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987B1 -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987B1
KR100342987B1 KR1019997000921A KR19997000921A KR100342987B1 KR 100342987 B1 KR100342987 B1 KR 100342987B1 KR 1019997000921 A KR1019997000921 A KR 1019997000921A KR 19997000921 A KR19997000921 A KR 19997000921A KR 100342987 B1 KR100342987 B1 KR 10034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measuring cell
pressure
hous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043A (ko
Inventor
프로브스트우베
스코플야네그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0006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01L19/0084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27Protection against aggressive medium in general
    • G01L19/0645Protection against aggressive medium in general using isolation membran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8Details about the circuit board integration, e.g.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surface or encaps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G01L9/04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of resistance-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압력 측정 셀(5)이 배치되는 하우징(3)을 구비하는, 특히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압력 측정 셀(5)에는 하우징의 공급 개구부(15)를 경유하여 압력 매체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안내되는 외부 접속 접점(35)을 구비한다. 압력 측정 셀(5)은 내부에 또는 곁에 압력 센서(19)가 배치되는 측정 셀 하우징(9)을 포함한다. 압력 센서(19)에는 압력 매체가 작용할 수 있다. 압력 센서(19)의 전기 접속부는 전자 회로(25)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의 외부 접속 접점(35) 또는 접속부(23)에 접속된다. 측정 셀 하우징(9)은 내부에 2개 이상의 전기 도체(21)가 삽입되도록 사출되는 플라스틱 사출 부품이고, 전기 도체(21)는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제1 접점 단부에 의해 압력 센서(19)의 수납 구역으로 돌출되어 압력 센서(19)의 각각의 전기 접속부에 접속된다. 또한, 전기 도체(21)는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제2 접점 단부에 의헤 압력 매체 또는 압력 전달 매체의 작용을 받지 않는 측정 셀 하우징의 구역으로 돌출되어 전자 회로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의 외부 접속 접점(35) 또는 접속부(23)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PRESSURE SENSOR UNIT, ESPECIALLY FOR AUTOMOTIVE ENGINEERING APPLICATIONS}
그러한 형식의 압력 센서 유닛은 통상적으로 압력을 감시하려고 하는 압력 매체용의 공급 개구부가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압력 매체는 공급 개구부를 경유하여 하우징 속에 들어있는 압력 측정 셀에 공급된다. 압력 센서 유닛의 하우징은 예컨대 전방 구역에 수나사를 구비하는데, 그 수나사는 압력 센서 유닛을 예컨대 기관 블록과 같은 감시 대상 시스템에 있는 암나사를 구비한 대응 절결부 속에 나사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자동차 공업에서는 장시간에 걸친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는 동시에 침식성 매체 및 열악한 환경 조건에 대한 내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자동차 공업의 경우에는 압력을 감시하려고 하는 압력 매체가 고유의 센서 요소와 접촉하지 않는 소위 매체 격리형 압력 센서 유닛이 주로 사용된다. 그를 위해, 센서 요소를 압력 측정 셀의 측정 셀 하우징 속에 배치하고 센서 유닛의 하우징 속에 있는 압력 측정 셀을 격리막에 의해 공급 개부부에 대해 밀봉하는 방안이 공지되어 있다. 그 경우, 압력 매체는 격리막을 경유하여 격리막의 타측으로 격리막과 센서 요소와의 사이에 들어있는 압력 전달 매체에 작용한다. 그러한 형식의 압력 센서 유닛은 예컨대 DE 295 11 996 U1로부터 공지되어 있는데, 그 압력 센서 유닛은 부가적으로 참조 압력 측정 장치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그러한 공지의 압력 센서 유닛은 하나 이상의 하우징 부분과 그 속에 배치된 센서 요소로 이루어지는 고유의 압력 측정 셀을 조립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모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특히, 압력 센서 유닛을 해당 지지체 부분 상에 조립하는 작업과 센서 요소의 접속부를 전기 접촉시키는 작업이 그와 같이 많은 비용과 노력을 소모시키는 요인이 된다.
