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078B1 - 제자리반전쟁기 - Google Patents

제자리반전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078B1
KR100345078B1 KR1020000052151A KR20000052151A KR100345078B1 KR 100345078 B1 KR100345078 B1 KR 100345078B1 KR 1020000052151 A KR1020000052151 A KR 1020000052151A KR 20000052151 A KR20000052151 A KR 20000052151A KR 100345078 B1 KR100345078 B1 KR 100345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late
circular hole
moisturizing
p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853A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102000005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07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01B3/28Alternating ploughs
    • A01B3/34Alternating ploughs with parallel plough units used alternate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8Mouldboards
    • A01B15/10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mould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제자리반전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토양밀판의 각도 및 길이를 경운속도나 경심 및 토질에 따라 알맞게 가변시킴으로써 경운속도나 경심 및 토질에 관계없이 경운토양을 제자리에 확실하게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양을 수평 내지 이에 가깝게 절단하는 제1보습(13); 이 제1보습 (13)의 상단에 연속하여 장착되며 상기 제1보습(13)에 의해 절단된 토양을 밀어 올려지면서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형상의 제1볏(14); 상기 제1보습(13) 및 제1볏(14)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1경사판재(16a)가 형성되고 이 제1경사판재(16a)의 하면에는 제1연결간(12)과 장착되는 제1직립판재(16b)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판재(16a) 한쪽이 제1보습(13)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고 그 가장자리에 제1원형구멍(16c)과 이 제1원형구멍(16c)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1장공(16d)이 형성된 티형의 제1고정판(16); 이 제1고정판(16)의 제1직립판재(16b)에 장착되며 십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제1볏귀(15); 상기 제1고정판(16)의 제1원형구멍(16c)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제1장공(16d)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며 제2직립판재(20a)의 하단부분이 한쪽으로 구부러져 플랜지(20b)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0b)에 2개의 제2원형구멍(20c)이 형성된 토양밀판(20)을 포함하는 제자리반전쟁기이다.

Description

제자리반전쟁기{a plow for turnover of the original former place}
본 발명은 경운 토양을 제자리에 갈아엎어 토양의 쏠림을 방지하는 토양의 쏠림 방지용 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참흙은 물론 습한 토양과 건조한 토양 등과 같이 토양조건(토양상태)에 따라 측면밀판과 보조볏의 각도조정이 자유로워 경운토양을 확실하게 제자리에 갈아엎을 수 있는 토양의 쏠림 방지용 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쟁기는 토양을 소정의 깊이로 갈아엎는 1차 경운 작업기구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쟁기로 토양을 갈아엎는 이유는 표토(토양표면)에 잔류물을 매몰시켜 지력을 개선하고 표토의 잔류물에 부착된 해충을 죽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쟁기는 성에의 후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간이 형성되며 이 연결간의 하단에는 보습과 볏이 고정되고 그 하단에는 볏귀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볏의 끝단에는 토양조건에 관계없이 토양을 확실하게 반전시키기 위한 보조적인 반전수단으로 보조볏이 구비된 것이 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쟁기들은 모두 그 쟁기가 전진함에 따라 하단의 보습에 의하여 토양은 수평으로 절단되게 되고 이렇게 수평으로 절단된 토양은 보습과 볏에 의해 안내되면서 밀어 올려지게 된다. 상기 쟁기의 볏을 따라 밀어 올려지는 토양은 보습과 볏의 경사각 및 쟁기전진속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전단 파쇄됨은 물론 보습과 볏의 형상에 따라 한쪽(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반전된다.
