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745B1 - 박판블랭크를가공장소로연속적으로운반하는장치및상기장치의이용방법 - Google Patents

박판블랭크를가공장소로연속적으로운반하는장치및상기장치의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745B1
KR100344745B1 KR1019950704892A KR19950704892A KR100344745B1 KR 100344745 B1 KR100344745 B1 KR 100344745B1 KR 1019950704892 A KR1019950704892 A KR 1019950704892A KR 19950704892 A KR19950704892 A KR 19950704892A KR 100344745 B1 KR100344745 B1 KR 10034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discharge
belt
dog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1712A (ko
Inventor
기신한스페터
인아이헨아르민
오에를리한스페터
Original Assignee
엘파트로닉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파트로닉 아게 filed Critical 엘파트로닉 아게
Publication of KR96070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65G19/24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 B65G19/26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pivotal
    • B65G19/265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pivotal for article conveyors, e.g. for contain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Advancing Web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금속원판을 가공장소로부터 배출하기 위하거나 또는 그런 금속원판에 대하여 어떠한 이송을 실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송장치(1)상에 장착되고 원판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방향(A)의 후미인)원판의 후미 단부에 충격을 가하는 배출도그(21,22,23)을 갖는다. 이런 배출도그(21,22,23)는 원판 단부에서의 충격에 관하여, 배출도그가 배출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이송장치(1)에 연관되어 에너지의 흡수에 의해서 감쇠되는 방법으로 이동되어지거나 및/또는 기울어지며 따라서 원판의 단부상에 작용하는 힘이 감소되도록 그렇게 배치된다. 이송장치의 경우, 선호되는 실시예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지고 그리고 원판 단부상의 도그의 충격에 관하여 그것의 경로로 부터 편향되어지는 톱니벨트를 가지며, 따라서 전술의 벨트 그 자체가 도그를 위한 감쇠기 및 복귀스프링으로써 작동한다.

Description

박판 블랭크를 가공 장소로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이용 방법
본 발명은 박판 블랭크를 다음 가공 장소로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독립항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운반에 필요한 가속력은 운반 방향으로 트레일링 자장자리(trailing edge)인 박판 블랭크의 가장자리에 적응된다. 특히, 본 발명은 만곡 장소로부터 만곡된 박판 블랭크를 배출하거나 또는 용접 장소로 만곡된 박판 블랭크를 전방으로 운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이것은 원통형 캔 몸체를 형성하기 위해 용접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편평한 박판 블랭크를 함께 용접함으로써 형성되는 복합 패널의 제조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있어서, 편평한 박판 블랭크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NO. 0279866에 따라 복합 패널을 생산하기 위해 함께 용접된다. 또한, 캔 몸체의 제조를 위해, 편평한 박판 블랭크는 이것이 필요한 만곡부에 대해 대체로 접선 방향으로 공급되는 만곡 장소에서 실린더 및 중공 실린더 사이에서 만곡된 다음, 만곡 장소로부터 축 방향으로 배출된다. 동일한 방향으로 여전히 이동한 다음, 박판 블랭크는 용접 장소로 운반되며, 여기에서 만곡 작업에 의해 및 적당한 가장자리 가이드에 의해 중첩되게 형성되는 이의 가장자리가 함께 용접된다.
일반적으로, 용접되는 편평한 패널 또는 실린더 몸체는 푸셔 도그(pusherdog)에 의해 운반된다; 즉 캔 몸체는 예를 들면 배출 방향으로 트레일링 가장자리인 박판 블랭크의 만곡된 가장자리 상으로 도그를 향하게 함으로써 만곡 장소로부터 배출된다. 다수의 이러한 도그는 예를 들면 스프로킷(sprockets)으로 안내되어 구동되는 엔드리스 체인(endless chains)에 부착되므로 박판 블랭크가 만곡되자 마자 배출 도그는 배출 방향으로 트레일링 가장자리인 박판 블랭크의 만곡된 가장자리 상으로 향하게 되어, 가속된 운동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만곡된 박판 블랭크를 배출시킨다. 체인 드라이브는 배출을 위해 충격 속도로부터 최대 속도까지 각각의 도그를 가속시키기 위해 제어된다. 배출에 필요한 시간은 충격 속도 및 최대 속도 사이의 차이(다른 요인 중에서)에 의해, 및 달성될 수 있는 가속도에 의해 제어된다.
