 준위 사이의 전자 밀도 반전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47 ㎛ 대역 툴륨 첨가 광섬유 광증폭기(Thulium Doped Fiber Amplifier)는 Tm3+:3H43F4천이를 이용하는데3F4는 여기 준위의 하나이고3H4보다 형광 수명이 길기 때문에 하위 준위의 전자 밀도가 상위 준위의 밀도 보다 커지므로 효과적인 광증폭 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3F4상태에 있는 툴륨 이온의 전자 밀도를 빠르게 낮추는 방법의 하나로 비복사 에너지 전달 과정을 통해3F4상태의 툴륨 이온의 에너지를 빼앗아 빠르게 기저 상태로 떨어뜨려 주는 공동첨가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공동첨가제로는 터븀 이온(Tb3+), 홀뮴 이온(Ho3+) 또는 유로퓸 이온(Eu3+) 이 있는데, 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툴륨 이온(Tm3+)과 함께 첨가하여 1.47 ㎛ 대역 툴륨 첨가 광섬유형 광증폭기의 광섬유를 형성한다.
툴륨 이온(Tm3+)과 터븀 이온(Tb3+)이 첨가된 유리를 광증폭기의 광증폭 매질로 이용할 경우3H4로 여기된 툴륨 이온은 1.47 ㎛ 대역의 형광을 발생하면서 복사 천이를 통해3F4로 천이하고 다시 비복사 에너지 전달 과정을 통해 이웃한 터븀 이온의7F0로 여기 에너지를 전달하고 기저 준위로 복귀한다.7F0로 여기된 터븀 이온은 준위간 에너지 간격이 매우 좁으므로 다중 포논 완화 과정을 통해 빠르게 기저 준위로 떨어지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Tm3+:3H4-3F4준위간 연속적 전자 밀도 반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홀뮴 이온(Ho3+)과 툴륨 이온(Tm3+)이 함께 첨가된 유리에서는 Tm3+:3F43H6천이와 Ho3+:5I75I8천이의 교차완화를 통해 터븀 이온(Tb3+)과 유사한 과정으로 연속적 전자 밀도 반전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터븀 이온(Tb3+), 홀뮴 이온(Ho3+) 또는 유로퓸 이온(Eu3+)을 툴륨 이온(Tm3+)과 함께 첨가하는 종래 방법은 Tm3+:3F4의 밀도를 낮추는 효과는 있으나 1.47 ㎛ 방출에 비해 형광 방출 분배율이 높은 0.8 ㎛의 증폭된 자발 방출을 억제할 수 없으므로 광증폭 이득의 포화 값이 0.8 ㎛ 형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Tm3+:3H4-3H5천이가 Tb3+:7F6-7F3흡수에 의해 교차 완화로 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Tm3+:3H4의 형광 수명도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툴륨 이온 첨가 유리를 광증폭 매질로써 구비하는 1.47 ㎛ 대역 광섬유형 광증폭기에서3H43F4준위간 밀도 반전을 효율적으로 이루어 광증폭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툴륨(Tm3+) 및 디스프로슘(Dy3+)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툴륨 이온과 디스프로슘 이온의 에너지 준위도,
도2는 툴륨 첨가 텔루라이트 유리의 여기 스펙트럼(A) 및 툴륨,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텔루라이트 유리의 여기 스펙트럼(B)을 보이는 그래프,
도3은 툴륨 이온, 터븀 이온, 홀뮴 이온의 에너지 준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소자의 매질로 이용되는 유리에 있어서, 툴륨 이온 및 디스프로슘 이온이 공동 첨가된 조성을 갖는 유리를 제공한다.
