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927B1 -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927B1
KR100342927B1 KR1020000025249A KR20000025249A KR100342927B1 KR 100342927 B1 KR100342927 B1 KR 100342927B1 KR 1020000025249 A KR1020000025249 A KR 1020000025249A KR 20000025249 A KR20000025249 A KR 20000025249A KR 100342927 B1 KR100342927 B1 KR 10034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ject model
video
model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0029A (ko
Inventor
이현식
Original Assignee
박기봉
주식회사 채널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봉, 주식회사 채널조이 filed Critical 박기봉
Priority to KR102000002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9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을 데이터베이스화해 두고 피사체모델이 이 모범동작에 따라 동작을 하도록 하여 완성도가 높은 동영상을 제작케 하는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생방송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제작시스템은,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5), 피사체모델(11)의 여러 방향을 촬영하기 위하여 다른 방위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카메라(19), 카메라(19)가 촬영한 피사체모델을 캡쳐하는 기능을 하는 영상입력부(25),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모델의 영상을 입력하도록 영상입력부(25) 중 하나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카메라 스위칭부(27), 위치센서(15)를 통해 읽은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입력받는 위치입력부(29), 미리 메모리에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 애니메이션을 저장해 둔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 모범동작이 표시되는 제1모니터(21), 촬영된 피사체모델의 영상과 저장되어 있는 배경화면과 합성하는 영상합성부(33), 합성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제2모니터(23), 연출되고 있는 모범동작과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영상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위치센서(15)로부터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인지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가상연출자의 동작 위치와 비교하여 피사체모델의 동작을 점수화하여 제1모니터(21)에 표시하는 동작분석부(35), 촬영된 피사체모델 영상과 배경영상이 합성된 것을 압축하는 동영상 압축부(37), 압축된 동영상을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39)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연출자의 동작 애니메이션을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하는 단계, 배경화면을 저장하는 단계, 합성할 배경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가상연출자가 제1모니터(21)에 표시되는 단계, 피사체모델이 제1모니터(21)에 표시되는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을 보고 동작을 하면 이를 촬영하는 카메라(19)가 동작하여 영상입력부(25)로 입력되는 단계, 피사체모델의 동작이 위치센서(15)에서 읽혀져서 위치입력부(29)로 데이터 입력되는 단계, 피사체모델의 위치 데이터가 동작분석부(35)로 들어가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서 출력되는 모범동작 데이터와 비교분석되는 단계, 비교분석된 피사체모델의 동작상태가 제1모니터(21)에 표시되는 단계,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영상과 선택된 배경화면이 영상합성부(33)에서 동영상합성되는 단계, 합성된 동영상이 동영상 압축부(37)에서 데이터압축되고, 저장부(39)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제작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인터넷 생방송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Moving picture produc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directing by virtual director and live broadcast method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동영상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을 데이터베이스화해 두고 피사체모델이 이 모범동작에 따라 동작을 하도록 하여 완성도가 높은 동영상을 제작케 하는 동영상 제작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생방송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산업의 발전과 함께 동영상을 제작하는 기술과 편집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동영상을 전문으로 제작하는 스튜디오의 경우에는 전문 연출자에 의해 연출과 편집을 하여 완성도 높은 동영상을 만들어내지만, 비전문가의 경우에는 동영상을 제대로 만들기가 어려웠다.
최근 컴퓨터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장비 및 소프트웨어가 많이 나오고는 있지만, 비전문가들이 동영상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간편하게, 그리고 자동으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장비도 나와 있지만, 이러한 장비에서는 전혀 연출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동영상을 제작하려는 사람들의 이용이 별로 없거나 이용하더라도 어색한 장면이 많아지게 된다.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동영상 제작기의 경우에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해서 배경화면과 피사체모델을 합성하여 CD롬이나 비디오테이프로 만들어주는 것이있다. 크로마키(chroma key) 기법이란, 영상 프로그램에 특수한 효과와 텍스트를 추가하는 영상합성 방법으로서, 특정한 색상부분을 제거하고 그 이외의 요소만 추출하여 다른 영상과 합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영화 주인공 "수퍼맨"의 날아다니는 장면은 바로 크로마키를 이용한 것이다. 대개 크로마키의 효과가 가장 잘 나타나는 색은 청색이므로, 합성하려는 인물이나 피사체모델 등의 피사체는 청색배경을 뒤로 하여 촬영된다.
