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375B1 -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 Google Patents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375B1
KR100342375B1 KR1019990054917A KR19990054917A KR100342375B1 KR 100342375 B1 KR100342375 B1 KR 100342375B1 KR 1019990054917 A KR1019990054917 A KR 1019990054917A KR 19990054917 A KR19990054917 A KR 19990054917A KR 100342375 B1 KR100342375 B1 KR 10034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alve
heating
indoor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419A (ko
Inventor
김동열
Original Assignee
안수영
도원프로메타 주식회사
김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영, 도원프로메타 주식회사, 김동열 filed Critical 안수영
Priority to KR2019990027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321Y1/ko
Priority to KR1019990054917A priority patent/KR10034237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온도 검출부(11)를 통해 검출된 실제온도와 실내온도 설정부(12)를 통해 설정된 설정온도의 차를 보정하기 위해 온도차에 비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조작기(10)와, 상기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를 적분회로부(21)를 통해 적분하고 이 적분신호를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에 가산하여 난방밸브(100)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제어기(20)와, 상기 온도제어기(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난방밸브 (100)의 밸브로드(121)를 상하로 승강시켜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밸브구동기(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에 따라 비례적분 제어방식을 통해 난방밸브를 통과하는 난방수의 유량을 미세 조정하므로, 실내의 온도를 기복없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연료소비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원이 인가되면 난방밸브를 완전히 폐쇄시켜 영점을 확인한 후,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에 따라 난방밸브의 개방정도를 조정함에 따라 제품마다 밸브로드의 돌출정도가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난방밸브의 오동작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A temperature regulator of the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에 따라 비례적분 제어방식을 통해 난방밸브를 통과하는 난방수의 유량을 미세 조정하여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은 주거 및 활동공간의 난방을 위하여 보일러내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고 이때 얻어지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며 이와같이 가열된 난방수를 순환시켜 실내를 난방한다.
서구에서는 주로 방열기(라디에이터)를 통해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난방방식이 사용되는데, 주철이나 강철로 이루어진 방열기는 공급되는 열량의 변화에 따라 온도가 신속하게 변화되며, 이 방열기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의해 실내공기가 가열되어 난방동작이 이루어진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온수를 이용하여 방바닥을 데우고 이 방바닥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을 통해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난방방식을 사용하는데, 방바닥은 일반적으로 쉽게 데워지지 않고 또한 빨리 식지 않는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고 또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난방수가 흐르는 배관의 소정부위에 기계식 밸브를 장착하고, 이 밸브를 통해 실내로 난방수를 공급하거나 차단시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도 8은 실내의 온도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난방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난방밸브의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T자형 몸체(110)의 일측에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난방수가 유입되는 난방수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몸체(110)를 통과한 난방수를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수 유출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10)의 내부에는 난방수 유입구(112)와 난방수 유출구(111)를 구획하는 밸브시트(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밸브시트(113)에는 난방수 유입구(112)와 난방수 유출구 (111)를 연통시키는 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T자형 몸체(110)의 상측에는 상기 통공(114)을 개폐하여 난방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체(122)가 장착된 작동부(120)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작동부 (120)에는 상하로 유동하는 밸브로드(1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로드(121)의 단부에 밸브체(12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작동부(120)의 내측에는 밸브로드(121)를 상방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130)이 장착되어 있고, 작동부(120)의 외주연에는 난방밸브(100)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나선 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밸브로드 (121)는 작동부(12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난방밸브(100)의 밸브로드(121)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스프링(130)이 밸브로드(121)를 상방으로 밀어내고 이에 연동하여 밸브체 (122)도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통공(114)이 개방되어 보일러에서 가열된 난방수가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면, 밸브로드(121)에 압력이 가해져 밸브로드(121)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탄성스프링(130)은 압축되고 밸브체(122)는 밸브로드(122)에 연동하여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통공(114)이 폐쇄되어 실내로 공급되던 난방수를 차단시킴에 따라 실내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난방밸브(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밀폐된 용기내에 왁스를 채워 넣은 구동장치(도시안됨)를 작동부(120)에 결합하였는데, 주변온도에 따라 왁스가 팽창하면 밸브로드(121)에 압력이 가해져 통공(114)은 완전히 폐쇄되고, 왁스가 수축하면 밸브로드(121)에 가해지던 압력은 제거되며 압축된 탄성스프링(130)이 인장되어 밸브로드(12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림에 따라 통공(114)은 완전히 개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난방밸브 구동장치는 상기된 것처럼 왁스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난방밸브(100)를 완전히 개방하거나 완전히 폐쇄시키는 ON-OFF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설정온도를 중심으로 기복이 발생하며 이로인해 불필요한 연료소비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량공급을 중단하여도 열관성(잠열)으로 인해 실내온도가 즉시 하강하지 않고 얼마 동안 계속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열량변화에 따라 온도가 신속하게 변화되는 방열기를 이용하는 서구식 난방방식은 상기와 같은 열관성이 작아 ON-OFF 제어로도 충분히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온돌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난방방식에서는 열관성 현상이 더욱 크게 나타남에 따라 ON-OFF 제어로는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난방방식에서는 실내의 온도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난방밸브와 난방수가 순환되는 실내배관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난방수의 전달지연이 발생하여 상기된 ON-OFF 제어로는 실내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방으로 돌출된 난방밸브(100)의 밸브로드(121)의 돌출정도가 제품마다 상이함에 따라 상기된 