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558B1 -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558B1
KR100343558B1 KR1019990047304A KR19990047304A KR100343558B1 KR 100343558 B1 KR100343558 B1 KR 100343558B1 KR 1019990047304 A KR1019990047304 A KR 1019990047304A KR 19990047304 A KR19990047304 A KR 19990047304A KR 100343558 B1 KR100343558 B1 KR 10034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s
seed
temperature
crystal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079A (ko
Inventor
한영희
성태현
한상철
이준성
김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55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10Inorganic compounds or compositions
    • C30B29/16Oxides
    • C30B29/22Complex 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력응용분야와 전자소자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고온초전도 단결정의 종자결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함에 있어 기존의 방법에서는 하나의 종자만을 사용하기에 제조시간이 긴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종자를 사용하고, 성장한 결정들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을 완벽히 제거하기 위하여 결정들이 맞닿는 시점에 열처리 온도를 포정반응온도까지 올렸다가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성장한 결정들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자기적 특성도 저하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종자만을 사용하던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자기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제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10×10×3㎤ 크기의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하는 경우로 비교하면 기존의 방법으로는 약 300시간 정도 유지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종자결정을 5mm 간격으로 배치하면 기존의 방법의 약 1/3 시간(95시간)에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초전도체의 크기가 증가하여도 열처리 시간은 증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대형의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할 때에는 하나의 종자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제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도 크게 줄일 수 있는 등의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A Fabrication technique for single crystals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by multi-seeding method}
본 발명은 전력응용분야와 전자소자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희토류금속 바륨 구리산화물(ReBa2Cu3OxRe=Y, Bi, Sm 등, 이후 Re123으로 표시함) 고온초전도 단결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종자를 사용하여 고온초전도 단결정의 제조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초전도체의 자기특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다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87년 이래로 이트륨 바륨 구리산화물 고온 초전도체의 발견에 따라 경제적으로 저렴한 냉매인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고온 초전도체를 실생활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온 초전도체의 응용분야는 전력과 관련된 분야와 전자소자와 관련된 분야로 대별된다.
전력응용 분야로서 예를 들면 전력저장장치, 전류도입선, 오전류 차단소자 등이 있고 전자소자 응용분야로는 마이크로파 소자, 자기차폐, 초전도 양자소자 등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인 벌크형 초전도체는 일반적 세라믹 제조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어 비교적 제조비용이 낮기 때문에, 우수한 통전성 및 낮은 열전도도를 이용하는 전류 인입선, 자석과 초전도체간의 부상을 이용하는 자력부상, 초전도체가 외부자장을 차폐하는 특성을 이용한 자기차폐, 초전도체에 자력을 속박시켜 영구자석으로 사용하는 초전도 영구자석 등의 응용분야가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기 소자의 기판으로 응용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이 중 초전도 플라이휠 전력저장 장치, 전류인입선 등, 몇몇 분야의 연구는 이미 실용화 단계에 있으며 다른 분야들도 2000년 초에는 실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자석과 초전도체 사이의 자기부상 현상을 이용하는 초전도 플라이휠 전력저장 장치는 2000년 초에 실용화를 목표로 활발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초전도 플라이휠 전력저장 장치는 자석과 초전도체 사이의 자기부상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우수한 특성과 안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초전도체의 자기 부상력이 켜야 한다. 자기 부상력은 초전도체의 임계전류밀도와 결정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임계전류밀도는 그 크기에 한계가 있어 실제적으로는 결정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희토류금속 바륨 구리산화물(Re123)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는 하나의 종자결정을 사용하는 종자결정(top seeded melt growth)법을 이용한다. 희토류금속 바륨 구리산화물 고온초전도 단결정의 제조는 Re123 성형체를 제작하여 그 상면에 도 1 와 같이 결정으로 사용할 종자를 올려놓은 후 포정반응 온도이상으로 올려 부분용융상태를 만든 후, 포정반응 온도 아래로 서냉하여 장시간 유지하여 종자결정의 결정방위를 따라 Re123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Re123 결정의 방위를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공정변수를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 단결정 성장여부와 성장된 단결정의 특성이 달라지게되는데, 이러한 공정변수를 최적화하고 큰 크기의 단결정을 제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도 2는 기존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열처리 공정 조건을 표시한 것으로 성형체를 1000℃이상으로 온도를 올려 부분용융상태로 만든 후, 1010∼980℃ 까지 서냉시켜 장시간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유지온도가 낮으면 성장속도는 크지만, 단결정의 품질이 떨어지고 부가적인 핵생성이 크게 일어나 단결정을 얻기 어렵고, 유지온도가 높으면 성장속도가 느리다.