상기 유리에서 기지 유리로는 텔루라이트 유리, 중금속 산화물 유리, 불화물 유리 및 찰코지나이드 유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리에는 터븀 이온 또는 유로퓸 이온이 더 첨가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광소자는 1.42 ㎛ 내지 1.53 ㎛ 대역의 광증폭기 또는 광섬유 레이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툴륨 이온은 0.79 ㎛ 펌프광에 의해 0.8 ㎛ 대역과 1.47 ㎛, 1.8 ㎛, 2.3 ㎛ 대역의 형광이 방출되며 이 형광에 해당하는 천이를 이용하여 광증폭기를 구현한다. 특히 여기 준위 중의 하나인3F4로 천이하는 1.47 ㎛ 대역의천이를 광증폭기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상위 준위인3H4로의 밀도 반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0.79 ㎛의 펌프광을 이용하여 툴륨 이온을3H4로 여기시킨 후3F4로 천이시키면3H4에 비하여3F4의 형광수명이 길기 때문에3F4상태에 있는 툴륨 이온의 전자 밀도를 빠르게 낮추어 주어야 효과적인 광증폭 작용을 할 수 있다.
3F4여기 상태에 있는 툴륨 이온을 비복사 에너지 전달 과정을 통해 빠르게 기저 상태로 떨어뜨려 주는 공동첨가제로서 종래에는 터븀 이온(Tb3+)과 유로퓸 이온(Eu3+), 홀뮴 이온(Ho3+)을 첨가하였으나, 본 발명은 텔루라이트 유리, 중금속 산화물 유리, 불화물 유리 또는 찰코지나이드 등과 같은 기지 유리에 툴륨 이온과 디스프로슘 이온(Dy3+)을 공동 첨가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도1은 툴륨 이온(Tm3+)과 디스프로슘 이온(Dy3+)을 공동 첨가했을 때 여기 및 각종 천이와 에너지 전달 과정을 보이는 에너지 준위도이다.
0.79 ㎛의 펌프광으로 툴륨 이온을 기저 상태(3H6)에서3H4로 여기시키면3H43H5(2.3 ㎛),3H43F4(1.47 ㎛),3H43H6(0.8 ㎛)의 세 가지 천이를 통해 3가지파장의 형광을 발생하게 된다.3F4로 천이한 툴륨 이온은 다시3F43H6천이(1.8 ㎛)를 통해 기저 상태로 천이하는데3F4의 형광 수명이3H4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면3F4의 밀도가3H4보다 증가하여 펌프광을 강하게 하더라도 연속적인 전자 밀도 반전을 이룰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툴륨 이온과 디스프로슘 이온을 공동 첨가할 경우3F4상태의 툴륨 이온은 비복사 에너지 전달 과정을 통해 디스프로슘의6H11/2로 에너지를 급속히 전이하고 기저 상태로 천이함으로써 형광 수명이 크게 짧아져3H4-3F4간의 계속적인 밀도 반전을 이룰 수 있게 된다.6H11/2로 여기된 디스프로슘 이온은 포논에너지가 높은 규산계 유리를 비롯한 산화물 유리의 경우 다중 포논 완화 과정을 거쳐 빠르게 기저 상태로 비복사 천이하나, 포논에너지가 낮은 황화물, 불화물 유리는 다중 포논 완화와 함께 복사-흡수 과정을 거쳐 기저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디스프로슘 이온(Dy3+)을 공동 첨가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장점은,3H4로 여기된 툴륨 이온에서 1.47 ㎛(3H43F4) 유도 방출 형광 이외에 발생하는0.8 ㎛(3H43H6) 파장의 증폭된 자발 방출 형광을 Dy3+:6F5/26H15/2로 흡수하여 억제함으로써 포화 증폭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터븀 이온(Tb3+), 홀뮴 이온(Ho3+) 또는 유로퓸 이온(Eu3+)을 툴륨 이온과 함께 첨가하는 종래 방법은 0.8 ㎛의 증폭된 자발 방출을 억제할 수 없으므로 광증폭 이득의 포화 값이 0.8 ㎛ 형광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Tm3+:3H4-3H5천이가 Tb3+:7F6-7F3흡수에 의해 교차 완화로 에너지 전달됨에 따라 Tm3+:3H4의 형광 수명도 감소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디스프로슘 이온(Dy3+)은 2.3 ㎛ 대역의 흡수대가 없어 Tm3+:3H4-3H5천이의 교차 완화의 염려가 없고, 1.8 ㎛ 대역의 흡수 밴드(6H9/2,6F11/2) 뿐만 아니라 0.8 ㎛ 대역에도 흡수 밴드(6F5/2)를 가지고 있어 Tm3+:3H43H6에 의한 증폭된 자발 방출 형광을 억제할 수 있다. 