최근의 용접 기술에 있어서, 및 캔 몸체의 표준 높이(즉 용접 시임의 길이)에 있어서, 캔 몸체의 생산 속도는 분당 1000개까지 가능하며, 사이클 시간이 60 msec로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이렇게 빠른 생산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매우 짧은 동일한 사이클 시간 내에서 만곡 장소로부터의 배출과 함께 만곡(표준 캔 몸체 지름을 가정하여)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만곡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짧은 시간내에서 수행되는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장소로부터 박판 블랭크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장치는 최대 생산 속도에서 조차 문제가 없는 만곡을 위해 및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캔 몸체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도록 선행 기술(일반적으로 기어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체인(conveyor chain) 상의 푸셔 도그)에 따른 상응하는 장치보다도 짧은 배출 시간을 허용한다. 상술된 목적을 충족시키는 것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손상받는 것없이 블랭크의 잼(jams) 또는 테일백(tailbacks)을 극복할 수 있고, 매우 길고 문제가 없는 서비스 수명(예를 들면 108캔 몸체)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이한 몸체 크기(몸체 직경)에 용이하게 적합해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편평한 패널 또는 원통형 몸체를 위한 일반적인 운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원통형 몸체의 운반을 위해, 만곡 장치로부터의 배출이외에도 다른 운반 경로가 존재하며, 이것을 지나 캔 몸체가 가속되어야 하고, 이것을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장점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캔 몸체의 가장자리가 여전히 정지하고 있는 동안 캔 몸체의 가장자리 상에서 또는, 일반적으로 배출 요소의 전방에서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가장자리 상에서 배출 요소의 충격 특성 곡선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운반 수단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배출 요소에 의해 급격한 충격 또는 급격한 가속 대신에, 부드러운 충격 다시 말하면 미리 결정된 시간 범위에 걸쳐 캔 몸체의 감소된 가속이 발생된다. 이러한 시간 범위는 캔 몸체를 갖는 배출 요소의 접촉 순간에 시작되고 배출 요소가 운반 수단에 관하여 이동한 후 단부 위치에 도달되자 마자 끝난다. 상기 이동은 감쇠된 방법으로 발생되고, 캔 몸체의 관성으로일어난다.
이것은 배출 요소가 운반 수단에 단단히 고정된다면 캔 몸체 또는 편평한 패널에 대한 손상이 일어나는 레벨에서 배출 요소 및 충격 전에 배출되는 블랭크의 가장자리 사이의 상대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캔 몸체의 빠른 초기 가속도는 캔 몸체가 만곡 장치를 더 신속하게 떠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선행 기술에 따른 최대 속도를 달성하는데 여전히 요구되는 잔류 가속도가 감소되어서, 운반 드라이브 메카니즘의 작업 부하를 감소시킨다.
대안으로, 더 빠른 최대 속도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는 사이클 시간 T 동안 배출 요소를 위한 운동 곡선의 예를 도시하며;
제 2 도는 감쇠 이동 및 요동 동작을 하는 배출 도그 및 초기에 정지된 블랭크 가장자리 사이의 충격을 위한 충격 곡선을 도시하며;
제 3 도는 예로서 개략적으로 표시된 3개의 실시예에 대한 감쇠 이동 또는 요동 동작을 하는 배출 도그의 원리를 도시하며;
제 4 도는 예로서 배출 방향에 직각으로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 5 도는 배출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 4 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 6 도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장치를 위한 배출 도그를 도시하고;
제 7 도 및 제 8 도(각각의 경우에 a 및 b)는 배출 방향에 평행하게(제 7a 도 및 제 8a 도) 및 배출 방향에 직각으로(제 7b 도 및 제 8b 도) 도시되어 있는 배출 도그를 톱니 벨트에 부착하는 2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도는 지정된 사이클 시간(T) 동안 배출 요소(ejector elements)(또는 더 일반적으로 운반 요소)를 위한 운동 곡선(Pl, P2, P3)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다이어그램에서, 배출 요소의 속도(V)는 시간 0(만곡 작업의 종료 시점) 및 시간 T(다음 만곡 작업의 종료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사이클 시간 T)에 걸쳐 시간의 함수로 표시된다. 