센서 요소에는 항시적으로 측정 대상 압력이 작용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압력 센서의 접속부를 작용 매체와 반대측의 지지체 부분측으로 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공지의 압력 센서 유닛에서는 압력이 높을 때에 생성되는 높은 가압력을 흡수하여 압력 센서 유닛의 하우징에 전달하기 위해 지지체 부분이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그와 같이 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경우에는 센서 접속 접점을 절연시킨 채 지지체 요소를 통해 그 배면측으로 끌어내는 것이 필요하고, 그로 인해 그에 상응하는 비용이 수반된다(예컨대, DE 295 11 976 U1).
그 때문에, 본 출원인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선행 독일 출원 제196 37 763호에 개시되어 있는 압력 센서 유닛을 이미 개발한 바 있다. 그러한 압력 센서 유닛은 측정 셀을 구비하는데, 그 측정 셀의 측정 셀 하우징은 압력 센서 유닛의 하우징 속에 유지된다. 측정 셀 하우징에는 중심 구멍이 있고, 그 중심 구멍의 배면측으로부터 TO-하우징 속에 배치된 압력 센서 요소가 삽입된다. 그 경우, TO-하우징은 예컨대 용접에 의해 측정 셀 하우징에 밀봉된 채 결합된다. 고유의 센서 요소는 TO-하우징의 사용에 의해 사전에 이미 완전하게 전기 접촉된 채 측정 셀 하우징 속에 삽입되어 그에 결합된다. 그것만으로도 이미 종래의 센서 유닛에 비해 간단한 조립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얻어진다.
그러나, 고유의 센서 요소를 TO-하우징 속에 삽입하는 작업으로 인해, 그리고 TO-하우징을 측정 셀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밀봉 결합하는 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과 노력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수반하는, 특히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압력 센서 유닛은 다양한 구성으로 공지되어 있고, 자동차 공업에서는 예컨대 기관의 오일 압력 또는 브레이크 압력을 감시하기 위한 센서 요소로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중에서,
도 1은 특히 고압용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특히 저압 및 중간 압력용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하측 하우징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특히 저압 및 중간 압력용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그에 따라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특히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센서 요소를 전기 접촉시키는데 필요한 2개 이상의 전기 도체의 둘레에 측정 셀 하우징을 사출하는 것에 의해 측정 셀 또는 압력 센서 유닛의 제조 시에 비용과 노력이 매우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부여된다.
예컨대 반도체 칩 상에 형성되는 고유의 센서 요소는 직접적으로 측정 셀 하우징 상에 또는 측정 셀 하우징 속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의 전기 접속부는 예컨대 접합에 의해 전기 도체의 접점 단부에 접속될 수 있는데, 그 접점 단부는 압력 매체 또는 압력 전달 매체가 작용하는 측정 셀 하우징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그에 의해, 측정 셀이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간단하게 제조되어 역시 간단하게 압력 센서 유닛의 하우징 속에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도체는 사출 과정 전에 또는 사출 과정 중에 원하는 형태로 만곡되는 스탬핑 그리드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탬핑 그리드는 해당 접점 단부가 접합에 의해 압력 센서의 해당 접속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것은 스탬핑 그리드의 접속 접점 단부가 연마되거나 적어도 연마된 구역을 구비한다는 것을 그 전제로 한다. 그 뿐만 아나라, 전체의 제조 공정 중에 그러한 연마된 구역이 오염되지 않도록 배려되어야 한다. 그 경우, 사출 과정을 위해 격리 수단의 사용은 포기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사출 부품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급격한 경사면을 채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압력측과 반대측인 측정 셀 하우징측으로 돌출되는 전기 도체의 접점 단부는 동시에 센서 신호의 평가 또는 처리를 위한 전자 회로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용의 기계적 유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접점 요소의 지지체 요소의 기능을 동시에 담당한다. 그를 위해, 측정 셀 하우징은, 조립되어 전기 접촉된 전자 회로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가 측정 셀 하우징의 절결부 속에 수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접속부를 전자 회로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에 전기 접촉시키는 것은 전기 도체의 해당 접점 단부가 플러그 접점 또는 교차 접점에 상응하는 요소로서 형성되고, 그 요소가 전자 회로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에 마련되어 또 다른 플러그 접점 또는 교차 접점을 형성하는 대응 요소와 연동하도록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칩으로서 형성되는 압력 센서는 직접적으로 측정 셀 하우징의 절결부의 내벽 상에 접착된다. 그에 의해, 압력 측정 셀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예컨대 온도에 대해 매우 안정적인 압력 센서 유닛의 제공을 위해 측정 셀 하우징에 또는 측정 셀 하우징 속에 마련된 강성 요소,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제 강성 요소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특히 온도 변동으로 인해 생성되어 측정 셀 하우징에 존재하는 응력이 민감한 센서 요소에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측정 오차 또는 센서 요소의 완전한 파괴가 확실하게 회피된다.