따라서, 쟁기가 지나간 부분의 토양은 한쪽으로 이동된 상태이어서 고랑으로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경운작업을 할 때마다 토양이 계속하여 한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해가 가면 갈수록 편평하게 정지하는 작업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토양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자리반전쟁기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9084호에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구성은 토양을 수직으로 절단하는 코올터와, 이 코올터의 후방에서 절단된 토양의 밑면을 파고 들어가 수평으로 절단하고 밀어 올려 회전시키면서 전단 파괴시켜 반전시킨 다음 낙하시키는 한 쌍의 이체(쟁기)와, 이 이체의 보습부와 볏부에 부착되며 코올터에 의해 절단된 토양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볏부와 반전낙하부로 토양을 안내하는 한 쌍의 측압판이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은 주요구성을 갖는 제자리반전쟁기는 코올터가 토양을 수직으로절단하고 나면 그 사이의 토양을 코올터의 후방에서 이체를 이루는 보습부가 수평으로 절단하고 이렇게 수직 및 수평으로 절단된 토양은 보습부와 측압판 및 볏부에 의해 안내되어 밀리면서 들어올려짐에 따라 전단 파괴되며 그 후단의 반전낙하부에 도달할 때 완전하게 반전된 후 토양의 자중에 의해 제자리로 낙하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자리반전쟁기에 있어서는 한 쌍을 이루는 이체의 2개의 측압판 사이에 설치된 측압판 조절수단을 경운속도나 또는 경심 및 토질(진흙, 참흙, 모래흙)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나 보습부와 볏부 및 반전낙하부가 일체로 길게 형성된 판형의 이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측압판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경운작업이 되는 토양의 제자리반전이 불확실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2개의 이체 양단위치 및 그 사이인 중앙의 측압판 전방위치에 토양을 수직으로 절단하는 3개의 코올터를 필수적으로 마련하여야 하므로 쟁기의 구성부품이 증가되고 쟁기의 전체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이체는 보습부와 볏부 및 반전낙하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길이가 길음으로써 작업정지 내지 작업종료시 이체에 남아있는 토양이 많이 남게 되며 이렇게 길은 이체의 전방에 필수구성요소인 코올터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쟁기의 길이가 더욱 길어지고 이로 인하여 작업반경이 커져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등록특허의 제자리반전쟁기는 구조적인 특성상 제각기 2개의 이체 및 측압판이 반드시 한 쌍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다련쟁기로 제작하고자 할 때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습 및 볏에 의해 경운되는 토양을 볏과 보조볏으로 확실하게 밀어 올려주는 토양밀판이 마련되고 이 토양밀판의 각도 및 길이를 경운속도나 경심 및 토질에 따라 알맞게 가변 됨으로써 경운속도나 경심 및 토질에 관계없이 경운되는 토양을 제자리에 확실하게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자리반전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유닛은 물론 2개를 한 쌍으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쟁기의 배열에 따른 제약이 없고 이로 인하여 다련쟁기의 설계가 자유로운 이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제자리반전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쟁기의 토양밀판 전방에 마련된 좁은 폭의 소형 보조쟁기로 고랑을 마련함으로써 쟁기에 의하여 제자리로 반전되는 토양이 토양밀판 쪽으로 이동된다하여도 쟁기의 경운부분과 경운되지 않은 경계인 단턱에 걸릴 염려가 없는 확실한 반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경운토양을 경심에 관계없이 제자리반전이 가능하도록 한 제자리반전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자리반전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조립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자리반전쟁기에 보조쟁기가 부가된 상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인 보조쟁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 8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성에 12: 제1연결간
13: 제1보습 14: 제1볏 15: 제1볏귀
16: 제1고정판 16a: 제1경사판재 16b: 제1직립판재
16c: 제1원형구멍 16d: 제1장공 17: 제1체결부재
20: 토양밀판 20a: 제2직립판재 20b: 플랜지
20c: 제2원형구멍 22: 보조토양밀판 22a: 제3원형구멍
22b: 제2장공 24: 브래킷 24a: 핀
24b: 체결구멍 25: 제2체결부재 26: 고정판재
26a: 제4원형구멍 26b: 제3장공 26c: 핀하우징
26d: 제4장공 26e: 연장편 28: 보조볏
28a: 제5원형구멍 120: 제2연결간 130: 제2보습
140: 제2볏 150: 제2볏귀 160: 제2고정판
160a: 제2경사판재 160b: 제3경사판재 160c: 제3직립판재
p: 쟁기 sp: 보조쟁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양을 수평 내지 이에 가깝게 절단하는 제1보습; 이 제1보습의 상단에 연속하여 장착되며 제1보습에 의해 절단된 토양을 밀어 올려지면서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형상의 제1볏; 상기 제1보습 및 제1볏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1경사판재가 형성되고 이 제1경사판재의 하면에는 제1연결간과 장착되는 제1직립판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판재 한쪽이 제1보습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고 그 가장자리에 제1원형구멍과 이 제1원형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1장공이 형성된 티형의 제1고정판; 이 제1고정판의 제1직립판재에 장착되며 십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제1볏귀; 상기 제1고정판의 제1원형구멍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제1장공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며 제2직립판재의 하단부분이 한쪽으로 구부러져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직립판재와 플랜지에 각각 2개의 제2원형구멍이 형성된 토양밀판을 포함하는 제자리반전쟁기이다.상기 토양밀판에는 그 제2직립판재의 제2원형구멍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토양밀판의 후단에서 길이가변이 가능하도록 하단에는 제3원형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제3원형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2장공이 2개 이상 형성된 곡면형상의 보조토양밀판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자리반전쟁기이다.
