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476B1 -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476B1
KR100338476B1 KR1020000004364A KR20000004364A KR100338476B1 KR 100338476 B1 KR100338476 B1 KR 100338476B1 KR 1020000004364 A KR1020000004364 A KR 1020000004364A KR 20000004364 A KR20000004364 A KR 20000004364A KR 100338476 B1 KR100338476 B1 KR 10033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data
software keyboard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928A (ko
Inventor
조위덕
류창현
Original Assignee
김춘호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호,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김춘호
Priority to KR102000000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4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을 누르면,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인지 판단한다.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면, 제어부가 입력된 키에 대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 아니고 첫 번째 입력후 일정시간 이내의 키 입력이면, 제어부가 첫 번째 데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위치를 보정하여 키에 대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 복수키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 comput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having a plural key input function of the software keyboard}
이 발명은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 복수개의 키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편리함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나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등의 장비에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대신에 터치 센서 패널을 이용한 터치 패널 센서 시스템을 이용해가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 센서 시스템은 키보드나 마우스 대신 터치 센서 패널을 이용하여 전자펜이나 손가락 또는 기타의 입력수단으로 선택된 위치를 찾아주게 되는데, 1960년대의 랜드 테블릿(rand tablet) 이후, 급속한 발전과 성장을 하여 이제는 상당히 보편화가 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 센서 시스템들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의 앞에 부착되어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직접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편리하고 쉽게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터치패널을 소프트웨어 키보드에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키보드는 액정표시장치에 키보드 모양의 자판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액정표시장치 상에 표시된 키보드에서 해당 키를 펜으로 터치하면, 액정표시장치 패널의 표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 패널에서 해당 위치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에서는 감지된 위치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액정표시장치는 해당 문자를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컴퓨터에서는 동시에 키를 누르면 해당 문자가 둘 다 출력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거의 동일하게 두 개의 키를 입력하면 하나의 키 입력만이 입력되어 오류가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 문자가 동시에 입력되더라도 해당 키를 모두 입력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 및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부착되며, 사용자가 상기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의 해당키를 누르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가 동시 또는 연속으로 입력 되면, 제1 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데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데이터의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을 누르면,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면, 제어부가 입력된 키에 대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 아니고 첫 번째 입력후 일정시간 이내의 키 입력이면, 제어부가 첫 번째 데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위치를 보정하여 키에 대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 발명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 및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
상기 디스플레이(11)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상기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의 해당키를 누르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4);
상기 터치 센서 패널(14)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인터페이스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6);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6)로부터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가 동시 또는 연속으로 입력 되면, 제1 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데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데이터의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2);
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타이머(8);
운영체제 및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19);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3);
시스템 버스(15);
키보드(18);
및 마우스(17)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포스트(Post: power on self test) 과정이 수행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9)에 내장된 운영체제 예를 들어 윈도우(Window) 등을 통해 컴퓨터가 부팅된다.
다음,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키보드(18) 또는 마우스(17) 조작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1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9)에 내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프로그램을 메모리(9)로 읽어들여 실행시킨다. 이때, 소프트웨어 키보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9)외에 롬(10)이나 기타 다른 저장수단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3)의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11)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음극선관 등이 된다. 이때,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모양을 도3에 도시하였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 상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의 키를 손 또는 펜으로 누르게 되면, 터치 센서 패널(14)은 이를 감지한다. 이때, 터치 센서 패널(14)은 X축, Y축으로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 센서 패널(14)의 해당 포인트를 누르게 되면 눌리는 곳에 따라 전압차이가 다르게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선택된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 방식은 정전압 방식이며,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면, 터치 센서 패널(14)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 마이크로 컨트롤러(16) 및 시스템 버스(15)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2)로 전달된다(S21).
그러면, 중앙처리장치(12)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프로그램에 따라 터치 센서패널(1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마우스 이벤트로 분석하고,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인지를 판단한다(S22).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면, 중앙처리장치(12)는 입력된 터치센서패널(14)의 위치에 해당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S23).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 아니면, 중앙처리장치(12)는 타이머(8)를 체크하여 현재의 키 입력이 이전키 입력이 있은 후 일정시간 이내의 입력인지를 판단한다(S24). 이 일정시간은 동시에 복수개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으로서 이 범위를 벗어나면 동시에 입력이 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현재의 키 입력이 이전키 입력이 있은후 일정시간 이내의 키 입력이 아니면, 중앙처리장치(12)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된 터치센서패널(14)의 위치에 해당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S23).