박판 블랭크의 만곡 작업은 이전 박판 블랭크가 만곡 장소(지점 V)를 떠날 때의 순간 및 사이클의 종료 시점(지점 T) 사이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가속된 배출은 충격(지점 S)에서 즉시 시작되어 다음 운반 수단 또는 가공 장소로 만곡된 박판 블랭크의 이동(지점 U)까지 계속되며, 이러한 지점(U)은 지점(V) 및 사이클의 종료 시점(지점 T) 사이에 놓여 있다. 1개의 박판 블랭크가 만곡 작업되는 동안, 이러한 만곡 작업의 시작 바로 전에 만곡 장소를 떠나는 이전 박판 블랭크는 만곡 장소로부터 잇따라 운반되고 동시에 배출 요소(또는, 경우에 따라, 배출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운반 수단)는 충격 속도로 감속된다. 만곡 작업의 종료 시점(T/O), 및 박판 블랭크의 가장자리에 관한 배출 요소의 충격 시점(지점 S) 사이에 단시간 안전 간격(지점 0 내지 지점 S)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당된 간격 내에서 배출에 필요한 시간(지점 S 내지 지점 V)을 단축시키는 것은 다음의 캔 몸체를 만곡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는 시간(지점 V 내지 지점 T)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주어진 만곡 시간을 위해 전체 시간 간격이 단축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속도 곡선(Pl)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1 도는 충격 속도를 VS1에서 VS2로 증가시킴으로써 만곡 장소로부터의 출발 순간을 지점(V1)에서 더 빠른 지점(V2)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더 많은 시간이 주어진 사이클 시간 내에서 만곡 작업(V2에서 T까지)으로 소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사이클 시간이 상응하게 감소되는 것을 도시한다. 곡선(P2)과 구별되는 바와 같이, 곡선(P3)은 가속도(즉, 속도 곡선의 기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만곡 장소(V3)에서의 출발 순간이 그 이상 진행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다른 박판 블랭크가 만곡되는 동안, 이전 박판 블랭크는 만곡 장소로부터 잇따라 운반되어 이동되고 운반 수단은 충격 속도로 다시 감속된다. 감속 곡선의 프로파일(profile)은 부적절하게 제공되는 충격 속도(VS1, VS2)가 충격 순간(S)에서 달성된다는 것이다.
그 다음, 제 1 도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채택된 해결 방법을 나타낸다. 선행 기술(Pl)과 비교하여, 이것은 특징적인 충격 곡선을 변경함으로써 충격 속도가 증가(P2)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효과는 배출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또한, 동작 중 질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및/또는 적당한 드라이브를 사용함으로써, 충격 후의 가속도가 증가(P3)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배출 시간에 있어 다른 감소를 가져온다.
다른 적용을 위해, 특히 이미 동작 중인 박판 블랭크의 운반을 위해, 제 1 도가 이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배출 요소를 추진시키는 운반 수단을 위한 드라이브를 위해, 지정된 속도 프로파일을 발생시키는 일정한 속도 모터 및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비용이 더 들지만, 매우 빠른 가속도가 필요하고, 상기 적용에 적당한 모터는 시중에서 입수가능하다. 규정된 서보 모터는 가격이 덜 비싸며, 이의 속도는 지정된 속도 프로파일을 따라가기 위해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모터는 제한된 출력에만 이용가능하므로, 운반 수단 및/또는 배출 요소의 질량은 현재의 적용에 필요한 가속도를 얻기 위해 매우 낮게(약 80g까지) 유지되어야 한다.
제 2 도는 감쇠 이동 또는 요동 동작을 하는 배출 요소 및 초기에 정지된 블랭크 가장자리 사이 충격 곡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운반 수단(VT), 배출 도그(ejector dog)(VN) 및 블랭크 가장자리(VK)의 속도는 시간(t)의 함수로 표시된다. 배출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운반 수단은 예를 들면 일정한 속도(VT)로 충격 지점을 통하여 이동한다. 정지된 블랭크 가장자리(지점 S)에 충격이 가해지자 마자, 배출 요소는 운반 수단에 관하여 배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경사지고, 이것에 의해 지연되는(VN) 반면, 동시에 블랭크 가장자리는 이것이 배출 요소의 속도를 얻을 때까지 급격하게 가속된다. 배출 요소의 감쇠는 예를 들면 스프링 장치에 의해 달성되므로, 충격 후 배출 요소는 이의 본래 위치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된다. 배출 요소의 스프링이 약할수록 및 운반 수단에 관하여 이동이 더 많이 가능해질수록, 배출 요소의 감속이 더 급격하고 현저해지며 배출 요소와 동일한 속도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블랭크 가장자리에 대하여 적용되어야 가속도는 더욱 더 작아진다; 즉 이것은 가장자리에 작용하는 힘이 더욱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필요한 충격 속도가 더 높으면 높을수록, 배출 요소의 스프링 작용이 더 부드러워져야 한다.