이러한 기존의 제조방법으로는 5×5×2 ㎤ 크기의 단결정을 제조하는데, 약 100-150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 제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다 종자를 사용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으나, 다 종자를 사용하는 경우 모두 결정사이의 액상을 제거하는데 실패하여 특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초전도체를 종자결정법으로 제조할 때는 과냉각을 시켜 결정을 성장시키기 때문에 평형액상과 결정으로 되는 액상의 조성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액상의 조성은 결정이 성장할수록 계속 변화하여 최종적으로는 결정이 성장할 수 없는 정도로 변화하게 되는데, 다 종자법으로 결정을 성장시키면 비초전도 상인 이러한 액상이 결정들 사이에 존재하여 초전도의 부상 특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도 3 은 이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는 하나의 결정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자기 특성이고, (c)는 두 개의 결정 사이에 비초전도 상인 액상이 존재하는 경우의 자기 특성으로 (a)의 1/4로 감소한다. (b)는 두 개의 결정 사이의 액상을 제거한 경우의 자기 특성으로 하나의 결정으로 이루어진 (a)의 특성에 근접한 값을나타낸다.
그러므로 기존의 방법으로 다 종자를 사용하면 결정들 사이에 비초전도상인 액상이 존재하므로 도 3의 (c)와 같은 자기 특성을 나타내므로, 하나의 종자를 사용하여 장시간 결정을 성장시키는 것이 한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온초전도체를 종자결정법으로 제조할 때는 과냉각을 시켜 결정을 성장시키기 때문에 평형액상과 결정으로 되는 액상의 조성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결정들 사이에는 비초전도 상인 액상이 존재한다. 이러한 조성의 차이는 과냉각도가 클수록 커지는 것으로 포정반응 온도에서는 0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결정들이 성장하여 맞닿은 후에 결정들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온도를 포정반응 온도근처까지 올렸다가 내리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 종자를 사용하여도 초전도체의 자기 특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면적의 결정을 성장시킬 때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종자결정법에서 다 종자를 사용하면 결정들 사이에 비초전도상인 액상이 존재하여 자기 특성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하나의 종자만을 사용하여 장시간 성장시켰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 종자를 사용하여 획기적으로 결정 성장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초전도체의 자기특성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기존의 단결정체 제조방법에서의 종자결정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 는 기존의 단결정체 제조방법에서의 열처리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 은 고온초전도체 사이의 상태에 따른 자기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열처리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 은 다 종자 결정법을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종자결정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 은 실시예와 비교예 1의 고온초전도체 경계면의 미세구조
도 7 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자력 분포 측정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자결정
12 : 희토류금속 바륨 구리산화물 성형체
14 : 표면 코팅층
16 : 마그네시아 단결정 기판
18 : 상부에서 성장한 희토류금속 바륨 구리산화물 단결정체
20 : 하부에서 성장한 희토류금속 바륨 구리산화물 단결정체