디스프로슘 이온(Dy3+)의 0.8 ㎛ 대역 흡수 밴드(6F5/26H15/2)는 밴드폭이 좁고 툴륨 이온(Tm3+)의 펌프광 흡수 밴드(3H43H6)와 중심 파장이 약 10 ㎚ 이상 차이가 있어 툴륨의 흡수 효율을 저해하지 않고 툴륨 이온의 0.8 ㎛ 대역의 방출 형광만을 흡수할 수 있다. 이것은 도2의 툴륨 단독 첨가 텔루라이트 유리의 1.47 ㎛ 형광을 모니터링한0.8 ㎛ 대역의 여기 스펙트럼(A)과 툴륨,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텔루라이트 유리의 여기 스펙트럼(B) 비교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m3+:3H4의 형광 수명을 측정한 결과 0.1 몰% 툴륨을 단독 첨가한 텔루라이트 유리의 형광 수명이 약 370 ㎲이고 0.1 몰% 툴륨과 0.1 몰% 디스프로슘을 공동 첨가한 같은 조성의 텔루라이트 유리의 형광 수명이 약 350 ㎲로 양쪽의 차이가 거의 없음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홀뮴 이온(Ho3+)을 툴륨 이온(Tm3+)과 함께 첨가하는 종래의 방법은 교차 완화에 의해 여기된 홀뮴 이온(Ho3+)이 방출하는 2.1 ㎛ 형광을 흡수하는 터븀 이온 또는 유로퓸 이온을 다시 첨가해야 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디스프로슘 이온은 단독으로 첨가해도 문제가 없다. 도3은 툴륨 이온과 터븀 이온, 홀뮴 이온을 첨가하였을 때 흡수 및 방출 구조를 에너지 준위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활성 이온으로 작용을 하는 희토류 이온들은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이온 간 비복사 천이가 활발해져 오히려 광증폭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툴륨 이온의 경우 너무 과량이 첨가될 경우3H43H6천이의 에너지가3F43H6에 흡수되는 자기 교차 완화에 의해 Tm3+:3H4의 형광 수명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0.5 몰% 이상 첨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디스프로슘 이온의경우도 너무 과량이 첨가될 경우 Tm3+:3H4의 에너지가 Dy3+:6F5/2로 비복사 천이되어 Tm3+:3H4의 형광 수명을 감소시킬 염려가 있으므로 1.0 몰% 이상 첨가하는 것은 광증폭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터븀 이온이나 유로퓸 이온은 툴륨과 디스프로슘에 비해서는 비복사 천이에 의한 문제가 작은 편이나 역시 과량 첨가 시 교차 완화에 의해 Tm3+:3H4의 형광 수명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2.0 몰% 이상 첨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광소자의 매질, 광섬유를 이루는 유리로서 기지 유리에 툴륨 이온(Tm3+)과 디스프로슘 이온(Dy3+)이 공동 첨가된 유리 및 이러한 유리를 구비하는 광소자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방법 보다 높은 효율을 가지는 1.47 ㎛ 대역(1.42 ㎛ 내지 1.52 ㎛) 툴륨 첨가 광섬유 광증폭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툴륨 이온(Tm3+)과 디스프로슘 이온(Dy3+)이 공동 첨가된 유리로 이루어지는 광섬유를 구비하는 광증폭기는 석영 유리 광섬유를 통한 파장 분할 다중 광통신 전송 구조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제3 통신 창 영역(1.4㎛ 내지 1.8㎛)을 넓게 포괄하는 광대역 광증폭기의 주요 부분을 담당할 수 있다.