적당한 탄성력은 배출 요소를 이의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에 충분히 크지않다면, 수단은 다음 충격이 일어나기 전에 및 유리하게는 박판 블랭크가 이동된 후 배출 요소를 이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면 운반 수단의 복귀 스트랜드(strand)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적당한 로커 암일 수 있다.
제 3 도는 감쇠 이동 또는 요동 동작을 하는 배출 요소, 또는 도그의 윈리를 표현하기 위한 예로서 3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운반 수단(1)은 배출 방향(A)으로 구동된다. 도그(2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도그는 이의 정지 위치(실선으로 도시됨)로부터 이동된 위치(점선으로 도시됨)까지 배출 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힘(B)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동작은 스프링(3)에 의해 감쇠된다. 힘(B)이 가해지는 것이 중지될 때, 스프링(3)은 도그를 이의 정지 위치로 복원시킨다. 대안으로, 도그(22)의 예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그는 축(C) 주위에서 힘(B)에 의해 경사질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면 도그를 정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정지 위치(실선으로 도시됨)로부터 경사진 위치(점선으로 도시됨)까지 배출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그를 정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도그(2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운반 수단 그 자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운반 수단은 배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내되지 않거나 또는 일측으로만 안내되는 탄성 벨트 예를 들면 톱니 벨트이므로, 이것은 도그가 힘(B)에 의해 경사질 때 점선으로 도시된 방법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경우에, 벨트의 탄성은 벨트의 장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는 복원력으로 사용된다.
제 4 도는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운반 수단은 구동 풀리(pulley)(12)와 복귀 및 인장 풀리(13)에 의해 안내되고 구동되는 톱니 벨트(11)이다. 이러한 벨트는 예를 들면 볼 베어링에 의해 어느 한 지점(도시되지 않은)에서 측면으로 안내되는 표준화된 시판용 톱니 벨트이다. 구동 풀리는 전자적으로 제어된 구동 모터와 능동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동기화된 속도 프로파일은 적당한 기어에 의해 또한 얻어질 수 있다. 인장 풀리는 배출 방향(A)과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므로, 벨트 장력은 인장 풀리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4개의 배출 도그(23.1/23.2/23.3/23.4)는 예를 들면 벨트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도그 사이의 거리는 가공되는 캔 몸체의 최대 높이 보다 더 길다. 충격 지점(S)은 배출 레그(leg)의 시작 지점에 위치된다.
충격 지점의 범위에서, 벨트는 배출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적어도 안내되지 않으며, 즉 배출 도그는 도그(23)(제 3 도)를 위해 표시된 방법으로 충격시에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벨트는 배출 방향으로부터 국부적으로 편향될 수 있으므로, 벨트 그 자체는 그 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복원 스프링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면 안내 롤러(7)의 쌍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는 배출 방향(A)에 직각인 방향으로 충격 지점(S)의 범위에 안내된다면, 벨트는 배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편향된다. 충격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벨트는 바라는 대로 안내되거나 또는 안내되지 않을 수 있다.
톱니 벨트는, 운반 체인에 관하여, 속도 프로파일을 얻기 위해 제어된 사이클에서 가속되고 감속되는 훨씬 작은 질량을 갖는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더 빠른 도그의 가속도와 더 짧은 배출 시간이 주어진 구동력을 위해 달성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것은 더 좋은 감쇠를 제공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충격 속도는 운반 체인에 고정 장착된 배출 도그를 갖는 장치에 비하여 두 배(예를 들면 1 m/sec 내지 2m/sec)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이렇게 빠른 충격 속도에서 조차도 더 조용히 동작 한다. 박판 블랭크의 잼 또는 테일백의 경우에 벨트의 동작이 탄성으로 인하여 우수하다. 이러한 잼 또는 테일백이 발생되면, 표준화된 시판용 톱니 벨트는 구동 모터 과부하 스위치가 작동될 때까지 원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운반 체인에 비하여 톱니 벨트의 다른 장점은 벨트가 전기 절연체이어서, 도그의 스파크 부식의 위험을 제거(또는 적어도 감소시킨다)한다.