그러나, 이러한 동영상 제작기의 경우에 연출기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임의로 동작이나 표정을 연기해야 하는 관계로, 매우 어색한 장면이 연출되며 만들어진 동영상이 재미가 없어서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지 않고 외면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동영상 제작기는 동영상 캡쳐보드에 소프트웨어를 포함시켜서 동작하는 것으로 기존 영상 시장에 나와 있는 동영상 캡쳐보드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한편, 현재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인터넷 방송은 회선의 제약과 인적인 한계로 인해 동시 다발형 방송을 하는데 상당한 기술적 인적 문제가 존재한다. 별도로 스튜디오가 있어야 하고 외부에서 방송을 하더라도 현장에 PD와 기술진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넷 방송이라 하여 별다른 기술적 아이디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공중파 방송을 그대로 따라서 하고 프로그램만 새롭게 발굴하여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현재의 인터넷 방송은 스튜디오에서 연출자 배우 또는 DJ의 멘트에 따라 음악을 내보내거나 준비된 비디오를 틀어주는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을뿐이다. 또한, 중앙(방송국)에서 일방적으로 방송을 하고 있고, 또 그렇게 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방송에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는 일반인의 욕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피사체모델이 자기 자신의 동영상을 만드는 데에 음악에 따라 춤을 추든 영상편지를 만들든 간에 컴퓨터에서 연출을 하고 피사체모델이 이 연출지시에 따라 연기를 할 수 있다면 기존의 동영상 제작기와 같이 단조롭고 재미없는 동영상이 나오지는 않을 것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는 가상연출자가 모범동작을 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피사체모델이 이 모범동작(가상연출)에 따라 연기를 하면 카메라에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동작을 판별하여 모범동작과 비교분석 평가하는 동영상 제작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 동영상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만든 동영상을 방송사의 홈페이지에 링크시켜서 생방송으로 송출하도록 하는 인터넷 생방송 방법을 창안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연출자가 모범동작을 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피사체모델이 이 모범동작(가상연출)에 따라 연기를 하면 카메라에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동작을 판별하여 모범동작과 비교분석 평가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된 동영상 방송물을 인터넷으로 전송하여 다수에게 생방송을 하고, 방송사의 홈페이지에서 상기 생방송을 제어하도록 운영되는 인터넷 생방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2는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의 기능적 구성 블록도
도3은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3a는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의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3b는 피사체모델 동작과의 일치여부 확인의 개념도
도3c는 피사체모델 동작의 점수화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4는 인터넷 생방송 방법의 프로세스 순서도
<도면 주요부의 설명>
피사체모델(11), 블루스크린(13), 위치센서(15), 컴퓨터(17), 카메라(19), 제1모니터(21), 제2모니터(23), 영상입력부(25), 카메라 스위칭부(27), 위치입력부(29),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 영상합성부(33), 동작분석부(35), 동영상 압축부(37), 저장부(39), 기본동작 프레임(41), 연결동작 프레임(42), 정지영상(43), 영상처리부(45), 프레임데이터(47), 키가 표준범주를 넘는 피사체모델(49), 품이 표준범주를 넘는 피사체모델(51), 피사체모델의 동영상 데이터(57), 모범동작(55)
1. 개요
본 발명에서는 모델인 피사체가 연기를 하는데,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모범동작을 보면서 연기를 한다.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동작의 정확성을 교정할 수 있다. 피사체모델의 위치는 피사체모델이 위치센서를 밟는 것을 압력센서가 감지하여 파악할 수 있는데, 해당 위치에 번호를 지정하고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해당 번호의 위치에 피사체가 이동할 때에 위치의 정확성을 판별할 수 있다. 피사체모델의 동작은 컴퓨터에 의해 분석되어 점수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작된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동시에 생방송을 할 수도 있다. 이는 제작된 동영상 데이터를 방송운영 홈페이지에 링크시켜서 이 홈페이지로 하여금 동시에 생방송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2. 동영상 제작장치의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동영상 제작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위치센서(15)를 발판으로 하여 피사체모델(11)이 동작(춤, 연기 등)을 하고 있다. 위치센서(15)는 피사체모델이 발로 밟는 위치를 압력으로써 감지하여 현재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감지한다.
