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954B1 -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 Google Patents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954B1
KR100340954B1 KR1020000010913A KR20000010913A KR100340954B1 KR 100340954 B1 KR100340954 B1 KR 100340954B1 KR 1020000010913 A KR1020000010913 A KR 1020000010913A KR 20000010913 A KR20000010913 A KR 20000010913A KR 100340954 B1 KR100340954 B1 KR 10034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ull
contact
terminals
d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922A (ko
Inventor
천두진
Original Assignee
천두진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두진,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filed Critical 천두진
Priority to KR102000001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9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8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인출선이 인입,인출단자부에 결선되어 구내상호간 및 구내외간의 통신케이블을 각 분계점에서 연결(접속)하는 아이디씨(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라인을 구성하는 인입,인출단자부의 일측 'U'자형 접촉단자와 타측 'U'자형 접촉단자의 간격이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과, 상기 인입,인출단자부 타측의 접촉단자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의 일측 접촉단자와의 간격을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인입,인출단자부(103)(104)를 다수개 반복형성하는 것과, 상기 인입,인출단자부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사이의 절연벽은 상호 인접되는 인입,인출단자부 접촉단자의 간격과 동일하게 반복형성한다.
따라서, 통신산업의 발전에 따른 통신서비스의 수용과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을 실현하도록 접속기자재의 국제적인 전기적 성능규격(TIA/EIA-568-A)이 적어도 CAT5급(감쇄량 0.4dB이하, 근단누화 40dB이상, 반사손실 14이상)이상이 되도록 향상시켜 가입자에게 양질의 통화품질과 초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structure of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correspondence}
본 발명은 인입,인출선이 인입,인출단자부에 결선되어 구내상호간 및 구내외간의 통신케이블을 각 분계점에서 연결(접속)하는 아이디씨(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라인을 구성하는 인입,인출단자부의 일측 'U'자형 접촉단자와 타측 'U'자형 접촉단자의 간격이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구성하고,상기 인입,인출단자부 타측의 접촉단자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의 일측 접촉단자와의 간격을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인입,인출단자부를 다수개 반복형성하며, 상기 인입,인출단자부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사이의 절연벽은 상호 인접되는 인입,인출단자부 접촉단자의 간격과 동일하게 반복형성함으로써, 통신산업의 발전에 따른 통신서비스의 수용과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을 실현하도록 접속기자재의 국제적 전기적 성능규격(TIA/EIA-568-A)이 적어도 CAT5급(감쇄량 0.4dB이하, 근단누화 40dB이상, 반사손실 14이상)이상이 되도록 향상시켜 가입자에게 양질의 통화품질과 초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외나 국내품이 개발되기전에 사용되어 왔던 종래 일자형 사선단자블록에 사용되는 접촉단자는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의 접촉단자(1)가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한 일자형 접촉단자(1)가 조립되는 사선단자블록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상기 일자형 접촉단자(1)의 상단접촉부(2)를 수용하도록 된 상부몸체(4)에는 인출단자부(7)를 반복 구성하고, 상기 접촉단자(1)의 하단접촉부(3)를 수용하도록 된 하부몸체(5)에는 인입단자부(6)를 상기 인출단자부(7)와 대응되도록 반복구성한다.그리고, 상기 상부몸체(4)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한 라인을 이루는 한 쌍의 접촉단자(1)를 인출단자부(7)와 대응되도록 각각 삽입한 후 고정커버(8)를 결합하여 접촉단자(1)가 상무몸체(4)의 인출단자부(7)에 고정되도록 한다.또한, 상기 하부몸체(5)의 인입단자부(6)에는 각각 한 라인을 구성하도록 한 쌍의 인입선(10)을 인입단자부(6)에 도1과 같이 각각 삽입시킨다.상기한 바와 같이 인입선(10)의 배선작업이 끝나면 상부몸체(4)를 도1과 같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하부몸체(5)에 삽입시킴으로써 상부몸체(4)가 하부몸체(5)에 결합되도록 한다.