측정 대상 압력이 높은 경우에 특히 적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셀 하우징의 배면 측에 보강판이 마련될 수 있다. 보강판에는 센서의 접속 접점의 통과를 위한 구멍이 마련될 수 있고, 그러한 보강판은 측정 셀 하우징에 맞대어지도록 사출되거나 측정 셀 하우징 속에 삽입되도록 사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청구의 범위의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압력 센서 유닛(1)의 제1 실시예는 내부에 압력 측정 셀이 배치된 2부품형 하우징(3)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은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압력 측정 셀(5)은 하측 제1 하우징 부분(3a) 속에 조립되는데, 그를 위해 제1 하우징 부분(3a)은 절결부(7)를 구비한다. 절결부(7)는 예컨대 적어도 하측 부분의 내경이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측정 셀 하우징(9)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제1 하우징 부분(3a)은 그 하측 부분에 원통형 연장부(11)를 구비하고, 그 원통형 연장부(11)는 그에 마련된 수나사부(13)에 의해 조립 장소, 예컨대 연소 시스템의 실린더 또는 기관 블록에 있는 대응 나사 구멍 속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 압력을 파악하려고 하는 압력 매체의 공급을 위해, 제1 하우징 부분(3a)의 연장부(11)의 단부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급 개구부(15)가 마련되어 그 공급 개구부(15)를 통해 압력 매체가 압력 측정 셀(5)에 접근하게 된다.
압력 측정 셀(5)은 그 측정 셀 하우징(9) 속에 절결부(17)를 구비하고, 그 절결부(17) 속에 고유의 압력 센서(19)가 배치된다. 압력 센서(19)는 예컨대 압축 저항성 반도체 저항이 통합된 실리콘막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셀 하우징(9)은 내부에 2개 이상의 전기 도체(21)가 삽입되도록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절하게 만곡된 스탬핑 그리드로서 형성되는 전기 도체(21)가 간단하게 밀봉되고 전기 절연되어 측정 셀 하우징(9)을 통해 작용 압력과 반대측의 측정 셀 하우징측으로 끌어내어지는 장점이 부여된다.
작용 압력과 반대측의 측정 셀 하우징(9)측으로 끌어내어진 접점 단부를 전기 접촉시키는 것은 그 접점 단부가 전자 회로(25)의 단자 러그(23)와 연동하는 교차 접점으로서 형성되도록 함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전자 회로(25)는 하우징(1)의 상측 제2 하우징 부분(3b) 속에 유지된다. 그를 위해, 전자 회로(25)의 기판(25a)은 하우징(3)의 상측 하우징 부분(3a)에 결합된 유지 아암(27)과 맞물리는 측방 절결부를 구비한다. 그 경우, 전자 회로(25)의 단자 러그(23)와 전기 도체 또는 스탬핑 그리드(21)의 해당 접점 단부와의 전기 접속은 양 하우징(3a, 3b)이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를 위해, 하측 하우징 부분(3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 부분(3b)의 단부면을 위한 스토퍼로서의 쇼울더가 마련된 수납 구역(29)과, 상측 하우징 부분(3b)을 하측 하우징 부분(3a) 상에 끼워 넣은 후에 상측 하우징 부분(3b)의 하측면에 있는 쇼울더(33)를 넘어 돌출되는 하우징 벽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그 경우, 하우징 벽부(31)는 양 하우징 부분(3a, 3b)을 서로 끼워 맞춘 후에 하우징 부분(3a, 3b)이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둥글게 굽혀질 수 있다.
