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890B1 -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890B1
KR100337890B1 KR1020000038166A KR20000038166A KR100337890B1 KR 100337890 B1 KR100337890 B1 KR 100337890B1 KR 1020000038166 A KR1020000038166 A KR 1020000038166A KR 20000038166 A KR20000038166 A KR 20000038166A KR 100337890 B1 KR100337890 B1 KR 100337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rame
panel
display panel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350A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3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8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목적 :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접혀진 디스플레이를 펼침에 따라 용이하게 하나의 대형디스플레이로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에 대해 개시한다.
구성 : 본 발명은 각각의 프레임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해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를 밀착시켜 하나의 대형디스플레이로 형성시킬 수 있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디스플레이패널과 프레임 사이에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디스플레이를 펼침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접촉부와 프레임 상면의 경계점에 회전축을 형성시키고,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를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형성시키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을 프레임 상면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과 : 탄성부재에 의해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밀착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접촉부 및 상면 위쪽의 경계점에 회전축을 마련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 접촉부의 마모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Folder type flat display}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접혀진 디스플레이를 펼침에 따라 용이하게 하나의 대형디스플레이로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전자기기의 경박단소를 실현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집적회로의 초고밀도화, 전지의 고용량화, 디스플레이의 박형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박단소한 측면이 더욱 강조되어, 브라운관(CRT)을 사용하던 디스플레이가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등의 평판디스플레이로 대체되어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추세이나, 평판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제품에 있어서도 제품의 두께는 줄일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패널의 개개의 고유 면적으로 인해 전체적인 제품의 면적을 줄일 수 없게 되어 사용자의 휴대를 불편하게 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6-4137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을 접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접히는 부분의 접촉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 구조의 평판디스플레이가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 평판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패널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 상면에 이물질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이 서로 맞닿게 되어 긁힘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접혀진 디스플레이를 펼침에 따라 용이하게 하나의 대형디스플레이로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프레임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를 밀착시켜 하나의 대형디스플레이로 형성시킬 수 있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는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프레임 사이에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탄성력을 균일하게 분배시키기 위한 탄성력 균등분배장치를 상기 탄성부재와 디스플레이패널 사이에 더 구비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대형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을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형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프레임의 설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결합된 걸림장치를 프레임에 장착한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걸림장치를 해지하는 해지장치를 더 마련한 것도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해지장치는, 대형디스플레이를 펼침에 따라 걸림장치가 해지될 수 있도록, 프레임 접촉부에 형성시킨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회전식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며, 상기 프레임 접촉부에 보호구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이 좋다.
여기에,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정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에 맞물림장치를 마련한 것이 더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대형디스플레이를 펼침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접촉부와 프레임의 상면의 경계점에 회전축을 형성시키고,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를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대형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을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사시도,
도 2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를 펼쳤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상부디스플레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f-f'에 따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g-g'에 따른 단면도로서, 걸림장치와 해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작동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디스플레이 110 : 하부프레임
120 : 하부디스플레이패널 130 : 조작키
200 : 상부디스플레이 210 : 상부프레임
220 : 상부디스플레이패널 230 : 걸림장치
240 : 스프링 250 : 판형부재
260 : 해지장치 300 : 회전식 힌지