상기 볏의 후단에는 토양을 확실하게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반전수단은 상기 연결간의 중간부분에 장착되며 핀과 체결구멍이 형성된 브래킷; 이 브래킷의 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되며 선단부분의 원형구멍과 이 원형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장공이 형성되고 선단에 브래킷의 핀을 수용하는 핀하우징과 이 핀하우징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장공을 갖는 연장편이 한쪽으로 도출된 고정판재; 이 고정판재의 원형구멍과 장공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원형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장공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고정판재의 원형구멍과 장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원형구멍이 형성된 곡면형상의 보조볏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자리반전쟁기이다.
상기 쟁기의 토양밀판 전방에 소형의 보조쟁기를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 보조쟁기는 성에의 후단부분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결간과 장착되는 직립판재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분에 어느 하나가 후퇴된 2개의 경사판재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판; 이 고정판의 경사판재에 각각 장착되어 토양을 수평 내지 이에 가깝게 절단하는 2개의 보습; 이 보습의 상단과 접하여 경사판재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보습에 의해 절단된 토양을 밀어 올려지면서 각기 다른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형상의 볏; 상기 고정판의 직립판재에 장착되며 십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볏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자리반전쟁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자리반전쟁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자리반전쟁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에는 다수개의 성에(11)가 배열되어 있고 이 성에(11)에는 하부로 제1연결간(12)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제1연결간(12)의 하단에는 제1보습(13)과 제1볏(14) 및 제1볏귀(15) 등을 포함하는 쟁기(p)를 장착하기 위한 제1고정판(16)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제1고정판(16)은 선단에 곡면형상의 제1경사판재(16a)가 형성되고 이 제1경사판재(16a)의 하면에는 제2연결간(12)과 장착되는 제1직립판재(1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경사판재(16a) 한쪽이 제1보습(13)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고 그 가장자리에 제1원형구멍(16c)과 이 제1원형구멍(16c)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1장공(16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보습(13)과 제1볏(14)은 제1고정판(16) 선단의 제1경사판재(16a)에 서로 접하도록 연속하여 복수의 체결부재(17)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볏 (14)은 제1보습(13)에 의해 절단된 토양을 밀어 올려지면서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곡면형상이며 상기 제1고정판(16)의 제1직립판재(16b)에는 십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제1볏귀(15)가 장착되어 있다.
