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916A -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 Google Patents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916A
KR20020057916A KR1020020031218A KR20020031218A KR20020057916A KR 20020057916 A KR20020057916 A KR 20020057916A KR 1020020031218 A KR1020020031218 A KR 1020020031218A KR 20020031218 A KR20020031218 A KR 20020031218A KR 20020057916 A KR20020057916 A KR 20020057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chroma key
edited
mov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교
Original Assignee
정대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교 filed Critical 정대교
Priority to KR102002003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7916A/ko
Publication of KR2002005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Abstract

본 발명은 영화를 편집하여 모범영상을 추출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두고 이용자가 이 모범영상을 보고 연기를 하도록 하여 완성도가 높은 영화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 합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형태의 독립부스(10),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해 영상합성 시에 사용하는 빛 반사가 되지 않는 무광의 블루 또는 그린 스크린의 크로마키 판넬(20), 상판의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크로마키용 조명(30), 영상인식장치인 카메라(40), 영상합성장치인 크로마키(50), 영상출력장치인 모니터(60), 출력된 영상을 녹화하는 영상기록장치인 CD레코더(70), 공 CD를 배출하는 공CD공급기(80), 동전 투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코인기(90); 메뉴선택 및 시스템조작을 위한 버튼(100); 사운드 출력을 위한 장치인 스피커(110); 목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인 마이크(120); 공 CD가 배출되는 공CD배출구(130); 배출된 CD를 영상기록장치에 투입할 수 있는 CD투입구(140)로 구성되어 진다.

Description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 The movie composition vending machine with chroma key }
본 발명은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 합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영화를 편집하여 모범영상을 추출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두고 이용자가 이 모범영상을 보고 연기를 하도록 하여 완성도가 높은 영화동영상을 제작케 하는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 합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산업의 발전과 함께 동영상을 제작하는 기술과 편집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동영상을 전문으로 제작하는 스튜디오의 경우에는 전문 연출자에 의해 연출과 편집을 하여 완성도가 높은 동영상을 만들어내지만, 비전문가의 경우에는 동영상을 제대로 만들기가 어려웠다.
최근 컴퓨터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장비 및 소프트웨어가 많이 나오고 있지만, 비전문가들이 동영상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간편하게, 그리고 자동으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장비도 나와 있지만, 이러한 장비에서는 전혀 연출이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동영상을 제작하려는 사람들의 이용이 별로 없거나 이용하더라도 어색한 장면이 많아지게 된다.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동영상 제작기의 경우에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해서 단순히 배경화면과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를 합성하여 CD나 비디오테이프로 만들어 주는 것이 있다. 크로마키(chroma Key) 기법이란, 영상 프로그램에 특수한 효과와 텍스트를 추가하는 영상합성 방법으로서, 특정한 색상부분을 제거하고 그 이외의 요소만 추출하여 다른 영상과 합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국과 같은 데서 뉴스 또는 일기예보를 진행하는 장면을 방영하고자 할 경우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영상 제작기의 경우에 연출기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임의로 동작이나 표정을 연기해야 하는 관계로, 매우 어색한 장면이 연출되며 만들어진 동영상이 재미가 없어서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지 않고 외면하고 있다.
또한, 영상합성을 이용하여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있으나 얼굴사진을 찍어 이를 동영상물상 주인공의 얼굴을 사용자의 얼굴로 치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부자연스러운 동작 및 치환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자판기형태의 제품구현에 많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더 이상 수동적인 문화소비에 만족하지 않고 스스로 창작하려는 현상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번져가고 있고, 영화나 텔레비전에서 대리만족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몸을 움직여 즐거움을 얻는 것이 목적인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제품이 절실히 요구된다.