제 5 도는 배출 방향으로 도시된 제 4 도의 배출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부분 장치(4 및 5)를 포함하므로 배출되는 캔 몸체(Z)는 2개의 도그(23)에 의해 푸시되어 가속된다. 이러한 장치는 2개의 부분 장치가 구동 모터를 분리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연결되고 2개의 드라이브가 전자 수단에 의해 동기화되는 곳에서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일 모터에 의한 드라이브가 또한 실시 가능하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행한 부분 장치(4 및 5)를 갖는 배치의 다른 장점은 제 6 도에 설명된다. 배출 장치를 상이한 캔 몸체 지름에 맞추기 위해, 2개의 부분 장치 및/또는 배출 도그는 점선(화살표 E)으로 표현된 평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다. 점선 사이의 각도는 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부분 장치가 독립적인 구동부를 갖는다면, 이러한 조절은 매우 용이하게 실시된다.
제 7 도 및 제 8 도(각각의 경우에 a 및 b)는 배출 방향에 평행하게(제 7a 도 및 제 8a 도) 및 배출 방향에 직각으로(제 7b도와 8b도) 도시되어 있는 배출 도그(23)를 톱니 벨트(11)에 부착하는 예를 도시한다. 배출 도그(23)는 예를 들면 톱니 벨트(11)의 톱니에 위치되는 앵커 톱니(anchoring tooth)(11.2)(제 7a 도 및 제 7b 도)에 의해, 또는 톱니 벨트(11)의 2개의 톱니(11.1) 사이에서 여분의 톱니(11.3)에 의해 톱니 벨트(11)에 부착될 수 있다. 톱니 벨트(11)가 자유롭게 둘레로 이동하기 위해, 양쪽의 경우에 가능한 한 작게 배출 방향으로 부착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양쪽의 실시예에서, 유리하게는 강철로 제조된 더미(dummy) 톱니(11.2) 또는 여분의 톱니(11.3), 및 배출 도그는 벨트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2개의 파스너(fasteners) 예를 들면 나사(8)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여분의 톱니(11.3)(제 8 도 및 제 8b 도)를 갖는 실시예에 있어서, 여분의 톱니가 동일한 지점(또는 지점들)에서 풀리와 항상 채결되도록 및 톱니가 그 지점(또는 그런 지점들의 각각에서)에서 없도록 톱니 벨트를 위한 톱니 드라이브 및 복귀 풀리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 표시된 배출 도그는 이러한 재료의 경량화를 인하여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고, 충격 지점에 작은 카바이드 팁(carbide tip)을 갖는다. 이것은 강철 또는 복합 재료로 또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6)

  1. 동기화된 속도 프로파일을 구동되는 운반 수단(1) 및 상기 운반 수단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운반 요소를 가지며, 박판 블랭크를 다음 가공 장소로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운반 요소는 운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에너지의 흡수에 의해 상기 운반 수단(1)에 관하여 감쇠 이동 또는 요동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운반 요소는 운반 수단(1)에 관하여 탄성력으로 감쇠된 이동 또는 요동 동작을 하기 위해 배치된 배출 도그(21, 22,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운반 수단은 적어도 제한된 정도까지 종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한편, 구동 풀리(12) 및 복귀 풀리(13)에 의해 운반 방향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안내되고 구동되는 벨트(11)이며, 그리고 적어도 1개의 운반 요소(23)는 상기 벨트에 고 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배출 도그는 벨트의 종축에 대해 직각인 라인에 위치되는 파스너(8)에 의해 벨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특정한 장력으로 상기 벨트를 설치하기 위해 조정가능한 인장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1)는 톱니 벨트이며, 적어도 1개의 배출 도그(23)는 톱니 벨트의 두 톱니(11,1) 사이에서 여분의 톱니(11.3)에 의해 부착되고, 톱니 구동 및 복귀 풀리는 여분의 톱니(11.3)가 동일한 지점 또는 지점들에서 풀리와 항상 체결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풀리의 톱니는 이러한 지점에, 또는 이러한 지점들의 각각에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1)는 톱니 벨트이고, 배출 도그 및 도그들(23)은 더미 톱니(11.2)에 의해 그것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운반 수단(1)은 구동 및 복귀 스프로킷에 의해 안내되고 구동되는 엔드리스 체인이고, 적어도 1개의 운반 요소(21, 23)는 운반 방향(A)에 직각인 축 주위에서 감쇠된 요동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또는 운반 방향(A)에 반대 방향으로 감쇠된 이동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체인의 링크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운반 요소는 운반 방향에 직각인 축 주위에서 감쇠된 요동 동작을 할 수 있거나, 또는 운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감쇠된 이동 동작을 할 수 있고, 재설정 수단은 경사져 있거나 또는 이동된 위치로부터 운반 요소를 재설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운반 수단(1, 11)은 전자 제어 구동 모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동기적으로 구동가능한 운반 수단(11)을 갖는 2개의 평행한 부분 장치(4 및 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부분 장치(4 및 5)의 운반 수단은 구동 모터에 각각 결합되고, 전자 수단은 2개의 모터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이한 캔 몸체의 지름에 맞추기 위해, 상기 2개의 부분 장치(4 및 5)는 서로에 대해 각도가 있는 두 평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두 평면 사이의 각도는 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만곡된 박판 블랭크를 만곡 장소로부터 용접 장소로 배출하기 위한 캔 몸체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의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5. 