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방위의 종자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포정반응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원료물질 중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고 포정반응온도 이하인 결정성장온도로 서냉하여 종자결정의 결정방위에 맞게 고온초전도체를 성장시키다가 고온초전도체 결정들이 맞닿으면 포정반응온도까지 온도를 올렸다가 결정성장온도까지 온도를 내려 결정들 사이의 잔류액상을 제거한 후 다시 결정을 성장시켜 하나의 결정과 비슷한 특성을 갖는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방법 보다 제조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다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희토류 금속 바륨 구리산화물 (ReBa2Cu3OxRe=Y, Bi, Sm 등) 고온 초전도 단결정의 종자를 사용하여 희토류 금속 바륨 구리산화물 (ReBa2Cu3OxRe=Y, Bi, Sm 등)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성형체 내에 다수의 동일한 방위를 갖는 종자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포정반응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0.5 내지 1.5 시간 유지하여 분말 원료물질 중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공정과;
상기 용융공정 후 포정반응온도 이하의 결정성장온도로 서냉하고 30 내지 50시간 유지하여 종자결정의 결정방위에 맞게 고온초전도체를 성장시키는 공정과;
상기 성장공정으로 고온초전도체 결정들이 서로 맞닿으면 포정반응온도까지 다시 온도를 올렸다가 다시 결정성장온도까지 온도를 내려 주는 공정을 수반함으로서 결정들 사이의 잔류액상을 제거한 후 다시 결정을 성장시켜 하나의 결정과 비슷한 특성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자결정법에 사용되는 분말 원료물질은 이트륨 바륨 구리산화물 (YBa2Cu3Ox) 이고, 부분용융온도는 1010∼1100℃ 사이이고, 결정성장온도는 980∼1009℃ 사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Sm1.8(Sm1.8Ba2.4Cu3.4O7-y) 단결정체 종자를 사용하여 상하부 종자결정법으로 Y123 단결정체를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종자로 사용하는 결정은 성형체에 비하여 포정반응온도가 높아야 부분용융 온도에서도 용융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원료분말은 Y1.8 (Y1.8Ba2.4Cu3.4O7-y) 분말로 한 변이 3.0 cm인 직육면체 몰드에서 2cm 두께로 일 축 성형하고 180 MPa의 압력에서 냉간 가압하여 제조한 성형체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성형체의 윗면을 제외한 5개 면을 Yb2O3분말로 코팅하고 상부면에 약 5mm 간격으로 두 개의 Sm1.8 종자를 심었다. Sm1.8 seed 종자는 c-축이 성형체의 표면과 수직하도록 하였다. 샘플을 MgO 기판에 올려놓고 1040oC 까지 200oC/h의 속도로 올려서 1 시간 유지한 후 995oC로 undercooling하여 40 시간 유지하였다. 이 온도에서 211과 액상이 반응하여 123 결정이 성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995℃에서 40시간 유지한 후 온도를 포정반응온도인 1010℃까지 2oC/h의 속도로 올려 주며, 포정반응온도에 도달하면 바로 2oC/h의 속도로 995oC까지 온도를 내려 다시 40시간 결정 성장을 시킨다.
이 후, 시료를 200oC/h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한 후 다시 500oC, 산소 분위기에서 50 시간 열처리하여 고온초전도 특성을 부여하였다.
이 시편위에 0.5T의 영구자석을 올려놓은 후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77 K로 자장 중 냉각을 실시한 후 영구자석을 제거하고, 시편에 잔류하는 자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발명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에서는 성형체의 윗면을 제외한 5개 면을 Yb2O3분말로 코팅하고 상부면에 약 5mm 간격으로 두 개의 Sm1.8 종자를 심었다. Sm1.8 seed 종자는 c-축이 성형체의 표면과 수직하도록 하였다. 샘플을 MgO 기판에 올려놓고 1040oC 까지 200oC/h의 속도로 올려서 1 시간 유지한 후 995oC로 undercooling하여 100 시간 동안 유지만 하였다. 이 후의 공정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성형체의 윗면을 제외한 5개 면을 Yb2O3분말로 코팅하고 상부면의 중앙에 하나의 Sm1.8 종자를 심었다. Sm1.8 seed 종자는 c-축이 성형체의 표면과 수직하도록 하였다. 샘플을 MgO 기판에 올려놓고 1040oC 까지 200oC/h의 속도로 올려서 1 시간 유지한 후 995oC로 undercooling하여 100 시간 동안 유지만하였다.