따라서, 작업자는 노출된 인출단자부(7)에 인출선(11)을 도1과 같이 결선하는 것만으로 각 가입자에게 연결하는 통신케이블의 결선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그러나, 상기 일자형 접촉단자(1)가 사용되는 사선단자블록은 도1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에 대한 폭이 작은 관계로 단자함내에 사선단자블록을 설치함에 있어서,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인입선(11)의 배선작업시 오배선을 한 경우에는 상부몸체(4)를 다시 탈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해서 리페어 툴(repair tool)나 인서트 툴(insert tool)등의 별도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종래의 'ㄷ'자형 아이디씨(IDC) 사선단자블록은 다수개의 인입,인출단자부(6)(7)가 좌우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인입,인출단자부(6)(7)의 저부로 'ㄷ'자형 접촉단자(1a)를 삽입하고 상기 인입,인출단자부(6)(7)가 형성된 하우징(20)을 몸체(21)에 삽입하여 사용토록 하였으나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1a)를 인입,인출단자부(6)(7)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연결보(23)외에 고정프레임(22)이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접촉단자(1a)의 길이가 길어져 생산원가가 상승함은 물론 이로 인한 제작이 까다워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뿐만 아니라, 전기적 성능규격(국제규격:TIA/EIA-568-A)으로는 CAT3급(감쇄량 0.4dB이하, 근단누화 34dB이상)인 저속(16MHz)의 전송속도를 갖는 구조인 것으로서, 급변하는 통신기술의 발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정도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ㄷ'자형 아이디씨(IDC) 사선단자블록은 저속의 전송속도를 요구하는 통신서비스를 사용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초고속 통신서비스를 요구하는 환경에 대처할 경우 케이블과 접속 기자재들로 인한 접속 및 전송 손실로 가입자는 저속 전송속도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서비스의 수용과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을 실현하도록 접속기자재의 국제적인 전기적 성능 규격(TIA/EIA-568-A)이 적어도 CAT5급(감쇄량 0.4dB이하, 근단누화 40dB이상, 반사손실 14이상)이상이 되도록 향상시켜 가입자에게 양질의 통화품질과 초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선단자블록의 조립공정을 좀더 간편하게 하여 조립공수를 절감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입,인출단자부의 'U'자형 일측 접촉단자와 'U'자형 타측 접촉단자간의 간격이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인입,인출단자부의 저부에서 한 라인을 구성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핀공과, 상기 한 쌍의 핀공 중 타측에 압입된 접촉단자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의 일측 핀공에 압입되는 접촉단자간의 간격을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인입,인출단자부를 다수개 반복형성하는 것과, 상기 인입,인출단자부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사이의 절연벽은 상호 인접되는 인입,인출단자부 접촉단자의 간격과 동일하게 반복형성하면 된다.
도1은 종래 일자형 아이디씨(IDC) 사선단자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도2는 종래 'ㄷ'자형 아이디씨(IDC) 사선단자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 사선단자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촉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인입,입출단자부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에 배열되는 접촉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4의 실시예에 대한 인입,입출단자부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에 배열되는 접촉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입,입출단자부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에 배열되는 접촉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 사선단자블록이 결합된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면부호의 설명-
101,102-인입,인출선 103,104-인입,인출단자부 105-접촉단자(IDC단자)
106-절연벽 107-연결보 108-절연돌기
109-절연홈 110-하우징 111-접촉부
112-몸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3내지 도7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입,인출선(101)(102)이 인입,인출단자부(103)(104)에 결선되어 구내상호간 및 구내외간의 통신케이블을 각 분계점에서 연결(접속)하는 아이디씨(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에 있어서, 한 라인을 구성하는 인입,인출단자부(103)(104)의 일측 'U'자형 접촉단자(105a)와 타측 'U'자형 접촉단자(105b)의 간격이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의 타측의 접촉단자(105b)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의 일측 접촉단자(105c)간의 간격을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인입,인출단자부(103)(104)를 다수개 반복형성하는 것과,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사이의 절연벽(106)은 상호 인접되는 인입,인출단자부(103)(104) 접촉단자(105)의 간격과 동일하게 반복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에 압입되어 한 라인을 구성하는 'U'자형 접촉단자(105)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보(107)가 소정폭으로 편측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보(107)가 편측형성된 접촉단자(105)를인입,인출단자부(103)(104)에 대칭되게 