블루스크린(blue screen)(13)이 피사체모델(11)의 등 뒤에 설치되어 있다. 앞에서(종래기술의 설명) 크로마키 기법의 영상합성 때에 배경으로 블루스크린을 많이 쓴다고 설명하였다. 본 장치에서도 블루스크린(13)을 피사체모델(11)의 등뒤에 설치하여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화면과 카메라로 촬영한 피사체모델의 영상을 합성하여 CD롬이나 비디오테이프에 저장하는 것이다.
모니터(21, 23) 2대가 피사체모델(11)의 앞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중 하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모범동작이 표시되고 있고, 다른 하나는 현재 동작하고 있는 피사체모델(11)의 모습이 표시되고 있다. 가상연출자에 의한 모범동작은 컴퓨터(17)의 데이터베이스부에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다. 가상연출자가 모범동작을 하는 것을 보고 피사체모델이 그대로 따라 하면 자연스러운 동작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19)가 다수 설치되어 피사체모델(11)을 찍는다. 카메라(19)는 피사체모델(11)의 여러 방향을 촬영하기 위하여 다수가 다른 방위에 설치되어 있다. 컴퓨터(17)에서는 카메라(19)를 스위칭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모델(11)을 다면적으로 촬영할 수 있어, 한층 흥미로운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17)에 카메라(19), 위치센서(11), 모니터(21, 23)가 연결되어 있다. 컴퓨터(17)의 내부 구성요소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제작장치의 기능적 구성도로서, 점선으로 쳐진 박스안의 구성요소는 컴퓨터(17) 내부의 프로세서, 콘트롤러, 메모리의 물리적 구성요소를 기능적 구성요소로 도시한 것이다. 도2의 기능적 구성요소는 또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영상입력부(25)는 카메라(19)가 촬영한 피사체모델을 캡쳐하는 기능을 한다.영상입력부(25)는 각 카메라(19)마다 별도로 설치된다. 물론, 이 영상입력부(25)는 컴퓨터(17)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카메라(19)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임의적으로 설계자가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카메라 스위칭부(27)는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모델의 영상을 입력하도록 영상입력부(25) 중 하나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 카메라(19)마다 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스위칭 데이터에 따라 카메라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다면적으로 피사체모델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위치입력부(29)는 위치센서(15)를 통해 읽은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입력받는 요소이다. 위치센서(15)에서의 피사체모델의 위치 파악은 위치별로 배열된 압력센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발판에 가로 세로 격자를 구획하고 각 격자의 교차위치에 압력센서를 배열한 다음에 각 압력센서마다 위치좌표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연기하는 피사체모델의 발이 어느 압력센서를 밟을 경우에 그 압력센서의 출력신호가 위치입력부(29)에 입력되는데 해당 압력센서의 위치좌표값을 파악하여 프로세서에서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마치, 관용기술인 컴퓨터용 키보드의 매트릭스 키신호검출 방식을 이용한 것과 같다.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는 미리 메모리에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을 저장해 둔 데이터베이스이다. 모범동작은 가상연출자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이 MPEG 동영상화하여 저장된다. 그리고, 가상연출자에 의해 모범동작이 모니터에 시연되고 피사체모델(11)은 이 모범동작을 보고 연기를 하면 된다.
제1모니터(21)는 모범동작이 표시되는 모니터이다. 피사체모델(11)의 앞에설치되기 때문에 피사체모델이 직접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을 보고 따라서 연기를 할 수 있다. 제1모니터(21)에는 또한 동작분석부(35)의 결과를 표시하는 역할도 한다. 동작분석부(35)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한다.
영상합성부(33)는 배경화면과 피사체모델영상을 합성한다. 블루스크린(13)을 배경으로 촬영된 피사체모델의 영상과 컴퓨터(17)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화면과 합성하는 곳으로서,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합성한다. 컴퓨터에 여러가지 배경화면을 주제별로 저장해 두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배경화면을 인출하고 피사체모델의 촬영영상과 합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모니터(23)는 저장되어 있는 배경영상과 촬영된 피사체모델 영상이 합성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이다. 동영상 제작 시간 내내 화면으로 동영상을 표시해준다. 즉, 도1에서와 같은 시스템에서 피사체모델은 두 대의 모니터를 통하여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과 자신의 움직임을 항상 주시하면서 연기를 할 수 있다.
