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478B1 -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478B1
KR100340478B1 KR1019990049386A KR19990049386A KR100340478B1 KR 100340478 B1 KR100340478 B1 KR 100340478B1 KR 1019990049386 A KR1019990049386 A KR 1019990049386A KR 19990049386 A KR19990049386 A KR 19990049386A KR 100340478 B1 KR100340478 B1 KR 10034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supply
bar
vibra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879A (ko
Inventor
김형범
Original Assignee
홍영철
홍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철, 홍덕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영철
Priority to KR101999004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4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형태의 소재 와이어 로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는, 수직부(11a)와 수평부(11b)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체(11)와, 지지체의 수직부(11a)상에 상향경사지게 일단부가 고정설치되는 공급대 바(12)와, 공급대 바의 하부에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공급대 바 설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장착되는 진동받침대(13)와, 상기 진동받침대의 자유단부측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받침대(13)의 회동 및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14)로 이루어진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에서는 공급대 바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발생장치 및 진동받침대에 의해서 공급대 바를 빠져나가기 전의 공급대 바상에 안착된 와이어 로드 코일의 엉킴이나 꼬임 상태가 반복적인 흔들림으로 바르게 정열됨에 따라 공급대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 로드는 항시 동일한 패턴으로 풀려나오게 되고 그에 따라 풀려나온 와이어 로드의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된 선재 가공공정에서는 공급 와이어 로드의 꼬임 발생에 의해서 장치 전체를 가동정지시켜야 했던 종래 와이어 로드 공급장치의 단점이 해소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공정수행의 연속성 확보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wire tangle for wire rod supplier}
본 발명은 와이어 로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코일형태의 소재 와이어 로드를 상향경사지게 고정된 공급대 바에 삽입안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로드의 인출단부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와이어 로드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로드 공급대의 하부에 진동장치를 설치하여 로드 코일을 반복적으로 흔들어 줌으로써 공급대 바로부터 풀려나오는 와이어 로드의 꼬임이나 엉킴이 방지되도록 한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선재 제품의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소재 와이어 로드는 코일형태로 제작되어 선재 가공업체등으로 출하되고, 선재 가공업체 등에서는 이러한 코일 형태의 소재 와이어 로드를 공급대상에 장착 또는 안착시킨 상태에서 선재의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선가공이나 그 외의 와이어 로드를 대상으로 한 공정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코일 형상의 소재 와이어 로드 공급방식의 구체적인 예로는 회전테이블 위에 장착된 캐리어의 외주에 코일형 소재 와이어 로드를 끼워넣어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통해 와이어 로드의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캐리어 공급대 방식과, 수평상태로부터 약간 상향경사지게 고정된 외팔보 형태의 공급대 바에 코일형태의 소재 와이어 로드를 끼워넣고 그 선단부로부터 가해지는 인출장력에 의해서 와이어 로드가 풀려나가도록 하는 일명 '대포 공급대(cannon supplier)'방식을 들수 있다.
이들 두가지 와이어 로드 공급방식중에서 전자의 캐리어 공급대는 풀려나가는 와이어 로드의 속도 및 장력의 조절이 부분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와이어 로드의 속도와 장력이 제품가공 공정이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선재 가공공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후자의 대포 공급대 방식은 상기 캐리어 공급대 방식에 비해 와이어 로드의 장력이나 속도에 대한 조절기능은 떨어지나 그 구조가 훨씬 간단하고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에 기인하여 특히 소재 와이어 로드에 대하여 기계적인 디스케일링을 수행한 다음 신선을 행하는 신선 가공공정 등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 와이어 로드 공급대(대포 공급대)의 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체(1) 또는 지지대상에 직선상의 공급대 바(2)가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고정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공급대 바(2)의 경사 정도는 공급대 바에 코일형태의 와이어 로드(W)가 끼워져 안착되었을 때 와이어 로드의 자중과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공급대 바의 상당한 길이에 걸쳐 펼쳐져 안착될 수 있을 정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공급대 바(2)의 외측 단부에는 공급대 바의 경사 각도보다 약간 큰 각도로 탄성 걸림편(3)이 부착되는 데, 통상 이러한 탄성 걸림편은 어느 정도의 자체 지지강도와 탄성이 구비된 타이어 조각등이 이용되기도 한다.