400 : 맞물림돌기 410 : 맞물림돌기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는 하나의 대형화면을 이루기 위해 하부디스플레이(100)와 상부디스플레이(2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디스플레이(100, 200)로 구성되어 있으나, 4개 이상, 또는 다수개의 분리된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대형화면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디스플레이(100)와 상부디스플레이(200)는 회전식 힌지(300)로 결합되며, 상기 하부디스플레이(100) 및 상부디스플레이(200)는 각각 하부프레임(110) 및 상부프레임(210)에 하부디스플레이패널(120) 및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을 장착하고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10)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키(130)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부프레임(210)에는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걸림장치(230) 및 해지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는 하부프레임(110)에 배치되는 하부디스플레이패널(120)과 상부프레임(210)에 배치되는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분할 접경된 구조를 이루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배치된 두 디스플레이패널(120, 220)은 회전식 힌지(300)를 중심으로 결합되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디스플레이패널(120, 220)은 접혀진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의 간격이 발생하지만, 펼쳤을 때에는 간격이 줄어들어 하나의 화면을 이룬다.이 때, 디스플레이패널 간의 접촉부(E)를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술은 본 출원인의 국내 특허출원 96-41375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도 2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를 펼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하부디스플레이(100) 및 상부디스플레이(200)를 평행하게 펼친 상태이며, 상부프레임(210)에 형성된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하부디스플레이패널(120)로 슬라이딩되어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상부프레임(210)에 형성된 해지장치가 눌려지게 되면 걸림장치(230)에 의해 상측에 고정되어 있던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해지되어 스프링력에 의해 하부디스플레이패널(120)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된 것이다. 이를 위해, 상부프레임(210)을 지지하여 체결된 스프링(240)이 장착되며, 다수의 스프링(240)을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에 균일한 탄성력을 가한다. 또한,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의 전체에 균일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탄성력 균등분배장치로서 판형부재(250)를 스프링(240)과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 사이에 형성시키고 있다.
도 3은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상부디스플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프링(240)에 의해 판형부재(250)가 밀리게 되면 판형부재(250)가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을 밀게 되고 상기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과 체결된 걸림장치(230)가 같이 슬라이딩된다. 이 때, 해지장치(260)는 하부프레임(110)의 접촉부 측면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부프레임(210) 내부로 슬라이딩된다. 이 작동 과정은 도 4와 도 5a 및 도 5b를 통해 잘 알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f-f'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g-g'에 따른 단면도로서, 걸림장치와 해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에 체결된 걸림장치(230)가 상부프레임(210)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장치(230) 아래에 해지장치(260)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210)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에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삽입되어 있다.
한편, 도 5a는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설정 위치에 고정된 경우의 상태도이고, 도 5b는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슬라이딩된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디스플레이패널이 설정 위치에 고정된 경우, 즉 상부디스플레이(200)를 완전히 펼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해지장치(260)가 눌려지지 않아 걸림장치(230)에 결합된 "ㄱ" 형상의 스프링고리(231)가 해지장치(260)의 단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고리(231)의 꺾여지는 탄성력은 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240)의 탄성력보다 커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장치(230) 및 해지장치(260)를 상부프레임(210)에 형성시키고 있으나 하부프레임에 형성시켜 하부디스플레이패널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디스플레이패널만을 움직이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상부 및 하부디스플레이패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모두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해지장치(260)가 상부프레임(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설정 깊이만큼 눌려질 수 있도록 이탈방지돌기(261)가 해지장치(260)에 형성되며, 이는 상부프레임(210)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홈(262)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디스플레이(200)를 완전히 펼쳐 걸림장치(230)가 눌려지게 되면, 스프링고리(231)가 해지장치(260)의 상면으로 올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프레임(210)에 형성된 스프링에 의해 상부디스플레이패널이 하부디스플레이패널 쪽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의 동작상은 도 6a 내지 도 6c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a는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을 완전히 펼치기 전의 상태도로서,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설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해지장치(260)가 상부프레임(2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부디스플레이(200)를 완전히 펼치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지장치(260)가 자연스럽게 눌려짐에 따라 걸림장치가 해지되어 자연스럽게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스프링력에 의해 하부디스플레이패널(120)을 향해 슬라이딩된다.