토양밀판(20)은 상기 제1고정판(16)의 제1경사판재(16a) 한쪽으로 연장된 제1원형구멍(16c)에 관통되는 체결부재(도시지 않음)를 중심으로 제1장공(16d)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며 이 토양밀판(20)은 제2직립판재(20a)의 하단부분이 한쪽으로 구부러져 플랜지(20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직립판재(20a)와 플랜지 (20b)에 각각 2개의 제2원형구멍(20c)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토양밀판(22)은 토양밀판(20)을 이루는 제2직립판재(20a)의 제2원형구멍 (20c)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24)에 의해 장착되는 곡면형상의 판재이며 토양밀판 (20)의 후단에서 길이가변이 가능하도록 하단에는 제3원형구멍(22a)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제3원형구멍(22a)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2장공(22b)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양밀판(20)은 제1고정판(16)의 제1경사판재(16a)에 형성된 제1장공 (16d)범위 내에서 각도조정을 하고 보조토양밀판(22)은 토양밀판(20)의 직립판재 (22)에서 체결부재(23)를 분리한 후 보조토양밀판(22)을 이동시켜 다시 체결함으로써 보조토양밀판(22)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토양밀판(20)과 보조토양밀판(22)은 각각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토양밀판을 보조토양밀판이 하나의 판재로 일체화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볏(14)의 후단에는 토양을 확실하게 반전시킬 수 있도록 브래킷(24)과 이 브래킷(24)에서 평면적으로 회전되는 고정판재(26) 및 이 고정판재(26)에 장착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보조볏(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4)은 제1연결간(12)의 중간부분에 장착되어 있으며 핀(24a)과 체결구멍(24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멍(24b)에는 체결부재(25)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재(26)는 브래킷(24)의 핀(24a)을 중심으로 하여 평면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선단부분의 제4원형구멍(26a)과 이 제4원형구멍(26a)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3장공(26b)이 형성되고 선단에 브래킷(24)의 핀(24a)을 수용하는 핀하우징(26c)과 이 핀하우징(26c)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4장공(26d)을 갖는 연장편(26e)이 한쪽으로 도출되어 있다.
상기 보조볏(28)은 고정판재(26)의 제4원형구멍(26a)과 제3장공(26b)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제4원형구멍(26a)을 중심으로 하여 제3장공(26b)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고정판재(26)의 제4원형구멍(26a)과 제3장공(26b)과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5원형구멍(28a)이 형성된 곡면형상의 판재이다.
상기 보조볏(28)은 브래킷(24)의 핀(2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평면상 각도를 조정하고 고정판재(26)의 제3장공(26b)의 범위내에서 제4원형구멍(26a)을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자리반전쟁기는 프레임을 이루는 성에의 후단에 장착한 후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트랙터에 의해 쟁기가 전진되게 되면 토양의 한쪽은 제1보습(13)과 제1볏(14)에 의해 다른 한쪽은 토양밀판(20)에 의해 수직으로 절단되고 이와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소정깊이의 토양밑면은 제1보습(13)이 수평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보습(13)과 제1볏(14) 및 토양밀판(20)에 의해 수평 수직으로 절단된 토양은 토양밀판(20)과 보조토양밀판(22)에 의해 제1보습(13)과 제1볏(14)의 상부로 확실하게 밀어 올려지게 되고 이렇게 제1볏(14)의 상부로 밀어 올려지면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게 된다.
이렇게 제1볏(14)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상부로 밀어 올려진 토양은 보조볏 (28)에 의해 안내되어 180°로 확실하게 회전된 후 쟁기(p)의 제1보습(13)과 제1볏 (14) 및 토양밀판(20)에 의해 형성된 고랑으로 낙하된다. 즉, 경운토양이 180°회전되어 뒤집힌 후 제자리에 낙하되므로 토양의 쏠림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쟁기에 의해 경운되는 토양은 경운속도나 경심 및 토질에 따라 토양밀판(20)의 각도와 보조토양밀판(22)의 길이를 가변시켜야 함은 물론 보조볏 (28)의 높이 및 그 각도를 조정하여야 하며 각 부위별로 조정하는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토양밀판(20) 및 보조토양밀판(22)의 각도조정은 토양밀판(20)의 플랜지(20b) 후방에 형성된 제2원형구멍(20c)과 제1고정판(16)의 제1경사판재(16a)에형성된 제1장공(16d)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풀어 조정한 후 견고하게 체결하면 되고 상기 보조토양밀판(22)의 길이조정은 체결부재(23)를 풀어 제거한 후 토양밀판 (20)의 제2원형구멍(20c)에 보조토양밀판(22)의 다른 제3원형구멍(22a)과 제2장공 (22b)이 일치되게 보조토양밀판(22)의 길이를 조정한 후 체결부재(23)를 관통시켜 체결하면 된다.