만곡된 박판 블랭크를 용접 장소로 운반하기 위한 캔 몸체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의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16. 편평한 박판 블랭크를 용접 장소로 운반하기 위한 용접된 복합 패널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의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KR1019950704892A 1994-03-07 1995-02-16 박판블랭크를가공장소로연속적으로운반하는장치및상기장치의이용방법 KR100344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66094 1994-03-07
CH66094-0 1994-03-07
CH660/94-0 1994-03-07
PCT/CH1995/000035 WO1995024284A1 (de) 1994-03-07 1995-02-16 Vorrichtung zum seriellen transport von blechteilen in richtung einer behandlungs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712A KR960701712A (ko) 1996-03-28
KR100344745B1 true KR100344745B1 (ko) 2002-11-29

Family

ID=419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892A KR100344745B1 (ko) 1994-03-07 1995-02-16 박판블랭크를가공장소로연속적으로운반하는장치및상기장치의이용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11412A (ko)
EP (1) EP0697926B1 (ko)
JP (2) JPH08508967A (ko)
KR (1) KR100344745B1 (ko)
CN (1) CN1081963C (ko)
BR (1) BR9505693A (ko)
DE (1) DE59510168D1 (ko)
RU (1) RU2124957C1 (ko)
WO (1) WO1995024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702057D1 (de) * 1996-02-23 2000-08-24 Boewe Systec Ag Transport- und sammelsystem
US6948686B2 (en) * 2002-04-10 2005-09-27 Walter Holemans Constant rate deployment device
AU2003286713A1 (en) * 2002-10-25 2004-05-13 Kliklok Corporation Carton feeding and forming machine with selectively actuated lugs and related methods
US20100200371A1 (en) * 2002-10-25 2010-08-12 Urs Reuteler Conveyor with selectively actuated lugs and related methods
DE10259974A1 (de) * 2002-12-19 2004-07-08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m Fördern von Karosserieblechen eines Fahrzeugs und entsprechende Fördervorrichtung
DE20308865U1 (de) * 2003-06-06 2003-09-04 Pfankuch Maschinen Gmbh Mitnehmer,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Zusammentrag- und Verpackungsmaschinen
US7097023B1 (en) * 2004-07-30 2006-08-29 Chun-Liang Chen Finished product receiving unit of a corrugated metal sheet member making machine
US6983837B1 (en) * 2004-07-30 2006-01-10 Chun-Liang Chen Finished product receiving unit used in a corrugated metal sheet member making machine
US7731018B2 (en) * 2005-03-08 2010-06-08 Goss International Americas, Inc Rotary gatherer with collapsible pins
US7537105B2 (en) * 2005-08-15 2009-05-26 Laitram,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pacing of conveyed objects
JP5380785B2 (ja) * 2007-04-25 2014-01-08 村田機械株式会社 板材加工システム
RU2457060C2 (ru) * 2007-10-25 2012-07-27 Фраттини С.П.А.Коструциони Мекканик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операций н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контейнерах
FR2937897B1 (fr) * 2008-11-03 2010-11-12 Rapidex Sm Dispositif d'equerrage pour une ligne de faconnage d'emballages
CN101874900B (zh) * 2010-03-30 2013-03-13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隧道式灭菌干燥机的推瓶机构
ES2613581B1 (es) * 2016-11-15 2018-02-28 Sapli Solutions, S.L. Alimentador vertical de artículos
CN106705575B (zh) * 2016-12-21 2022-07-22 上海永太汽车零部件有限公司 零配件滤油装置