동작분석부(35)는 연출되고 있는 모범동작과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영상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위치센서(15)로부터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인지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가상연출자의 동작 위치와 비교하여 피사체모델의 동작을 점수화하여 모니터로 표시하는 기능도 한다. 피사체모델의 동작과 위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점수화하여 제1모니터(2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분석의 표시는 동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중에 할 수도 있고, 동영상을 완성한 후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동영상 압축부(37)는 촬영된 피사체모델 영상과 배경영상이 합성된 것을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39)는 압축된 동영상을 CD롬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3.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의 작용 및 제작방법의 설명
도1, 도2, 도3, 도3a,b,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영상 제작장치의 작용 및 동영상 제작방법을 함께 설명한다. 먼저, 도3(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의 작용 프로세스 순서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 먼저 합성할 배경화면을 선택한다[101]. 앞에서, 크로마키 기법에 의해 배경화면과 피사체모델영상을 합성한다고 하였다. 배경화면은 컴퓨터의 메모리에 그림파일로 저장되어 있는데, 주제별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나. 가상연출자가 제1모니터(21)에 표시(출연)된다[103]. 가상연출자는 프로그램된 애니메이션을 모션캡쳐하여 동영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가상연출자의 동작을 모범동작으로서 저장하여 여러 개의 파일로 저장해 둘 수 있다.
다. 녹화가 시작되면 카메라(19)가 동작하는데, 카메라 스위칭부(27)에 의해 다수의 카메라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피사체모델을 촬영하고, 해당 카메라의 영상입력부(25)로 입력된다[105]. 이 때 피사체모델은 제1모니터(21)에 표시되는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을 보고 따라하면서 동작을 한다[107].
라. 피사체모델의 동작상태는 위치센서(15)에서 읽혀져서 위치입력부(29)로 데이터 입력된다[109]. 그리고, 피사체모델의 위치 데이터는 동작분석부(35)로 들어가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서 출력되는 모범동작 데이터와비교분석된다[111]. 비교분석된 피사체모델의 동작상태는 제1모니터(21)에 표시된다. 즉, 제1모니터(21)에는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서 인출되는 모범동작과 함께 피사체모델의 동작상태가 함께 표시된다. 피사체모델의 동작상태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범동작과 일치한 동작을 하였을 때에 소정 점수를 부여하여 누적점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동작 진행 상태의 좋고 나쁨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113].
여기서,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의 저장, 피사체모델 동작과의 일치여부 확인, 피사체모델 동작의 점수화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참조: 도3a, 3b, 3c).
가상연출자의 동작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다(모션캡쳐). 가상연출자의 동작을 동영상(MJPEG)으로 만들고 모범동작의 움직임 중 기본동작(연결시의 움직을 제외)만을 추출하여 해당 프레임버퍼의 변화값(즉, 배경은 0, 피사체는 1)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동작시간(play time)과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한다. 결국, 기본동작을 캡쳐된 정지 이미지로 보며, 이렇게 정지된 이미지의 프레임버퍼의 저장정보를 배경화면과 피사체모델 영상으로 구분시켜 수치화시킴으로써,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자료화할 수 있다.
도3a에서 각 동작 프레임중 어둡게 표시한 프레임이 기본동작 프레임(41)이다. 도3a는 시간축으로 동작 프레임이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는데, 기본동작(41)과 기본동작을 연결하는 연결동작(42)으로 프레임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기본동작(41)을 추출하면 이 기본동작은 해당 시간에서는 정지영상이 되고 이 추출된 정지영상(43)의 프레임버퍼의 변화값을 영상처리(45)하여 프레임데이터(47)로서 저장하면 된다.
피사체모델의 영상도 마찬가지로 데이터화할 수 있다. 피사체모델의 영상이 영상입력부(25)를 통해 동작분석부(35)로 입력되면 동작분석부(35)에서는 위와 같이 기본동작을 추출하여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하고 모범동작의 프레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피사체모델의 데이터를 변환할 때에, 피사체모델은 가상연출자와는 달리 체격, 키 등이 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러한 피사체 들의 기본동작값을 추출하여 데이타베이스의 값과 비교하여도 얻고자 하는 값을 얻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피사체모델의 표준 범주를 정하고 그 범주를 넘거나 모자라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그 범주로 축소 또는 확대해 주어야 한다.