상기 보조볏(28)의 각도조정은 고정판재(26) 각각의 제3장공(26b)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느슨하게 푼 후 평면상 및/또는 상하로 회전시켜 조정하고 견고하게 체결하면 된다.
이러한 쟁기의 조정은 무논과 같이 습한 전답의 경우, 쟁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최대한 각도가 작게 토양밀판(20)을 조정한 다음 제1볏(14)에서 보조볏(28)을 최상위치로 올리고 제1볏(14)에 대해 보조볏(28)이 저항을 받지 않도록 일직선으로 하여 경운작업을 행한다. 이때, 토양은 제1볏(14)에 달라붙는 상태에서 경운작업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토양밀판(20)과 보조토양밀판(22) 및 보조볏(28)에 의해 180°반전된 후 쟁기에 의해 형성된 제자리의 고랑으로 낙하되게 된다.
그리고 습기가 별로 없고 푸석푸석한 건답의 경우는 쟁기(p)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각도가 크게 토양밀판(20)을 조정한 다음 제1볏(14)에서 보조볏(28)을 최하위치로 내리고 제1볏(14)에 대해 보조볏(28)이 진행방향에 대하여 평면상 대각선으로 하여 갈이작업을 행하면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쟁기(sp)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쟁기(p)에 의하여 제자리로 반전되는 토양이 쟁기의 경운부분과 미경운부분의 경계단턱에 걸림을 방지하여 경심에 관계없이 확실한 제자리반전이 가능하도록 쟁기(p)의 토양밀판(20) 전방에 좁은 폭의 고랑을 내는 소형의 보조쟁기(sp)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보조쟁기(sp)는 프레임(10)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결간(120)에 제2고정판(16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2고정판(160)은 제2연결간(120)에 장착되는 제3직립판재(160c)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분에 어느 하나가 후퇴된 2개의 제2,제3경사판재(160a,160b)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판(160)의 제2,제3경사판재(160a,160b)에는 각각 토양을 수평 내지 이에 가깝게 절단하는 제2보습(130)과 이 제2보습(130)의 상단과 접하여 제2볏(14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볏(140)은 제2보습(130)에 의해 절단된 토양을 밀어 올려지면서 각기 다른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판(160)의 제3직립판재(160c)하단에는 십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제2볏귀(15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구성에 의하면 쟁기(p)와 함께 보조쟁기 (sp)가 전진하게 되면 쟁기(p)의 토양밀판(20) 전방에서 제2고정판(160)의 제2,제3경사판재(160a,160b)에 제2보습(130)과 제2볏(140)이 어느 하나가 후퇴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토양은 양쪽으로 경운되게 되고 따라서 보조쟁기(sp)의 폭으로 고랑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쟁기(p)의 토양밀판(20) 전방에서 보조쟁기(sp)의 폭으로 고랑이 형성된 상태에서 쟁기(p)의 제1보습(13)과 제1볏(14) 및 토양밀판(20)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토양이 절단되며 이렇게 절단된 토양은 토양밀판(20)과 보조토양밀판(22)에 의해 제1보습(13)과 제1볏(14)의 상부로 확실하게 밀어 올려지면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게 된다.