왁스가 수축 및 팽창하더라도 난방밸브(100)의 개폐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종래의 난방밸브 구동장치로는 실내온도를 원하는데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에 따라 비례적분 제어방식을 통해 난방밸브를 통과하는 난방수의 유량을 미세 조정하여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난방밸브의 개폐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방수의 흐름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통상적인 난방밸브(100)를 구비한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에 있어서,실내온도 검출부(11)를 통해 검출된 실제온도와 실내온도 설정부(12)를 통해 설정된 설정온도의 차를 보정하기 위해 온도차에 비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조작기(10)와, 상기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를 적분회로부(21)를 통해 적분하고 이 적분신호를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에 가산하여 상기 난방밸브(100)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제어기(20)와, 상기 온도제어기(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난방밸브(100)의 밸브로드(121)를 상하로 승강시켜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밸브구동기(30)를 구비하되;상기 밸브구동기(30)는 상하부 케이스(32,33)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서로 맞물려 있는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어(36)와, 상기 하부케이스(33)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난방밸브(100)를 결합시키는 연결너트(35)가 결합된 결합부(34)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상기 결합부(34)에 나선결합된 감속기어(36)의 출력축(37)과, 상기 감속기어(36)를 회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기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밸브구동기와 난방밸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조작기의 일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온도제어기의 일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밸브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사용시 실내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일반적인 난방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난방밸브의 측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온도조절기 사용시 실내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조작기 11 : 실내온도 검출부
12 : 실내온도 설정부 14 : 변환회로부
20 : 온도제어기 21 : 적분회로부
30 : 밸브구동기 31 : 모터
32 : 상부케이스 33 : 하부케이스
34 : 결합부 35 : 연결너트
36 : 감속기어 37 : 출력축
100 : 난방밸브 121 : 밸브로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기를 나타낸 블럭도로,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를 보정하기 위해 온도차에 비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조작기(10)와, 상기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에 따라 난방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구동기 (30)를 작동시켜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기(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상기된 밸브구동기와 난방밸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밸브구동기(30)의 상하부 케이스(32,33)의 내측에는 서로 맞물려 있는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어(3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감속기어(36)의 출력축(37)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케이스(33)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부(34)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나선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34)의 단부에는 난방밸브 (100)와 밸브구동기(30)를 결합시키는 연결너트(35)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32)의 상측에는 감속기어(36)를 회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모터(31)의 회전축(31a)에 결합된 기어(31b)가 감속기어(36)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31)가 회전하면 감속기어(36)가 회동하여 감속기어(36)의 출력축(37)을 상하로 유동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모터(31)의 상부에는 모터(31)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게(41)가 씌워지며 상부케이스(32)의 내면에는 감속기어(36)의 회전상태를 검출하여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추정하는 회전감지센서(39)가 장착되고 감속기어 (36)를 형성하는 일측 기어의 상면에는 회전감지센서(39)와 쌍을 이루어 동작하는 감지판(38)이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감지센서(39)와 감지판(38)은 각각 홀 센서와 상기 감속기어(36) 상면에 형성된 마그네트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감지센서(39)로서 상기 감속기어(36) 상면에 180도 각도를 이루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 접점되는 스위치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32)의 상면에는 감속기어(36)를 형성하는 일측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감속기어(36)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며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나타내는 디스플레이판(4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실내조작기(10)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부(11)와, 실내온도를 설정하는 실내온도 설정부(12)와,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를 보정하기 위해 온도차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회로부 (13) 및 상기 비교회로부(13)의 출력신호를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변환회로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실내온도 검출부(11)의 서어미스터(R5)가 실내온도를 검출하고 다이알식 조정레버에 결합된 실내온도 설정부(12)의 가변저항(VR1)을 통해 실내온도가 설정되면 비교회로부(13)의 제1 선형증폭기(U1A)는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신호는 변환회로부(14)의 제2 선형증폭기(U1B)에 의해 전류신호로 변환되어 온도제어기(20)로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의 변화폭을 4mA∼20mA로 설정하였으며 4mA 이하의 전류는 실내조작기(10)의 작동전류로 간주한다. 또한,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가 없는 경우에는 12mA의 전류를 온도제어기(20)로 인가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는 실내조작기(10)의 전원과 신호를 단쌍의 전선을 통해 온도제어기(2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저전압의 약전류가 전선을 통해 온도제어기(20)로 인가되므로 배선시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온도제어기(2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부(21)와, 상기 적분회로부(21)의 출력신호와 실내조작기(10)의출력신호를 가산하여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2)(U2,U3)을 구비하는데, 상기 마이컴(22)의 출력신호에 따라 모터구동부(23)가 밸브구동기(30)의 모터(31)를 정역회전시켜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조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7개의 난방밸브(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난방밸브(100)들은 순차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적분회로부(21)를 통해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를 적분하고 이를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에 가산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밸브구동기(30)의 모터(31)를 정역회전시키는 것은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정밀제어하기 위함이다.