Claims (5)

  1. 툴륨 이온 및 디스프로슘 이온이 공동 첨가된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2㎛ 내지 1.52㎛ 대역의 광증폭기 또는 광섬유 레이저 매질로 이용되는 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기지 유리는
    텔루라이트 유리, 중금속 산화물 유리, 불화물 유리 및 찰코지나이드 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에는 터븀 이온 또는 유로퓸 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4.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1.42 ㎛ 내지 1.52 ㎛ 대역의 광증폭기 또는 광섬유 레이저.
  5. 삭제
KR1019990045300A 1999-10-19 1999-10-19 툴륨 및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 KR10034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300A KR100345313B1 (ko) 1999-10-19 1999-10-19 툴륨 및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300A KR100345313B1 (ko) 1999-10-19 1999-10-19 툴륨 및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649A KR20010037649A (ko) 2001-05-15
KR100345313B1 true KR100345313B1 (ko) 2002-07-25

Family

ID=1961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300A KR100345313B1 (ko) 1999-10-19 1999-10-19 툴륨 및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39B1 (ko) * 2007-03-06 2008-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스프로슘을 포함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레이저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8688A (ja) * 1988-12-22 1990-06-2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Erドープ光ファイバレーザ素子
US5617244A (en) * 1993-03-18 1997-04-0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Optical amplifier and laser
US5668659A (en) * 1994-09-27 1997-09-1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fibers for optical amplifiers
JPH10251041A (ja) * 1997-03-14 1998-09-22 Mitsubishi Materials Corp 波長変換ガラス材
JPH11255536A (ja) * 1998-03-12 1999-09-21 Kazuyuki Hirao 残光性を有するガラ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8688A (ja) * 1988-12-22 1990-06-2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Erドープ光ファイバレーザ素子
US5617244A (en) * 1993-03-18 1997-04-0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Optical amplifier and laser
US5668659A (en) * 1994-09-27 1997-09-1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fibers for optical amplifiers
JPH10251041A (ja) * 1997-03-14 1998-09-22 Mitsubishi Materials Corp 波長変換ガラス材
JPH11255536A (ja) * 1998-03-12 1999-09-21 Kazuyuki Hirao 残光性を有する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649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4880A (en) Erbium-doped fluorozirconate fiber laser pumped by a diode laser source
US20030174391A1 (en) Gain flattened optical amplifier
Morkel et al. Spectral variation of excited state absorption in neodymium doped fibre lasers
US20050100073A1 (en) Cladding-pumped quasi 3-level fiber laser/amplifier
Percival et al. A 1.6-/spl mu/m pumped 1.9-/spl mu/m thulium-doped fluoride fiber laser and amplifier of very high efficiency
US5244846A (en) Optical functioning gla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6411432B1 (en) Laser oscillator and laser amplifier
KR100406527B1 (ko) 홀뮴이 첨가된 유리 광섬유 조성물, 유리 광섬유 및광증폭기
US5936762A (en) Doped optical waveguide amplifier
US7298768B1 (en) Thulium-doped heavy metal oxide glasses for 2UM lasers
KR19980079262A (ko) 레이져, 광 증폭기 및 증폭방법
US6501596B1 (en) 1.4-1.52 μm-band optical amplifier
Carter et al. Thulium-doped fluorozirconate fibre lasers
KR100345313B1 (ko) 툴륨 및 디스프로슘 공동 첨가 유리 및 그를 이용한 광소자
JP2908680B2 (ja) アップコンバージョンレーザ材料
JP3436286B2 (ja) 固体レーザ用置換型ガーネット結晶材料
KR100472054B1 (ko) 광증폭기
JP3412712B2 (ja) 固体レーザ用結晶材料
US6549330B1 (en) Optical gain fiber doped with rare earth ions
JPH06283798A (ja) ファイバレーザ及び光ファイバ増幅器
JP4663111B2 (ja) 光増幅器および光利得媒質
Clare Rare earths in glasses for laser applications
JP2002299731A (ja) 光ファイバ増幅器
KR100597197B1 (ko) 복합 이온 첨가 낮은 포논 에너지 유리 및 광섬유 증폭기
KR100311220B1 (ko) 다중 펌프광을 이용한 광증폭기 구동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광섬유 광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