도3b에 있는 그림에서 윗그림은 키가 표준범주를 넘는 피사체모델(49)의 경우에 세로로 축소하여 표준범주로 만들어 데이터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아래그림은 품이 표준범주를 넘는 피사체모델(51)을 가로로 축소하여 표준범주로 만들어 데이터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3c는 피사체모델 동작의 점수화 방법을 나타내는데, 실제로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동영상 데이터(57)를 시간에 따라(초당)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프레임을 도3a의 경우와 같이 변환하여 모범동작(55)의 데이터값과 비교분석하고, 정해진 백분율에 따라 체크하여 점수화 한다. 즉 시간에 따른 피사체모델 동작(57)의 변화 데이터(58)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56) 모범동작 데이터와 오버랩하여 일치여부를 확인(59)하는 것인데, 실제로는 시각적인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피사체모델의 영상프레임을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한 값(58)이 얼마만큼 모범동작의 프레임 데이터(56)에 근접했는가를 비교하여 점수화한다(61).
마.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영상은 영상합성부(33)에서 동영상합성되는데[115], 이때에 크로마키 기법이 사용된다. 따라서, 피사체모델의 배경에는 블루스크린(1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루스크린(13)을 설치할 때에는 조명이 골고루 비춰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천장에서 피사체모델의 상부 전면에서 비추게 설치되는 조명에 맞추어 블루스크린을 도1에서와 같이 오목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 합성된 동영상은 이제 완성된 것으로서, 동영상 압축부(37)에서 데이터압축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나서, 저장부(39)에서 CD롬이나 비디오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이 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제작장치는 도1에서와 같이 다수의 카메라와 두 대의 모니터와 블루스크린, 위치센서 발판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스튜디오와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 구성요소를 간편하게 제작하고 프로그램으로 모든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일반 개인용 가정용으로 제공될 수 있게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4. 인터넷 생방송 방법의 개요
본 인터넷 생방송 방법은 상기 동영상 제작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동영상을 방송사 홈페이지에 단순히 링크만 시켜주고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방송물을 제작하고, 방송의 제작이나 방송송출 여부는 해당 장소에서 진행케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송은, 실제로 방송의 진행이나 기술적 방법이 자동화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래서 미리 준비된 가상연출자에 의한 동영상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모델의 동작을 동영상화하여 방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본 방법에 따른 인터넷 생방송은 "가상연출자가 있는 동영상 제작장치"에서 제작된 화면을 받아서 그대로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만 하는 부분을 담당하면 된다. 그런데, 수많은 지역에서 방송을 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방송사를 찾아서 들어가기가 쉽지는 않은데, 이러한 문제는 방송사의 홈페이지에 해당 PC게임방을 링크시키면 해결된다.
5. 인터넷 생방송 방법의 구성
도4는 본 인터넷 생방송 방법의 프로세스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된 동영상 방송물을 인터넷으로 전송할지 여부를 선택한다[201]. 동영상 제작장치는 PC게임방에 설치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방송을 원할 경우 바로 연결된 네트웍으로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시작하게 해준다. 방송물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되어 있지 않다면 이를 제작하는 과정[203]이 있어야 한다.
동영상 제작과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생방송한다[205]. 이 단계는 동영상 제작장치에서 방송시작을 감지하여, 제작된 영상을 인터넷 방송에 맞게 코드화해서 인터넷을 통해서 불특정 다수에게 생방송을 하는 단계이다.
방송사에서 다중 생방송을 제어한다[207]. 다중생방송 제어는 방송사의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지는데, 각 지역에서 생방송이 진행되는지를 감지하고 문제가 있는 지역의 방송상태를 체크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등,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와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출을 할 수 없는 종래 동영상 제작기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모범적인 연출을 하도록 하여 동영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보다 수준있는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의 PR용 동영상 작품 또는 뮤직비디오 제작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영상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곳에서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방송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중앙집중식의 경우보다 기존 회선의 과부하 문제를 덜 수 있으며, 다양한 계층의 방송출연 열망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기존방송은 현지에서 방송을 제작하더라도 이것을 다시 본사의 네트웍으로 전송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여러 곳에서 동시에 생방송을 하는 경우에서는 네트웍 과부하의 문제로 상당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는 아무리 많은 곳에서 방송을 하더라도 네트웍의 과부하 문제가 적으므로 무한대의 동시다발 생방송을 할 수 있다.