사용자들이 자기가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되는 동영상을 만드는 데에 컴퓨터에 저장된 주인공이 연기하는 오리지널 영화영상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이 영상에 따라 똑같이 연기를 할 수 있다면 기존의 동영상제작기와 같이 단조롭고 재미없는 동영상이 나오지는 않을 것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는 영화를 편집하여 모범영상을 추출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두고 이용자가 이 모범영상을 보고 연기를 하도록 하면 카메라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모습과 모범영상에서 주인공의 모습만 제거하여 만들어진 수정영상과 합성 시켜 자신이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보급된 내용이 긴 영화를 수분대의 짧은 내용으로 편집을 하고, 이 편집된 영상을 사용자가 보고 할 수 있는, 영화의 영상이 그대로 있는 편집영상과 편집된 영상에서 컴퓨터 그래픽으로 배경은 살리고 주인공의 모습만 제거한 수정영상으로 구분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가 편집영상을 보고 연기를 하면 카메라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모습과 수정영상이 합성되어 자기가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 합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 합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영상 및 수정영상, 합성영상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면 주요부의 설명>
10 : 독립부스
20 : 크로마키판넬
30 : 크로마키용 조명
40 : 카메라
50 : 크로마키
60 : 모니터
70 : CD레코더
80 : 공CD 공급기
90 : 코인기
100 : 버튼
110 : 스피커
120 : 마이크
130 : 공CD배출구
140 : CD투입구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합성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독립부스; 영상합성 시에 사용하는 빛 반사가 되지 않는 무광의 블루 또는 그린스크린의 크로마키 판넬;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크로마키 조명; 영상을 인식하는 카메라; 영상을 합성하는 크로마키; 합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인 모니터; 합성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인 CD레코더; 공CD를 배출하는 공CD공급기; 코인입력을 체크하는 코인기; 메뉴선택 및 시스템 조작을 위한 버튼;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 음성입력을 위한 마이크; 공CD가 배출되는 공CD배출구; 배출된 CD를 영상기록장치에 투입할 수 있는 CD투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제작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합성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독립부스(10); 영상합성 시에 사용하는 빛 반사가 되지 않는 무광의 블루 또는 그린스크린의 크로마키 판넬(20);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크로마키 조명(30); 카메라(40); 크로마키(50); 영상출력장치인 모니터(60); 영상기록장치인 CD레코더(70); 공CD공급기(80); 코인기(90); 버튼(100);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110); 음성입력을 위한 마이크(120); 공CD가 배출되는 공CD배출구(130); 배출된 CD를 영상기록장치에 투입할 수 있는 CD투입구(140)로 구성된다.
독립부스(10)는 이동이 가능한 형태의 부스로 다른 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도 1처럼 다각형만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크로마키판넬(20)은 일반적으로 영상합성 시에 사용하는 무광의 블루 또는 그린스크린 뿐만 아니라, 가격이 싼 천이나 시트지 뿐만 아니라 무광의 재질이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크로마키 조명(30)은 스크린에 일정한 조도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40)는 영상을 인식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CD카메라를 사용한다.
크로마키(50)는 카메라(40)에서 나오는 영상과 하드디스크에 있는 수정영상을 합성하는 장치이다.
영상출력장치인 모니터(60)는 크로마키(50)로 합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 합성된 영상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영상기록장치인 CD레코더(70)는 크로마키(50)를 통하여 합성된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공CD공급기(80)는 수 십장의 공CD를 탑재한 상태에서 한 장씩 배출해 주는 장치이다.
코인기(90)는 동전 투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다.
버튼(100)은 메뉴선택 및 시스템 조작을 위한 장치이다.
스피커(110)는 사운드 출력을 위한 장치이다.
마이크(120)는 사용자가 연기를 할 때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공CD배출구(130)는 공 CD가 배출되어 나오는 출구이다.