즉, 실내의 설정온도가 예를들어 20℃이고 난방밸브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온도가 15℃이며 난방밸브(100)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온도가 20℃라고 가정할 때, 실내의 실제온도가 19℃이면 (20-19)/5=0.2이므로 온도차에 비례한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에 따라 난방밸브(100)는 20%가 개방되고, 이와같은 방식으로 실제온도가 18℃이면 난방밸브(100)의 40%가 개방되며, 실제온도가 17℃이면 난방밸브(100)의 60%가 개방되는데,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가 일치하면 난방밸브(100)는 완전히 폐쇄된다.
이와같이 온도차에 비례한 크기를 갖는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에 따라 난방밸브(100)의 개방정도가 가변되어 실내온도는 조정되지만, 이러한 비례제어방식으로는 미세한 온도차를 보정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것처럼 비례제어방식과 적분제어방식을 병용하여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정밀제어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동작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밸브구동기(30)를 난방밸브(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온도제어기(20)의 마이컴(22)은 모터구동부(2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난방밸브(100)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밸브구동기(30)의 모터(31)를 정회전시킨다(ST101).
즉, 모터(31)가 정회전하면 감속기어(36)도 정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감속기어(36)의 출력축(37)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난방밸브(100)의 밸브로드(121)를 하측으로 밀어냄에 따라 밸브로드(121)의 단부에 결합된 밸브체(122)가 하강하며 밸브시트(113)의 통공(114)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밸브구동기(30)의 회전감지센서(39)는 감속기어(36)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는데, 상기와 같이 밸브체(122)가 하강하여 밸브시트(113)의 통공(114)을 폐쇄시키면 감속기어(36)의 회전속도는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와같이 감속기어(36)의 회전속도가 설정치 이하로 현저하게 감소되면 마이컴(22)은 난방밸브(100)가 완전히 폐쇄된 것으로 인식한다(ST102).
상기와 같이 난방밸브(100)가 완전히 폐쇄되면 온도제어기(20)의 마이컴(22)은 실내조작기(10)로 부터 인가되는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에 비례한 신호에 따라 밸브구동기(30)의 모터(31)를 역회전시켜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조정하여 실내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조정한다.
다시말해, 실내조작기(10)는 실내온도 검출부(11)의 서어미스터(R5)를 통해실내온도를 검출하고(ST103), 검출된 실내온도와 실내온도 설정부(11)의 가변저항 (VR1)에 의해 설정된 실내온도를 비교회로부(13)를 통해 비교하고 그 차에 비례한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와같이 출력된 신호는 변환회로부(14)를 통해 전류신호로 변환되어 온도제어기(20)로 인가된다(ST104).
상기와 같이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온도차에 비례한 신호가 인가되면 온도제어기(20)의 마이컴(22)은 이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설정된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난방수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해 밸브구동기(30)의 모터(31)를 역회전시켜 난방밸브(100)의 개방정도를 조정한다(ST105).
다시말해, 모터(31)가 역회전하면 감속기어(36)도 역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감속기어(36)의 출력축(37)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압축된 탄성스프링(130)이 인장되어 난방밸브(100)의 밸브로드(121)를 상측으로 밀어냄에 따라 밸브로드(121)의 단부에 결합된 밸브체(122)가 상승하며 밸브시트(113)의 통공(114)을 일정부분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감속기어(36)의 역회전상태도 회전감지센서(39)를 통해 검출되어 마이컴(22)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난방밸브(100)가 개방되어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마이컴(22)은 적분회로부(21)를 통해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온도차에 비례한 실내조작기 (10)의 출력신호를 적분하고, 이 적분신호를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에 부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밸브구동기(30)의 모터(31)를 정역회전시켜 실내온도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기복없이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ST106∼ST107).