Claims (14)

  1.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5),
    피사체모델(11)의 여러 방향을 촬영하기 위하여 다른 방위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카메라(19),
    카메라(19)가 촬영한 피사체모델을 캡쳐하는 기능을 하는 영상입력부(25),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모델의 영상을 입력하도록 영상입력부(25) 중 하나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카메라 스위칭부(27),
    위치센서(15)를 통해 읽은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입력받는 위치입력부(29),
    미리 메모리에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 애니메이션을 저장해 둔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
    모범동작이 표시되는 제1모니터(21),
    촬영된 피사체모델의 영상과 저장되어 있는 배경화면과 합성하는 영상합성부(33),
    합성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제2모니터(23),
    연출되고 있는 모범동작과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영상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위치센서(15)로부터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인지하여 미리 지정되어 있는 가상연출자의 동작 위치와 비교하여 피사체모델의 동작을 점수화하여 제1모니터(21)에 표시하는 동작분석부(35),
    촬영된 피사체모델 영상과 배경영상이 합성된 것을 압축하는 동영상압축부(37),
    압축된 동영상을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
  2. 청구항 1에서, 피사체모델(11)의 등뒤에 블루스크린(13)이 설치되고, 영상합성부(33)은 크로마키 기법에 의해 영상합성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
  3. 청구항 1에서, 위치센서(15)는 압력센서가 배열되어 각 압력센서마다 위치좌표가 설정되어, 피사체모델의 발이 특정 압력센서를 밟을 경우에 압력센서의 출력신호가 위치입력부(29)에 입력되고, 해당 압력센서의 위치좌표값을 파악하여 피사체모델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
  4. 청구항 1 또는 3에서,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가상연출자의 동영상중 기본동작을 추출하여 해당 프레임버퍼의 변화값으로 변환한 동작시간(play time)과 프레임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
  5. 청구항 4에서, 동작분석부(35)에서는
    피사체모델의 영상이 영상입력부(25)를 통해 동작분석부(35)로 입력되면 피사체모델의 영상중 기본동작을 추출하여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하고 모범동작의 프레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
  6. 청구항 5에서, 제1모니터(21)에는 동작분석부(35)에서 모범동작의 프레임 데이터와 피사체모델의 영상의 프레임 데이터의 일치여부를 비교한 결과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
  7. 청구항 1과 같이 구성되는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가상연출자의 동작 애니메이션을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하는 단계,
    배경화면을 저장하는 단계,
    합성할 배경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가상연출자가 제1모니터(21)에 표시되는 단계,
    피사체모델이 제1모니터(21)에 표시되는 가상연출자의 모범동작을 보고 동작을 하면 이를 촬영하는 카메라(19)가 동작하여 영상입력부(25)로 입력되는 단계,
    피사체모델의 동작이 위치센서(15)에서 읽혀져서 위치입력부(29)로 데이터 입력되는 단계,
    피사체모델의 위치 데이터가 동작분석부(35)로 들어가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서 출력되는 모범동작 데이터와 비교분석되는 단계,
    비교분석된 피사체모델의 동작상태가 제1모니터(21)에 표시되는 단계,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영상과 선택된 배경화면이 영상합성부(33)에서 동영상합성되는 단계,
    합성된 동영상이 동영상 압축부(37)에서 데이터압축되고, 저장부(39)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방법.
  8. 청구항 7에서, 카메라 스위칭부(27)에 의해 다수의 카메라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방법.
  9. 청구항 7에서,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 모범동작을 저장하는 단계는
    가상연출자의 동작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단계,
    가상연출자의 동작을 동영상(MJPEG)으로 만들고 모범동작의 움직임 중 기본동작만을 추출하여 정지영상(43)의 프레임버퍼의 변화값을 영상처리(45)하여 변환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동작시간(play time)과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방법.
  10. 청구항 7~9중 어느 한 항에서, 피사체모델의 위치 데이터가 동작분석부(35)로 들어가 모범동작 데이터베이스(31)에서 출력되는 모범동작 데이터와 비교분석되는 단계는,
    피사체모델의 영상이 영상입력부(25)를 통해 동작분석부(35)로 입력되면 동작분석부(35)에서는 피사체모델의 기본동작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하고 모범동작의 프레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방법.
  11. 청구항 10에서,
    피사체모델의 표준 범주를 정하고 그 범주를 넘거나 모자라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그 범주로 축소 또는 확대해 주는 단계가 포함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방법.
  12. 청구항 7~9중 어느 한 항에서, 입력된 피사체모델의 영상과 선택된 배경화면이 영상합성부(33)에서 동영상합성되는 단계는 크로마키 기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방법.