이렇게 제1볏(14)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상부로 밀어 올려진 토양은 보조볏 (28)에 의해 안내되어 180°로 회전된 후 쟁기(p)의 제1보습(13)과 제1볏(14) 및 토양밀판(20)에 의해 형성된 고랑으로 낙하된다. 이때, 쟁기(p)에 의해 경운된 토양이 180°보다 작은 각으로 회전되게 되면 쟁기(p)의 고랑이 아닌 보조쟁기(sp)의 고랑, 즉 토양밀판(20)쪽으로 이동되어 제자리에 낙하되지 않더라도 보조쟁기(sp)의 고랑으로 확실하게 반전되게 되고 쟁기(p)에 의해 경운되는 토양의 쏠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보습부와 볏부 및 반전낙하부가 일체로 길게 형성된 이체 사이의 측압판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경운토양의 제자리반전이 불확실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인 제자리반전쟁기는 보습 및 볏에 의해 경운되는 토양을 볏과 보조볏으로 확실하게 밀어 올려주는 토양밀판을 마련하고 이 토양밀판의 각도 및 길이를 경운속도나 경심 및 토질에 따라 알맞게 가변 시킴으로써 경운속도나 경심 및 토질에 관계없이 경운되는 토양을 제자리에 확실하게 반전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2개의 이체가 한 쌍으로 밖에 설치할 수 없는 종래 기술과는달리 단일유닛은 물론 2개를 한 쌍으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쟁기의 배열에 따른 제약이 없고 이로 인하여 다련쟁기의 설계가 자유로운 이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쟁기의 토양밀판 전방에 좁은 폭의 소형 보조쟁기를 마련하여 고랑을 형성시킴으로써 쟁기의 고랑이 아닌 보조쟁기의 고랑, 즉 토양밀판쪽으로 이동되어 제자리에 낙하되지 않더라도 보조쟁기의 고랑으로 확실하게 반전되게 되고 쟁기에 의해 경운되는 토양의 쏠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토양을 수평 내지 이에 가깝게 절단하는 제1보습(13); 이 제1보습(13)의 상단에 연속하여 장착되며 상기 제1보습(13)에 의해 절단된 토양을 밀어 올려지면서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형상의 제1볏(14); 상기 제1보습(13) 및 제1볏(14)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1경사판재(16a)가 형성되고 이 제1경사판재(16a)의 하면에는 제1연결간 (12)과 장착되는 제1직립판재(16b)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판재(16a) 한쪽이 제1보습(13)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고 그 가장자리에 제1원형구멍(16c)과 이 제1원형구멍(16c)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1장공(16d)이 형성된 티형의 제1고정판 (16); 이 제1고정판(16)의 제1직립판재(16b)에 장착되며 십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제1볏귀(15); 상기 제1고정판(16)의 제1원형구멍(16c)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제1장공(16d)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며 제2직립판재(20a)의 하단부분이 한쪽으로 구부러져 플랜지(20b)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0b)에 2개의 제2원형구멍(20c)이 형성된 토양밀판(20)을 포함하는 제자리반전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밀판(20)에는 그 제2직립판재(20a) 후단의 상하에 형성된 제2원형구멍(20c)으로 관통되는 2개의 체결부재(23)로 장착되며 토양밀판 (20)의 후단에서 길이가변이 가능하도록 하단엔 제3원형구멍(22a)이 형성되고 상단엔 제3원형구멍(22a)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2장공(22b)이 2개 이상 형성된 곡면형상의 보조토양밀판(22)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자리반전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볏(14)의 후단에는 토양을 확실하게 반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간(12)의 중간부분에 장착되며 핀(24a)과 체결구멍(24b)이 형성된 브래킷(24); 이 브래킷(24)의 핀(2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되며 선단부분의 제4원형구멍(26a)과 이 제4원형구멍(26a)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3장공(26b)이 형성되고 선단에 브래킷(24)의 핀(24a)을 수용하는 핀하우징(26c)과 이 핀하우징(26c)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제4장공(26d)을 갖는 연장편(26e)이 한쪽으로 도출된 고정판재(26); 이 고정판재(26)의 제4원형구멍(26a)과 제3장공(26b)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제4원형구멍(26a)을 중심으로 하여 제3장공(26b)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고정판재(26)의 원형구멍(26a)과 제3장공(26b)과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5원형구멍(28a)이 형성된 곡면형상의 보조볏(28)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자리반전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쟁기(p)의 토양밀판(20) 전방에 좁은 폭의 고랑을 내는 소형의 보조쟁기(sp)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자리반전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쟁기(sp)는 프레임(10)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2연결간(120)과 장착되는 제3직립판재(160c)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분에 어느 하나가 후퇴된 2개의 제2,제3경사판재(160a,160b)가 장착되어 있는 제2고정판(160); 이 제2고정판(160)의 제2,제3경사판재(160a,160b)에 각각 장착되어 토양을 수평 내지이에 가깝게 절단하는 2개의 제2보습(130); 이 제2보습(130)의 상단과 접하여 제2,제3경사판재(160a,160b)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2보습(130)에 의해 절단된 토양을 밀어 올려지면서 각기 다른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형상의 제2볏(140); 상기 제2고정판(160)의 제3직립판재(160c)에 장착되며 십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제2볏귀(15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자리반전쟁기.