한편, 사용자가 접이식 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먼저 양측에 설치된 걸림장치를 밀어 올리면, 이와 체결된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함께 설정 위치로 밀어 올려지게 된다. 이 때, 걸림장치의 스프링고리가 해지장치(260)의 단부에 이르면 스프링고리가 꺾여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고리의 꺾임 탄성력이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크므로 스프링고리의 꺾임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이 설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이후, 상부디스플레이(200)를 접으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 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디스플레이패널(220)의 상면(I)과 하부디스플레이패널(120)의 상면(J)이 서로 일정 간격을 갖고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으로부터 프레임의 상면(K)까지의 길이(T)보다 두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I, J)까지의 길이(T')가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두 디스플레이패널(120, 220)이 맞닿아 상면이 긁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는 상부디스플레이(200)를 펼침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프레임 접촉부(Q)와 프레임 상면(K)의 경계점에 회전축인 회전식 힌지(300)를 형성시키고,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E)를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형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I, J)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I, J)을 프레임의 상면(K)보다 낮게 형성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는 상부디스플레이(200)의 접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 접촉부(E)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디스플레이패널과 상부디스플레이패널이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에 맞물림장치를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맞물림장치는 상부프레임(210)에 맞물림돌기(400)를 형성시키고 있으며, 하부프레임(110)에 맞물림돌기홈(410)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는 접이식 디스플레이의 잦은 접철에 따라 회전식 힌지(300)가 헐거워질 경우에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210)이 정확하게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이 부정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정확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의 마모 및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두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보호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할된 다수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 및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7-58554에 잘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여 대형화면을 구현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수개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여 하나의 대형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ELD, VFD, PDP, LCD 등의 모든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는, 탄성부재에 의해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밀착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접촉부 및 상면 위쪽의 경계점에 회전축을 마련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 접촉부의 마모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11)

  1. 각각의 프레임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를 밀착시켜 하나의 대형디스플레이로 형성시킬 수 있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프레임 사이에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탄성력을 균일하게 분배시키기 위한 탄성력 균등분배장치를 상기 탄성부재와 디스플레이패널 사이에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면을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프레임의 설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결합된 걸림장치를 프레임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를 해지하는 해지장치를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해지장치는, 대형디스플레이를 펼침에 따라 걸림장치가 해지될 수 있도록, 프레임 접촉부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회전식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촉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접촉부에 보호구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정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에 맞물림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KR1020000038166A 2000-07-05 2000-07-05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KR100337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166A KR100337890B1 (ko) 2000-07-05 2000-07-05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166A KR100337890B1 (ko) 2000-07-05 2000-07-05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350A KR20020004350A (ko) 2002-01-16
KR100337890B1 true KR100337890B1 (ko) 2002-05-24

Family

ID=1967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166A KR100337890B1 (ko) 2000-07-05 2000-07-05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3167B2 (en) 2005-06-01 2012-07-03 Kim Si-Han Portable display device
WO2013154275A1 (ko) * 2012-04-09 2013-10-17 Lee Yong Noh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313B1 (ko) * 2002-05-28 2005-03-23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102556654B1 (ko) 2018-12-14 2023-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3167B2 (en) 2005-06-01 2012-07-03 Kim Si-Han Portable display device
WO2013154275A1 (ko) * 2012-04-09 2013-10-17 Lee Yong Noh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350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228B2 (e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KR10199504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JP4035051B2 (ja) 携帯用情報表示装置用折り畳み式ケース
CN101872212B (zh) 笔记本电脑及其连接装置
US8899537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KR10212126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WO2002073572A3 (en) Apparatus for displaying drawings
WO2001002536A3 (de) Präsentationsvorrichtung
WO2002025359A3 (en) Display screen with metallized tapered waveguides
TWI495421B (zh) 滑動支架組件
KR10234599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US20220410362A1 (en)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CN112283531A (zh) 电子设备
KR100337890B1 (ko)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CN111010829A (zh) 电子设备
WO2018090791A1 (zh) 一种移动终端
JP2003298708A (ja) 電子機器
US20240040023A1 (en) Display device
KR200429941Y1 (ko) 휴대용 장식부재
KR100385668B1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EP1507163A3 (en) A liquid crystal display
CN1893449A (zh) 滑动隐藏屏幕型移动终端
TWI383107B (zh) 電子裝置及其顯示裝置
CN101202119A (zh) 保护片固定结构
US20210191474A1 (en) Keyboard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8