상측 하우징 부분(3b)의 플러그 접속 구역에는 외부 접속 접점(35)이 마련되고, 그 외부 접속 접점(35)을 경유하여 압력 센서 유닛(1)이 도시를 생략한 플러그에 의해 전기 접촉될 수 있다. 접속 접점(35)은 예컨대 접속 도선(37)에 의해 상측 하우징 부분(3b) 속에 유지된 전자 회로(25)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접속 접점(35)과 전자 회로(25)와의 전기 접촉에도 플러그 접속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측정 셀 하우징(9)은 작용 압력과는 반대측인 배면측에 마련되는 보강 요소(39)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보강 요소(39)는 예컨대 전기 도체 또는 스탬핑 그리드(21)의 접점 단부가 통과하는 구멍(41)이 마련된 금속판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보강 요소(39)는 압력 센서 유닛의 조립 시에 분리 원판으로서 측정 셀 하우징(9)의 플라스틱 사출 부품 상에 놓여지거나, 아니면 미리 플라스틱 사출 부품에 맞대어지도록 또는 그 속에 삽입되도록 사출될 수 있다.
압력 측정 셀(5)을 하우징(3) 속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절결부(17)를 압력 전달 매체로 충전시키는데, 그 이유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상이 매체 격리형 압력 센서 유닛이기 때문이다. 절결부(17)를 충전시킨 후에 측정 셀 하우징(9)을 격리막(43)과 함께 하측 하우징 부분(3a)의 절결부(7) 속에 삽입한다. 원주 홈 속에 마련된 밀봉 링(45)과 연동하여 측정 셀 하우징(9)을 절결부(7)의 바닥측으로 가압하면 밀봉식 체결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압력 전달 매체가 절결부(17)와 격리막(43)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유출될 수 없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측정 셀(5)의 고정은 절결부(7)의 측방 내벽의 하나 이상의 구역 또는 원주 구역을 박피 공정에 의해 측정 셀 하우징의 배후에 맞물리는 위치로 옮기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형식으로, 조립 공정 중에 그 조립 공정에 의해 박피 공정의 종료 후에도 거의 그대로 유지되는 적절한 압력이 생성되어 측정 셀 하우징 상에 작용할 수 있다.
측정 셀 하우징(9)은 박피 공정 대신에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부분(3a)을 축소시켜 고정할 수도 있다. 그를 위해, 하우징 부분(3a)은 삽입된 측정 셀 하우징의 상단부의 상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협착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유의 압력 센서(19)는 측정 셀 하우징(9)의 절결부(17)의 내벽에 접하여 차단 요소(47)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그 차단 요소(47)는 예컨대 세라믹 패널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세라믹 패널(47) 자체는 절결부(17)의 내면에 접착되거나 미리 측정 셀 하우징(9)의 플라스틱 사출 부품 속에 함께 사출될 수 있다. 그러한 형식의 차단 요소의 사용에 의해, 예컨대 온도 변동 또는 조립 공정으로 인해 측정 셀 하우징(9)에 생성될 수 있는 응력이 민감한 센서(19)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복합재의 사용에 의해 그러한 형식의 차단 요소(47)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압력 센서 유닛은 특히 고압 측정용으로 적합한 반면에, 훨씬 더 간단하게 구성되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저압 및 중간 압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그러한 실시예의 하우징(3)의 하측 하우징 부분(3a)을 부분적으로 파단한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하측 하우징 부분(3a)의 절결부(7)의 바닥 상에 원칙적으로 도 1에 측정 셀과 동일한 측정 셀(5)이 삽입된다. 그러나, 저압 및 중간 압력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강판(39)이 생략될 수 있다.
측정 셀 하우징(9)은 역시 내부에 전기 도체(21)가 삽입되도록 사출되는 플라스틱 사출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실시예의 경우, 역시 스탬핑 그리드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전기 도체(21)는 그것이 작용 압력과 반대측인 측정 셀 하우징(9)측으로 끌어내어져서 측정 셀 하우징(9)이 동시에 전기 기판의 기능을 함께 담당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전기 도체(21)의 구성에서는 전자 소자, 예컨대 집적 스위칭 회로, 특히 ASIC가 직접적으로 전기 도체(21) 상에 납땜될 수 있다.