압입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되는 인입,인출단자부(103)(104)사이의 절연벽(106)저부에는 절연벽(106)과 동일한 두께의 절연돌기(108)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돌기(10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연돌기(108)와 대응되는 몸체(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절연홈(109)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벽(106)이 1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인입단자부(103)측의 접촉단자(105)와 인출단자부(104)의 접촉단자(105)의 하단을 연결보(107)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접촉단자(105)를 'U'자 형태로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에는 각각 한 쌍의 접촉단자(105)를 압입하는 바, 상기 한 라인을 구성하는 인입,인출단자부(103)(104)내의 접촉단자(105)와 접촉단자(105)간의 간격이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하여 한 쌍의 핀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여 여기에 접촉단자(105)를 도6과 같은 배열로 압입함으로써 접촉단자(105)간의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CAT5급의 전기적 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라인으로 구성되는 인입,인출단자부(103)(104)내의 접촉단자(105)와 접촉단자(105)는 적어도 0.8mm이상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우징(110)의 상부에 다수개 반복형성하며, 이때,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의 간격은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핀공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의 간격과 적어도 동일한 절연벽(106)을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사이 마다 반복형성시켜 전류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103)(104)로 누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105)의 접촉부(111)와 접촉부(111)를 연결하는 연결보(107)는 도4와 같이 일측으로 편중되게 소정폭으로 형성하고, 한 라인의 인입,인출단자부(103)(104)내에서 편측으로 형성된 연결보(107)가 상호 마주보는 배열상태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에 도7과 같은 배열상태로 압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의 간격이 편중된 연결보(107)에 의해서 최대한 확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적인 전기적 성능의 규격(TIA/EIA-568-A)이 CAT5급(감쇄량 0.4dB이하, 근단누화 40dB이상, 반사손실 14이상)이상으로 향상되어 초고속 통신속도로 가입자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연벽(106)의 하부(하우징의 저부)에는 절연벽(106)과 동일한 두께의 절연돌기(108)가 하측을 향하여 절연벽(106)과 대응되도록 도3과 같이 다수개 반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103)(104) 사이에는 부도체로서 합성수지인 절연벽(106)이 하우징(110)과 일체로 사출되어 있지만 근소한 간격으로 밀집되어 있는 인입,인출단자부(103)(104)간에는 미세하게 전류가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벽(106)의 폭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인입,인출단자부(103)(104)간의 전류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단누화를 40dB이상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게 하며 전기적 성능규격이 CAT5급 이상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몸체(112)의 삽입홈(113) 바닥면에 절연홈(109)을 형성하여 하우징(110)가 삽입홈(113)에 결합될 때 매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전류의 누화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의 일측 접촉단자(105)와 인접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의 타측 접촉단자(105)의 간격을 적어도 1.2mm이상으로 설정하고 여기에 대응되도록 인입,인출단자부(103)(104)를 도8과 같이 형성하며, 이에 따라 절연벽(106)의 두께도 1.2mm로 하여 보다 안정적인 양질의 통화품질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도3에서 도시된 구조는 본 출원인이 2000년 특허출원한 제10-2000-0004620호(명칭:통신용 국선/사선단자블록의 방수구조)에 기인한 것으로 몸체(112)의 삽입홈(113)에 방수용젤리를 충진시킨 연후에 하우징(110)를 삽입홈(113)에 삽결시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에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본 발명 사선단자블록이 침수되어도 통신장애나 통신중단없이 통신을 이룰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산업의 발전에 따른 통신서비스의 수용과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을 실현하도록 접속기자재의 국제적인 전기적 성능 규격(TIA/EIA-568-A)이 적어도 CAT5급(감쇄량 0.4dB이하, 근단누화 40dB이상, 반사손실 14이상)이상이 되도록 향상시켜 가입자에게 양질의 통화품질과 초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간편한 조립구성과 조립공정에 의해 조립공수를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훌륭한 발명이다.