  13. 청구항 1의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생방송을 하는 방법으로서,
    청구항 1의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된 동영상 방송물을 인터넷으로 전송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201],
    동영상 제작장치에서 인터넷 생방송선택을 감지하여, 제작된 영상을 인터넷 방송에 맞게 코드화해서 인터넷을 통해서 불특정 다수에게 생방송을 하는 단계[205],
    방송사의 홈페이지에서 상기 생방송을 제어하는 단계로서[207], 다수의 지역에서 다중 생방송이 진행되는지를 감지하고 방송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인터넷 생방송 방법.
  14. 청구항 13에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장치가 PC게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생방송 방법.
KR1020000025249A 2000-05-12 2000-05-12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KR10034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49A KR100342927B1 (ko) 2000-05-12 2000-05-12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49A KR100342927B1 (ko) 2000-05-12 2000-05-12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029A KR20000050029A (ko) 2000-08-05
KR100342927B1 true KR100342927B1 (ko) 2002-07-04

Family

ID=1966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249A KR100342927B1 (ko) 2000-05-12 2000-05-12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30A (ko) * 2000-10-16 2001-01-05 김광남 텔레비젼 수상기 화면저장 장치
KR20020057916A (ko) * 2002-06-04 2002-07-12 정대교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KR20020064745A (ko) * 2002-07-22 2002-08-09 (주)디지털미디어콘텐츠 피사자의 표정 유발 장치
KR100826155B1 (ko) * 2007-04-20 2008-04-30 한영모 축소된 모션 캡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구현방법 및 애니메이션 재생 장치
KR101458139B1 (ko) 2008-09-18 2014-1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출규칙을 이용한 카메라웍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0042B1 (ko) * 2013-02-14 2014-08-14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제스처를 이용한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8986189B (zh) * 2018-06-21 2023-12-19 武汉金山世游科技有限公司 基于三维动画中实时多人动作捕捉并直播的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761A (ja) * 1993-06-10 1994-12-20 Ace Denken:Kk ゲーム用の操作装置
JPH07185131A (ja) * 1993-12-28 1995-07-25 Konami Kk テレビ遊戯システム
WO1996005766A1 (en) * 1994-08-23 1996-02-29 Assist Advanced Technologies Ltd. A user controlled combination video game and exercise system
KR20010038639A (ko) * 1999-10-26 2001-05-15 김동식 개인의 동영상 제작 및 운용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761A (ja) * 1993-06-10 1994-12-20 Ace Denken:Kk ゲーム用の操作装置
JPH07185131A (ja) * 1993-12-28 1995-07-25 Konami Kk テレビ遊戯システム
WO1996005766A1 (en) * 1994-08-23 1996-02-29 Assist Advanced Technologies Ltd. A user controlled combination video game and exercise system
KR20010038639A (ko) * 1999-10-26 2001-05-15 김동식 개인의 동영상 제작 및 운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029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060B1 (ko) 실시간 다층 동영상 합성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제공방법
US8824861B2 (en)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ompositing
CN107645655B (zh) 使用与人关联的表现数据使其在视频中表演的系统和方法
US6686970B1 (en) Multi-media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CN108282598B (zh) 一种软件导播系统及方法
CN102547197B (zh) 信息处理设备、同步方法
JPH08255175A (ja) マルティメディアプログラムにインデクスを付ける方法
US20060025998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processing methods, recording mediums, and programs
KR20150056381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4414708B2 (ja) 動画表示用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データ表示システム、動画表示方法、動画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342927B1 (ko)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CN107368491B (zh) 影像制作系统及方法
EP2242271A1 (en) A broadcasting system, a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transmission method, a reception apparatus and a reception method as well as a program.
JP2011077731A (ja) 撮影映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792646A (zh) 舞蹈动作辅助生成方法、装置及跳舞设备
JP200604188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11814757B (zh) 基于计算机软件的垃圾分类模拟系统
JP2002236913A (ja) 自動人物特定装置
CN114419285A (zh) 应用于复合型剧场的虚拟人物表演控制方法和系统
JP200809057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895921B2 (ja) 撮影映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382292B (zh) 一种法院庭审公开展示方法
KR102462863B1 (ko) 백그라운드 스크린 기반 스튜디오에서의 비디오 믹싱 플랫폼
WO202317112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07309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