전자 소자를 도시를 생략한 상측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외부 접속 접점에 전기 접촉시키는 것은 측정 셀 하우징(9)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측 하우징 부분 쪽으로 연장되는 접속 접점 단부(21a)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점 단부(21a)의 전기 접촉을 위해, 상측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상응하는 대응 접점이 연장된다.
물론, 전술한 해당 실시예에서 각각 설명된 바와 같은 전자 스위칭 회로 또는 전자 회로의 배치 및 센서(19) 또는 외부 접속 접점(35)의 전기 접촉은 각각 다른 실시예에도 전용될 수 있다.
도 3은 특히 저압 및 중간 압력용으로 적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측정 셀 하우징(9)은 그 상측면에서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측 하우징 부분(3b)의 쇼울더(50)에 의해 압압된다. 즉, 양 하우징 부분(3a, 3b)을 조립하고 하측 하우징 부분(3a)의 벽부(31)를 둥글게 구부림에 의해 측정 셀(5)이 하우징 속에 고정된다. 그에 의해,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이 더욱 감소된다.
물론, 그러한 조치는 센서 유닛 조립용으로 제작된 종래의 측정 셀과 함께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그러한 실시예에서는 센서(19)에 부가되는 전기 소자 또는 전자 소자가 생략된다. 예컨대, 필요한 모든 전자 장치가 센서(19) 속에 통합되거나 신호의 평가가 센서 유닛의 외부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셀 하우징(9) 속에 삽입되도록 사출되는 도체(21)가 접속 접점(35)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체(21)의 단부가 접속 접점(35)으로서 측정 셀 하우징(9)의 상측면으로 끌어내어질 수 있다. 그러한 조치에 의해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이 더욱 감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의 전기 소자 또는 전자 소자가 필요한 경우에는 접속 접점(35)이 측정 셀 하우징(9) 속에 삽입되도록 사출될 뿐만 아나리 도체(21)도 역시 동시에 소자의 기계적 유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를 생략한 실시예에서는 상측 하우징 부분(3b)도 역시 측정 셀 하우징(9)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센서 유닛의 조립을 위해 센서를 제외하고 단지 2개의 부품만을 조립하면 된다.
전체적으로, 센서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전기 접점이 미리 내부에 삽입되도록 사출되는 플라스틱 사출 부품을 적어도 측정 셀 하우징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사용함으로써, 압력 측정 셀을 제조함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그 압력 측정 셀을 압력 센서 유닛의 하우징 속에 조립함에 있어서 공지의 압력 센서 유닛에 비해 현저한 단순화가 이루어진다.
물론, 개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은 합당하게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a) 내부에 압력 측정 셀(5)이 배치되는 하우징(3)을 구비하고, 압력 측정 셀(5)에는 공급 개구부(15)를 경유하여 압력 매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하우징(3)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안내되는 외부 접속 접점(35)을 구비하고,
    b) 압력 측정 셀(5)은 내부에 또는 곁에 압력 매체의 작용을 받을 수 있는 압력 센서(19)가 배치되는 측정 셀 하우징(9)을 포함하며,
    c) 압력 센서(19)의 전기 접속부는 전자 회로(25)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의 외부 접속 접점(35) 또는 접속부(23)에 접속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에 있어서,
    d) 측정 셀 하우징(9)은 내부에 2개 이상의 전기 도체(21)가 삽입되도록 사출되는 플라스틱 사출 부품이고,
    e) 전기 도체(21)는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제1 접점 단부에 의해 압력 센서(19)의 수납 구역으로 돌출되어 압력 센서(19)의 각각의 전기 접속부에 접속되며,
    f) 전기 도체(21)는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제2 접점 단부에 의해 압력 매체 또는 압력 전달 매체의 작용을 받지 않는 측정 셀 하우징(9)의 구역으로 돌출되어 전자 회로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의 외부 접속 접점(35) 또는 접속부(23)에 접속되고,
    g) 압력 작용 방향으로 측정 셀 하우징(9)의 배후측에는 하우징(3) 속에 고정되는 보강판(39)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도체(21)는 스탬핑 그리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19)는 반도체 칩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반도체 칩 상에는 처리 및 평가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품도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탬핑 그리드의 하나 이상의 제1 접점 단부는 접합에 의해 압력 센서(19)의 해당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도체(21)의 제2 접점 단부는 전자 회로(25)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의 기계적 유지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도체(21)의 제2 접점 단부는 전자 회로(25) 또는 전자 스위칭 회로에 마련되어 플러그 접점 또는 교차 접점을 형성하는 또 다른 대응 요소와 연동하는 플러그 접점 또는 교차 접점의 요소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19)는 직접적으로 측정 셀 하우징(9)의 벽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19)는 측정 셀 하우징(9)의 내부에 또는 곁에 마련되는 차단 요소(47)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차단 요소(47)는 측정 셀 하우징(9) 속에 삽입되도록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보강판(39)은 측정 셀 하우징(9)에 맞대어지도록 또는 그 속에 삽입되도록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KR1019997000921A 1997-06-05 1998-05-05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KR100342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3615.4 1997-06-05