Claims (5)

  1. 절개된 접촉부(11)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서로 연결하는 연결보(107)를 구비하는 접촉단자(105)와; 상기 접촉단자(105)의 하측 부분을 지지하는 하우징(112)과; 상기 접촉단자(105)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의 일측 접촉단자와의 간격을 적어도 0.8mm이상이 되도록 하는 인입,인출단자부 (103)(104)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 (103)(104) 사이에 상호 인접되는 접촉단자(105)의 간격과 동일하게 반복형성되는 절연벽(106)으로 이루어진 사선단자블럭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를 갖는 몸체(110)의 저면에 상기 절연벽(106)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절연돌기(108)와,
    상기 절연돌기(10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연돌기(108)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절연홈(10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인출단자부(103)(104)와 인접된 인입,인출단자부(103)(104)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벽(106)이 1.2mm의 두께로 형성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KR1020000010913A 2000-03-04 2000-03-04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KR10034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913A KR100340954B1 (ko) 2000-03-04 2000-03-04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913A KR100340954B1 (ko) 2000-03-04 2000-03-04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922A KR20010086922A (ko) 2001-09-15
KR100340954B1 true KR100340954B1 (ko) 2002-06-20

Family

ID=1965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913A KR100340954B1 (ko) 2000-03-04 2000-03-04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35B1 (ko) * 2006-12-20 2008-09-08 대은전자 주식회사 스냅형 케이블체결방식의 아이디씨 블럭
KR101013059B1 (ko) * 2008-10-15 2011-02-14 주식회사 한영넉스 단자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354A (en) * 1987-09-14 1988-12-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oice/data communication termination connector
US5494461A (en) * 1993-07-27 1996-02-27 Krone Aktiengesellschaft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in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ique
JPH0927355A (ja) * 1995-07-10 1997-01-28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コネクタ
KR19990022508U (ko) * 1999-03-10 1999-07-05 김만식 통신용케이블단자함
KR20000019177U (ko) * 1999-04-06 2000-11-06 오병남 단자블록
KR20010005283A (ko) * 1999-06-30 2001-01-15 이계철 터미널 블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354A (en) * 1987-09-14 1988-12-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oice/data communication termination connector
US5494461A (en) * 1993-07-27 1996-02-27 Krone Aktiengesellschaft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in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ique
JPH0927355A (ja) * 1995-07-10 1997-01-28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コネクタ
KR19990022508U (ko) * 1999-03-10 1999-07-05 김만식 통신용케이블단자함
KR20000019177U (ko) * 1999-04-06 2000-11-06 오병남 단자블록
KR20010005283A (ko) * 1999-06-30 2001-01-15 이계철 터미널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922A (ko) 200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0192A (en) Connecting block construction
US6238235B1 (en) Cable organizer
US4261633A (en) Wiring module for telephone jack
US7448920B2 (en) Wire lead guide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communications cable
CA1098983A (en) Modular plug having superior dielectric strength for terminating cords
US20030129880A1 (en) Communication jack that withstands insertion of a communication plug that the jack is not specifically configured to mate with without being damaged
US4865564A (en) Wall mounted connecting block
US5120235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6183306B1 (en) Staggered interface contacts
WO1998013899A1 (en) Patch cord connector
US4066320A (en)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system
AU5772101A (en) Selectable compatibilit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244906B1 (en) Low cross talk plug and jack
US6332802B2 (en) Modular plug and harnessed plug
JPH097651A (ja) 接触子及びこの接触子を備えた端末コネクタ
US5556307A (en) Modular telecommunication jack assembly
KR100340954B1 (ko)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AU2392199A (en) High density high performance telecommunications/data link and connector with tap and contact displacement assembly
US633112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for high frequency signals
US6328609B1 (en) Modular jack
KR100328971B1 (ko) 아이디씨형 국선단자블록의 구조
EP1195854A1 (en) Modular plug and method of coupling a cable with twisted wire pair to the same
CA1242007A (en) Multi-wir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ssembly
KR200192555Y1 (ko) 아이디씨형 국선 및 사선단자블록의 증설구조
CN1331505A (zh) 电缆组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