CD투입구(140)는 배출된 CD를 영상기록장치에 넣을 수 있는 CD투입구로 이루어 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합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써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에 전원을 넣으면 부팅이 진행되어 데모 오프닝 화면에서 사용자의 코인투입을 기다린다(S100). 사용자의 코인투입여부를 체크 한다(S110). 정해진 금액의 코인이 투입되면 공CD공급기(80)에서 1장의 공 CD를 공CD배출구(130)을 통하여 배출한다(S120). 사용자가 배출된 공 CD를 영상기록장치인 CD레코더(70)에 삽입한다(S130). 공 CD여부 및 공 CD의 삽입여부를 체크 한다(S140). 공 CD삽입여부 확인이 끝나면 영화제목으로 구성된 메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화를 선택한다(S150). 혼자서 연기를 할 건지, 둘이서 연기를 할 건지를 선택한다(S160). 사용자가 선택한 영화의 편집영상(500)을 재생시킨다(S170). 편집영상(500)을 재생하면서 사용자가 연기를 해야 할 부분인지를 체크 한다(S180). 연기를 해야 할 편집영상(500)을 재생시켜 준다(S190). 사용자는 편집영상(500)의 주인공이 연기하는 것을 보면서 자신이 연기해야 할 대사 및 동작을 확인하고 영상출력장치인 모니터(60)에 나오는 메시지를 보고 대기한다(S200). 화면이 전환되면은 편집영상(500)에서 배경화면은 그대로 이면서 주인공의 모습만 제거된 수정영상(600)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이 합성되어 영상출력장치인 모니터(60)에 보여지고, 사용자는 보여지는 영상을 보면서 연기를 한다. 이때 연기한 영상에 대한 파일이 생성된다(S210). 연기가 끝났으면 다음 연기할 편집영상(500)을 보여주고, 더 이상의 연기할 부분이 없으면 다음으로 넘어간다(S220). 사용자의 연기가 끝나면 연기한 파일을 영상기록장치인CD레코더(70)에 있는 공CD에 기록하면서 사용자가 연기한 합성영상(700)을 재생시켜준다(S230). 영상기록의 종료여부를 체크 한다(S240). 영상저장이 종료되면 영상이 저장된 CD를 CD투입구(140)를 통해 배출한다(S25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영상과 수정영상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영상(500)은 비디오나 DVD로 형태로 제공되는 영화를 AVI, MPEG등의 컴퓨터용 파일로 저장시킨 후 편집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영상을 삭제하여 수분대의 짧은 내용으로 편집한 영상이다. 편집영상(500)은 제목, 스토리 전개상 필요한 화면, 주인공의 얼굴, 상반신이상의 모습이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수정영상(600)은 상기 편집영상(500)에서 주인공의 얼굴 및 상반신이상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컴퓨터용 편집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주인공의 모습을 제거한 영상이다. 주인공의 모습을 제거할 때 주인공의 모습에 가려져 있던 배경은 그래픽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채워 넣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합성시스템에 의하면, 단순히 사용자의 모습과 배경을 합성 시키는 종래 동영상 제작기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자신이 영화 속의 주인공인 될 수 있는 동영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재미있고 수준 있는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영화뿐만 아니라, 드라마, CF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방송국, 기획사와 연계된 오디션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방송참여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방송국 및 기획사에서는 배우에 소질 있는 연기자를 손쉽게 발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제품사용을 위해 동전을 코인기(90)에 넣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배출된 공 CD를 영상기록장치인 CD레코더(70)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영화 및 1인 또는 2인연기를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보고 따라 할 수 있는 편집영상(500)을 재생하여 보여주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편집영상(500)을 보고 연기를 하면 수정영상(600)과 합성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연기한 영상파일을 영상출력장치인 모니터(60)에 보여주면서 상기 영상기록장치인 CD레코더(70)에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 합성방법.
  2. 이동이 가능한 독립부스(10);
    상기 사용자의 영상 촬영시 배경으로 사용하는 크로마키 판넬 (20);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40);
    상기 사용자가 연기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영상기록장치인 CD레코더(70);
    상기 사용자에게 편집영상(500) 및 수정영상(600) 재생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0);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120);
    상기 사용자에게 진행화면 및 편집영상(500), 수정영상(600)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인 모니터(60);
    상기 사용자의 모습과 수정영상(600)을 합성하기 위한 크로마키장치(50);
    공 CD를 배출하기 위한 CD공급기(80);
    영화의 편집영상(500)이 저장되어 있는 편집영상 데이터베이스(1000);
    영화의 수정영상(600)이 저장되어 있는 수정영상 데이터베이스(2000)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키와 영화를 이용한 동영상 합성장치.