이같은 구조의 종래 와이어 로드용 대포 공급대에서 와이어 로드(W)가 공급되는 과정은, 공급대의 전방에 설치된 기계적 디스케일러 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인출장력에 의해서 공급대 바(2)에 끼워진 와이어 로드는 공급대 바(2) 및 탄성 걸림편(3)을 벗어나서 디스케일러 등의 가공공정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와이어 로드 공급대에서는 공급대 바에 안착되는 와이어 로드 코일이 그 선단부로부터 가지런히 공급대 바위에 순차적으로 걸쳐지지 못하고 전후 코일이 서로 엉킨 상태로 안착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같이 서로 엉킨 상태의 코일은 서로 엉키거나 꼬인 몇겹의 와이어 로드 코일 상태로 공급대 바(2)를 빠져 나오게 되어 결국에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상황으로 된다.
즉, 공급대 바를 빠져나온 와이어 로드(W)가 서로 엉키거나 꼬였을 때에는 작업자는 그 엉킨 부분이 디스케일러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장치에 도달하기 전에 재빨리 엉키거나 꼬인 부위를 바로 잡아야 하는 데, 장치의 가동중에 꼬인 와이어 로를 바로 펴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장치 자치의 가동을 중지시키고 꼬인 부위를 풀어내거나 절단한 후 장치를 재가동 시키게 된다.
통상적으로 소재 와이어 로드를 이용한 인-라인형 선재 가공 공정에서는 와이어 로드의 연속적인 이동을 전제로 하여 공정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와 같이 공급 와이어 로드의 꼬임에 의해 기계가동이 중단되고 그에따라 와이어 로드의 공급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상당한 손실이 초래된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와 같이 엉키거나 꼬인 상태로 공급대 바를 빠져나온 와이어 로드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와이어 로드의 단선이 발생하거나 그 꼬인부분이 후속되는 가공공정의 장치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므로 작업자는 항시 공급대로부터 풀려나오는 와이어 로드의 상태를 주의깊게 살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와이어 로드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형태의 소재 와이어 로드가 안착되는 공급대 바의 하부에 진동장치를 설치하여 로드 코일을 반복적으로 흔들어 줌으로써 공급대 바로부터 풀려나오는 와이어 로프의 꼬임이나 엉킴이 방지되도록 한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구조도.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2는 로드 코일이 공급대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3은 공급대로부터 와이어 로드가 풀려나가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4는 도3의 A-A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진동바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와이어 로드 공급대 11. 지지체
12. 공급대 바 13. 진동받침대
14. 진동발생장치 W. 와이어 로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지지체와, 지지체상에 상향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공급대 바와, 공급대 바의 하부 지지체 상에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공급대 설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장착되는 진동받침대와, 상기 진동받침대의 자유단부측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받침대의 회동 및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공급대 바는 종래 공급대에서의 공급대 바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며 그 고정 대상은 별도의 지지체 프레임이거나 건물의 벽체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동받침대는 공급대 바의 직하부에 공급대 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됨에 있어서 양 부재의 고정단부 사이의 수직거리는 공급대 바에 걸쳐지는 와이어 로드의 코일 직경 보다는 약간 길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진동받침대의 형상은 그 상면이 오목만곡면을 이루고 그 오목만곡 표면부가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에 접촉하게 되는 와이어 로드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진동발생장치는 지면 또는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받침대의 자유단부측의 승강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반복적인 상하방향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일예로는 실린더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2는 로드 코일이 