KR1020000052151A 2000-09-04 2000-09-04 제자리반전쟁기 KR100345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151A KR100345078B1 (ko) 2000-09-04 2000-09-04 제자리반전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151A KR100345078B1 (ko) 2000-09-04 2000-09-04 제자리반전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176U Division KR200214895Y1 (ko) 2000-09-05 2000-09-05 제자리반전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853A KR20020018853A (ko) 2002-03-09
KR100345078B1 true KR100345078B1 (ko) 2002-07-24

Family

ID=1968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151A KR100345078B1 (ko) 2000-09-04 2000-09-04 제자리반전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319B1 (ko) * 2021-11-11 2022-09-02 임수환 트랙터에 연결되는 4련 플라우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833B1 (ko) * 2021-11-11 2023-02-23 임수환 트랙터에 연결되는 12련 플라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02A (ja) * 1983-06-24 1985-01-12 Toshiba Corp 箔巻変圧器
JPS61158707A (ja) * 1984-12-30 1986-07-18 上田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用双用多連犂による耕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50024133U (ko) * 1994-02-14 1995-09-13 김종규 트랙터용 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02A (ja) * 1983-06-24 1985-01-12 Toshiba Corp 箔巻変圧器
JPS61158707A (ja) * 1984-12-30 1986-07-18 上田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用双用多連犂による耕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50024133U (ko) * 1994-02-14 1995-09-13 김종규 트랙터용 쟁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석사학위논문, 제자리반전플라우개발, 성균관대학교,15-16쪽, 도면7,9도 *
제자리반전플라우 및 작업기술개발, 농림수산부 최종보고서,1997.2.1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319B1 (ko) * 2021-11-11 2022-09-02 임수환 트랙터에 연결되는 4련 플라우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833B1 (ko) * 2021-11-11 2023-02-23 임수환 트랙터에 연결되는 12련 플라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853A (ko) 200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7948B2 (ja) 耕起・整地装置の砕土作業具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た耕起・整地装置
US6138771A (en) Tine for mounting on soil-working implement
CN106856736A (zh) 组合式船形开畦沟装置
KR100345078B1 (ko) 제자리반전쟁기
AU719998B2 (en) Blade, in particular for blade-carrying chassis
KR200214895Y1 (ko) 제자리반전쟁기
RU2354088C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JP2007061082A (ja) 心土用犂体と作土用犂体を持つ心土作溝土層改良機
US5417238A (en) Tillage implements
KR200384643Y1 (ko) 쟁기의 이중 보습
KR200214900Y1 (ko) 제자리반전쟁기
US4173261A (en) Agricultural furrowing assembly
KR100199084B1 (ko)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KR20020020097A (ko) 제자리반전쟁기
KR200232911Y1 (ko) 쟁기틀의 이중보습구조
RU2120710C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CN208159156U (zh) 一种具有侧面开沟器的旋耕机
RU2125777C1 (ru) Корпус плуга-рыхлителя
RU2030141C1 (ru) Оруди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KR100330776B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RU21605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и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рофилированных борозд
RU2116710C1 (ru) Плужный корпус
KR100375419B1 (ko) 쟁기틀의 이중보습구조
JPS6011946Y2 (ja) 田面排水用溝掘り機
RU2108695C1 (ru) Орудие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гребней в почв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