  3. 영화이외 드라마, CF등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합성 방법 및 장치
KR1020020031218A 2002-06-04 2002-06-04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KR20020057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218A KR20020057916A (ko) 2002-06-04 2002-06-04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218A KR20020057916A (ko) 2002-06-04 2002-06-04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916A true KR20020057916A (ko) 2002-07-12

Family

ID=2772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218A KR20020057916A (ko) 2002-06-04 2002-06-04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79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602A (ko) * 2002-12-04 2004-06-10 (주) 케엠사 멀티미디어 동영상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동영상 제작방법
WO2006118376A1 (en) * 2005-05-02 2006-11-09 Hyun-Ok Kim Animation composing vending machine
KR102615377B1 (ko) * 2023-01-12 2023-12-19 박정신 방송 체험 서비스의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5766A1 (en) * 1994-08-23 1996-02-29 Assist Advanced Technologies Ltd. A user controlled combination video game and exercise system
KR20000050029A (ko) * 2000-05-12 2000-08-05 박기봉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5766A1 (en) * 1994-08-23 1996-02-29 Assist Advanced Technologies Ltd. A user controlled combination video game and exercise system
KR20000050029A (ko) * 2000-05-12 2000-08-05 박기봉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602A (ko) * 2002-12-04 2004-06-10 (주) 케엠사 멀티미디어 동영상 합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동영상 제작방법
WO2006118376A1 (en) * 2005-05-02 2006-11-09 Hyun-Ok Kim Animation composing vending machine
KR100743352B1 (ko) * 2005-05-02 2007-07-26 김현옥 동영상 합성 자동판매기
EP1889232A1 (en) * 2005-05-02 2008-02-20 Kim, Hyun-ok Animation composing vending machine
EP1889232A4 (en) * 2005-05-02 2010-05-12 Hyun-Ok Kim SALES MACHINE COMPRISING AN ANIMATION
KR102615377B1 (ko) * 2023-01-12 2023-12-19 박정신 방송 체험 서비스의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3721B2 (en) Content prepa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video systems
US7649571B2 (en) Methods for interactive video compositing
JP3615195B2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CA263365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coding data for video compositing
US20030025726A1 (en) Original video creat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20057916A (ko) 크로마키를 이용한 동영상 영화합성 자판기
KR200183863Y1 (ko)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JP3491833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遊戯装置
KR100350712B1 (ko)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KR20000066726A (ko) 동영상 음반 자동판매기
JP2003271158A (ja) 画像変更機能を持つカラオケ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ilunas " SHOT LIVE ON VIDEOTAPE": THE TELEVISUAL ERA OF ADULT FILM, 1978-1982
JP4128326B2 (ja) 遊技装置、遊技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50075082A (ko) 노래방용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Bratus As the band hit full throttle: Live event, mediatization and collective identification in popular music concert films
Ismaila et al. Analysis of opening title sequence design in Ghanaian video movies
Humphries Beyond the Frame
KR200347187Y1 (ko) 노래방용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JP2003186484A (ja) カラオケ装置用カラースーパーインポーザー
KR20030091259A (ko) 개인의 멀티미디어 시디롬 타이틀 자동 판매 시스템
Rembiesa Stained Glass: Filmmaking in the digital revolution
JP2003177764A (ja) カラオケ機器接続型cd−r自動販売機及び一体型カラオケ装置
Costello Time-Based Editing
Miller “Swing into DVD” with Paul King and The Rhythm Society Orchestra: DVD creation from concept to evaluation
Ginsberg Cinema and Television as Ru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