도 6은 실시예와 비교예 1의 고온초전도체 결정의 경계면의 미세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의 실시예의 미세구조에서는 경계면이 매우 깨끗함을 알 수 있고, 온도를 유지만 한 (b)의 비교예 1의 미세구조에서는 경계면에 흑색의 비초전도상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77K에서 자력 분포를 측정한 결과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자력의 분포가 크게 차이남을 알 수 있다. 즉 결정들이 성장하여 맞닿은 후에 결정들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온도를 포정반응온도까지 올렸다가 내리는 방법을 사용한 실시예에서는 약간의 자기 골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하나의 결정으로 이루어진 비교예 2의 자력분포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는 반면, 온도를 유지만 한 비교예 1의 자력분포는 매우 낮은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고온초전도 플라이휠에너지 저장장치 등의 전력분야에서 응용되는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함에 있어 자기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제조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서는 3×3×2㎤ 크기의 단결정을 얻기 위하여 두 개의 종자결정을 5mm 간격으로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10×10×3㎤ 크기의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하는 경우로 비교하면 기존의 방법으로는 비교예의 약 3배에 해당하는 시간(300시간) 정도 유지하여야 하지만, 본발명에 따라 종자결정을 5mm 간격으로 배치하면 실시예와 동일한 시간(95시간)에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초전도체의 크기가 증가하여도 열처리 시간은 증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대형의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할 때에는 하나의 종자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제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도 크게 줄일 수 있는 등의 경제적 이익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희토류 금속 바륨 구리산화물 (ReBa2Cu3OxRe=Y, Bi, Sm 등) 고온 초전도 단결정의 종자를 사용하여 희토류 금속 바륨 구리산화물 (ReBa2Cu3OxRe=Y, Bi, Sm 등) 고온초전도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성형체 내에 다수의 동일한 방위를 갖는 종자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포정반응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0.5 내지 1.5 시간 유지하여 분말 원료물질 중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공정과;
    상기 용융공정 후 포정반응온도 이하의 결정성장온도로 서냉하고 30 내지 50시간 유지하여 종자결정의 결정방위에 맞게 고온초전도체를 성장시키는 공정과;
    상기 성장공정으로 고온초전도체 결정들이 서로 맞닿으면 포정반응온도까지 다시 온도를 올렸다가 다시 결정성장온도까지 온도를 내려 주는 공정을 수반함으로서 결정들 사이의 잔류액상을 제거한 후 다시 결정을 성장시켜 하나의 결정과 비슷한 특성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결정법에 사용되는 분말 원료물질은 이트륨 바륨 구리산화물(YBa2Cu3Ox) 이고, 부분용융온도는 1010∼1100℃ 사이이고, 결정성장온도는 980∼1009℃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KR1019990047304A 1999-10-28 1999-10-28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KR10034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304A KR100343558B1 (ko) 1999-10-28 1999-10-28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304A KR100343558B1 (ko) 1999-10-28 1999-10-28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79A KR20010039079A (ko) 2001-05-15
KR100343558B1 true KR100343558B1 (ko) 2002-07-19

Family

ID=1961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304A KR100343558B1 (ko) 1999-10-28 1999-10-28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5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79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6912A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textured YBa2 Cu3 Ox superconductor
US5508255A (en) Epitaxial thallium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films formed via a nucleation layer
CN105525267A (zh) 一种磁控溅射法制备涂层导体Y1-XRExBCO超导层的方法
KR100343558B1 (ko) 다 종자를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 제조방법
KR100336613B1 (ko) 상.하 종자결정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09580B1 (ko) 이트륨계 초전도체의 제조방법
US5974336A (en) Oxide superco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970005158B1 (ko) 복합 산화물 초전도박막 또는 선재와 그 제작방법
CN113430646B (zh) 利用单籽晶桥式结构诱导生长rebco超导块材的方法
JP2001358007A (ja) 酸化物超電導バルクマグネット
JPH01275434A (ja) 酸化物高温超電導膜の製造法
JP3854364B2 (ja) REBa2Cu3Ox系超電導体の製造方法
Naylor et al. Melt processing of Bi-2212 on MgO and MgO-buffered substrates
KR920009654B1 (ko) 란탄늄 알루미네이트 박막 제조용 스퍼터링타켓의 제조방법
Lee Fabrication of YBa2Cu3O7-y Bulk Superconductor Through Melt Growth
JP3917704B2 (ja) 酸化物超電導材料の製造方法
JP4153651B2 (ja) 酸化物超電導材料の種結晶及びこれを用いた酸化物超電導材料の製造方法
JP4071860B2 (ja) 超電導バルク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ong et al. High performance superconducting Y-Ba-Cu-O tapes produced by oxidation of metallic precursors
Binner et al. Microwave melt texturing of bulk YBCO superconductors
Jin et al. Critical Current Density of the YBa 2 Cu 3 O 7-δ Superconductor as Affected by Microstructuralxontrol
Wang et al. Influence of a novel heat treatment on structures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YGdBCO coated conductors
JP3548795B2 (ja) 3軸配向酸化物超伝導複合体の製造方法
JP6359328B2 (ja) Re123結晶膜作成方法。
JP5459132B2 (ja) 酸化物超電導バルク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