공급대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3은 공급대로부터 와이어 로드가 풀려나가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4는 도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진동받침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가 구비된 와이어 로드 공급대(10)는, 수직부(11a)와 수평부(11b)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체(11)와, 지지체의 수직부(11a)상에 상향경사지게 일단부가 고정설치되는 공급대 바(12)와, 공급대 바의 하부에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공급대 바 설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장착되는 진동받침대(13)와, 상기 진동받침대의 자유단부측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받침대(13)의 회동 및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14)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지지체(11)는 특별히 도2에 도시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벽체 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지주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진동받침대(13)는 공급대 바(12)의 직하부에 공급대 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됨에 있어서 양 부재의 고정단부 사이의 수직거리는 공급대 바에 끼워져 안착되는 와이어 로드(W)의 코일 직경 보다는 약간 길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진동받침대(13)의 형상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상면이 오목만곡면을 이루고 그 오목만곡 표면부가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쿠션층(13a)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에 접촉하게 되는 와이어 로드(W)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받침대(13)의 표면 쿠션층(13a)을 제외한 본체는 금속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는 공급대 바(12)와 동등하거나 약간 짧게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 진동발생장치(14)는 지면 또는 지지체(11)의 수평부(11b)에 설치되어상기 진동받침대(13)의 자유단부측의 승강이동(보다 자세하게는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반복적인 상하방향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4a)와 실린더 로드(14b)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진동발생장치(14)의 실린더 로드(14b) 상단부는 진동받침대(13)의 자유단부측 저면에 결합되어 그 승강이동 및 반복적인 상하진동에 의해서 진동받침대의 이동 및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꼬임 방지장치에서의 와이어 공급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대 바(12)에 코일형태의 와이어 로드(W)를 끼워서 안착시키고자 하는 때에는 도2에서와 같이 진동발생장치(14)를 구동시켜 실린더 로드(14b)가 하강되도록 하여 진동받침대(13)의 자유단부측이 아랫쪽으로 내려진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지게차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코일형태의 와이어 로드를 공급대 바(12)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공급대 바(12)에 와이어 로드의 안착이 완료되면 와이어 로드의 선단부를 인출해 내어 공급대 전방의 기계적 디스케일러 등의 공정수행을 위한 장치에 장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장치를 가동시켜 와이어 로드(\)상에 연속적인 인출장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의 가동과 동시에 혹은 직후에 진동발생장치(14)의 실린더(14a)를 구동시켜 도3에서와 같이 진동받침대(13)의 상향이동에 이은 상하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같이 와이어 로드(W)가 공급대(10)로부터 풀려나가는 과정에서 진동받침대(13)를 통해서 와이어 로드 코일의 하단부를 흔들어 주게 되면 서로 엉켜서 안착되었던 코일이 바르게 정열되어 순차적으로 와이어 로드의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말하면, 도4에서와 같이 공급대 바(12)로부터 풀려나가는 와이어 로드의 인출장력은 공급대 바(12)의 자유단부측에 걸쳐진 코일에도 어느 정도 작용하게 되는 데, 이와같이 공급대 바(12)의 단부측으로 어느 정도의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의 코일을 상하 방향으로 흔들어 주게 되면 서로 겹쳐져 있거나 엉켜있던 코일이 풀려지게 되어 공급대 바(12)를 벗어나는 와이어 로드는 항시 일정한 패턴을 유지한 채 엉킴이나 꼬임이 없이 인출되어 진다.