CN111906804A (zh) * 2020-09-01 2020-11-10 浙江复洁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压滤机用的滤板拉板机械手
US11724886B2 (en) * 2021-08-10 2023-08-15 AMF automation Technologies, LLC Safety device for push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6747A (en) * 1939-02-23 1941-04-01 Cameron Can Machinery Co Feeding device for can bodies
SE8100247L (sv) * 1981-01-19 1982-07-20 Tetra Pak Int Sett och anordning for matning av foremal
JPS57156915A (en) * 1981-03-23 1982-09-28 Hitachi Ltd Device for positioning conveyed article
US4697693A (en) * 1984-04-23 1987-10-06 Kimberly-Clark Corporation Conveying systems
SU1245517A1 (ru) * 1985-02-11 1986-07-23 Филиал Московского Специального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Бюро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Линий И Агрегатных Станков Цепной конвейер дл накоплени изделий
DD241889A1 (de) * 1985-10-23 1987-01-07 Polygraph Leipzig Mitnehmer mit ueberlastsicherung
DE3862234D1 (de) * 1987-05-13 1991-05-08 Sig Schweiz Industrieges Transportvorrichtung fuer eine verpackungsmaschine.
DE3810611A1 (de) * 1988-03-29 1989-10-19 Krupp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osenzargen und vorrichtung zum durchfuehren des verfahrens
US4997081A (en) * 1989-05-15 1991-03-05 Eac Systems, Inc. Conveyor system for shredded solid waste material
DE4229238C2 (de) * 1991-09-24 1996-04-18 Pwh Anlagen & Systeme Gmbh Antriebs- und Führungseinrichtung für einen Stetigförderer
JP2546099B2 (ja) * 1992-02-10 1996-10-23 東洋製罐株式会社 溶接缶胴の搬送方法
US5501318A (en) * 1994-07-06 1996-03-26 Riverw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Overhead pusher lug assembly for packaging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24284A1 (de) 1995-09-14
US5711412A (en) 1998-01-27
JP3053504U (ja) 1998-11-04
EP0697926A1 (de) 1996-02-28
RU2124957C1 (ru) 1999-01-20
KR960701712A (ko) 1996-03-28
EP0697926B1 (de) 2002-04-17
CN1126960A (zh) 1996-07-17
JPH08508967A (ja) 1996-09-24
BR9505693A (pt) 1996-01-16
CN1081963C (zh) 2002-04-03
DE59510168D1 (de)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745B1 (ko) 박판블랭크를가공장소로연속적으로운반하는장치및상기장치의이용방법
KR100432424B1 (ko) 컨베이어장치및상기컨베이어장치의이용방법
US4842476A (en) Manipulator
DE50015771D1 (de) Schweissdrahtfördereinrichtung mit Haupt- und Hilfsantrieb
CN1156116A (zh) 零件定向输送设备
US6585262B2 (en) Conveying interval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US3965648A (en) Apparatus for loading fuel pellets in fuel rods
US4463846A (en) Bottle orienting apparatus
JPH07187382A (ja) バンパおよびブレーキの性能を具えたキャリアを有するコンベヤ機構および衝撃のない運搬方法
US4203694A (en) Squaring reams of paper for wrapping
RU9512211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в направлении позиции обработки
RU200311269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корости перемещения и расстояния между объектами, транспортируемыми случайным образом
CN1057948C (zh) 金属板坯的弯圆方法和设备
EP0234125A2 (en) Feed conveyor for machine for forming leads of electronic components
US5351729A (en) Apparatus for log unscrambling and for feeding individual logs to processing systems
JP3998263B2 (ja) 特にフィルム伸長装置に使用する走行キャリッジ用衝撃緩衝装置
US20050028621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parts for supplying machines
JPH092633A (ja) 間欠搬送コンベア
US3746055A (en) Ejecting means
US6588582B2 (en) Device for braking a machine for processing elements in sheet form
CN117836225A (zh) 用于输送面式工件、尤其板材的振动输送机和组件及具有振动输送机的用于定位面式工件的定位装置
EP0752972B1 (en) Turning apparatus for packages
JPH03205212A (ja) フリーサイクルコンベアの位置決め装置
CN220222600U (zh) 一种用于自动上料设备的输出机构
SU16415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деталей типа бол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