한편, 현재의 키 입력이 이전키 입력이 있은 후 일정시간 이내의 키 입력이면, 중앙처리장치(12)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된 터치센서패널(14)의 출력을 이전키의 위치 정보에 따라 보정하여 새로운 위치를 생성한다(S25). 즉, 터치 센서 패널(14)은 X축, Y축으로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 센서 패널(14)의 해당 포인트를 누르게 되면 눌리는 곳에 따라 전압차이가 다르게 발생하며 이로부터 위치를 검출하게 되는데, 거의 동시에 두 개의 키 입력이 발생하면 이 전압값이 두 개의 키 지점의 중간 전압값이 되므로 최초의 전압값과 얻어진 중간 전압값으로부터 두 번째 키의 위치를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중앙처리장치(12)는 보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S26)
이렇게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 복수 키의 입력 기능이 구현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두 개의 키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3개가 동시에 입력되어도 같은 원리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피디에이,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 탑 컴퓨터 등에 모두 이용하며, 컴퓨터 관련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 복수개의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정정)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 및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부착되며, 사용자가 상기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의 해당키를 누르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가 동시 또는 연속으로 입력 되면, 제1 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데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데이터의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입력된후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제2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1 데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데이터의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2. (삭제)
  3. (정정)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을 누르면,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면, 제어부가 입력된 키에 대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 아니고 첫 번째 입력후 일정시간 이내의 키 입력이면, 제어부가 첫 번째 데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위치를 보정하여 키에 대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키 입력이 첫 번째 입력이 아니고 첫 번째 입력후 일정시간 이내의 키 입력이면, 상기 제어부는 두 번째 키 입력의 출력 전압값이 두 개의 키 지점의 중간 전압값이 되므로 최초의 전압값과 얻어진 중간 전압값으로부터 두 번째 키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삭제)
KR1020000004364A 2000-01-28 2000-01-28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3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364A KR100338476B1 (ko) 2000-01-28 2000-01-28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364A KR100338476B1 (ko) 2000-01-28 2000-01-28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928A KR20010076928A (ko) 2001-08-17
KR100338476B1 true KR100338476B1 (ko) 2002-05-30

Family

ID=1964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364A KR100338476B1 (ko) 2000-01-28 2000-01-28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247A (ko) * 2002-01-11 200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좌표값보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183A (ko) * 1995-09-23 1997-04-30 김주용 휴대폰에서 타이머를 이용한 문자 메모리 방법
KR19990055961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디지탈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183A (ko) * 1995-09-23 1997-04-30 김주용 휴대폰에서 타이머를 이용한 문자 메모리 방법
KR19990055961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디지탈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928A (ko)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4503B2 (en) Auto-calibration of a touch screen
JP3495228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こへの入力解析方法、表示生成システム、ソフト・キーボード装置及びソフト・ボタン装置
US6738048B1 (en) Touch screen controller
US20060103635A1 (en) Device and method of avoiding noise in touch screen panel
JPH1078850A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975307B2 (en) Method for detecting touch-point coordinate for use in a resistive touch panel
KR20080023549A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5741A (ko) 하이브리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JPH10232734A (ja) 仮想キーボード
US84480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4086735A (ja) 電子機器及び動作モード切替方法
JP2011081676A (ja) 入力装置
JP2013003949A (ja) 情報端末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78667B2 (ja) 座標検出装置及び座標検出方法
JPH07302168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100338476B1 (ko)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복수키 동시 입력 기능을 갖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9325851A (ja) 座標検出方法および座標検出装置
KR100338056B1 (ko)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자동 반복 기능을 갖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77125B1 (ko)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JP5165624B2 (ja) 情報入力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2012048417A (ja) 入力装置
JP2011204092A (ja) 入力装置
KR20100062628A (ko) 휴대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 제공방법
KR101104930B1 (ko)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KR20040034915A (ko)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동적 키보드 구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