그리고, 진동받침대(13)의 상하 진동을 통해 와이어 로드 코일을 흔들어 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진동받침대(13)는 와이어 로드 코일의 하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표면부상에 쿠션층(13a)이 구비되고 그 쿠션층이 코일과 동일한 형상의 원형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와이어 로드 코일의 표면손상은 최소화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에서는 공급대 바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발생장치 및 진동받침대에 의해서 공급대 바를 빠져나가기 전의 공급대 바상에 안착된 와이어 로드 코일의 엉킴이나 꼬임상태가 반복적인 흔들림으로 바르게 정열됨에 따라 공급대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 로드는 항시 동일한 패턴으로 풀려나오게 되고 그에 따라 풀려나온 와이어 로드의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된 선재 가공공정에서는 공급 와이어 로드의 꼬임 발생에 의해서 장치 전체를 가동정지시켜야 했던 종래 와이어 로드 공급장치의 단점이 해소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공정수행의 연속성 확보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공급대로부터 풀려나오는 와이어 로드의 꼬임이 방지되기 때문에 종래의 공급대에서 꼬임발생을 감시하고 꼬임이 발생했을 때 꼬임을 풀어주기 위해 필요로 하였던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인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Claims (4)

  1. 수직의 지지체상에 일단부가 상향 경사지도록 고정설치된 공급대 바로 구성된 와이어 로드 공급대에 있어서, 상기 공급대 바(12)의 하부에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공급대 바(12)와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며 원호상 만곡면을 이루는 연질 합성수지재의 쿳션층(13a)이 상면 전반에 걸쳐 부착된 진동받침대(13)와, 상기 진동받침대(13)의 자유단부측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받침대(13)의 상하방향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받침대(13)의 길이는 공급대 바(12)와 동등하거나 약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장치(14)는 실린더(14a)와 실린더 로드(14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KR1019990049386A 1999-11-09 1999-11-09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KR10034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386A KR100340478B1 (ko) 1999-11-09 1999-11-09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386A KR100340478B1 (ko) 1999-11-09 1999-11-09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879A KR20010045879A (ko) 2001-06-05
KR100340478B1 true KR100340478B1 (ko) 2002-06-12

Family

ID=1961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386A KR100340478B1 (ko) 1999-11-09 1999-11-09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26B1 (ko) 2005-12-07 2007-02-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 선재 엉킴 방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321B1 (ko) * 2005-08-08 2006-07-1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이송지지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217A (ja) * 1988-06-11 1990-02-05 Sms Schloeman Siemag Ag ワイヤ巻き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217A (ja) * 1988-06-11 1990-02-05 Sms Schloeman Siemag Ag ワイヤ巻き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26B1 (ko) 2005-12-07 2007-02-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 선재 엉킴 방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879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1490A1 (en) Yarn guide for a spinning unit of a ring spinning machine, a ring spinning machine and a method for threading yarn into the yarn guide
JP2010195522A (ja) 溶接ワイヤの収納方法
KR100340478B1 (ko) 와이어 로드 공급대의 와이어 꼬임 방지장치
US2242053A (en) Wire despooling device
US5806780A (en) Universal cable take-off system
JPH07232213A (ja) ループ状線材の供給装置
KR200224970Y1 (ko) 와이어 로드 해권용 공급대의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JPS63147781A (ja) 溶接用パツクワイヤ
EP0887298A1 (en) A method for reducing or preventing damage to fiber wound on a spool
CN215998139U (zh) 一种恒张力被动放线装置
JPH07277596A (ja) 線材巻き取り装置
JP2572637Y2 (ja) 線状材供給装置
JPH09141434A (ja) 溶接機
JPS6113201Y2 (ko)
KR102555700B1 (ko) 케이블 권취장치
KR200497979Y1 (ko) 케이블 이탈 방지용 낙하 방지대
JP2719659B2 (ja) ワイヤ収納容器
JPH05242743A (ja) 電線案内給送装置
JP4121059B2 (ja) 微細ワイヤ供給装置
US5318233A (en) Ball tension device
JP2001510426A (ja) 供給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を含むケーブル・フィーダー
JPH09169472A (ja) 素線引出ガイド装置
JPH0313456A (ja) 金属ワイヤ供給装置
JP2005297035A (ja) 線材繰り出し装置
JP3054829U (ja) 糸巻体装填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