상기된 것처럼 본 발명은,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에 따라 비례적분 제어방식을 통해 난방밸브를 통과하는 난방수의 유량을 미세 조정하므로, 실내온도를 기복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며 불필요한 연료소비를 방지하여 무한자원인 에너지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전원이 인가되면 난방밸브를 완전히 폐쇄시켜 영점을 확인한 후, 실내의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에 따라 난방밸브의 개방정도를 조정하므로, 제품마다 밸브로드의 돌출정도가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난방밸브의 오동작을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난방수의 흐름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통상적인 난방밸브(100)를 구비한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에 있어서,
    실내온도 검출부(11)를 통해 검출된 실제온도와 실내온도 설정부(12)를 통해 설정된 설정온도의 차를 보정하기 위해 온도차에 비례한 신호를 출력하는 실내조작기(10)와, 상기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를 적분회로부(21)를 통해 적분하고 이 적분신호를 실내조작기(10)의 출력신호에 가산하여 상기 난방밸브(100)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제어기(20)와, 상기 온도제어기(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난방밸브(100)의 밸브로드(121)를 상하로 승강시켜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밸브구동기(30)를 구비하되;
    상기 밸브구동기(30)는 상하부 케이스(32,33)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서로 맞물려 있는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어(36)와, 상기 하부케이스(33)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난방밸브(100)를 결합시키는 연결너트(35)가 결합된 결합부(34)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상기 결합부(34)에 나선결합된 감속기어(36)의 출력축(37)과, 상기 감속기어(36)를 회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32) 내면에는 상기 감속기어(36)의 회전상태를 검출하여 난방밸브(100)의 개폐정도를 추정하기 위한 회전감지센서(39)가 장착되고, 상기 감속기어(36)를 형성하는 일측 기어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감지센서(39)와 쌍을 이루는 감지판(3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조작기(10)는 실내의 실제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에 비례한 신호를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변환회로부(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4. 삭제
KR1019990054917A 1999-12-03 1999-12-03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KR10034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056U KR200180321Y1 (ko) 1999-12-03 1999-12-03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KR1019990054917A KR100342375B1 (ko) 1999-12-03 1999-12-03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917A KR100342375B1 (ko) 1999-12-03 1999-12-03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056U Division KR200180321Y1 (ko) 1999-12-03 1999-12-03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419A KR20000012419A (ko) 2000-03-06
KR100342375B1 true KR100342375B1 (ko) 2002-07-04

Family

ID=196235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917A KR100342375B1 (ko) 1999-12-03 1999-12-03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KR2019990027056U KR200180321Y1 (ko) 1999-12-03 1999-12-03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056U KR200180321Y1 (ko) 1999-12-03 1999-12-03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2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868B1 (ko) * 2001-03-09 2004-04-13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온수온돌 난방시스템용 다기능 온도제어장치
KR100683610B1 (ko) * 2005-11-18 2007-02-20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51671B1 (ko) * 2007-05-28 2008-08-13 주식회사 애강 온돌형 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65948B1 (ko) * 2007-06-18 2008-10-30 주식회사 코텍 전동밸브를 이용한 온수분배기의 미세 유량조절 및소음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419A (ko) 2000-03-06
KR200180321Y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055B2 (en) Fan coil thermostat with fan ramping
US20230228456A1 (en) Gas Heater for Water and a Gas Water Heater
US9182141B2 (en) Fan coil thermostat with activity sensing
US46714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oom temperature
KR100342375B1 (ko) 난방장치용 온도조절기
US5310111A (en) Pneumatic controller
JP3580034B2 (ja) 温水式暖房装置
JPS6131784A (ja) 湯水混合装置
KR100563313B1 (ko) 난방제어시스템
JPS60249783A (ja) 湯水混合装置
US4320870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s
KR200180759Y1 (ko) 실내온도 조절용 난방밸브 구동장치
JPH04341675A (ja) 湯水混合装置
JPH04228988A (ja) 湯水混合装置
KR200186373Y1 (ko) 수온감지식 난방온도 원격조절장치
GB2259350A (en) A device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a thermostatic radiator valve
US4760955A (en) Control system for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of building
JPS6038109Y2 (ja) 空気調和装置
GB2295469A (en) Power regulation of central heating pump
JPS58198627A (ja) 空気調和機
JPH06272935A (ja) 空調機の制御方法
JPH06241537A (ja) 空調機の制御方法
JPH0239155Y2 (ko)
CS222801B1 (cs) Zařízení pro samočinnou regulaci průtoku topného média otopnými tělesy centrálních otopných systémů
JPS62115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