DE19723615A DE19723615A1 (de) 1997-06-05 1997-06-05 Drucksensoreinheit, insbesondere für die Kraftfahrzeugtechni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043A KR20000068043A (ko) 2000-11-25
KR100342987B1 true KR100342987B1 (ko) 2002-07-05

Family

ID=783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921A KR100342987B1 (ko) 1997-06-05 1998-05-05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09399B1 (ko)
EP (1) EP0935743B1 (ko)
JP (1) JP3129449B2 (ko)
KR (1) KR100342987B1 (ko)
BR (1) BR9806038A (ko)
DE (2) DE19723615A1 (ko)
WO (1) WO1998055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6069B2 (en) 2001-01-25 2003-01-14 Kelsey-Hayes Company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for a pressure sensor
DE19916087A1 (de) * 1999-04-09 2000-10-26 Lucas Ind Plc Anordnung zur Messung eines Fluiddrucks
US6591684B2 (en) 1998-12-28 2003-07-15 Kelsey-Hayes Company Pressure sensor intergrated into an electro-hydraulic control unit
US6434456B1 (en) * 2000-09-07 2002-08-13 Kelsey-Hayes Company High reliability pressure sensor
DE10054013B4 (de) * 2000-11-01 2007-06-21 Robert Bosch Gmbh Drucksensormodul
US6739042B2 (en) 2000-12-15 2004-05-25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Method for assembling a mechatronics sensor
KR100586785B1 (ko) * 2002-06-25 2006-06-08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 센서 패키지
DE10228689B4 (de) * 2002-06-27 2016-03-17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ugruppe
DE10308820B4 (de) * 2003-02-27 2006-10-12 Ifm Electronic Gmbh Sensor, Meßzelle zur Verwendung in einem 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ßzelle
DE10318678A1 (de) * 2003-04-24 2004-12-30 Vega Grieshaber Kg Sensor, insbesondere Druck-Sensor zur Befestigung an einem Behältnis
DE10353323A1 (de) * 2003-11-14 2005-06-23 Vega Grieshaber Kg Sensor, insbesondere Druck-Sensor mit einer Sensoreinrichtungs-Befestigungseinrichtung
DE102007042965A1 (de) 2007-09-10 2009-03-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sensoranordnung
US8333117B2 (en) * 2011-02-08 2012-12-18 Quartzdyne, Inc. Isolation elements including one or more diaphragms, sensors including isolation elements, and related methods
EP2511685B1 (de) * 2011-04-13 2017-07-12 VEGA Grieshaber KG Messzelle mit einem Gehäuse zur Aufnahme eines Sensors, insbesondere eines Druckmessumformers
DE102013214687B4 (de) 2013-07-26 2016-09-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sensor
AT514607B1 (de) * 2013-08-30 2015-02-15 Piezocryst Advanced Sensorics Drucksensor
US9581468B2 (en) * 2014-01-31 2017-02-28 DunAn Sensing, LLC Methods fo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a hermetic seal
WO2016096023A1 (de) * 2014-12-18 2016-06-23 Vega Grieshaber Kg Messanordnung
DE102016113209A1 (de) * 2016-07-18 2018-01-18 Sensata Germany GmbH Drucksensor
ES1217769Y (es) * 2018-07-26 2018-12-13 Cebi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Spain S A Medidor de presion para circuitos de fluidos
ES1218484Y (es) * 2018-08-28 2018-12-27 Cebi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Spain S A Dispositivo medidor de presion y temperatura de fluidos
US10578504B1 (en) 2019-09-04 2020-03-03 Custom Control Sensor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voltage rating thin film sens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926A (ja) * 1994-03-04 1995-09-19 Nippondenso Co Ltd 半導体圧力検出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895A (en) * 1978-02-27 1979-10-16 Kliger Gilbert L Oncotic pressure measurement cell
US4386453A (en) * 1979-09-04 1983-06-07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variable capacitance pressure transducers
US4649754A (en) * 1983-02-07 1987-03-17 Nusonics, Inc. High pressure transducer
JPH0654270B2 (ja) * 1985-01-30 1994-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力測定器
US4850227A (en) * 1987-12-22 1989-07-25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Pressure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DE8801249U1 (ko) * 1988-02-02 1989-06-01 Pfister Gmbh, 8900 Augsburg, De
US5343757A (en) * 1992-05-21 1994-09-06 Fuji Koki Manufacturing Co., Ltd. Pressure sensor
CA2145696A1 (en) * 1994-04-15 1995-10-16 Michael F. Mattes Pressure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ressure sensor assembly
DE9406625U1 (de) * 1994-04-20 1994-07-21 Sel Alcatel Ag Drucksensor
US5686698A (en) * 1994-06-30 1997-11-11 Motorola, Inc. Package for electrical components having a molded structure with a port extending into the molded structure
DE29511976U1 (de) * 1994-07-29 1995-10-05 Envec Mess Und Regeltechn Gmbh Referenzdruck-Meßanordnung
AU5417096A (en) * 1995-02-24 1996-09-11 Lucas Novasensor Pressure sensor with transducer mounted on a metal base
DE29506494U1 (de) * 1995-04-21 1995-06-29 Duerrwaechter E Dr Doduco Druckmeßdo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926A (ja) * 1994-03-04 1995-09-19 Nippondenso Co Ltd 半導体圧力検出器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23615A1 (de) 1998-12-10
WO1998055845A1 (de) 1998-12-10
US6209399B1 (en) 2001-04-03
JP2000505205A (ja) 2000-04-25
EP0935743A1 (de) 1999-08-18
JP3129449B2 (ja) 2001-01-29
DE59807310D1 (de) 2003-04-03
KR20000068043A (ko) 2000-11-25
BR9806038A (pt) 1999-08-24
EP0935743B1 (de)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987B1 (ko) 자동차 공업용의 압력 센서 유닛
US6389903B1 (en) Pressure-detecting device coupling member with interchangeable connector part
US5581226A (en) High pressure sensor structure and method
US6227055B1 (en) Pressure sensor assembly with direct backside sensing
US6212946B1 (en) Securing means for a device for detect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in the intake tub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308161B (zh) 具有模制树脂壳体的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和模制工具
US5648614A (en) Integrated circuit and seal
EP1584911B1 (en) Housing for a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180880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a contact pi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ntrol unit
KR950006016B1 (ko) 온도 감지기 장치
US6153070A (en) Sensor packaging using heat staking technique
US20090095059A1 (en) Pressure sensor and structure for attachment of pressure sensor
US6021674A (en) Pressure sensor having at least one connector element arranged flush with a mounting surface and a capillary adhesive layer arranged between a support plate and the mounting surface
EP1096241A1 (en) Integrated pressure and temperature sensor for high pressure fluid
US6212955B1 (en) Capacitance-type pressure sensor unit
US6494099B1 (en) Pressure detection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cases defining pressure detection chamber there betw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5796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ermetically sealed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US6447342B1 (en) Pressure sensor connector
JP2006145468A (ja) センサのシール構造及びセンサのシール方法
JP4240790B2 (ja) センサ装置
JP3879264B2 (ja) 超音波センサ
KR100562862B1 (ko) 압력반응부재를 포함한 장방형 하우징을 구비한 압력검출장치
JP3800759B2 (ja) 圧力検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88537B1 (en) Coupling or plug for a liquid impervious plug connection
US6938492B2 (en) Pressur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essur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